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515A -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515A
KR20020029515A KR1020000060373A KR20000060373A KR20020029515A KR 20020029515 A KR20020029515 A KR 20020029515A KR 1020000060373 A KR1020000060373 A KR 1020000060373A KR 20000060373 A KR20000060373 A KR 20000060373A KR 20020029515 A KR20020029515 A KR 2002002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image
management system
pr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혁
김용석
이진형
안진영
김동욱
박희정
Original Assignee
이형훈
주식회사 마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훈, 주식회사 마로테크 filed Critical 이형훈
Priority to KR102000006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9515A/ko
Priority to PCT/KR2001/001705 priority patent/WO2002031743A1/en
Priority to CN01803127A priority patent/CN1392995A/zh
Priority to AU94324/01A priority patent/AU9432401A/en
Priority to JP2002535053A priority patent/JP2004511859A/ja
Publication of KR2002002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515A/ko
Priority to US10/165,071 priority patent/US20030093296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및 동기종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에 구축되는 각 필드들의 정보 교환을 설계함으로써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간의 정보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은, 정보관리시스템(40)과 상기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간의 상호 정보교환에 관한 연동성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모듈(200)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경유하여 검사 이미지에서 발생되어 정보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사정보와 환자 정보, 판독의가 검사이미지를 조회한 다음 판독정보와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정보,검사정보,예약정보를 각각의 시스템을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이터교환처리실행부(220)와, 상기 데이터교환처리실행부로부터 처리된 조회결과 내용을 정보관리시스템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90)(210)에 저장하는 처리결과입력부(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방법은,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처방정보전달시스템(A)에서 정보관리시스템(B)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처방정보전달시스템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통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A to B정보전송단계는, 환자의 입/퇴원에 따른 환자 이미지들의 접근경로 변경, 전과/전동에 따른 환자 탐색 경로를 변경하는 환자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와, 상기 환자의 촬영된 이미지 및 해당하는 검사를 A to B로 매칭시키는데 필요한 정보가 경로에오류가 있거나 정보의 무결성 보장유무에 따라 그 매칭을 결정하는 검사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와, 상기 환자 예약 접수가 완료된 경우 상기 환자정보 메시지와 검사정보 메시지 정보를 전달할 시점으로 설정하고 환자 예약 접수가 취소된 경우 그 결과를 전송하는 진료 예약 메시지 설계단계 및 검사예약 정보 설계 단계로 이루어지고, 검사와 해당 이미지에 대한 검사 소견으로 이 판독 결과를 해당 검사와 이미지에 매칭시켜 판독정보를 전달하고, 크리에이션(Creation), 업데이트(Up date), 컨펌(Confirm )을 정보 전달 시점으로 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B to A정보전송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정보조회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고 시스템의 안정성이 유지된다.

Description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the information for a hospital}
본 발명은 이기종 및 동기종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에 구축되는 각 필드들의 정보 교환을 설계함으로써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간의 정보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병원내에서 수집되고 가공되는 각종정보는 그 활용성 못지않게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환자수와 비례하여 정보의 양은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한다. 정보는 환자로부터 획득한 정보와 병원내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상의 정보들이 모두 해당된다. 환자의 영상 및 이력정보를 획득하고 적기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은 환자치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도 1은 병원내 워크플로우로서, 이를 통해 병원내 정보수집과 활용과정의 추적이 가능하다. 영상획득(10),검증(11),판독(12),전사(13)로 진행되는 촬영 및 진단단계(S10)와, 촬영 및 진단단계(S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병동(20),외래(21),수술장(22),응급실(23),ICU(24)로 제공하거나 피드백하는 진료단계(S20)와,진료단계(S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회의/회진(30),연구파일화(31),교육(32) 등의 정보로 활용하는 정보활용단계(S30)로 요약된다.
환자로부터 얻는 영상획득방법은 CT,MR,CR,USG,R&F,현미경,내시경,의학사진,동영상기기 등을 이용하여 획득하고 이를 파일로 남기거나 스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나중에 온/오프라인으로 받아서 진료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DPCM,JPEG,Layered,MPEG 등의 압축저장방법으로 저장한다.
