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574B1 -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574B1
KR100538574B1 KR1020040070655A KR20040070655A KR100538574B1 KR 100538574 B1 KR100538574 B1 KR 100538574B1 KR 1020040070655 A KR1020040070655 A KR 1020040070655A KR 20040070655 A KR20040070655 A KR 20040070655A KR 100538574 B1 KR100538574 B1 KR 10053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put
patient
docto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
Original Assignee
이지케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케어텍(주) filed Critical 이지케어텍(주)
Priority to KR102004007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셋을 등록하는 과정, 등록된 상기 셋을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및 환자들에게 적용된 상기 셋을 이용하여 의사 또는 간호사들이 환자들을 진료 및 간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Standardized Medical Service}
본 발명은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인 네트워크인 인터넷과 랜(LAN) 및 인트라넷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각종 정보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 및 컨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의료업계에도 일고 있으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즉, 의료업계에서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의무기록(전자차트; Electronic Medical Record) 및 정형화된 의료서비스(CP)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상기 전자의무기록이란 현재 의료업계에서 사용되는 각종 의무기록서식들을 전산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CP)란 다양한 환자들의 진료시에 공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의료 서비스 제공 과정들을 체계화하여 의료서비스의 질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CP)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우선 상기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CP)에 대한 설명이 간단히 언급된다.
즉, 상기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CP)(이하, 간단히 'CP'라 함)는 80년대, 재정적 압박을 받던 미국의 병원에서 포괄수가제 대응 및 재원일수의 단축 등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이때, 상기 CP(Critical pathway)의 어원은, 한계경로, 빠른 경로로서, 여러 작업 행정이 편성된 현장에서 최단으로 제품을 완성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고객에게 “최단 납품 가능 일은 10일 입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내부적으로는 '무슨 일이 있어도 (꼭) 10일 걸린다’라는 뜻이다. Critical path method는 미국 산업 현장의 공정 관리에 있어서, 빠른 단계 및 어느 공정이 전체의 진행을 방해하고 있는가? 등을 분석하고, 또한 어느 작업을 개선하면 전체가 효율적으로 진행할 지를 해석하여 산업의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한계에 도전하는 평가 개선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개념을 의료업계에 이용한 CP는, 동일 질환군의 입원에 대해, 전반적인 진료과정을 계획하고 관련의료인의 중재내용과 기대되는 목표(outcome)를 시간에 따라 일람표 형식으로 기재한 종합의료계획서이며, 중재계획에 대해서는 의료 내용, 질 관리의 최상화, 의료 경영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하는 평가 개선 시스템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넓게는 입원 전의 검사, 퇴원 후의 회복과 재택의료의 계획, 지역 의료계획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검사와 증상에 대해서 작성되는 경우, 유사한 경과를 갖는 질병을 통합하여 이용되는 경우, 또는 한 질병에서 중증도와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여러 종류의 계획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때, 기록의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획을 하루 1 페이지로 한 형식도 있는데, 이 경우, 가로축을 시간 축으로 하고, 세로축에는 도입항목, 검사, 측정 등의 환자로부터 결과를 얻는 항목과, 치료/처치 등 환자에게 입력할 내용의 항목, 그리고 식사, 청결 등의 환자의 생활항목, 또는 치료목표이며 체크 포인트인 성과(outcome), 변이(variance), 의료관계자의 서명 등으로 칸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CP)는, 각 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진료 과정들을 체계화한 것으로서, 현재 대규모 병원에서 그 이용을 시도 하고 있으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CP)는 오프라인 상의 서류들을 이용한 것으로서, 사용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수정 및 정보 공유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셋을 등록하는 과정, 등록된 상기 셋을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및 환자들에게 적용된 상기 셋을 이용하여 의사 또는 간호사들이 환자들을 진료 및 간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웹화면의 메뉴를 통해 CP 등록 요청이 입력된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웹화면을 통해 CP 셋 등록창(400)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CP를 생성하거나 또는 수정한 후, 상기 CP에 대한 정보를 CP 셋 관리부(17)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b) 특정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가 출력된 웹화면의 메뉴를 통해, 상기 CP을 상기 특정 환자에게 적용시키도록 하는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CP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환자의 정보와 매핑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특정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가 출력된 상기 웹화면의 메뉴를 통해, 상기 CP 입력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CP와 관련된 CP 입력창을 상기 웹화면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의사 또는 간호사가 상기 CP 입력창에 출력된 정보를 참고하여 진료 또는 간호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CP 입력 창을 통해 진료 또는 간호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상기 의사 또는 간호사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P는 특정 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진료 과정에 필요한 서식, 처치오더, 투약오더, 검사오더, 평가, 변이, 간호일지, 수혈, 임상관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발명자가 출원한 명세서들(출원번호 10-2003-0038558, 10-2003-0038563, 10-2003-0038564, 10-2003-0038565, 10-2003-0038566)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원 업무의 일실시예 계략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에서 수행되는 업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바, 그중 하나는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이 환자를 진료, 간호, 검사, 치료하는 진료 업무이며, 또 다른 하나는 상기 진료업무를 지원하거나 환자들에 대한 등록, 진료예약, 입원 수속 등을 처리하거나 일반적인 병원 운영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 업무이다.
