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712B1 -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 Google Patents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712B1
KR101084712B1 KR1020090134562A KR20090134562A KR101084712B1 KR 101084712 B1 KR101084712 B1 KR 101084712B1 KR 1020090134562 A KR1020090134562 A KR 1020090134562A KR 20090134562 A KR20090134562 A KR 20090134562A KR 101084712 B1 KR101084712 B1 KR 101084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functional film
substrate
present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886A (ko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주)오토엠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엠아이티 filed Critical (주)오토엠아이티
Priority to KR1020090134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7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LED 기판(10)상에 일정한 거리 및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형 LED 램프(11)가 장착되되, 이 LED 램프(11)의 간섭을 피해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15)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부착기(20)(30)의 표면에는 음각으로 LED 램프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요홈(21)(3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요철 형태를 가진 엘이디(LED) 기판상에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을 기포 없이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엘이디(LED)기판, 기능성필름, 부착기.

Description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A LED board functional film adhesion device}
본 발명은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철 형태를 가진 엘이디(LED) 기판상에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을 기포 없이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모니터, 대형 디지털 TV, HMD (Head Mount Display),캠코더(Camcoder), 핸드폰 등의 디스플레이로써 사용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r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등의 디스플레이용 패널에는 편광필름(Polarizer film) 또는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이 부착되어 각 디스플레이의 광 특성을 결정짓게 된다.
상기와 같은 편광필름(Polarizer film) 또는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은 빛 가운데서 일정한 방향의 빛은 통과시키되 나머지 빛은 반사시켜 버리는 기능성기능의 성질을 보유한 필름을 다층으로 복합시켜 디스플레이에 이용하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성필름의 일반적인 구조 및 역할은 다음과 같다.
즉, 편광필름 또는 기능성필름은 입사광을 서로 직교하는 2가지 기능성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쪽만을 통과시켜 다른 성분을 흡수 또는 분산시키는 것으로, LCD 등에 사용되는 편광필름 또는 기능성필름은 입사광을 기능성시키는 고분자 기능성 매질을 중심으로 지지체 TAC(Triacetyl-cellulose)를 기능성 매질의 양쪽에 사용하고, 접착층은 편광필름 또는 기능성필름을 보호필름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측 표면에는 저반사층인 AG(Anti-Glare) 혹은 AR(Anti-Reflection) 코팅층과 보호막이 있다.
전술한 LCD 모듈의 백라이트(backlight)에서 나오는 빛은 그 진동 방향이 모든 방향으로 같은 확률을 가진다. 편광필름 또는 기능성필름은 이러한 빛 중에서 기능성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적당한 매질을 이용하여 흡수 또는 반사하여 특정한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편광필름 또는 기능성필름은 액정 셀의 양면에 기능성필름의 기능성축이 서로 직교 또는 평행하도록 부착되기 때문에 액정 셀을 통과하는 동안 기능성축의 회전 정도에 따라 투과광의 세기가 조절되어 블랙(black)과 화이트(white) 사이의 그레이(gray)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기능성필름은 TN Mode LCD의 필수 부품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편광필름 또는 기능성필름을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r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등의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양측면에 부착시키는 작업은 매우 정밀하고도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편광필름 또는 기능성필름을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양측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된 기능성필름 부착기(100)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능성필름 부착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기능성필름을 정렬시켜 유지하는 기능성필름 흡착 스테이지(110)(폴 유닛[POL UNIT]이라고도 함), 디스플레이용 패널을 안착하여 기능성필름 흡착 스테이지로 이동시키는 패널 흡착 스테이지(120)(패널 유닛[PANEL UNIT]이라고도 함) 및 기능성필름을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롤러 유닛(ROLLER UNIT)(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LED TV(Light Emitting Diode Television)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상기 LED TV는 LCD TV의 일종으로 광원을 냉음극형광램프(CCFL)대신 발광다이오드(LED)로 바꾼 것을 말한다. 이를 LED BLU(Back Light Unit)이라고 한다.
상기 LED(Light Emitting Diode : 발광다이오드)는‘빛을 내는 반도체’로서 일반 전자기기의 표시등 이나 숫자 표시에 사용됨으로써 우리 생활에 친숙해졌다. 초창기에는 낮은 휘도와 색깔의 한계가 있었으나 현재 새로운 LED 원재료와 진보된 생산기술로 백색을 포함한 가시광선 영역의 모든 색깔의 고휘도 LED가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휘도, 고효율, 다양한 색깔의 LED는 이미 선진국 및 국내에서 대형 전광판, 비상유도등, 교통신호등, 승용차 및 트럭의 각종 전조등, 라이트에까지 응용되고 있다.
상가와 같은 LED TV는 광변환 효울이 높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매우 적다.(전구의 1/8, 형광등의 1/2) 또한 작은 광원이기 때문에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수명이 길다. (50~100배) 또한 열적 방전적 발광이 아니기 때문에 여열 시간이 불필요하며 점등, 소등 속도가 매우 빠르다. 또한 Gas, Filament가 없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고 안전하다. 