진료단계 또는 정보활용단계에서는, 이렇게 환자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압축 저장하고 허가된 관리자(주치의)가 실시간으로 그 정보를 환자 치유를 위해 활용한다. 관리자에게 지원되는 어플리캐이션은 병원내에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상의 다양한 정보사항들에 대하여 그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가장중요하다. 따라서 정보의 통합적 처리와 다양한 데이터들의 상호 연동성이 유지될 때 진료단계에서 실시간 정보의 활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네트워크상으로 연결되어 정보관리시스템(40)을 구성하는 시스템 자원중 특히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간의 정보교환을 도식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영상기기에 해당하는 영상촬상장치(60)와 이 영상촬상장치(60)를 제어하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화상으로 구현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제어 및 압축장치(70)로 이루어지는 영상정보획득수단(80)과, 상기 영상정보획득수단(80)을 통해 수집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90)에 입력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해당정보를 데이터로 전송하는 호스트컴퓨터시스템(100)과, 호스트컴퓨터시스템(100)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영상을 조합하거나 레이아웃을 실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110)와, 영상표시장치(110)를 통해 만들어진 영상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장치(120)와, 호스트컴퓨터시스템(10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할수 있는 웹서버(140)를 포함하며, 이러한 정보관리시스템(40)은 사용자 환경에 부응하는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정보관리시스템(40)에서 수용되는 정보는 이미지정보,검사정보,환자정보,판독정보 등으로서, 이미지정보 필드는 검사 획득일, 검사 획득시각, 검사 시행일, 촬영실 번호, 검사 시행시각, 검사 항목 코드, 검사항목이름, 촬영장비, 환자 ID, 환자 성명 등을 구성한다.
검사정보 필드는 환자 ID, 환자 성명, 환자 생년월일, 환자 성별, 처방의, 주치의, 처방발행병동, 처방발행과, 처방발행입원실, 검사항목코드, 검사취소여부, 검사실코드, 요구사항/호소증상, 검사접수일자/시간, 병동/외래구분, 처방일련번호 등을 구성한다.
환자정보 필드는 환자 ID, 환자 성명, 환자 생년월일, 환자 성별, 환자 입원병동, 환자 진료과, 환자 입원실, 주치의, 환자 구분, 환자 주민등록번호 등을 구성한다.
판독정보 필드는 임시판독일자, 임시 판독시간, 전사일자/시간, 정식판독일자/시간, 임시 판독의, 정식판독의, 전사자 ID, 판독분류코드, 판독진행상황, 환자 ID, 음성판독파일 위치, 결론, 본문 등을 구성한다.
이렇게 이미지정보,검사정보,환자정보,판독정보등을 제공하는 정보관리시스템(4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필드 들은 임의의 데이터 처리에 의해 가공되지 않고 단순히 이미지뷰어(Image Viewer)의 역할만 한다.
즉, 근/원거리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 단말기(130) 또는 영상표시장치(110) 및 모니터링장치(120)를 통해 정보관리시스템(40)의 호스트컴퓨터시스템(100)으로 정보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으로 전송받는 불러오기 기능만이 제공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은 환자의 정보를 갱신하거나 업데이트 하는데, 병원 업무에서는 이러한 업데이트되거나 갱신된 정보를 집중적으로 활용함으로서,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가져오는 방식에 불과한데, 이 방식은 병원 특히 진단방사선과나 사용자인 판독의, 임상의가 필요로 하는 환자정보, 검사정보, 예약정보, 판독정보 등이 모두 지원되지 않을뿐 아니라 정확한 시점에 정보를 가져올 수 없고, 단순히 처방전달시스템에서의 정보만을 조회해서 가져오는 방식으로 정보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경유하지 않으로로 안정성 및 효율성에서 떨어지는 방식이다.
특히, 단위 병원에서 모든 사용자 시스템이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에 집중됨으로서 네트워크 과부하에 의한 정보 신뢰성을 약화 시키거나 시스템 다운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크다.