한편, 상기 진료업무(EMR)는 의사가 환자를 직접 상대하며 진료 하는 의사의 진료 업무, 간호사가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 업무 및 각종 검사실의 검사실 직원이 환자에 대해 검사 또는 치료를 수행하는 검사 업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종래 기술들에서는 상기 의사의 진료 업무, 간호사의 간호 업무 및 검사실 직원에 의한 검사 업무의 수행에 따른 각종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특히, 인트라넷)를 통해 상기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일반업무(MIS)는 급식, 주사처치, 처방전 발급 등과같은 진료지원 업무, 환자등록, 진료예약, 입원예약, 진료비 수납 등과 같은 원무 및 병원내부의 인사관리, 각종 행정업무 등과 같은 일반관리 업무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들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업무(MIS)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였으나, 상기 일반업무(MIS)와 상기 진료업무(EMR)간의 전반적인 정보의 공유는 불가능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료업무간에는 인트라넷을 이용하여 웹기반의 표준화된 서류 양식을 제공하므로써 정보의 공유화를 이루었으며, 상기 일반업무간에는 랜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의 공유화를 이루었다. 또한, 상기 진료업무와 일반업무를 통해 수집된 각종 정보를 공통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진료업무와 일반업무간의 정보 공유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한편 병원의 일반 업무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의사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열람하고 진료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열람하거나 진료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호사용 단말기(30), 병원내의 각종 검사실 직원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들의 검사 요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검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병원의 일반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직원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병원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열람하거나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및 상기 단말기들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 1a 에서 언급한 진료업무(EMR), 즉, 의사에 의한 진료 업무, 간호사에 의한 간호 업무 및 검사실 직원에 의한 검사 업무는 각각 상기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에서 수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업무(MIS) 내의 진료지원 업무, 원무, 일반관리업무는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에서 수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가 병원내에 구축되어 있는 내부 네트워크(인트라넷, Intranet)(이하, 간단히 "인트라넷"이라 함)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져 운영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랜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11), 제어부(12), 환자정보 관리부(13), 이미지 정보 관리부(14), 일반원무 관리부(15), 인증 관리부(16) 및 CP 셋 관리부(17)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인터페이스(11)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단말기(20, 30, 40, 50) 및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과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11)는 상기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와는 인트라넷을 통한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인터넷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와는 랜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과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자정보 관리부(13)는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부터 입력된 환자 정보의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상기 단말기들(20,30,40,50)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의료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이미지정보 관리부(14)는 상기한 각 단말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부터 담당 환자에 대한 이미지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환자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정보란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촬영 사진, 내시경 사진, CT 촬영 사진 등과 같이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촬영된 각종 사진 등을 전자적으로 이미지화한 것을 말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사진 뿐만 아니라 각종 서류 또는 사진 등을 스캔하여 이미지화한 것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일반원무 관리부(15)는 병원의 일반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직원들이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한 원무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및 또 다른 단말기들(20, 30, 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부터 정보의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로 원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인증 관리부(16)는 네트워크(인터넷 또는 인트라넷)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들어오는 각 사용자들에 대해 인증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일반 병원 업무 담당 직원들이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접속이 허여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접속을 허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처럼 병원내의 환자 정보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그 보안이 철저히 요구되며 따라서 자체적인 인증만으로는 미흡한 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넷에 접속된 내부 인증 시스템이 아닌 외부의 공인 인증 시스템(60)을 통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인증 관리부(16)는 사용자로부터 인증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으로 전송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접속 여부를 결정짓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CP 셋 관리부(17)는 이하에서 설명될 CP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들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CP를 관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2)는, 상기 인터페이스 및 각 부(13 내지 17)를 제어하는 한편,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정보들을 상기 단말기들로 전송하거나 전송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 및 각 부(12 내지 17)는 하나의 컴퓨터 또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각종 장애에 대비하기 위하여 보조 시스템을 둘 수도 있다.
