KR20020030067A -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067A
KR20020030067A KR1020020018486A KR20020018486A KR20020030067A KR 20020030067 A KR20020030067 A KR 20020030067A KR 1020020018486 A KR1020020018486 A KR 1020020018486A KR 20020018486 A KR20020018486 A KR 20020018486A KR 20020030067 A KR20020030067 A KR 2002003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adhesive
block
pattern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성
민영모
Original Assignee
김동성
민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성, 민영모 filed Critical 김동성
Priority to KR102002001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0067A/ko
Publication of KR2002003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폐자원을 활용하여 실내마감재 또는 보도블럭에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이 제조방법은 유리를 세척하여 분쇄하고 매끄럽게 마모하여 일정크기로 입자화시킨다. 이때 유리는 색상별로 분리하여 분쇄시킨다. 분쇄된 유리와 아교와 같은 접착제를 일정비율 예컨대 80:20중량%로 혼합시킨다. 유리 및 접착제의 혼합물을 수용할 일정한 형상의 성형틀의 저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약 10㎜내외로 분쇄된 유리를 도포시킨다. 이때 성형틀의 저면에는 원하는 무늬가 형성되도록 원하는 색상의 분쇄유리를 원하는 무늬패턴으로 도포시킨다. 이어서 분쇄된 유리가 도포된 성형틀에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수용시킨다. 이후 압축기로 성형틀에 수용된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일정한 압축력으로 압축성형한다. 이때 성형틀의 저면에 도포된 분쇄유리 혼합물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장식블럭은 실내벽면 마감재 또는 실내바닥 마감재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은 폐유리를 활용하여 무늬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 및 시간이 경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쇄유리와 접착제 사이에 기공이 형성됨으로써 보도블럭으로 채용시 우천에 따른 우수(雨水)의 배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A decoration blo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it}
본 발명은 보도블럭, 벽 및 바닥벽돌과 같은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를 분쇄하여 접착제와 혼합하고 일정한 형틀에서 압축성형한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 측벽 마감용 타일, 실내바닥 마감블럭, 보도블럭 및 이와 유사한 구조물들은 시멘트, 골재, 철근 및 물과 같은 충전재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물은 여러 충전재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작업이 번거롭고 또한 장식을 위한 표면처리 예컨대 보도블럭의 표면에 무늬 구현을 위한 페인트칠이 요구되는등 제조가 번거롭고, 또한, 칠해진 페인트는 그 수명이 짧기 때문에 재작업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패널, 벽, 보도블럭 및 이와 유사한 구조물을 제조하는데 채색유리 벽돌이나 평유리벽돌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는 깨지기 쉽고, 환경온도변화에 의해서 소성변형에 견디지 못하는 불리함이 있다.
또한, 유리 자체의 보도블럭은 우천시 배수가 불량하여 통행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한편, 실내의 바닥장식재로 사용되는 대리석은 고가이며, 흔히 벽면 마감에 사용되는 타일은 파손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분쇄된 유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제조가능하게 한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무늬구현을 위한 페인트칠등의 작업이 요구되지 아니하고, 폐유리를 활용하여 무늬의 구현이 가능한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천시 우수(雨水)의 배수가 용이한 보도블럭과 같은장식블럭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된 유리를 채용하여 견고하고 무늬의 구현이 가능하여 벽면의 마감블럭(타일) 또는 실내바닥재에 적용이 가능한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충격에 강한 강도가 우수한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유리를 분쇄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방지에 유리한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 장식블럭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장식블럭의 한 실시예인 벽면마감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식블럭의 다른 실시예인 바닥마감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성형틀20...무늬층
30...블럭몸체50...장식블럭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장식블럭은,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일정두께로 압축성형된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일정패턴으로 분쇄유리가 부착된 무늬층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몸체는 그 상하면을 연통시키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서 우수의 배수가 용이하여 보도블럭으로서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늬층의 표면에는 방수성 코팅제가 코팅된 구조로 되어서, 실내바닥재의 장식블럭 또는 벽면의 마감블럭으로서 채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장식블럭의 제조방법은 유리를 분쇄하고 매끄럽게 마모하여 일정크기로 입자화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를 일정비율로 혼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수용할 일정한 형상의 성형틀의 저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분쇄된 유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유리가 도포된 성형틀에 상기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수용시키는 단계와.