또한 반영구적인 사용이기 때문에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형광등과 같은 수은, 방전용 Gas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상기와 같이 유용한 LED TV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래의 기술인 롤러 유닛(ROLLER UNIT)(130)으로는 LED TV를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LED 기판상에는 일정한 거리 및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형 LED 램프가 장착되어 요철을 형성하는데 종래의 단순 매끈한 원형 로울러로는 기판상에 기능성필름을 기포가 없이 부착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부착기의 표면에 음각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으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되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요철 형태를 가진 엘이디(LED) 기판상에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을 기포 없이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LED 기판상에 일정한 거리 및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형 LED 램프가 장착되되, 이 LED 램프의 간섭을 피해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부착기의 표면에는 음각으로 LED 램프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요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착기의 표면에 음각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으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요철 형태를 가진 엘이디(LED) 기판상에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을 기포 없이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 부착기는 도 2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기능성필름 부차기(50)에 부착기(20)(3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부착기(20)(30)의 보다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이하에서와 같다.
즉, LED 기판(10)상에 일정한 거리 및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형 LED 램프(11)가 장착되되, 이 LED 램프(11)의 간섭을 피해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15)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부착기(20)(30)의 표면에는 음각으로 LED 램프(11)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요홈(21)(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홈(21)(31)이 형성된 부착기(20)(30)의 표면에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우레탄 경도 90으로 표면연마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부착기(20)의 형상은 제1실시예로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울러인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제2실시예로 도 7 (a)(b)(c)(d)(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기(30)의 형상은 반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요홈(21)(31)은 가로 3.5∼4mm, 세로 1∼1.4mm, 깊이 2.8∼3.2mm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히 가로 3.8mm, 세로 1.2mm, 깊이 3mm ±0.5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요홈(21)(31)은 원형, 삼각, 사각,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부착기(30)의 상단 양측에는 브라켓트(32)가 돌출되고, 이 브라켓트(32)의 상단에는 부착기작동부재(40)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되게 힌지축(33)이 축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 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요철 형태를 가진 엘이디(LED) 기판상에 기능성필름(예: 반사판 등)을 기포 없이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와 도 7 (a)(b)(c)(d)(e)에 도시된 제2실시예로 구성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먼저,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LED 기판(10)상에 일정한 거리 및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형 LED 램프(1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LED 램프(11)가 돌출된 LED 기판(10)상에 기능성필름(15)을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성필름(15)을 부착시키는 부착기(20)의 표면에도 음각으로 요홈(21)이 형성되어야만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LED 램프(11)의 간섭을 피해 기능성필름(15)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부착기(20)의 표면에는 음각으로 LED 램프(11)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요홈(21)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도 8(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기판(10) 상에 로울러 형상의 부착기(20)가 기능성필름(15)를 누르게 되면 부착기(20)에 형성된 요홈(21)이 LED 램프(11)의 간섭을 피함과 아울러 실제 기능성필름(15)이 부착되는 요철이 없는 부분은 부착 로울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눌려 부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로울러 형상의 부착기(20)는 부착기 작동부재(40)를 따라 이동하면서 기능성필름(15)을 부착시키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은 LED 램프(11)에 의해 요철 형태를 가진 LED 기판(10) 상에 기능성필름(15)을 기포 없이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 (a)(b)(c)(d)(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기술적 구성으로 LED 기판(10) 상에 기능성필름(15)을 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2실시예도 도 8(a)(b)를 보면서 설명하면, 반달모양의 부착기(30)의 표면에는 음각으로 요홈(31)이 형성된 것으로, LED 기판(10) 상에 반원 형상의 부착기(30)가 기능성필름(15)를 누르게 되면 부착기(30)에 형성된 요홈(31)이 LED 램프(11)의 간섭을 피함과 아울러 실제 기능성필름(15)이 부착되는 요철이 없는 부분은 부착 로울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눌려 부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착기(30)는 상단 양 브라켓트(32)에 힌지축(33)이 연결된 것으로, 이 힌지축(33)이 부착기 작동부재(40)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부착기(20)(30)의 표면에는 우레탄 경도 90으로 표면연마 처리된 것으로, 이는 부착기(20)(30)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변함이 없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요홈(21)(31)은 가로 3.5∼4mm, 세로 1∼1.4mm, 깊이 2.8∼3.2mm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LED 램프(11)의 가로, 세로, 높이에 의해 결정된 것이고, 필요에 따라 상기 치수는 LED 램프(11)의 크기에 따라 가감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요홈(21)(31)은 LED 램프(11)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원형, 삼각, 사각, 다각 형상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기능성필름 부착장비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의 요부 사
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능성필름 부착기만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기능성필름 부착기를 이용한 작동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 기능성필름 부착기의 확대 사시도.
도 7 의 (a)(b)(c)(d)(e)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8 의 (a)는 본 발명 기능성필름 부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 부착기로 기판에 기능성필름을 부착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엘이디(LED)기판
20, 30: 부착기
21. 31: 요홈
40: 부착기 작동부재
50: 기능성필름 부착기

