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939A - 편조장치용 케리어 - Google Patents

편조장치용 케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939A
KR20020028939A KR1020020006887A KR20020006887A KR20020028939A KR 20020028939 A KR20020028939 A KR 20020028939A KR 1020020006887 A KR1020020006887 A KR 1020020006887A KR 20020006887 A KR20020006887 A KR 20020006887A KR 20020028939 A KR20020028939 A KR 20020028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guide
coupling
pin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임선
Original Assignee
김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임선 filed Critical 김임선
Priority to KR102002000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8939A/ko
Publication of KR2002002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48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조장치용 케리어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판(620) 및 이송기어(610)에 결합되는 결합수단(100)과;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편조사가 감겨진 보빈(630)이 회동되게 결합되는 본체부(200)와; 보빈(630)에 감겨진 편조사의 장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유동되어 편조사의 스트로크를 제어시키는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300)과; 상기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300)과 편조사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편조사의 장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유동되어 편조사의 스트로크를 제어시키는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400); 그리고, 상기 보빈(630)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과 걸림되며,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400)의 상측유동에 의해 상기 홈과의 걸림을 해제 제어시키는 풀림제어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편조사의 풀림이 용이하게 제어되며, 편조사가 당겨진 상태의 거리(스트로크)가 길어 일반적인 원형 브레이드 및 다각형 브레이드 등의 제작 시, 케리어의 궤도운동이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편조장치용 케리어{carrier for braiding machine}
본 발명은 브레이드 편조장치용 케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조사가 감겨지고 가이드판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케리어의 스트로크를 크게 하여 궤도의 형태에 관계 없이 편조가 이루어지는 편조장치용 케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드 용 편조기는 가이드판에 형성된 궤도내에 수용된 케리어에 감겨진 편조사의 풀림에 의해 브레이드가 편조되는 것이다. 상기 케리어에는 편조사가 감겨져 있는 바, 케리어가 소정의 궤도를 움직임과 동시에 편조사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편조사가 풀려지면서 편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브레이드 편조장치용 케리어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174798호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작동 시 보빈(1)에 감겨있는 선재가 잡아당겨질 때 가이드로라(2a),(2b), 다이스(3) 순서로 걸려있는 선재의 힘에 의하여 멈치눌림쇠(4)가 아래로 하강하여 멈치(5)를 뒤로 밀어주어 멈치(5)와 고정되어 있는 크러치케이스(6) 속의 사각면스프링(7)이 역회전 하므로 꽉 맞물려 있던 보빈아답터(8)을 느슨하게 풀어주어 보빈아답터와 고정되어 있는 보빈이 돌며 선재를 풀어주고 텐션스프링(11)의 힘으로 적당한 장력을 주어 제품을 편조 할 수 있으며, 기계가 멈추고 멈치눌림쇠(4)가 위로 올라가면 사각면스프링(7)은 자동적으로 회전운동하여 보빈아답터(8)와 맞물리게 되어 선재의 풀림을 막아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첫째, 상기 보빈은 보빈아답터와 사각면스프링의 접촉에 의해 회전이 제어됨으로써, 접촉이 불량한 경우 선재가 무단으로 풀려나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선재가 당겨진 상태의 거리(스트로크)는 상기 텐션스프링의 압축된 거리에 비례하게 되므로 스트로크가 길지 못하여 케리어의 궤도운동에 제한을 받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편조사의 풀림이 용이하게 제어되며, 편조사가 당겨진 상태의 거리(스트로크)가 길게 제어하여 케리어의 궤도운동이 자유로운 편조장치용 케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발명에 따른 케리어의 사시도.
도2 - 분해사시도.
도3 - 편조사가 당겨지지 않은 케리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4 - 편조사가 당겨진 상태에서의 케리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5 - 케리어가 설치된 형상을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6 - 종래기술에 따른 케리어의 사시도.
도7 - 종래기술에 따른 멈치눌룸쇠가 하강하여 멈치를 밀어주는 모습을 보인도.
