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501A -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501A
KR20020029501A KR1020000060327A KR20000060327A KR20020029501A KR 20020029501 A KR20020029501 A KR 20020029501A KR 1020000060327 A KR1020000060327 A KR 1020000060327A KR 20000060327 A KR20000060327 A KR 20000060327A KR 20020029501 A KR20020029501 A KR 2002002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nel
unit
press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0611B1 (ko
Inventor
안민혁
Original Assignee
안민혁
오티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민혁, 오티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민혁
Priority to KR10-2000-006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61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돌출부를 갖는 패널을 선형으로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 유니트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패널에 접착될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 유니트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의 중간에 설치되어 필름을 패널에 가접착시키는 필름 가접착 유니트와, 그 필름 가접착 유니트의 후방측에 설치되되 상기한 패널의 돌출부가 삽입 형합되도록 요홈부 또는 가압돌부가 형성되어 필름을 패널에 접착시키는 프레싱 롤러를 갖는 필름 프레싱 유니트와, 상기 필름을 적정 길이로 절단하는 필름 커터 유니트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를 갖는 패널에 필름을 접착시키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FILM 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회로기판을 이루는 기판에 감광필름과 같은 필름을 자동으로 라미네이팅 시키기 위한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면브라운관과 같이 돌출부를 갖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단차부를 갖는 패널에 감광필름을 자동으로 라미네이팅 시킬 수 있는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 및 기계 장치에서 사용되는 회로기판을 구성하기 위한 라미네이팅 장비는 공급측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으로 공급받는 회로기판을 라미네이팅 본체로 선형 이송시키는 중에 그 라미네이팅 본체에 구비된 드라이 필름을 회로기판의 양면 또는 일면에 공급하면서 적정온도를 갖는 진원형의 가열롤러로 필름을 눌러 회로기판의 각 면에 밀착시키는 방식이 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P)의 라미네이팅 면에 돌출부(p1)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진원형인 롤러(R)가 돌출부(p1)의 각진 지점까지 더이상 진행하지 못하여 종래의 롤러(R)로는 필름(F)을 라미네이팅 할 수 없는 범위(a)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패널(P)에 불필요한 여분의 넓이를 추가하거나 또는 이러한 여분의 넓이를 추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숙련자가 각 패널(P)마다 필름(F)을 직접 라미네이팅 시킬 수 밖에 없어 재료비용의 상승 또는 난해한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인해 제품의 균일성 낮아져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돌출부 또는 단차부를 갖는 패널에 필름을 자동으로 라미네이팅 시킬 수 있는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의 가접착 롤러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의 프레싱 롤러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에서 프레싱 롤러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에서 프레싱 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 7는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가 적용될 돌출부를 갖는 패널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의 프레싱 롤러에 구비된 요홈부에 패널의 돌출부가 바람직하게 삽입된 일례를 보인 개략도.
도 9는 종래 롤러를 이용하여 돌출부를 갖는 패널에 필름을 접착시키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10은 종래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에서 평판형 가접착 롤러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 이송 유니트 20 : 필름 공급 유니트
30 : 필름 가접착 유니트 31 : 가접착용 가압실린더
32 : 가접착 롤러 32a : 흡진공
32b : 태킹러버 32c : 요홈부
32d : 커터홈 40 : 필름 프레싱 유니트
41 : 프레싱용 가압실린더 42 : 프레싱 롤러
42a : 프레싱 히터 42b : 요홈부
50 : 필름 커터 유니트 61,62 : 제1,제2 패널 감지센서
70 : 접촉식 온도센서 F : 필름
H : 가접착 히터 P : 패널
p1 : 돌출부 p2 : 평면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돌출부를 갖는 패널을 선형으로 연속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 유니트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패널에 접착될 필름을 연속 공급하는 필름 공급 유니트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의 중간에 설치되어 필름의 시작 부분만을 상기한 패널의 라미네이팅 될 선단에 접착시키는 필름 가접착 유니트와, 상기 패널의 돌출부가 맞춤 삽입되는 요홈부 또는 돌출부와 평면부 사이로 삽입되는 가압돌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그 돌출부와 평면부 사이의 접점부위를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접착된 필름을 패널의 평면부에 라미네이팅시키도록 프레싱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한 필름 가접착 유니트의 후위측에 배치되는 필름 프레싱 유니트와, 상기 패널에 접착되는 필름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필름 커팅 유니트를 포함한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가 제공된다.