도 1c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로그인한 경우에 제공되는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
즉, 도 1c 에 도시된 웹화면은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여 로그인 과정을 수행한 후에 출력되는 초기화면의 일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메뉴들 중 [의사MAIN] 및 [간호사MAIN]메뉴(110)를 통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로서, 특히 [의사MAIN]메뉴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웹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즉, 의사 또는 간호사는 웹브라우져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부의 인증 관리부(16) 또는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을 통해 인증과정을 거쳐야 정상적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의사가 정상적인 로그인을 거친 후 상기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웹화면에서 상기 [의사MAIN]메뉴(110)를 선택한 경우에 활성화되는 웹화면(이하, 간단히 "의사용 웹화면"이라 함)의 일예를 도 2a 에 도시하였으며,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 마의 메뉴부(220), 주 메뉴부(230), 환자정보 열람부(240) 및 환자정보 입력부(250)의 다섯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먼저,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는 로그인한 의사의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의사가 정보의 열람 및 입력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는 환자의 이름, 병원내에서의 환자 등록번호, 치료과, 지정의, 주치의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표시되며, 이외에도 진단명, 수술명, 수술일, 협진의, 처방약품 등에 대한 정보 중 해당되는 사항들이 출력된다. 상기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은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환자 정보는 병원내의 환자접수를 담당하는 일반직원들에 의해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방법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마의 메뉴부(220)는 각 사용자(의사)가 주 메뉴부(230)에 있는 다수의 메뉴들 중 자신이 즐겨쓰는 메뉴에 대하여 설정된 단축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다. 즉, 상기 마의 메뉴부(220)는 각 의사별로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주 메뉴부(230)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마의 메뉴부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주 메뉴부(130)에 구비되어 있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 메뉴부내의 "My menu"란 메뉴 버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 메뉴부(230)는 의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메뉴들을 정리한 것으로써 주 메뉴부(230) 내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다양한 메뉴가 트리형태로 출력되며, 의사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환자정보 열람부(240)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들의 세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블록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래초진, 외래경과, 오더, 검사조회, 타과의뢰, 과별서식, Vital Sheet, 간호일지, 입원초진, 입원결과, 수술기록, 퇴원기록 등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 열람할 수 있다. 한편, 도 2a 에서는 아직 어떠한 정보 열람도 선택하지 않은 상태로써 백지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240)에서 출력되는 정보들 중 외래초진, 외래결과, 입원초진, 입원경과 등의 항목은, 의사가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하여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불러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환자정보 입력부(250)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도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블록으로써, 외래초진, 외래경과, 입원초진, 입원경과, 타과의뢰, 수술기록, 퇴원기록 등과 같이 모든 의사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진단서/의견서, 과별서식, 정신과 진단평가와 같이 특수한 경우에 요구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도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력부(250)를 통해 의사가 입력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며, 의사가 의사용 웹화면의 환자정보 열람부(240)의 메뉴 클릭을 통해 해당 정보에 대한 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의사용 웹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이 CP 셋 등록과정, CP 적용 과정 및 CP 입력 과정의 세 단계로 나뉘어 설명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우선 의사(또는 관리자)(이하, 간단히 "의사"라 함)가 환자들에게 제공할 CP 셋을 등록하는 과정, 등록된 CP를 특정환자에게 적용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환자에게 적용된 CP를 이용하여 의사 또는 간호사가 환자의 진료 또는 간호 정보들을 입력하는 과정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먼저, CP 셋을 등록하는 과정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3a 내지 도 3o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중 CP셋 등록과정에 적용되는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이다.
즉, 의사가 도 2a 에 도시된 의사용 웹화면에서 주 메뉴부(230)를 선택하게 되면,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창(231)이 활성화 되며, 상기 메뉴창(231)에서 CP 셋등록 메뉴(232)를 선택하게 되면,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CP 셋 목록창(300)이 활성화된다.
이때, 새로운 CP 셋을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도 3b 에 도시된 [신규]메뉴(310)를 선택하게 되면,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CP셋명 등록창(320)이 활성화된다. 상기 CP셋명 등록창(320)은 상기 CP셋 목록창(300)이 활성화됨과 동시에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의사가 상기 CP셋명 등록창(320)에 원하는 CP명을 입력한 후 등록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CP셋 등록창(400)이 활성화되며, 상기 의사는 상기 CP셋 등록창(400)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CP셋을 등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심장병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CP, 특히 입원일수가 3일로 설정된 CP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우선,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CP셋 등록창(400)은 입원일 선택창(410), 입원일자 선택창(420), 오더종류 선택창(430), 임상관찰기록창(440), 등록 확인창(45) 및 CP셋 등록 메뉴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입원일자 선택창(420)은, 입원일수가 이틀 이상인 경우에 각 입원일자에 따라 처리되어야할 CP셋을 개별적으로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의사는 원하는 입원일자를 선택하여 그 날에 맞는 CP셋을 등록하게 된다. 