도8 - 도7의 원안에 사각면 스프링이 내장된 모습을 보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결합수단 110 : 상면판
120 : 안내돌기 130 : 하면판
140 : 수용돌부 200 : 본체부
210 : 프레임 211 : 돌출부
212 : 통공 213 : 돌출결합부
220 : 수용부재 230 : 고정부재
231 : 제1고정핀 232 : 제2고정핀
300 :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 310 : 가이드부재
311 : 고정편 320 : 가이드편
321 : 가이드홈부 330 : 고정핀
340 : 탄성스프링 400 :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
410 : 회동돌조 420 : 회동핀
421 : 코일스프링 430 : 회동제어부재
431 : 결합부 432 : 날개부
433 : 고정부 435 : 결합공
440 : 탄성조절판 441 : 결합돌기
450 : 고정핀 500 : 풀림제어수단
510 : 압축스프링 520 : 조절핀
530 : 풀림조절부재 531 : 스토퍼
532 : 결합날개 533 : 압박부
540 : 풀림접촉편 610 : 이송기어
611 : 수용홈부 620 : 가이드판
630 : 보빈 640 : 볼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이드판 및 이송기어에 결합되는 결합수단과;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편조사가 감겨진 보빈이 회동되게 결합되는 본체부와; 보빈에 감겨진 편조사의 장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유동되어 편조사의 스트로크를 제어시키는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과; 상기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과 편조사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편조사의 장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유동되어 편조사의 스트로크를 제어시키는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 그리고, 상기 보빈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과 걸림되며,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의 상측유동에 의해 상기 홈과의 걸림을 해제 제어시키는 풀림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판의 상면에접촉되는 상면판과; 상기 상면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가이드판에 형성된 궤도에 수용되며 궤도를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의 하면에 형성되며 가이드판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면판; 그리고, 상기 하면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기어에 형성된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수용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면판의 상측에 결합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외향돌출되게 형성되어 보빈이 회동되게 수용 결합되는 수용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재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편조사가 걸림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고정편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상하로 유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가이드를 받아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편에 돌출형성되어 보빈에 감겨진 편조사가 걸림되는 고정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은, 상기 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회동돌조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돌조의 통공내부로 삽입되는 회동핀과; 단부에 편조사가 걸림되는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핀에의해 상기 회동돌조에 결합되어 탄정적으로 회동되는 회동제어부재; 그리고, 상기 회동제어부재에 결합되는 탄성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핀 내부에는 상기 회동제어부재에 하향 회동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이 수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회동돌조의 일측관통공에 삽입되는 볼트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조절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제어부재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핀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된 날개부; 그리고,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핀이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조절판은 일측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제어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림제어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전달받아 유동되는 조절핀과; 일단에는 상기 보빈의 홈과 걸림/해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조절핀의 유동력을 전달받는 압박부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회동핀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측면에 결합날개가 형성된 풀림조절부재; 그리고, 상기 회동제어부재의 결합부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날개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제어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결합날개를 밀어내는 풀림접촉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편조사의 풀림이 용이하게 제어되며, 편조사가 당겨진 상태의 거리(스트로크)가 길어 일반적인 원형 브레이드 및 다각형 브레이드 등의 제작 시, 케리어의 궤도운동이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케리어의 사시도이고, 도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편조사가 당겨지지 않은 케리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편조사가 당겨진 상태에서의 케리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는 케리어가 설치된 형상을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조장치용 케리어는 크게 결합수단(100)과, 본체부(200)와,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300)과,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400) 그리고 풀림제어수단(500)으로 구성된다.
먼저 결합수단(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결합수단(100)은 케리어를 이송기어(610) 및 가이드판(620)의 궤도에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크게 상면판(110)과, 안내돌기(120)와, 하면판(130) 그리고 수용돌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판(110)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구성되며 가이드판(620)의 상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판(11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안내돌기(120)가 형성되는 바, 상기 안내돌기(120)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은 상기 상면판(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하면은 후술하는 하면판(13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판(620)에형성된 궤도에 수용되어 궤도를 따라 케리어가 유동하도록 안내시킨다.