따라서, 종래의 정보관리시스템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은 정확하게 필요한 정보를 원하는 시점에 교환할 수 없고, 부차적으로는 병원내의 모든 시스템이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만 접근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네트워크 과부하의 가능성이 커지며, 상대적으로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오작동 문제를 야기시키며 신뢰성과 안정성을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내에 구축된 정보관리시스템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정보를 정확한 시점에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관리시스템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원내에서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집중되는 정보요청에 의한 네트워크 과부하 요인을 없애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데이터 에러를 방지하고 제동작 신뢰성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네트워크상으로 연결된 처방정보전달시스템 및 정보관리시스템과, 상기 정보관리시스템이, 영상기기에 해당하는 영상촬상장치, 상기 영상촬상장치를 제어하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화상으로 구현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제어 및 압축장치로 구분되는 영상정보획득수단, 상기 영상정보획득수단을 통해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호스트컴퓨터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이, 상기 호스트컴퓨터시스템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영상을 조합하거나 레이아웃을 실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영상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장치 및 상기 호스트컴퓨터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수 있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병원내 정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병원내 정보관리시스템은,
(1) 상기 정보관리시스템과 상기 처방정보전달시스템간의 상호 정보교환에 관한 연동성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모듈과,
(2)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경유하여 검사 이미지에서 발생되어 정보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사정보와 환자 정보, 판독의가 검사이미지를 조회한 다음 판독정보와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정보,검사정보,예약정보를 각각의 시스템을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이터교환처리실행부와,
(3) 상기 데이터교환처리실행부로부터 처리된 조회결과 내용을 정보관리시스템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결과입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상에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각각의 환자정보,이미지정보,예약정보,검사정보 및 그 밖의 다양한 정보내용들에 대하여 적어도 시스템상으로 각 정보내용이 호환성이 유지되고 교환과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병원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방법은,
(1)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처방정보전달시스템(A)에서 정보관리시스템(B)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처방정보전달시스템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통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2) 상기 A to B정보전송단계는,
환자의 입/퇴원에 따른 환자 이미지들의 접근경로 변경, 전과/전동에 따른 환자 탐색 경로를 변경하는 환자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와,
상기 환자의 촬영된 이미지 및 해당하는 검사를 A to B로 매칭시키는데 필요한 정보가 경로에 오류가 있거나 정보의 무결성 보장유무에 따라 그 매칭을 결정하는 검사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와,
상기 환자 예약 접수가 완료된 경우 상기 환자정보 메시지와 검사정보 메시지 정보를 전달할 시점으로 설정하고 환자 예약 접수가 취소된 경우 그 결과를 전송하는 진료 예약 메시지 설계단계 및 검사예약 정보 설계 단계로 이루어지고,
(3) 검사와 해당 이미지에 대한 검사 소견으로 이 판독 결과를 해당 검사와 이미지에 매칭시켜 판독정보를 전달하고, 크리에이션(Creation), 업데이트(Up date), 컨펌(Confirm )을 정보 전달 시점으로 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B to A정보전송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병원내 정보관리 및 활용단계에서 나타나는 워크플로우
도 2는 온라인화된 병원내 정보관리시스템 구성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요부를 도식화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구체화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한 메시지 정보처리 흐름의 유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 순서도
도 8은 병원업무 분석을 위한 병원 업무 모델링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시간에 따른 오더 및 입퇴원/전과 처리를 분석한 시컨스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정보관리시스템 50:처방정보전달시스템
60:영상촬상장치 70:영상제어및압축장치
80:영상정보획득수단 90:데이터베이스
100:호스트컴퓨터시스템 110:영상표시장치
120:모니터링장치 130:사용자단말기
140:웹서버 150:네트워크
200:인터페이스모듈 210:데이터베이스