즉, 상기 심장병환자의 입원일수가 3일인 경우에 각 일자별로 수행되어야할 항목들이 다르게 됨으로, 의사는 원하는 일자를 선택하여 해당 CP셋을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입원일선택창(410)은 각 입원일자별로 등록된 CP셋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에서 입원일수가 3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의사는 상기 입원일 선택창(410)을 통해 원하는 입원일을 선택하여 각 입원일별로 등록되어 있는 CP셋을 확인 및 수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오더종류 선택창(430)은, 정규 오더, Pre OP 오더, Post OP 오더, 검사 후 오더, 전과전등 후 오더, 외출 오더, 퇴원 오더, Intra OP 오더 등의 세부메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의사는 상기 세부 메뉴들 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CP셋 등록 메뉴창(이하, 간단히 "메뉴창"이라 함)(460)은 CP셋에 등록될 각종 정보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뉴로서, 의사는 상기 메뉴창을 통해 선택된 CP관련 정보들을 상기 등록확인창(45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d 내지 도 3o 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상기 CP셋 등록 메뉴창(460)을 통해 CP셋 관련 각종 항목들을 설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먼저, 도 3d 는 [과별서식] 메뉴(461)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과별서식] 메뉴(461)가 선택되면, 세부적으로 과별서식을 선택할 수 있는 과별서식 선택창(461-1)이 출력되며, 의사에 의해 선택된 과별서식의 명칭은 서식란(461-2)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과별서식이란 각 진료과별로 요구되는 서식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선택된 과별서식은, 이후 의사가 CP를 입력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즉, 의사가 상기와 같은 항목들이 입력되어 있는 CP를 특정환자에게 적용하여 이용하는 경우, 상기 서식란(461-2)에 입력되어 있는 서식을 통해 각종 서식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e 는 [공통기록] 메뉴(462)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공통기록] 메뉴(462)가 선택되면, 세부적으로 공통기록 서식을 선택할 수 있는 공통기록 선택창(462-1)이 출력되며(도면에는 세부 공통기록 서식에 대한 유형이 표시되어 있지는 않음), 의사에 의해 선택된 공통기록 서식의 명칭은 상기 서식란(461-2)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공통기록 서식이란 모든 진료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서식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선택된 공통기록 서식은, 이후 의사가 CP를 입력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즉, 의사가 상기와 같은 항목들이 입력되어 있는 CP를 특정환자에게 적용하여 이용하는 경우, 상기 서식란(461-2)에 입력되어 있는 서식을 통해 각종 서식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f 는 [처치오더] 메뉴(463)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처치오더] 메뉴(463)가 선택되면, 세부적으로 처치오더를 선택할 수 있는 처치오더 선택창(463-1)이 출력되며, 의사에 의해 선택된 처치오더의 명칭은 처치란(463-2)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처치오더란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각종 오더(order)로서, 이렇게 선택된 처치오더는, 이후 의사가 CP를 입력하는 경우에 확인되어 적용될 수 있다. 즉, 의사가 상기와 같은 항목들이 입력되어 있는 CP를 특정환자에게 적용하여 이용하는 경우, 상기 처치란(463-2)에 입력되어 있는 오더를 상기 환자에게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g 는 [투약오더] 메뉴(464)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투약오더] 메뉴(464)가 선택되면, 세부적인 약품명을 선택할 수 있는 투약오더 조회창(464-1)이 출력되며, 의사에 의해 선택된 약품명은 도 3c 에 도시된 투약란(451)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약품명이란 환자에게 투약되어야할 약품의 명칭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선택된 투약오더는, 이후 의사 또는 간호사가 CP를 입력하는 경우에 확인되어 환자에 대한 투약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의사 또는 간호사가 상기와 같은 항목들이 입력되어 있는 CP를 특정환자에게 적용하여 이용하는 경우, 상기 투약란(451)에 입력되어 있는 약품을 상기 환자에게 투약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h 는 [검사오더] 메뉴(465)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검사오더] 메뉴(465)가 선택되면, 세부적인 검사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검사오더 조회창(465-1)이 출력되며, 의사에 의해 선택된 검사항목은 검사란(465-2)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검사항목이란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검사의 종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선택된 검사오더는, 이후 의사가 CP를 입력하는 경우에 확인되어 환자에 대한 검사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의사가 상기와 같은 항목들이 입력되어 있는 CP를 특정환자에게 적용하여 이용하는 경우, 상기 검사란(465-2)에 입력되어 있는 검사를 상기 환자에게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i 는 [평가등록] 메뉴(466)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평가등록] 메뉴(466)가 선택되면, 세부적인 평가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평가 조회창(466-1)이 출력되며, 의사에 의해 선택된 평가항목은 평가란(466-2)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평가항목이란 환자의 진료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항목으로서, 이렇게 선택된 평가항목은, 이후 의사가 CP를 입력하는 경우에 확인되어 환자에 대한 검사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의사는 상기와 같은 항목들이 입력되어 있는 CP를 특정환자에게 적용하여 이용하는 경우, 평가란(465-2)에 입력되어 있는 평가내용, 즉, 환자가 합병증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내용을 확인한 후, 실제로 환자에 대하여 상기 항목을 평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j 는 [변이등록] 메뉴(467)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변이등록] 메뉴(467)가 선택되면, 세부적인 변이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변이항목 조회창(467-1)이 출력되며, 의사에 의해 선택된 변이항목은 도 3c 에 도시된 등록 확인창(450)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변이항목이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혈압이 높아진다던지 또는 체온이 높아지는것과 같이 환자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환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상태들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선택된 변이항목은, 이후 의사가 CP를 입력하는 경우에 확인되어 환자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k 는 [간호일지등록] 메뉴(468)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간호일지등록]메뉴가 선택되면, 간호일지로 사용될 진술문들을 