상기 성형틀에 수용된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일정한 압축력으로 압축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의 혼합비율은 80:20로 제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블럭(50)은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일정두께로 압축성형된 블럭몸체(30)와, 이 블럭몸체(30)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일정패턴으로 부착된 무늬층(20)을 구비한다.
상기 블럭몸체(30)의 일부를 구성하는 분쇄된 유리는 폐유리가 재활용되었는 바, 폐유리를 세척하고 분쇄하여 매끄럽게 마모시킨 상태에서 아교와 같은 접착제와 8:2의 비율로 혼합된다.
상기 무늬층(20)은 분쇄된 유리로 이루어지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10)의 저면에 원하는 색상 및 무늬패턴으로 뿌려진 후, 성형틀(10)에 수용된 분쇄유리와 접착제의 혼합물의 압축으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몸체(30)의 표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블럭몸체(30)의 표면으로는 무늬층(20)에 의해서 접착제등이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일정압력으로 압축된 블럭몸체(30)는 그 상하면을 연통시키는 다수의 기공(氣孔)이 형성되어서 우수(雨水)의 배수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식블럭(50)은 보도블럭으로서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몸체(30)의 두께를 박형으로 하고 그 표면에 상기 무늬층(20)을 형성한 후 무늬층(20)의 표면을 연마하여, 소위 "타일"대용으로서 건물 내벽의 마감재(60)로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늬층(20)의 표면에는 방수성 코팅제(25)를 코팅하여서, 대리석과 같은 실내바닥재의 마감블럭(70)으로서 채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 장식블럭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리를 세척하여 분쇄하고 매끄럽게 마모하여 일정크기로 입자화시킨다. 이때 유리는 색상별로 분리하여 분쇄시킨다.
상기 분쇄된 유리와 아교와 같은 접착제를 일정비율 예컨대 80:20중량%로 혼합시킨다.
상기 유리 및 접착제의 혼합물을 수용할 일정한 형상의 성형틀(10)의 저면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패턴으로 약 10㎜내외로 분쇄된 유리를 도포시킨다. 이때 성형틀(10)의 저면에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무늬가 형성되도록 원하는 색상의 분쇄유리를 원하는 무늬패턴으로 도포시킨다. 이 경우 무늬패턴의 형성은 별도로 무늬패턴이 형성된 스크린(미도시)을 이용하여 도포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된 유리가 도포된 성형틀(10)에 상기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수용시킨다.
이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40)로 상기 성형틀(10)에 수용된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일정한 압축력으로 압축성형한다. 이때 성형틀(10)의 저면에 도포된 분쇄유리(무늬층;2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물(블럭몸체;30)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장식블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늬층(20)을 연마하여 실내벽면 마감재(60)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늬층(20)의 표면에 방수성 코팅제(25)을 코팅하여 실내바닥 마감재(70)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조된 장식블럭(50)을 보도블럭으로서 채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성형시에 그 압축강도를 조절하여 분쇄유리와 접착제의 혼합물(블럭몸체;30)의 투수율을 조절한다. 이때 투수율은 분쇄유리와 접착제의 혼합비율에 따라 정하여지며, 또한 압축성형시의 압축력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 장식블럭은 보도블럭,벽면마감재 및 바닥마감재로 사용된 후, 훼손에 다른 교체시에 파쇄하여 일정온도로 가열시켜 재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 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를 혼합시키고 압축성형시켜 제조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조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무늬구현을 위한 페인트칠등의 작업이 요구되지 아니하고, 폐유리를 활용하여 무늬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 및 시간이 경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쇄유리와 접착제 사이에 기공이 형성됨으로써 보도블럭으로 채용시 우천에 따른 우수(雨水)의 배수가 용이하다.
또한,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축성형함으로써 외부충격에 대하여 깨어짐이 적다.
또한, 폐유리를 분쇄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방지에 유리하다.

Claims (5)

  1.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일정두께로 압축성형된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일정패턴으로 분쇄유리가 부착된 무늬층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는 그 상하면을 연통시키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블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층의 표면에 방수성 코팅제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블럭.