220:데이터교환처리실행부 230:처리결과입력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전체 구성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요부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한 메시지 정보처리 흐름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 순서도, 도 8은 병원업무 분석을 위한 업무 모델링 도면, 도 9는 시간에 따른 오더 및 입퇴원/전과 처리를 분석한 시컨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3 및 도 4는 영상관찰대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통합된 영상 및 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정보관리시스템(40)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간의 상호 연동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150)상으로 연결된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 및 정보관리시스템(40)과, 상기 정보관리시스템(40)이, 영상기기에 해당하는 영상촬상장치(60), 영상촬상장치(60)를 제어하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화상으로 구현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제어 및 압축장치(70)로 구분되는 영상정보획득수단(80)과, 영상정보획득수단(80)을 통해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90)에 입력하는 호스트컴퓨터시스템(100)으로 이루어지고,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이, 호스트컴퓨터시스템(100)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영상을 조합하거나 레이아웃을 실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110), 영상표시장치(110)를 통해 만들어진 영상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장치(120) 및 호스트컴퓨터시스템(10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할수 있는 웹서버(140)를 포함하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은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5와 같이 정보관리시스템(40)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간의 상호 정보교환에 관한 연동성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모듈(200)과, 인터페이스모듈(200)을 경유하여 검사 이미지에서 발생되어 정보관리시스템(40)의 데이터베이스(90)에 저장된 검사정보와 환자 정보, 판독의가 검사이미지를 조회한 다음 판독정보와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의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정보,검사정보,예약정보를 각각의 시스템을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이터교환처리실행부(220)와, 데이터교환처리실행부(220)로부터 처리된 조회결과 내용을 정보관리시스템(40)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 각각의 데이터베이스(90)(210)에 저장하는 처리결과입력부(23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어플리캐이션인 영상관찰대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사용자가 네트워크(150)상으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그 정보는 인터페이스모듈(200)을 거쳐 정보관리시스템(40)의 각종 데이터(이미지정보,검사정보,환자정보,판독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동시에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의 각종 데이터(검사정보,환자정보,판독정보,예약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모듈(200)에서의 데이터 처리는 크게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에서 정보관리시스템(40)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정보관리시스템(40)에서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통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을 A, 정보관리시스템(40)을 B로 하는 경우, A to B정보전송단계는, 도 6과 같이 환자의 입/퇴원에 따른 환자 이미지들의 접근경로 변경, 전과/전동에 따른 환자 탐색 경로를 변경하는 환자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S300), 환자의 촬영된 이미지 및 해당하는 검사를 A to B로 매칭시키는데 필요한 정보가 경로에 오류가 있거나 정보의 무결성 보장유무에 따라 그 매칭을 결정하는 검사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S310), 환자 예약 접수가 완료된 경우 상기 환자정보 메시지와 검사정보 메시지 정보를 전달할 시점으로 설정하고 환자 예약 접수가 취소된 경우 그 결과를 전송하는 진료 예약 메시지 설계 단계(S320) 및 검사예약 정보 설계 단계(S330)로 진행된다.
B to A정보전송은, 검사와 해당 이미지에 대한 검사 소견으로 이 판독 결과를 해당 검사와 이미지에 매칭시켜 판독정보를 전달하고, 크리에이션(Creation), 업데이트(Up date), 컨펌(Confirm )을 정보 전달 시점으로 하여 정보를 B to A로 전송한다.
따라서,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과 정보관리시스템(40)은 나름대로의 데이터베이스(90)(210)를 통해 각각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면서도 인터페이스모듈(200)에서 요청되는 최적의 조회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정보의 일정한 교환과 공유화된 데이터베이스(90)(210)를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보전달과 전송 시점은 각각의 조회정보 입력 시점에 따라 결정하여 처리하는데 예를들면 환자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에서 정보 전달 시점은, 환자 신규등록, 환자의 입/퇴원,전과/전동, 주치의 변동이 발생된 경우를 정보 전달 시점으로 하며, 검사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에서의 정보 전달 시점은 환자가 진단방사선과에 접수한 경우와 검사실에서의 검사가 취소된 경우로 구분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취소 여부를 결정하여 그 내용을 전송한다.
정보전달순서는 도 7과 같이 ①~⑦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의 촬영 접수 오더에 의해 영상정보획득수단(80)으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1단계,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에서 받은 오더정보를 포함한 이미지정보를 정보관리시스템(40)으로 전달하는 2단계,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의 오더 정보가 정보관리시스템(40)으로 넘어가는 3단계,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의 환자정보가 정보관리시스템(40)으로 인도되는 4단계, 영상정보획득수단(80)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에서 정보관리시스템(40)으로 넘어온 이미지정보와 검사정보를 매칭작업을 통하여 각각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5단계, 정보관리시스템(40)의 이미지 정보와 검사정보, 환자정보를 이용하여 판독의가 판독하는 6단계, 정보관리시스템(40)의 판독정보를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으로 전달하는 7단계로 진행된다.