상기 하면판(130)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원판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돌기(12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620)의 하면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면판(120)의 저면에는 원통형상으로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수용돌부(140)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돌부(140)가 이송기어(610)에 형성된 수용홈부(611)에 수용되어 이송기어(610)의 회전에 의해 일측 이송기어(610)에서 타측 이송기어(610)로 이송된다.
즉, 이송기어(5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돌부(140)가 다른 이송기어(610)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판(520)에 형성된 궤도를 따라 결합수단(100)이 이송됨에 의해 케리어 전체가 특정 궤도를 따라 움직이게 되어, 원하는 편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결합수단(1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판(110)과 볼트/너트에 의해 결합되며 후술하는 제1,제2 스트로크 제어수단(300)(400) 및 풀림제어수단(500)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부(200)는 크게 프레임(210)과, 수용부재(220)와, 고정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10)은 대략 기둥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측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21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11)에 후술하는 고정부재(2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수용부재(220)가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재(220)에 보빈(63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630)은 외주면에 편조사가 감겨 있으며 하단부에는 원주면을 따라 요철형상의 홈(미도시)이 다수개 형성되어 후술하는 풀림조절부재의 스토퍼가 상기 홈에 결합/해제됨에 의해 상기 보빈의 회전 즉, 편조사의 풀림여부가 제어된다.
상기 수용부재(220)는 원주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1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재(220)에 보빈(630)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230)는 원주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1)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230)의 대략 중앙부에는 편조사가 걸림되는 제1고정핀(23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재(230)의 상단부에도 또한 편조사가 걸림되는 제2고정핀(232)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10)의 대략 중앙부에는, 중앙부에 관통된 통공(212)이 형성되며 좌,우측으로 소정 돌출된 후술하는 회동돌조(410)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돌조(410)에 후술하는 회동제어부재(430) 및 풀림조절부재(530)가 결합된다.
그리고 회동돌조(410) 하측에는 내부로 소정깊이 만큼 함몰된 형상의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압축스프링(510) 및 조절핀(520)이 삽입 결합된다.
또한 회돌돌조(410)의 상측에는 포크형상으로 돌출된 돌출결합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결합부(213) 사이로 후술하는 풀림조절부재(530)의 스토퍼(531)가 관통 결합된다
상기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300)은 크게 가이드부재(310)와, 가이드편(320)과, 고정핀(330)과, 탄성스프링(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원주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30)와 평행하게 소정 이격되어 상기 고정부재(230)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결합은 상기 가이드부재(310) 및 상기 고정부재(23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고정편(311)에 각각 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310)가 상기 고정부재(230)에 안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1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원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310)를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가이드편(3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320)에는 단부에 가이드홈부(321)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321)측으로 상기 고정부재(230)가 삽입 접촉됨에 의해 상기 가이드편(320)이 상하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230)의 안내를 받아 가이드편(320)이 안정되게 상하로 유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편(32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고정핀(330)이 형성되어 상기 보빈(630)에 감겨진 편조사가 상기 고정핀(330)에 걸림된다.
상기 가이드편(320)의 상하 유동은 탄성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바,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탄성스프링(340)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스프링(3400은 상기 하부고정편을 일측지지체로 하고 상기 가이드편(320)을 타측지지체로 하여 탄성적으로 압축/팽창하여 상기 가이드편(320)이 탄성적으로 상하 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편조사의 스트로크를 조절시킨다.
상기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400)은 크게 회동돌조(410)와, 회동핀(420)과, 회동제어부재(430)와, 탄성조절판(440)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핀(450)에 편조사가 걸림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제어부재(430)가 탄성적으로 상하로 유동됨에 의해 상기 보빈(630)에 감겨진 편조사의 스트로크를 제어시킨다.
