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에는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벽돌이나 보도 에 사용되는 보도블록, 도로경계석 등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시멘트와 모래, 자갈 그리고 물을 일정비율로 적절하게 혼합시킨 후, 그 혼합물을 블록
형틀에 부어서 양생시켜 제조된다. 이렇게 다수의 모래와 자갈이 섞인 저가의 도로경계석은 콘크리트의 양생시 함수가 불가피하므로 이를 자연 건조시켜 제조하였으나 우기시 침수에 의한 수분의 흡수 및 증발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노화현상이 발생하여 경도가 저하되므로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부스러지거나 균열이 발생된다. 특 히, 동절기와 같이 외부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이 미처 증발되기 전에 동결되면서 부피가 팽창됨에 따라 동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로경계석을 교체하는 경우가 많아지며, 그 결과 보행자의 보행에 지장이 초래되고 교통체증이 유발됨은 물론 교체공사에 따른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한편, 탈형된 콘크리트 양생체의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과다한 폐물질과 폐수는 자연환경을 심각하게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자에는 점착성을 갖는 점토나 고령토에 통기성이 있는 모래를 혼합하고, 반 건식 가압성형하여 함수율을 5~8%로 유지시킨 후, 이를 고온소성시켜 도로경계석을 제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품의 균열과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온소성전 함수율을 도로경계석의 최소함수율인 3%까지 낮추어야 하는 바, 이와 같이 함수율을 도로경계석의 최소함수율까지 극소화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이를 위해서는 별도 의 건조실을 갖추어야 함에 따라 비생산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점토나 고령토에 모래 또는 마사, 도석중 어느 한가지와 철사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함수율이 4~8%가 되게 한 후, 압출 또는 프레스로 반건가압식 성형하여 자연 건조시키고, 제품의 표면에 유약을 도포, 가열하여 다시 건조시켜 제조하였으나, 모래와 마사중 어느 것을 혼합하여도 그 혼합비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도석혼합시 도석의 입도차에 기인하는 기포생성으로 인하여 외부충격이 인가될 때 외력에 대응하는 경도가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콘크리트재의 도로경계석 이외에 순수한 천연의 화 강석을 이용한 도로경계석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채석 작업중 자연환경을 훼손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가공작업중 발생하는 폐기물에 의하여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천연화강석을 대체하기 위한 인조화강석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25720호에는 보도블록을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층은 일반적인 시멘트몰탈 재료로 이루어지고, 표면층은 화강석, 석회석, 대리석 등의 쇄석재료가 혼합된 몰탈층으로 구성되고, 표면층의 표면부는 평활면으로 연마가공되는 보도블록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7-3898호에는 테이블 진동기 위의 형틀에 상면을 형성하는 인조석 콘크리트를 넣고 20~25초가량 진동시키는 제 1공정과, 형틀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차단판을 넣고 구획된 2곳에 기존 콘크리트와 인조석 콘크리트를 1/2정도 채우고 10~15초 동안 진동을 시키고 다시 1/2을 마저 채운 후 10~15초 동안을 진동시키는 제 2공정과, 형틀에서 차단판을 빼낸 다음 약한 진동을 가하여 차단판을 빼낸 곳의 기존 콘크리트와 인조석 콘크리트가 접합되게 하는 제 3공정, 그리고 형틀에 기존 콘크리트와 인조석 콘크리트를 완전히 충진한 지 2~4시간 후에 증기양생을 하고 다시 3일 정도 자연양생을 하여 상면과 전면을 연마하는 제 4공정으로 기존 콘크리트층의 상면과 전면에 인조 화강석층을 일체로 형성하는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 특허출원 제99-52846호에는 시멘트, 모래, 화산석 등을 물과 혼합하여 반죽하는 재료 혼합공정과, 자연석 형태로 된 성형몰드에 상기 재료혼합공정을 통해 얻어진 반죽재료를 충진가압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공정을 통해 얻어진 소재를 적정온도에서 가열 경화시키는 소성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인조석판을 얻는 공지의 공정과정에 있어서, 성형몰드에 반죽재료를 충진하기 전에 몰드표면에 접착성 수용액을 도포하고 운모 및 흑색안료를 살포하여 부착시키는 한편 안료와 시멘트 및 물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얻어진 표면층액을 재차 도포한 후 반죽재료를 충진하도록 하는 인조 화강석판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 화강석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 제0422788호에는 폐석, 폐광석, 폐적벽돌 및 폐유리를 포함하는 골재를 1~5㎜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분쇄하여 얻은 쇄석골재 25~35중량 폐석, 폐광석, 폐적벽돌 및 폐유리를 포함하는 골재를 5~10㎜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분쇄하여 얻은 쇄석골재 18~28중량, 80~100㎛의 평균입경을 갖는 투명규사 31~36중량, 에폭시 계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계열 및 아크릴 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합성수지 8~12중량 및 물 또는 신나로 선택되는 희석제 2~4중량%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천연석 질감을 갖는 박판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검정이나 흰색, 붉은색을 띠는 자연화강석 쇄석과 백시멘트 또는 석분, 모래, 안료, 물을 배합하여 만든 후 표면을 갈아 매끈하게 만들어 화강석 쇄석의 입자가 보이도록 하여 사용하였으나, 자연화강석의 질감과는 다른 느낌을 주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인조화강석은 천연화강석의 자연스러운 표면을 표현하지 못하며, 시공이나 보수에 많은 문제를 보유하고 있다.