이는, 필름 이송 유니트에 얹힌 돌출부를 갖는 패널을 필름 가접착 유니트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공급 유니트로부터 필름을 필름 가접착 유니트로 공급시키는 단계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로부터 이송되는 패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패널이 필름 가접착 유니트의 수직 하방에 도달한 위치에서 상기한 패널 이송 유니트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를 하강시켜 필름의 시작부위를 패널의 라미네이팅 될 선단에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를 복귀시키는 동시에 패널 이송 유니트를 다시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를 통과한 패널의 위치를 다시 검출하여 그 패널이 필름 프레싱 유니트의 수직 하방에 도달한 위치에서 상기한 패널 이송 유니트를 다시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필름 프레싱 유니트를 하강시켜 필름의 시작부위를 가열 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이송 유니트를 다시 구동시키는 동시에 필름 프레싱 유니트의 프레싱 롤러를 패널의 이송방향에 순응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면서 필름을 패널의 평면부에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을 패널의 평면부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미리 절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접착후 패널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달성된다.
이하, 일반적인 평면브라운관을 일실시예로 들어 본 발명에 의한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의 가접착 롤러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의 프레싱 롤러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평면브라운관은 그 내측면에 형광막이 도포된 패널이 티브이 수상기나 모니터의 전면(前面)에 배치되어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빛을 적절히 합성하여 스크린에 컬러 화면을 재생시키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P)의 내측에는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빛의 색을 선별하도록 슬릿형상의 구멍들이 무수히 많이 형성된 새도우 마스크가 상기한 패널(P)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는 레일(이하, 돌출부와 혼용함)(p1)이 통상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된다.
이 돌출부(p1)는 직사각형 단면 또는 삼각형 단면 등 각진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감광필름의 도포 전에 패널에 미리 형성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감광필름을 도포시키는데 문제를 유발시키게 된다.
이를 감안한 본 발명의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패널 이송롤(11)로 이루어져 돌출부(p1)를 갖는 패널(P)을 선형으로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 유니트(10)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10)에 의해 이송되는 패널(P)에 접착될 감광필름(F)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 유니트(20)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10)의 중간에 설치되어 필름 공급 유니트(20)로부터 공급되는 감광필름(F)을 각각의 패널(P)에 가접착 시키는 필름 가접착 유니트(30)와,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30)의 후방측에 연이어 설치되어 패널(P)에 가접착된 감광필름(F)을 가열하면서 눌러 완전 접착시키는 필름 프레싱 유니트(40)와,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광필름(F)을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필름 커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10)는 각각의 패널(P)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도록 다수개의 패널 이송롤(11)이 라미네이팅 본체의 도입부에서 도출부까지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 공급 유니트(20)는 감광필름(F)이 감겨진 필름 샤프트(21)와, 그필름 샤프트(21)로부터 공급되는 감광필름(F)에 텐션을 주며 전달하는 필름 공급롤(22)과, 상기 필름 공급롤(22)을 거친 감광필름(F)의 배면에 부착된 보호커버를 분리하는 커버 분리롤(23)과, 상기 커버 분리롤(23)로부터 벗겨진 보호커버를 되감는 테이크 업 롤러(take up roller)(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30)는 