상기 회동돌조(410)는 상기 프레임(210)의 대략 중앙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관통된 통공(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돌조(410)의 통공(212) 내부에는 회동핀(420)이 삽입 결합되는 바, 상기 회동핀(420)은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돌조(410)의 통공(212) 내부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회동제어부재(430) 및 풀림조절부재(530)가 회동핀(420)에 회동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핀(420) 내부에는 코일스프링(421)이 삽입 결합되며 코일스프링(421)의 일측은 회동돌조(410)의 통공(212) 내부로 삽입되는 볼트(640)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탄성조절판(440)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제어부재(430)는 결합부(431)와, 날개부(432)와, 고정부(433)로 구성되며 고정부(433)에 절곡된 고정핀(450)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핀(450)에 편조사가 걸림되어 편조사의 장력이 회동제어부재(430)가 상측으로 소정 회동되는 회동력의 기본이 된다.
상기 결합부(43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한조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돌조(410)에 각각 접촉됨과 동시에 회동핀(420)에 의해 회동돌조(410)에 회동되게 결합된다.그리고 상기 결합부(431)에는 외주면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형상의 풀림접촉편(54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풀림조절부재(530)의 결합날개(532)와 접촉되어 회동제어부재(430)의 상향회동시 결합날개(532)를 밀어낸다.
상기 날개부(432)는 상기 결합부(4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10)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두 갈래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두 갈래의 날개부(432)를 연결하는 형상으로 날개부(432)의 단부에 고정부(43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33)의 단부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고정핀(45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450)에 편조사가 걸림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결합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결합공(43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435)에 후술하는 탄성조절판(440)의 결합돌기(441)가 삽입된다.
상기 탄성조절판(440)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421)의 타측이 상기 탄성조절판(440)을 관통하여 탄성조절판(44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조절판(440)의 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결합돌기(44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41)가 상기 결합부(431)에 형성된 결합공(435)에 삽입됨에 의해 탄성조절판(440)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의 결합부(431)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의 상향 회동력은 상기 고정핀(450)에 걸림된 편조사의 당김에 의한 장력에 의해 제공되지만, 상기 하향 회동력은 후술하는 코일스프링(4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공급된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421)이 상기 볼트(640)와 상기 탄성조절판(4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조절판(440)을 소정 회동시켜 탄성조절판(440)을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의 결합부(431)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421)의 탄성력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에 전달되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의 하향 회동력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
상기 풀림제어수단(500)은 크게 압축스프링(510)과, 조절핀(520)과, 풀림조절부재(530) 그리고 풀림접촉편(5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510)은 상기 프레임(210)에 형성된 홈부(미도시)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조절핀(520)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스프링(510)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후술하는 압박부(533)를 밀어내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풀림조절부재(530)는 중앙부가 상기 회동핀(420)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압박부(533)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핀(520)에 접촉되어 조절핀(520)을 통하여 전달된 압축스프링(510)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밀려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단부에는 막대형상의 스토퍼(531)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531)가 상기 프레임(210)의 돌출결합부(213) 사이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빈(630)의 홈(미도시)에 끼이게 되어 보빈(630)이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531)의 하측에 소정 이격되어 양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의 결합날개(532)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의 결합부(431) 외주면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형상의 풀림접촉편(540)과 접촉되어 상기 편조사의 장력에 의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풀림접촉편(540)도 연동되어 상기 결합날개(532)를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풀림조절부재(530)의 상측이 프레임(210)으로 부터 소정 이격되어 상기 스토퍼(531)가 상기 보빈(630)의 홈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보빈(630)은 편조사의 장력에 의해 회전되어 편조사가 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압박부(533)는 상기 프레임(210)측으로 접근하게 되어 상기 조절핀(520)을 미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내부중심의 심사 외주면에 다수의 편조사를 엮기 위해 심사를 준비하고 상기의 심사를 별도의 롤러에 의해 권취시키면 브레이드가 완성되는 바, 가이드판(620) 및 이송기어(610)에 다수의 케리어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케리어가 이송기어(61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판(620)에 형성된 궤도를 따라 움직이며 심사 외주면에 편조사가 엮어져 브레이드가 완성된다.