  4. 유리를 분쇄하고 매끄럽게 마모하여 일정크기로 입자화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를 일정비율로 혼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수용할 일정한 형상의 성형틀의 저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분쇄된 유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유리가 도포된 성형틀에 상기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수용시키는 단계와.
    상기 성형틀에 수용된 혼합된 유리 및 접착제를 일정한 압축력으로 압축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블럭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분쇄된 유리와 접착제의 혼합비율은 8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블럭 제조방법.
KR1020020018486A 2002-04-04 2002-04-04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30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486A KR20020030067A (ko) 2002-04-04 2002-04-04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486A KR20020030067A (ko) 2002-04-04 2002-04-04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201U Division KR200282061Y1 (ko) 2002-04-04 2002-04-04 장식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067A true KR20020030067A (ko) 2002-04-22

Family

ID=1972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486A KR20020030067A (ko) 2002-04-04 2002-04-04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00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25B1 (ko) * 2008-03-11 2010-04-09 (주) 이레종합소재 유리칩을 이용한 유색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24A (ko) * 1995-06-15 1997-01-24 최용호 자동 브레이크 장치
JPH10114902A (ja) * 1996-10-09 1998-05-06 Ishizuka Glas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0739A (ja) * 1998-09-08 2000-03-21 Naoyoshi Kayama 炭化物を混入した造形品
KR20000030066A (ko) * 1999-08-05 2000-06-05 서영철 폐유리를 이용한 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JP2001200501A (ja) * 2000-01-21 2001-07-27 Central Glass Co Ltd 舗装用弾性ブロック
KR200274130Y1 (ko) * 2002-02-14 2002-05-03 김선미 폐 유리섬유 단열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24A (ko) * 1995-06-15 1997-01-24 최용호 자동 브레이크 장치
JPH10114902A (ja) * 1996-10-09 1998-05-06 Ishizuka Glas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0739A (ja) * 1998-09-08 2000-03-21 Naoyoshi Kayama 炭化物を混入した造形品
KR20000030066A (ko) * 1999-08-05 2000-06-05 서영철 폐유리를 이용한 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JP2001200501A (ja) * 2000-01-21 2001-07-27 Central Glass Co Ltd 舗装用弾性ブロック
KR200274130Y1 (ko) * 2002-02-14 2002-05-03 김선미 폐 유리섬유 단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25B1 (ko) * 2008-03-11 2010-04-09 (주) 이레종합소재 유리칩을 이용한 유색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17726A (zh) 一种再生骨料人造艺术石饰面板及其制备方法
KR101040496B1 (ko) 모자이크형 복합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1307633A (zh) 保温装饰一体砖及其制造方法
CN101498165B (zh) 保温饰面一体型无机型材及其制备方法
KR101310333B1 (ko) 투수성 및 식별성을 갖는 분리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0974A (ko) 고탄성 도로 포장방법
KR200282061Y1 (ko) 장식블럭
KR20020030067A (ko) 장식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291948Y1 (ko) 에폭시수지 모르타르 블록
KR970002024B1 (ko) 보도용 투수 유리 블럭 제조방법
KR19980033706A (ko) 칼라 보도블럭
KR100723312B1 (ko) 대리석 폐석재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90084009A (ko) 폐석을 이용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101112017B1 (ko) 제설제 침식 방지 기능이 있는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KR20000065760A (ko) 빛 반사를 위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KR100617346B1 (ko) 표면에 미장층이 결합된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CN217810280U (zh) 一种采用再生混凝土基层的预制pc仿石砖
KR101030700B1 (ko) 천연 석재 문양 복합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41828Y1 (ko) 미장 콘크리트 블록
KR100492722B1 (ko) 건축물 내외벽장식용 인조석과 그 인조석의 제조방법
KR0165096B1 (ko) 유리 대리석 제조 방법
KR200304766Y1 (ko) 폐 우레탄을 이용한 탄성구조체.
JP3021611U (ja) 大理石調発泡セラミックタイル
JPH11928A (ja) 土木建築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55100B1 (ko) 아스콘과 합성수지제 아스타일이 결합된 블럭형 바닥재 및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