라미네이터 본체에 고정되어 유압 및 공압에 의해 실린더 로드가 상하로 운동하는 가접착용 가압실린더(31)와, 그 가접착용 가압실린더(31)에 의해 상하로 연동되는 이송판(미부호)과, 그 이송판(미부호)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어 함께 상하로 연동되는 가접착 롤러(32)와,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어 가접착 롤러(32)를 회전시키는 가접착 롤러용 회전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접착 롤러(3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측이 별도의 진공장치(미도시)와 결합되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져 그 중공(미도시)에서 외주면까지 연통되는 다수개의 흡진공(32a)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는 감광필름(F)의 단부를 패널(P)의 라미네이팅 시작부위에 가접착 시키도록 가접착용 히터(H)를 갖는 태킹러버(tacking rubber)(32b)가 장착되며, 그 태킹러버(32b)의 옆에는 감광필름(F)의 가접착시 패널(P)의 돌출부(p1)가 맞춤 삽입되는 요홈부(32c)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32c)로부터 약 90°정도의 각도를 두고 상기한 필름 커터 유니트(50)의 날끝이 삽입되도록 커터홈(32d)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접착 롤러(32)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진원형의 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30) 자체가 패널(P) 전면에 필름(F)을 접착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반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특개평 2-18030호에 제시된 다수개의 흡진공(32a')을 갖는 평판형 가접착 플레이트(32')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가접착 롤러(32)의 직경 등을 조절하여 요홈부(32c) 자체를 커터홈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필름 프레싱 유니트(40)는 라미네이터 본체에 고정되어 유압 및 공압에 의해 실린더 로드가 상하로 운동하는 프레싱용 가압실린더(41)와, 그 프레싱용 가압실린더(41)에 의해 상하로 연동되는 이송판(미부호)과, 그 이송판(미부호)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어 함께 상하로 연동되는 프레싱 롤러(32)와,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어 프레싱 롤러(32)를 회전시키는 프레싱 롤러용 회전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싱 롤러(4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 중앙에는 라미네이팅 히터(42a)가 장착되고, 그 롤러(42)의 외주면 일측에는 패널(P)의 돌출부(p1)가 맞춤 삽입되도록 "ㄷ"자 단면 형상의 요홈부(42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싱 롤러(42)는 패널(P)이 선형운동을 하면서 이송되는 중에 롤러가 역시 이와 순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패널(P)의 평면부(p2)를 고르게 가압한 다음 그 요홈부(42b)가 후위측 돌출부(p1)에 정확하게 삽입되어야 하므로 통상 요홈부(42b)를 제외한 롤러(42)의 외주면 길이(이하, 편의상 외주면 길이로 통칭함)는 패널(P)의 평면부(p2) 진행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요홈부(42b)가 2개인 경우에는 롤러(42)의 외주면 길이가 패널(P)의 평면부(p2) 진행거리에 대해 1/2이면 족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이러한 비율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부(42b)는 패널(P)의 돌출부(p1)에 형합되도록 거의 동일한 폭과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돌출부(p1)는 선형운동을 하는 반면 요홈부(42b)는 회전운동을 하므로 이러한 선형운동과 회전운동시 돌출부(p1)와 요홈부(42b)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요홈부(42b)가 돌출부(p1) 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되되, 상기 평면부(p2)에 연하는 쪽의 요홈부(42b) 내측면은 가능한한 돌출부(p1)에 거의 접촉되어 형합시 요홈부(42b)의 모서리(미부호)가 패널(P)의 평면부(p2)와 돌출부(p1) 사이의 절곡지점에 압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요홈부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그 요홈부(142b)가 서로 대칭되는 두 개 한 쌍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 롤러(142)가 1/2 회전만을 하게 되므로 롤러(142)의 외주면 길이가 패널(P)의 평면부(p2) 길이 보다 2배 정도 길어야 한다.