Claims (7)

  1. 삭제
  2. LED 기판(10)상에 일정한 거리 및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형 LED 램프(11)가 장착되되, 이 LED 램프(11)의 간섭을 피해 기능성필름(예: 반사판)(15)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로울러인 원통형 또는 반원형 형상의 부착기(20)(30)의 표면에는 음각으로 LED 램프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요홈(21)(31)이 형성된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에 있어서,
    상기 요홈(21)(31)이 형성된 부착기(20)(30)의 표면에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우레탄 경도 90으로 표면연마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30)의 상단 양측에는 브라켓트(32)가 돌출되고, 이 브라켓트의 상단에는 부착기작동부재(40)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되게 힌지축(33)이 축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KR1020090134562A 2009-12-30 2009-12-30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KR101084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62A KR101084712B1 (ko) 2009-12-30 2009-12-30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62A KR101084712B1 (ko) 2009-12-30 2009-12-30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886A KR20110077886A (ko) 2011-07-07
KR101084712B1 true KR101084712B1 (ko) 2011-11-22

Family

ID=4491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562A KR101084712B1 (ko) 2009-12-30 2009-12-30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98B1 (ko) 2013-06-21 2019-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부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611B1 (ko) * 2000-10-13 2003-04-26 오티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611B1 (ko) * 2000-10-13 2003-04-26 오티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886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6846B2 (en) Backlight module,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backlight module
JP4174687B2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7722225B2 (en)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ffuser employed in the same
US20120120680A1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CN104832837A (zh) 背光模组及显示器
US7993029B2 (en) Backlight module
KR101777528B1 (ko) 백라이트 모듈 및 백라이트 모듈을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TW200606523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reflecting member for the same
KR20220002055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JP4399483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60092968A (ko) 표시 패널 유닛 및 표시 장치
JP2010078980A (ja) 光制御スタ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表示装置
EP3382446B1 (en) Display device
KR101084712B1 (ko) 엘이디(led)기판용 기능성필름 부착기
CN102121606A (zh) 一种发光单元及背光模块
CN109521516B (zh) 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
CN102588832B (zh) 一种带光扩散组件的背光源模组
JP2011158877A (ja)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
WO2013088594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540362B (zh) 具有光學功能膜之雙面顯示模組
WO2014180102A1 (zh) 反射片、直下式背光模组及显示装置
TWM341857U (en) A flat panel display capable of multi-sided viewings and its back light module
US7511773B2 (en) Polarized light conversion apparatus
US201901136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module
WO2007029411A1 (ja) 光源保持具、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