이렇게 정보 전달 시점 등을 각각의 업무 진행에 따라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조회정보를 최적화된 상태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에만 집중되는 조회정보량을 상당부분 정보관리시스템(40)으로 분산시켜 네트워크 과부하가 생기지 않으며 정보의 안정성에도 도움을 주며, 시스템 다운이나 에러정보의 전송에 대비한다.
병원업무는 그 정보 내용이 방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계속적으로 정보의 업그레이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즉, 병원업무는 진료와 처방이라는 체계에 의해 움직이고 있고, 이러한 병원 업무의 흐름에 따라 병원내에 구축된 정보관리시스템에 의한 진료 지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메인 컴퓨터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는 병원의 업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사건을 분석하여 각 사건의 단계별 데이터 생성과 변화를 분석하여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해야 한다.
도 8은 내원 환자의 접수부터 다음 진료 예약까지의 사건을 일반 병원 업무 흐름에 따라 모델링한 도면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분석이 바탕이 되어야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의 양 시스템간의 연동 및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병원종합관리시스템 구축이 가능해 진다.
또한, 단일 스테이션에서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과 정보관리시스템(40)에 모두 접근하여,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의 처방 프로그램에서 처방에 대한 영상과 그에 대한 판독 결과를 바로 조회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과의 인터페이스가 세밀하게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에 대한 분석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 시스템과의 연동성에 대한 실무와 경험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병원종합관리시스템의 구조설계 및 상세 구현을 위해 제시되었다. 즉, 병원내 환자, 검사정보 및 영상데이터와 판독정보의 흐름을 정보관리시스템(40)과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의 인터페이스로 분석한다. 동시에 인터페이스모듈(200)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생성시키고 각 정보내용들에 대한 병원업무를 분석하여 각 정보부분이나 부서간 또는 업무 흐름간의 유기적 관계를 유지시킨다.
또한, 파악된 정보관계와 흐름을 바탕으로 담당 환자 폴더나 판독 관련 폴더의 구성 및 행잉프로토콜(Hanging Protocol)설계, 호진이나 컨펌 및 수술장 등의 업무에 적합한 영상 데이터 구성 및 조회를 지원한다.
워크플로우의 지원과 각 병원 정보 시스템의 영역 통합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자신의 업무흐름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 진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을 통한 처방과 검사 접수 및 검사의 완료, 영상 획득 및 조회와 판독 결과 발생 여부 및 조회등을 업무 흐름에 따라 처리하고 통지 받게 되어 병원업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시간에 따른 오더/입퇴원전과(ADT)처리를 분석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표 1은 정보분류에 의한 이벤트 구성과 전송할 정보 내용에 의한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과 정보관리시스템(40)간의 상호 정보처리 연동 관계를 나타낸다.