또,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싱 롤러(242)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요홈부를 대신하여 패널(P)의 돌출부(p1)와 이에 연하는 평면부(p2) 사이에 맞춤 삽입되도록 각진 가압돌부(242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진 모서리면이 후위측 돌출부(p1)와 평면부(p2) 사이의 직선면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롤러(242)의 외주면 길이와 패널(P)의 평면부(p2) 진행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나 실제 롤러(242)는 270°정도만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도, 상기 가압돌부(242b)의 개수와 롤러(242)의 외주면 길이는 서로 상관관계를 갖고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커터 유니트(50)는 이미 알려진 회로기판용 라미네이터 장치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회전날 또는 직선날이 마련된 필름 커터 유니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필름 커터 유니트에 대한 동작 설명이 일특개소60-85927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데, 상기 인용예에서는 인쇄회로용 기판의 표면에 필름을 라미네이팅시킬 때 그 기판을 정지시키지 않고 필름을 절단하므로 커터가 상기한 기판의 진행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수평 이동하면서 필름을 절단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패널(P)의 돌출부(p1)를 프레싱 롤러(42)의 요홈부(42b)에 삽입시키기 위해 패널 이송 및 필름 공급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이 정지 동작중에 필름 커터 유니트(50)를 좌우로 이동시켜 필름(F)을 절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30)의 전방측이나 그 필름 가접착 유니트(30)와 필름 프레싱 유니트(40) 사이에는 통과하는 패널(P)의 위치 및 길이를 감지하여 가접착 롤러(32)나 프레싱 롤러(42)의 작동시점을 제어함과 아울러 필름 커터 유니트(50)의 작동시점을 제어하는 제1,제2 패널 감지센서(61)(6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필름 프레싱 유니트(40)의 일측에는 그 프레싱 롤러(4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롤러의 온도를 감지하는 접촉 온도센서(70)가 장착되고, 그 접촉 온도센서(70)에 의해 감지된 정도에 따라 프레싱용 히터(41)를 적정온도로 제어하거나 또는 프레싱 롤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장착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5는 필름주행롤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를 이용하여 평면브라운관에 형광막의 감광필름을 접착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필름 공급 유니트(20)의 필름 샤프트(21)에 감겨진 감광필름(F)이 필름 공급롤(22)을 거쳐 적정 텐션을 유지하는 동시에 커버 분리롤(23) 및 테이크 업 롤러(24)에 의해 그 배면의 보호커버가 벗겨지면서 필름 가접착 유니트(30)로 공급되어 필름 라미네이팅을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감광필름(F)은 가접착 롤러(32)의 흡진공(32a)에 의해 롤러(32)의 외주면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10)의 각 패널 이송롤(11)에 패널(P)이 얹혀져 필름 가접착 유니트(30)쪽으로 이송되면, 상기 가접착 롤러(32)의 전방측에 위치한 제1 패널 감지센서(61)가 패널(P)의 시작 위치를 인지하게 되고, 그 감지된 정보를 패널(P)이 라미네이팅 시작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패널 이송 유니트(10)에 전달하는 동시에 가접착용 가압실린더(31)에 전달하게 되며, 이를 전달받은 패널 이송 유니트(10)는 패널 이송롤(11)을 정지시키는 반면 가접착용 가압실린더(31)는 도 6b와 같이 가접착 롤러(32)를 하강시켜 그 가접착 롤러(32)의 요홈부(32b)에 패널(P)의 전방측 돌출부(p1)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접착 롤러(32)의 태핑러버(32b)가 패널(P)의 돌출부(p1)와 평면부(p2) 사이에 대면되도록 접촉되어 그 내부의 가접착용 히터(H)가 작동하는 순간 감광필름(F)이 패널(P)의 라미네이팅 시작 부위에 가접착된다.
다음, 도 6c와 같이 상기 가접착 롤러(32)의 진공장치(미도시)가 오프(off)되어 흡착하고 있던 감광필름(F)을 놓으면서 가접착용 가압실린더(31)에 의해 가접착 롤러(32)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 상기 가접착 롤러(32)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시에 상기한 필름 이송 유니트(10)가 다시 작동하여 그 필름 이송롤(11)에 얹혀진 패널(P)을 도 6d와 같이 프레싱 롤러(42)쪽으로 계속 이송시키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2 패널 감지센서(62)가 패널(P)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패널(P)의 라미네이팅 시작부위가 프레싱 롤러(42)의 수직 하방에 도작하는 순간 상기한 필름 이송 유니트(10)를 다시 한번 정지시키는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다음, 이 신호를 받은 필름 이송 유니트(10)는 각각의 패널 이송롤(11)을 정지시키는 반면 상기 필름 프레싱 유니트(40)의 프레싱용 가압실린더(41)가 작동하여 도 6e와 같이 그 프레싱 롤러(42)를 수직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프레싱 롤러(42)의 요홈부(42b)가 패널(P)의 전위측 돌출부(p1)에 맞춤 삽입된다. 이때, 상기 프레싱 롤러(42)의 요홈부(42b) 모서리가 패널(P)의 돌출부(p1)와 평면부(p2) 사이의 직선면을 눌러주게 되어 감광필름(F)의 단부가 패널(P)의 라미네이팅 시작부위에 빠짐없이 접착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필름 이송 유니트(10)가 다시 작동하여 도 6f와 같이 패널(P)을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상기 프레싱 롤러(42)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널(P)의 상면에 얹히는 감광필름(F)을 가열하면서 눌러 접착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접착 롤러(32)의 일측에 구비된 필름 커터 유니트(50)가 작동하여 감광필름(F)을 적정길이로 미리 절단시키게 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프레싱 롤러(42)가 본접착을 시작하기 전 정지상태(도 6e 상태)에서 감광필름(F)을 절단할 수도 있다.