선택할 수 있는 간호일지 조회창(468-1)이 출력되며, 의사에 의해 선택된 진술문은 도 3c 에 도시된 진술문란(452)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진술문이란 간호사들이 환자를 간호하는 경우에 환자의 각종 상태 등을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렇게 선택된 간호일지는, 이후 간호사가 CP를 입력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의사가 상기 [간호일지등록] 메뉴(468)를 선택한 후 각종 진술문등을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진술문 등은 간호사들이 이용하는 것이므로, 간호사들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즉, 간호사는 도 1c 에 도시된 [간호사 MAIN](110) 메뉴를 선택한 후 출력되는 간호사용 웹화면(도 5b 에 도시되어 있음)의 메뉴에서 제공되는 CP 셋 등록 메뉴를 선택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진술문등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진술문 등의 설정은 상기 의사 또는 간호사에 의하여 CP 셋 등록을 위임받은 별도의 관리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l 은 [텍스트입력] 메뉴(469)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텍스트입력]메뉴(469)가 선택되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창(469-1)이 출력되며, 의사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469-1)에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또는 참고해야할 텍스트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입력된 텍스트는 상기 처치란(463-2)에 표시되며, 이후 의사는 상기 CP를 열람하는 경우에 상기 텍스트를 참고하여 환자를 진료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m 은 [수혈오더] 메뉴(470)가 선택된 경우의 일실시예 웹화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해 상기 [수혈오더]메뉴(470)가 선택되면, 수혈과 관련된 사항들을 체크할 수 있는 수혈오더 입력창(470-1)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수혈오더 입력창(470-1)에 해당 사항이 체크되면, 검사란(470-2)에 수혈오더가 표시된다. 이렇게 선택된 수혈오더에 대한 정보는, 이후 의사가 CP를 입력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즉, 의사가 상기와 같은 항목들이 입력되어 있는 CP를 특정환자에게 적용하여 이용하는 경우, 상기 검사란(470-2)에 입력되어 있는 수혈오더를 통해 수혈과 관련된 각종 검사 또는 진료를 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메뉴들 외에도 본 발명은 도 3m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원지시] 메뉴(471) 및 투약묶음, 투약해제, 검사묶음, 검사해제와 같은 세부메뉴를 갖는 [묶음/해제] 메뉴(47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퇴원지시] 메뉴(471)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 3o 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또한, 상기 [묶음/해제]메뉴(47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세부메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투약할 약품들이 여러개인 경우에 미리 그 묶음을 설정해 놓거나(투약묶음), 상기 메뉴에 의해 묶음으로 설정된 약품들을 해제하거나(투약해제), 검사할 항목이 여러개인 경우에 미리 그 묶음을 설정해 놓거나(검사묶음), 상기 메뉴에 의해 묶음으로 설정된 검사들을 해제하는(검사해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설명을 통해 총3일의 입원일자 중 입원첫째날(입원1일자)에 적용될 CP셋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졌으며, 입원둘째날(입원2일자)에 적용될 CP셋에 대한 설정 역시 상기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의사는 먼저 도 3n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원일자 선택창(420)을 통해 "입원2일자"를 선택한 후 입원2일자에 필요하거나 수행될 각종 정보들을 상기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총3일의 입원일자 중 마지막날(입원3일자)에 적용될 CP셋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의사는 입원일자 선택창(420)을 통해 "입원3일자"를 선택한 후 입원3일자(입원 마지막날)에 필요하거나 수행될 각종 정보들을 상기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입원 마지막날은 퇴원날이라고 할 수 있음으로, 의사는 도 3o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원지시] 메뉴(471)를 선택한 경우에 출력되는 퇴원지시창(471-1)에 퇴원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입력된 퇴원지시 메시지는 처치란(463-2)에 표시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입원일자별로 CP셋을 입력한 후 저장하게 되면, 도 3b 에서 등록한 "심장병 환자 CP"란 CP명을 갖는 CP(이하, 간단히 "심장병 환자 CP"이라 함)가 상기 CP셋 관리부(17)에 저장되게 된다. 이후, 상기 심장병 환자 CP는 아래의 도 4a 및 도 4b 를 통해 심장병 환자에게 적용된 후, 의사 또는 간호사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중 CP 적용 과정에 이용되는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로서, 상기 도 3a 내지 도 3ㅇ를 통해 등록된 상기 심장병 환자 CP를 특정 심장병 환자에게 적용시키기 위한 화면들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기 도 3a 내지 도 3o 의 과정을 통해 심장병 환자 CP가 상기 CP셋 관리부(17)에 저장된 후, 사용자는 상기 심장병 환자 CP를 적용하고자 하는 환자를 선택하게 된다.
한편, 도 4a 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심장병 환자가 선택되어져 상기 심장병 환자의 진료 정보가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240)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의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열람부(240)에 환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주 메뉴부(230)를 선택하여 상기 환자에게 적용할 CP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도 4b 는, 도 4a 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 메뉴부(230)의 [CP 적용] 메뉴(233)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CP셋 관리부(17)에 저장되어 있는 CP의 리스트가 CP 리스트 출력창(500)을 통해 출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CP 리스트 출력창(500)의 CP 리스트에는 상기 도 3a 내지 도 3o 를 통해 저장된 심장병 환자 CP(510)가 출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사는 도 4a 의 환자정보 열람부(240)에 표시되어 있는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CP를 상기 CP 리스트 출력창(500)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환자가 심장병 환자인 경우에는 상기 심장병 환자 CP(510)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의사가 상기 심장병 환자 CP(510)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심장병 환자에 대한 환자정보에는 상기 심장병 환자 CP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되게 된다.
즉, 도 3a 내지 도 3o 를 참조하여 설명된 과정들을 통해 등록된 심장병 환자 CP는, 도 4a 및 도 4b 를 참조하여 설명된 과정들을 통해 심장병 환자에게 적용되며, 이하에서 설명될 방법들에 의하여 실제적으로 상기 심장병 환자를 진료 및 간호하는 의사 및 간호사에 의하여 이용되게 된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중 CP 입력 과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이다.