정보분류 이벤트 전송할정보내용 처방정보전달시스템 정보관리시스템
환자정보 등록 환자번호,진료과,병동,진료의코드,환자이름,환자생년월일,환자성별 메시지큐에 정보(레코드)를 넣음 메시지큐를 폴링하여 처리
입/퇴원 환자번호,입/퇴원 메시지 큐에 정보(레코드)를 넣음 메시지 큐를 폴링하여 처리
전과/전동 환자번호,전과/전동 메시지 큐에 정보(레코드)를 넣음 메시지 큐를 폴링하여 처리
검사정보 검사발행/접수 오더번호,환자ID,접수일자,접수시간,진료과,병동,검사코드,환자이름,생년월일,성별,검사항목코드,검사항목 메시지 큐에 정보(레코드)를 넣음 메시지 큐를 폴링하여 처리
검사정보 검사취소 오더번호,취소여부 메시지 큐에 정보(레코드)를 넣음 메시지 큐를 폴링하여 처리
검사완료 오더번호,검사시행시간 메시지 큐에 정보(레코드)를 넣음 메시지 큐를 폴링하여 처리
판독정보 쓰기전사읽기컨펌 리포트번호,환자번호,접수일자,판독입력일,판독입력시간,판독의,입력자번호,확인여부,판독구분,검사항목코드,검사항목명 메시지 큐를 폴링하여 처리 메시지 큐에 정보(레코드)를 넣음
표 1과 같이 정보분류가 '환자정보'이고, 이벤트가 '등록'이며, 전송할 정보내용이 환자번호, 진료과, 병동, 진료의 코드, 환자이름, 환자생년월일, 환자성별인 경우 처방정보전달시스템(50)의 메시지 큐에 정보를 넣으면, 정보관리시스템(40)은 이 메시지 큐를 폴링하여 처리한다. 마찬가지로 정보분류 및 이벤트 내용에 따라 메시지 큐를 폴링하여 처리하거나 메시지 큐에 정보를 넣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병원내 정보관리시스템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간의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제시함으로서, 병원의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의 정보교환을 정확한 시점에 할 수 있도록 하여 진료 및 판독을 하는 임상의, 판독의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정보관리시스템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효율성과 다른 시스템의 오동작시 분리되어 정상적인 동작으로 전환되어 시스템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집중되는 조회정보를 분산 시킴으로서, 네트워크 과부하에 의한 시스템 다운에 대비할 수 있고, 정확한 시점에 분산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복잡하고 정보의 대량 관리가 필요한 병원환경에서 정보관리에 대한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네트워크상으로 연결된 처방정보전달시스템 및 정보관리시스템과, 상기 정보관리시스템이, 영상기기에 해당하는 영상촬상장치, 상기 영상촬상장치를 제어하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화상으로 구현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제어 및 압축장치로 구분되는 영상정보획득수단, 상기 영상정보획득수단을 통해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호스트컴퓨터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이, 상기 호스트컴퓨터시스템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영상을 조합하거나 레이아웃을 실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영상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장치 및 상기 호스트컴퓨터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수 있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은,
    상기 정보관리시스템과 상기 처방정보전달시스템간의 상호 정보교환에 관한 연동성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경유하여 검사 이미지에서 발생되어 정보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사정보와 환자 정보, 판독의가 검사이미지를 조회한 다음 판독정보와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정보,검사정보,예약정보를 각각의 시스템을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이터교환처리실행부와,
    상기 데이터교환처리실행부로부터 처리된 조회결과 내용을 정보관리시스템과 처방정보전달시스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결과입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2.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상에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각각의 환자정보,이미지정보,예약정보,검사정보 및 그 밖의 다양한 정보내용들에 대하여 적어도 시스템상으로 각 정보내용이 호환성이 유지되고 교환과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방법은,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처방정보전달시스템(A)에서 정보관리시스템(B)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처방정보전달시스템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통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A to B정보전송단계는,
    환자의 입/퇴원에 따른 환자 이미지들의 접근경로 변경, 전과/전동에 따른 환자 탐색 경로를 변경하는 환자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와,
    상기 환자의 촬영된 이미지 및 해당하는 검사를 A to B로 매칭시키는데 필요한 정보가 경로에 오류가 있거나 정보의 무결성 보장유무에 따라 그 매칭을 결정하는 검사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와,
    상기 환자 예약 접수가 완료된 경우 상기 환자정보 메시지와 검사정보 메시지 정보를 전달할 시점으로 설정하고 환자 예약 접수가 취소된 경우 그 결과를 전송하는 진료 예약 메시지 설계단계 및 검사예약 정보 설계 단계로 이루어지고,
    검사와 해당 이미지에 대한 검사 소견으로 이 판독 결과를 해당 검사와 이미지에 매칭시켜 판독정보를 전달하고, 크리에이션(Creation), 업데이트(Up date), 컨펌(Confirm )을 정보 전달 시점으로 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B to A정보전송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정보전달시스템과 정보관리시스템간의 정보전달순서는,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촬영 접수 오더에 의해 영상촬열장치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1단계와,
    상기 처방정보전달시스템에서 받은 오더정보를 포함한 이미지정보를 정보관리시스템으로 전달하는 2단계와,
    상기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오더 정보를 정보관리시스템으로 넘기는 3단계와,
    상기 처방정보전달시스템의 환자정보가 정보관리시스템으로 인도되는 4단계와,
    상기 영상촬상장치와 처방정보전달시스템에서 정보관리시스템으로 넘어온 이미지정보와 검사정보를 매칭작업을 통하여 각각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5단계와,
    상기 정보관리시스템의 이미지 정보와 검사정보, 환자정보를 이용하여 판독의가 판독하는 6단계와,
    상기 정보관리시스템의 판독정보를 처방정보전달시스템으로 전달하는 7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에서의 정보 전달 시점은 환자 신규등록, 환자의 입/퇴원,전과/전동, 주치의 변동이 발생된 경우를 정보 전달 시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정보 메시지 설계 단계에서의 정보 전달 시점을 환자가 진단방사선과에 접수한 경우와 검사실에서의 검사가 취소된 경우로 구분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취소 여부를 결정하여 그 내용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방법.