다음, 도 6g와 같이 상기 프레싱 롤러(42)가 완전히 1회전 하여 그 요홈부(42b)가 패널(P)의 후위측 돌출부(p1)에 맞춤 삽입되고 나면 도 6h와 같이 필름 이송 유니트(10)가 잠시 정지하여 상기한 프레싱 롤러(42)가 원위치로 복귀한 후에 다시 작동하여 패널(P)을 도출부로 인출함으로써 한 개의 패널(P)에 대한 감광필름 라미네이팅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프레싱 롤러(4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그 롤러(42)의 온도를 감지하는 접촉식 온도센서(70)에 의해 상기한 프레싱 롤러(42)의 공정온도가 감지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의 프레싱 롤러(42)가 적정온도로 필름(F)을 접착시키고 있는지 또는 적정속도로 회전을 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한 프레싱용 히터(41) 및 구동부(미도시)에 전달하므로 필름 라미네이팅 작업이 균일하게 이루어게 된다.
이후, 도 6i와 같이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10)를 통해 새로운 패널(P)이 필름 가접착 유니트(30)쪽으로 이송되어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패널(P)에 감광필름(F)을 연속적으로 접착시키게 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제시된 프레싱 롤러의 변형예 및 다른 실시예 들도 본 실시예와 유사하게 동작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하여, 돌출부를 갖는 패널에 감광필름을 자동으로 빈틈없이 접착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여유넓이가 필요없게 되어 재료비용의 상승을 방지하고 필름 라미네이션 공정의 자동화를 통해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는, 돌출부를 갖는 패널에 필름을 빈틈없이 접착시키도록 패널 이송 유니트와, 필름 공급 유니트와, 필름 가접착 유니트와, 프레싱 롤러를 갖는 필름 프레싱 유니트, 그리고 필름 커터 유니트로 구성하되 상기 프레싱 롤러에는 패널의 돌출부와 평면부 사이의 접점부위까지 필름이 빈틈없이 접착되도록 요홈부 또는 가압돌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를 갖는 패널에 필름을 접착시키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돌출부를 갖는 패널을 선형으로 연속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 유니트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패널에 접착될 필름을 연속 공급하는 필름 공급 유니트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의 중간에 설치되어 필름의 시작 부분만을 상기한 패널의 라미네이팅 될 선단에 접착시키는 필름 가접착 유니트와,
    상기 패널의 돌출부가 맞춤 삽입되는 요홈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그 돌출부와 평면부 사이의 접점부위를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접착된 필름을 패널의 평면부에 라미네이팅시키도록 프레싱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한 필름 가접착 유니트의 후위측에 배치되는 필름 프레싱 유니트와,
    상기 패널에 접착되는 필름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필름 커팅 유니트를 포함한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패널의 돌출부 양측의 직선면이 각각 대응되는 두 개의 직선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패널의 돌출부 양측의 직선면 중에서 어느 한쪽의 직선면에만 대응되는 한 개의 직선면을 갖도록 하여 복수개가 서로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롤러는 그 요홈부를 제외한 외주면의 길이가 패널의 평면부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5. 돌출부를 갖는 패널을 선형으로 연속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 유니트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패널에 접착될 필름을 연속 공급하는 필름 공급 유니트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의 중간에 설치되어 필름의 시작 부분만을 상기한 패널의 라미네이팅 될 선단에 접착시키는 필름 가접착 유니트와,
    상기 패널의 돌출부와 이에 연하는 평면부 사이의 접점부위로 삽입되는 가압돌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그 가압돌부가 접점부위를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접착된 필름을 패널의 평면부에 라미네이팅시키도록 프레싱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한 필름 가접착 유니트의 후위측에 배치되는 필름 프레싱 유니트와,
    상기 패널에 접착되는 필름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필름 커팅 유니트를 포함한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부는 패널의 돌출부 양측 직선면중에서 어느 한 쪽의 직선면에만 대응되도록 한 개의 직선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롤러는 그 가압돌부의 직선면을 중심으로 원주길이가 패널의 평면부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8. 필름 이송 유니트에 얹힌 돌출부를 갖는 패널을 필름 가접착 유니트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공급 유니트로부터 필름을 필름 가접착 유니트로 공급시키는 단계와,
    상기 패널 이송 유니트로부터 이송되는 패널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패널이 필름 가접착 유니트의 수직 하방에 도달한 위치에서 상기한 패널 이송 유니트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를 하강시켜 필름의 시작부위를 패널의 라미네이팅 될 선단에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를 복귀시키는 동시에 패널 이송 유니트를 다시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가접착 유니트를 통과한 패널의 위치를 다시 검출하여 그 패널이 필름 프레싱 유니트의 수직 하방에 도달한 위치에서 상기한 패널 이송 유니트를 다시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필름 프레싱 유니트를 하강시켜 필름의 시작부위를 가열 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이송 유니트를 다시 구동시키는 동시에 필름 프레싱 유니트의 프레싱 롤러를 패널의 이송방향에 순응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면서 필름을 패널의 평면부에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을 패널의 평면부 길이와 동일하게 미리 절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 접착후 패널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방법.