즉, 심장병 환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상기 심장병 환자 CP가 도 3a 내지 도 3o 에서 설명된 과정을 통해 의사에 의하여 등록된 후, 상기 의사(또는 다른 의사들)는 특정 심장병 환자에게 도 4a 및 도 4b 에서 설명된 과정을 통해 상기 심장병 환자 CP를 적용하게 되며, 이후 상기 심장병 환자 CP를 적용한 의사 및 상기 심장병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상기 CP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세스에 의하여 상기 심장병 환자를 진료하거나 간호하게 되는 것이다.
먼저, 도 5a 는, 의사가 도 1c 에 도시된 웹화면 상의 메뉴(110) 중 [의사MAIN] 메뉴를 선택하여 활성화된 의사용 웹화면에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심장병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심장병 환자의 진료 정보가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240)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의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열람부(240)에 환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주 메뉴부(230)의 [CP 입력]메뉴(234) 또는 마의 메뉴부(220)의 CP 입력 단축 메뉴(221)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환자에게 적용된 상기 심장병 환자 CP를 열람할 수 있는 한편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의사가 상기 메뉴(234 또는 221)를 선택한 경우에 출력되는 CP입력창은 도 6a 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 6a 내지 도 6d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으로, 도 5b 는, 간호사가 도 1c 에 도시된 웹화면 상의 메뉴(110) 중 [간호사 MAIN] 메뉴를 선택하여 활성화된 간호사용 웹화면에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심장병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심장병 환자의 진료 정보가 환자정보 입출력부(750)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5b 는 간호사가 정상적인 로그인을 거쳐 도 1c 에 도시된 웹화면 상의 메뉴(110) 중 [간호사 MAIN]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활성화되는 웹브라우져 화면(이하, 간단히 "간호사용 웹화면"이라 함)의 일예시도로서,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호사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710), 마의 메뉴부(720), 주 메뉴부(730), 환자 선택부(740) 및 환자정보 입출력부(750)의 다섯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때, 상기 간호사 웹화면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의 또 다른 출원(출원번호 10-2003-0038563)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음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간호사가 상기 환자 선택부(740)에 표시된 환자들 중 상기 심장병 환자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750)에는 상기 심장병 환자와 관련된 간호 정보들이 출력되며, 상기 간호사는 상기 주 메뉴부(730)의 [CP 입력]메뉴(734)(간호사가 도 5b 에 도시된 간호사용 웹화면에서 주 메뉴부(230)를 선택하는 경우 활성화되는 메뉴창(731)의 세부 메뉴임) 또는 마의 메뉴부(720)의 CP 입력 단축 메뉴(721)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환자에게 적용된 상기 심장병 환자 CP를 열람할 수 있는 한편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모든 간호사가 상기환자에게 적용되어 있는 상기 심장병 환자용 CP를 열람 및 입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심장병 환자를 담당하고 있는 특정 간호사에게 만이 상기와 같은 메뉴 및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간호사가 상기 메뉴(734 또는 721)를 선택한 경우에 출력되는 CP입력창은 도 5a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6a 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 6a 내지 도 6d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즉, 상기 심장병 환자에게 적용된 CP는 담당 의사 및 간호사 등에 한정되어 열람 및 입력이 가능하도록 관리되며, 상기 의사 및 간호사는 동일한 CP를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열람 및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e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중 CP 입력 과정에 적용되는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이다.
즉, 의사 또는 간호사가 도 5a 또는 도 5b 에 도시된 웹화면에서 [CP 입력]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CP 입력창이 활성화된다.
이때,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CP 입력창은, 각 입원일별로 CP를 관리하기 위한 입원일별 관리부(810), 상기 CP에 적용되어 있는 각 날짜별로 환자에 대한 간단한 임상 관찰 정보를 입력 및 열람할 수 있는 임상 정보 관리부(820), 의사가 상기 환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 및 열람할 수 있는 의사용 관리부(830) 및 간호사가 상기 환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 및 열람할 수 있는 간호사용 관리부(8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입원일별 관리부(810), 임상 정보 관리부(820), 의사용 관리부(830) 및 간호사용 관리부(840)는 각각 입원1일, 입원2일, 입원3일로 구분지어져 있는데, 이것은 상기 심장병 환자용 CP가 도 3a 내지 도 3o 의 과정을 통해 3일의 입원일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었기 때문이며, 따라서 입원일이 4일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입원일별 관리부(810)에 구비된 날짜 이동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해당 입원일의 입력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는 상기 심장병 환자용 CP를 그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우선, 상기 입원일별 관리부(810)는, 입원일별로 상기 CP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입원일별 관리부(810)에는 각 입원일별로 서명 버튼(811)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의사가 상기 서명 버튼(811)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서명 