KR1020000060373A 2000-10-13 2000-10-13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9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373A KR20020029515A (ko) 2000-10-13 2000-10-13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01/001705 WO2002031743A1 (en) 2000-10-13 2001-10-11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the information for a hospital
CN01803127A CN1392995A (zh) 2000-10-13 2001-10-11 管理医院信息的方法和系统
AU94324/01A AU9432401A (en) 2000-10-13 2001-10-11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the information for a hospital
JP2002535053A JP2004511859A (ja) 2000-10-13 2001-10-11 病院用の情報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US10/165,071 US20030093296A1 (en) 2000-10-13 2002-06-10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information for a hospit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373A KR20020029515A (ko) 2000-10-13 2000-10-13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515A true KR20020029515A (ko) 2002-04-19

Family

ID=1969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373A KR20020029515A (ko) 2000-10-13 2000-10-13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93296A1 (ko)
JP (1) JP2004511859A (ko)
KR (1) KR20020029515A (ko)
CN (1) CN1392995A (ko)
AU (1) AU9432401A (ko)
WO (1) WO20020317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5599A (zh) * 2017-07-21 2019-01-29 西门子保健有限责任公司 在医学云基础架构中提供失败参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9171B1 (fr) * 2002-04-30 2004-12-17 Patient On Line Systeme de gestion d'informations
US8560582B2 (en) 2002-08-12 2013-10-15 Jeffrey Saul Harris Method for analyzing records in a data base
US20050020898A1 (en) * 2003-07-10 2005-01-27 Vosniak Kenneth J.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scanning procedure
US20070080223A1 (en) * 2005-10-07 2007-04-12 Sherwood Services Ag Remote monitoring of medical device
JP4891597B2 (ja) * 2005-11-25 2012-03-07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診断システム、及び放射線科情報システムサーバ
US7657566B2 (en) * 2006-01-10 2010-02-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hanging protocol configuration simulator displaying desired order of medical images data
US20080004914A1 (en) * 2006-06-30 2008-01-03 Jan Schreiber Computerized method for compiling medical data sets for presentation
US20110071849A1 (en) * 2009-09-18 2011-03-24 Rosenfeld Ken H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medical records
CN102855366A (zh) * 2011-06-29 2013-01-02 苏州盈迪信康网络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预约挂号的计算方法
CN102411672A (zh) * 2011-08-05 2012-04-11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基于光电跟踪测量设备试验数据的快速分析处理报表生成方法
JP6000679B2 (ja) * 2012-06-20 2016-10-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内視鏡画像記録用フォルダ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056509A (zh) * 2015-04-16 2016-10-26 深圳市深科医疗器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医疗数据处理方法及系统
CN105303036B (zh) * 2015-09-30 2018-03-06 广西驰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医学研究信息库的整合系统及方法
CN105893781B (zh) * 2016-05-17 2019-01-04 武汉盛世康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用药管理系统
CN106446513A (zh) * 2016-08-30 2017-02-22 深圳市双赢伟业科技股份有限公司 查询式送药方法和送药系统
CN106485338A (zh) * 2016-10-15 2017-03-08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医疗信息化预约挂号系统及方法
US20200185089A1 (en) * 2018-12-05 2020-06-11 PreparedHealth, Inc. Provider Matching Services
CN112562804A (zh) * 2020-12-03 2021-03-26 北京优迅医学检验实验室有限公司 核酸检测中个人检测信息方法及系统
CN113257398A (zh) * 2021-05-26 2021-08-13 北京京东拓先科技有限公司 信息处理系统、方法、装置
CN115101186B (zh) * 2022-07-25 2022-11-08 武汉大学人民医院(湖北省人民医院) 基于大数据的医院就诊信息管理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13A (ja) * 1994-06-20 1996-01-12 Toshiba Medical Eng Co Ltd 病院情報システム