KR10-2000-0060327A 2000-10-13 2000-10-13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327A KR100380611B1 (ko) 2000-10-13 2000-10-13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327A KR100380611B1 (ko) 2000-10-13 2000-10-13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501A true KR20020029501A (ko) 2002-04-19
KR100380611B1 KR100380611B1 (ko) 2003-04-26

Family

ID=1969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327A KR100380611B1 (ko) 2000-10-13 2000-10-13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6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67B1 (ko) * 2012-07-27 2014-02-26 주식회사 신화플렉스 레이업 장치
KR20220040110A (ko) * 2020-09-23 2022-03-30 한국과학기술원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0493B2 (ja) 2008-02-05 2012-08-29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の転着方法
KR101084712B1 (ko) * 2009-12-30 2011-11-22 (주)오토엠아이티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003A (ja) * 1994-06-07 1995-12-22 Yazaki Corp ジョイント吸収回路体とその製造方法
JPH09130023A (ja) * 1995-10-27 1997-05-16 Fujitsu Ltd ドライフィルムラミネータ
KR100263553B1 (ko) * 1997-03-21 2000-08-01 안민혁 회로기판용 라미네이팅기
KR100261452B1 (ko) * 1998-05-21 2000-07-01 김순택 음극선관용 기능성 필름 및 이 기능성 필름 부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67B1 (ko) * 2012-07-27 2014-02-26 주식회사 신화플렉스 레이업 장치
KR20220040110A (ko) * 2020-09-23 2022-03-30 한국과학기술원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0611B1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5126B2 (ja) 積層フィルム貼合せ装置
JP4769165B2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H07101428A (ja) ラベル貼付け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ラベル台紙
WO2019064718A1 (ja) 定形パネルへの樹脂フィルム貼付けシステム
JP2007084200A (ja) 積層体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JP2008297027A (ja) 感光性ウエブ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テープ部材
KR100380611B1 (ko)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0263553B1 (ko) 회로기판용 라미네이팅기
WO2021026815A1 (zh) 薄膜处理系统以及撕膜装置的撕膜方法
CN111572160A (zh) 薄膜粘贴装置以及薄膜粘贴方法
JP2003127233A (ja) フィルム貼付方法及び装置
JP2008216295A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5209288A (ja) 貼り合わせ媒体製造装置
TW200900225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eeling photosensitive web
JP4898388B2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H0924922A (ja) 粘着ラベル貼付け装置
JP3781509B2 (ja) フィルム張付方法及び装置
JP4013341B2 (ja) 可動接点の装着装置
JPH04344237A (ja) 自動カッティングラミネータ
JP2022002996A (ja) 薄紙貼合方法および薄紙貼合機
JP2502014B2 (ja) 複合板の製造方法
JP3527616B2 (ja) フィルム張付方法
JP2003211620A (ja) フィルム貼付装置
JPH10151669A (ja) 基板にフォトレジストフィルムをラミネートする方法およびラミネータ
JPS6029051Y2 (ja) 帳票類への短片磁気テ−プ自動貼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