버튼(811)이 구비되어 있는 입원일자의 상기 의사용 관리부(830)에 상기 의사가 입력한 각종 정보(오더)들이 상기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며, 상기 간호사가 상기 서명 버튼(811)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서명 버튼(811)이 구비되어 있는 입원일자의 상기 임상 정보 관리부(820) 및 간호사용 관리부(840)에 상기 간호사가 입력한 각종 정보들이 상기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이때, 저장된 상기 정보들은 상기 의사 또는 간호사가 이후 다시 열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5a 또는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사용 웹화면 또는 간호사용 웹화면을 통해 열람할 수도 있으며, 특히 의사가 내린 오더 정보는 상기 간호사용 웹화면 또는 검사실 직원등의 웹화면을 통해 제공됨으로서, 상기 의사의 지시에 따라 간호 및 각종 검사들이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원일별 관리부(810)에는 [변이 및 평가] 메뉴(812)가 구비되어 있어서, 의사 또는 간호사가 상기 메뉴(812)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도 3j 에서 설명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변이항목창(813)이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되어, 의사 또는 간호사가 상기 심장병 환자의 변이(즉, 특이 사항)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변이항목창(813)에 의사 또는 간호사에 의하여 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변이항목창(813)에 구비된 저장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2)는, 의사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는 의사 평가란에 입력된 정보만, 그리고 간호사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는 간호사 평가란에 입력된 정보만 상기 환자 관리부(13)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관리 권한이 주어지지 않은 사용자에 의하여 무분별하게 정보들이 관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원일별 관리부(810)에는 [추가오더](814) 메뉴 및 [적용취소](815) 메뉴가 있어서, 의사는 추가적인 오더를 입력하거나 상기 심장병 환자에 대한 상기 CP 적용을 취소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추가오더](814) 메뉴를 선택하여 추가 오더를 작성하는 일실시예 웹화면이 도 6d 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임상 정보 관리부(820)는, 환자의 임상 관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활력징후, 섭취량, 배설량 등과 같은 기본 적인 임상 관찰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호사에 의하여 입력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의사용 관리부(8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의사가 상기 심장병 환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란으로서, 상기 의사용 관리부(830)에 표시된 항목들(831)은, 상기 도 3a 내지 도 3o 에서 설명된 과정들을 통해 설정된 것들이다. 이때, 상기 항목들(831) 중 특히 서식란에 있는 단축 아이콘들(832)은 상기 서식란에 있는 해당 기록지를 신규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작성된 기록지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작성된 기록지를 뷰어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들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간호사용 관리부(840)는 간호사가 상기 심장병 환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란으로서, 상기 도 3k 에서 설명된 과정들을 통해 간호사에 의하여 설정된 간호일지 항목들을 표시하고 있다. 즉, 상기 간호일지 항목들은 간호사들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들임으로, 도 3k 에서 설명된 과정들은 간호사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나, 간호사와 의사의 합의에 의하여 의사, 간호사 또는 별도의 관리자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간호사가 상기 간호사용 관리부(840)의 각 진술문에 해당하는 속성항목을 선택하여 Night, Day, Evening 을 체크후 상기 서명 버튼(811)을 선택하면 해당 내용들이 상기 환자 관리부(13)에 저장된다.
한편, 도 6c 는 도 6a 의 상기 의사용 관리부(830)에 있는 항목들(831) 중 투약 항목을 상기 의사가 선택한 경우에 활성화되는 투약 상세창(832)을 나타낸 것으로서, 의사는 상기 투약 상세창(832)에 투약과 관련된 세부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간호사 또는 조제실 직원들은 상기 입력 내용에 따라 약을 조제하여 상기 심장병 환자에게 투약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투약 항목과 관련된 방법들은, 상기 항목들(831)의 개별적인 항목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진료 과정들을 도 3a 내지 도 3o 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CP로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특정 환자에게 상기 CP를 적용시킨 후, 의사 또는 간호사가 상기 CP에 설정되어 있는 항목별로 환자를 진찰 및 간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의료 서비스를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의료 업무의 표준화, 최적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 자원과 시간의 효율화, 환자의 시간 및 경제적 부담의 적정화를 이룰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에서 제시하는 것에 따른 이상(異常)의 조기발견과 대처 및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원 업무의 일실시예 계략도.
도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1c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로그인한 경우에 제공되는 초기화면의 일예시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o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중 CP셋 등록 과정에 적용되는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중 CP 적용 과정에 이용되는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중 CP 입력 과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d 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중 CP 입력 과정에 적용되는 다양한 웹화면의 예시도이다.