JPH1097582A (ja) * 1996-06-06 1998-04-14 Toshiba Corp 医療情報システム
KR20000003273A (ko) * 1998-06-26 2000-01-15 유니트론 메디칼 컴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외래환자 치료 데이터 시스템
KR20000037512A (ko) * 2000-04-03 2000-07-05 임상진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처리 방법
KR20000063796A (ko) * 2000-08-04 2000-11-06 김태문 광역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2430A (ja) * 1997-05-12 1998-11-24 Silicon Wave:Kk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0029363A (ja) * 1998-07-13 2000-01-28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38321B1 (ko) * 2000-04-17 2002-05-27 김영태 환자 중심의 처방전 전달시스템 및 처방전 전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13A (ja) * 1994-06-20 1996-01-12 Toshiba Medical Eng Co Ltd 病院情報システム
JPH1097582A (ja) * 1996-06-06 1998-04-14 Toshiba Corp 医療情報システム
KR20000003273A (ko) * 1998-06-26 2000-01-15 유니트론 메디칼 컴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외래환자 치료 데이터 시스템
KR20000037512A (ko) * 2000-04-03 2000-07-05 임상진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처리 방법
KR20000063796A (ko) * 2000-08-04 2000-11-06 김태문 광역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타로그(인터넷 전자신문 - 게재일자 2000.05.0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5599A (zh) * 2017-07-21 2019-01-29 西门子保健有限责任公司 在医学云基础架构中提供失败参数
CN109285599B (zh) * 2017-07-21 2022-04-29 西门子保健有限责任公司 在医学云基础架构中提供失败参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9432401A (en) 2002-04-22
US20030093296A1 (en) 2003-05-15
WO2002031743A1 (en) 2002-04-18
JP2004511859A (ja) 2004-04-15
CN1392995A (zh)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712B2 (en) Method for consolidating medical records through the world wide web
KR20020029515A (ko) 병원내 시스템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1994484B1 (en) Platform for interoperable healthcare data exchange
US11538571B1 (en) Virtual worklist for analyzing medical images
US7263710B1 (en) Medical diagnostic system with on-line real-time video training
US200400734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communication devices to provide access to patient-related information
US20090187423A1 (en) Method for online management of medical record forms
US20080140723A1 (en) Pre-Fetching Patient Data for Virtual Worklists
CN101803293A (zh) 卫生保健语义互操作性平台
JP2013242745A (ja) 診療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この診療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を連携した病診連携システム
KR20140096044A (ko) 건강 정보의 지능형 라우팅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ann et al. HIS integration systems using modality worklist and DICOM
KR100538580B1 (ko)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KR10045818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40895A (ja) 治験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治験データ管理システム
AU2020102635A4 (en) SDHR-Blockchain Technology: Securely Store Digital Healthcare Records, Notification, Alert Using Blockchain Technology
US200800404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 patient kiosk with a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Dixon et al. Facilitating HIE in Denmark: the story of MedCom, a Danish health information organization
Sibarani Simulating an integration system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radiology information system and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02056151A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communication devices to provide access to patient-related information
KR20020094523A (ko) 종합 의료 정보 전송 시스템
KR100538583B1 (ko) 온라인 상에서의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Elhadi et al. Review of health information systems in Oman
KR100538574B1 (ko)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53938B1 (ko) 정보 통합장치, 정보 제공장치 및 정보 통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