종래의 기존 경계블록은 강도가 약하며, 표면의 미려함이 부족하고, 제설제 (염화칼슘)에 의한 부식으로 중성화 진행 가속화로 표면 부식이 빠르고 이로 인해 경계블록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현재 국내에서 콘크리트 경계석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결정적인 이유이다.
본 발명은 인조화강석 경계블록(100)의 내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정해진 경계석 형상의 형틀에 넣고 진동을 가하면서 가압하고 압축성형하여 콘크리트 내부층(10)을 1차성형 제조하는 단계; 인조화강석 경계블록(100)의 외부에 형성된 인조화강석 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석분에 시멘트 접합재료를 혼합하여 건식에 의한 순간 탈형방식으로 상기 콘크리트 내부층(10)의 상부면과 전면에 인조화강석 외부층(20)을 성형한 다음 건조양생시킨 후 표면을 쇼팅가공(쇠구슬가공) 처리하여 인조화강석 외부층(20)을 2차성형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조화강석 외부층(20)의 표면에 발수제를 도포하여 발수제 코팅층(3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제 침식 방지 기능이 있는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발수제는 이소옥틸트리에톡시실란, 노말옥틸트리에톡시실란, 이소부틸트리에톡시실란및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은 하부에 리브층(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설제 침식 방지 기능이 있는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은 한쪽 측면에 삽입돌기(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 측면에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설제 침식 방지 기능이 있는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은 모서리코너용 인조화강석 경계블록(200)의 연결면에 삽입홈(220, 2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0)의 연결부 단부에 스텐레스캡(30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설제 침식 방지 기능이 있는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표면은 인조화강석 외부층(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조화강석 외부층(20)은 석분에 시멘트 접합재료를 혼합하여 건식에 의한 순간 탈형방식으로 콘크리트 내부층(10)의 상부면과 전면에 인조화강석 외부층(20)을 성형한 다음 건조양생시킨 후 표면을 쇼팅가공(쇠구슬가공) 처리하여 인조화강석 외부층(20)을 2차성형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된다. 인조화강석 외부층(20)은 2차 성형시 석분을 시멘트 등의 접합 재료로 혼합하여 건식에 의한 순간 탈형 방식으로 제조후 일정 시간 건조 양생 시킨후 표면을 2면 또는 3면 쇼팅 가공(쇠구슬 가공)처리하여 마무리 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화강석과 비슷한 미려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설제 침식 방지 기능이 있는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제조방법은 인조화강석 외부층(20)의 표면에 이소옥틸트리에톡시실란 (iso-octyltriethoxysilane), 노말옥틸트리에톡시실란, 이소부틸트리에톡시실란및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도포하여 발수제 코팅층(30)을 형성하며 기존 콘크리트 경계블록의 문제점인 제설제(염화칼슘 등)에 의한 부식방지를 위해 표면가공 처리 후 고압으로 표면을 청소한 다음 이소옥틸트리에톡시실란 (iso-octyltriethoxysilane), 노말옥틸트리에톡시실란, 이소부틸트리에톡시실란 및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도포하여 표면의 결합구조를 강화하고 발수 성능을 발현시켜 제설제의 침투를 방지하고 장기적인 표면의 보호기능을 가지게 한다.
본 발명의 제설제 침식 방지 기능이 있는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은 기존 경계블록 하부에 리브층(130)을 설치하여 부착용 기초 콘크리트층과의 부착강도를 증진 시키고, 상호 제품간에 삽입돌기(110)와 삽입홈(120)과 같은 지지구조를 만들어서 상호간에 지지력 층진과 연결시 결합력과 시공성능의 향상을 도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