Claims (8)

  1.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웹화면의 메뉴를 통해 CP 등록 요청이 입력된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웹화면을 통해 CP 셋 등록창(400)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CP를 생성하거나 또는 수정한 후, 상기 CP에 대한 정보를 CP 셋 관리부(17)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b) 특정 환자에 대한 환자정보가 출력된 웹화면의 메뉴를 통해, 상기 CP를 상기 특정 환자에게 적용시키도록 하는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CP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환자의 환자정보와 매핑시켜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특정 환자에 대한 환자정보가 출력된 상기 웹화면의 메뉴를 통해, 상기 CP 입력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CP와 관련된 CP 입력창을 상기 웹화면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의사 또는 간호사가 상기 CP 입력창에 출력된 의료정보를 참고하여 진료 또는 간호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CP 입력 창을 통해 진료 또는 간호업무와 관련된 각종 의료정보를 상기 의사 또는 간호사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 의한 CP의 처리사항 중, 상기 환자의 담당 의사 또는 담당 간호사에 의해서 입력되어져야 할 처리사항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담당 의사 또는 담당 간호사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적합한 사용자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처리사항에 대한 입력 정보들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P는 특정 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진료 과정에 필요한 과별서식, 처치오더, 투약오더, 검사오더, 임상관찰 정보를 포함하고며, 상기 (a) 단계의 상기 CP는, 일자별로 개별적으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P 셋을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a-1)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웹화면의 메뉴를 통해 CP 등록 요청이 입력된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웹화면을 통해 CP 셋 등록창(400)을 제공하는 단계;
    (a-2) 상기 CP 셋 등록창의 메뉴를 통해 입원일자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원일자에 해당되는 CP 셋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메뉴창(460) 및 등록 확인창(450)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CP 셋 등록창에 출력하는 한편, 상기 입원일자에,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일반원무 직원 중 적어도 어느 한명에 의해 수행되어져야 할 처리사항들이, 상기 메뉴창을 통해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처리사항들을 상기 등록 확인창(450)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 의해 상기 입원일자에 수행될 CP 셋 정보가 입력된 후, 또 다른 입원일자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또 다른 입원일자에 대하여 상기 (a-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a-4) 상기 (a-3)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모든 입원일자에 대한 CP 셋 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CP 셋들에 대한 저장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CP 셋들을 하나의 CP로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특정 환자에 대한 환자정보가 출력된 상기 웹화면의 메뉴를 통해, 상기 환자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CP에 대한 입력 요청이 전송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CP 입력창을 통해 상기 CP를 출력하는 단계;
    (c-2) 상기 CP 입력창의 메뉴를 통해, 상기 환자의 입원일자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a-4) 단계를 통해 저장된 상기 CP 중 상기 입원일자에 해당되는 CP 셋을 상기 CP 입력창에 출력하는 단계;
    (c-3) 상기 입원일자에 해당되는 CP 셋에 포함되어 있는 처리사항 별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처리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저장하는 한편, 상기 처리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CP 입력창을 통해 상기 처리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c-4) 상기 입원일자에 해당되는 CP 셋에 포함되어 있는 처리사항 중, 서식과 관련된 처리사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서식을 팝업창으로 출력한 후, 상기 팝업창을 통해 입력된 처리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처리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CP 입력창을 통해 상기 처리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c-5) 상기 CP에 등록된 입원일자별 CP 셋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c-3) 단계 또는 (c-4)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의사, 간호사 또는 상기 의사 및 간호사의 위임을 받은 관리자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의 상기 CP 입력창은 상기 특정 환자를 담당하는 의사 또는 간호사가 이용하는 의사용 웹화면 또는 간호사용 웹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각 입원일별로 상기 CP를 관리하기 위한 입원일별 관리부(810);
    상기 CP에 적용되어 있는 각 날짜별로 상기 특정 환자에 대한 간단한 임상 관찰 정보를 입력 및 열람할 수 있는 임상 정보 관리부(820);
    의사가 상기 특정 환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 및 열람할 수 있는 의사용 관리부(830); 및
    간호사가 상기 환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 및 열람할 수 있는 간호사용 관리부(840)
    를 포함하는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임상 정보 관리부(820)는,
    환자의 활력징후, 섭취량, 배설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임상 관찰 정보를 입력 및 열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용 관리부(830)는 상기 의사 또는 간호사가 상기 특정 환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 및 열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의사용 관리부(830)에 표시되는 항목들(831)은, 상기 (a) 단계를 통해 설정된 서식, 처치오더, 투약오더, 검사오더, 평가, 변이, 수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사용 관리부(840)에 표시되는 항목은, 상기 (a) 단계를 통해 설정된 것으로서, 간호사들이 환자의 정보를 입력 또는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40070655A 2004-09-04 2004-09-04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3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655A KR100538574B1 (ko) 2004-09-04 2004-09-04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655A KR100538574B1 (ko) 2004-09-04 2004-09-04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574B1 true KR100538574B1 (ko) 2005-12-22

Family

ID=3730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655A KR100538574B1 (ko) 2004-09-04 2004-09-04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55B1 (ko) * 2008-02-28 2010-07-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 방법, 멀티캐스트 서버 및 그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55B1 (ko) * 2008-02-28 2010-07-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 방법, 멀티캐스트 서버 및 그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yle et al. Use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to support smoking cessation
Volmink et al. Directly observed therapy for treating tuberculosis
KR100538579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의무기록서식 관리 방법
US830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KR100538584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US201301663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patient treatment measures in a network environment
US20080249804A1 (en)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Online
JP2013242745A (ja) 診療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この診療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を連携した病診連携システム
US20120166226A1 (en)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JP6280056B2 (ja)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並びに診療支援システム
US113024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tient treatment management using interactive digital best practice treatment guidelines
US201001457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Klaib et al. Evaluating EHR and health care in Jorda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health metrics network (HMN) framework and standards: A case study of Hakeem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TW201434009A (zh) 用以於網路環境中顯現病患治療措施之系統及方法
US20100001864A1 (en) System ,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al time monitoring, assignment and balancing of professional oversight
KR100538582B1 (ko)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의사결정지원 방법
KR20040107899A (ko)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Calleja et al. Offsite primary care providers using telehealth to support a sustainable workforce in rural and remote general practice: a rapid review of the literature
KR100538574B1 (ko) 정형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US115273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medications using genetics
US20180247030A1 (en) Medical Reconciliation Standardization
Sockolow et al. Identify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home care EHR meaningful use
KR100538573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Abisoye et al. An Online Outpatient Database System: A Case Study of General Hospital, Mi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