상기의 편조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케리어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보빈(630)이 설치된 케리어가 상기 가이드판(620) 및 이송기어(610)에 설치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케리어가 가이드판(62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보빈(630)에 감겨진 편조사가 상기 고정부재(230)의 제1고정핀(231)에 걸림되고,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에 형성된 고정핀(450)에 걸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편(320)의 고정핀(330)으로 연결되어 걸림되며, 다시 상기 고정부재(230)의 제1고정핀(231)에 연결된 후, 상기 고정부재(230)의 제2고정핀(232)으로 연결되어 상기 심사의 외주면을 따라 편조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케리어가 가이드판(620)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동안에 궤도의 가장자리로 움직이는 경우에, 상기 심사가 감겨진 롤러와의 거리는 최대로 멀어지게 되며 편조사에는 장력이 작용하게 되며 상기 보빈(630)에 감겨진 편조사는 자연스럽게 풀어져야 한다.
상기 편조사가 풀리는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편조사의 장력은 상기 고정부재(230)의 제2고정핀(232)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편(320)에 형성된 고정핀(330)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편조사의 장력이 상기 탄성스프링(340)의 탄성력 보다 크게 되어 상기 가이드편(320)이 상기 고정부재(230)를 따라 하측으로 소정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편조사는 상기 가이드편(320)에 형성된 고정핀(330)에 걸림되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에 형성된 고정핀(450)에 연결된 바, 상기 편조사의 장력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에도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제어부재(430)는 상측으로 소정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이드편(320)이 하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제어부재(430)가 상측으로 회동됨에 의해 상기 편조사의 스트로크는 길어지게 되어 계속적인 편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의 상측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의 결합부(431)에 형성된 풀림접촉편(540)도 소정회동되어 상기 풀림조절부재(530)의 결합날개(532)를 밀게 되고, 상기 결합날개(532)가 밀림에 의해 상기 풀림조절부재(530)가 소정 회동되어 상기 풀림조절부재(530)의 스토퍼(531)가 상기 보빈(630)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서 이탈되게 된다. 상기 스토퍼(531)의 이탈에 의해 상기 보빈(630)은 걸림 해제 상태가 되어 상기 편조사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보빈(630)에 감겨진 편조사가 소정 풀리게 된다.
편조사가 풀리게 되면 상기 편조사에 작용되는 장력은 줄어들게 된다. 장력이 감소되면 상기 회동제어부재(430)는 코일스프링(421)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서서히 회동되며, 상기 가이드편(320) 역시 탄성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서서히 이동된다. 이때 상기 회동제어부재(430)의 하측 회동에 의해 상기 풀림접촉편(540)도 회동되므로 상기 결합날개(532)에 가해지는 접촉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풀림조절부재(530)는 프레임(210)의 홈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21)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프레임(210)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풀림조절부재(530)의 스토퍼(531)가 상기 보빈(6300의 홈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보빈(630)을 잠금하게 되어 상기 보빈(630)의 회전은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의해 심사의 외주면에 편조사가 얽히게 되어 브레이드가 편조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제1,제2스트로크 제어수단의 연동에 의해 편조사의 스트로크가 길어짐에 의해 일반적인 원형 브레이드 및 다각형 브레이드 등의 제작 시, 궤도에 관계없이 안정된 편조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토퍼에 의해 상기 보빈의 회전이 제어되므로 편조시 편조사의 장력이 일정하게 전달되어 편조되는 브레이드의 품질이 균일하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의 잠금/해제가 스토퍼에 의해 제어됨에 의해 보빈이 회전이 균일하게 제어된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10)

  1. 가이드판 및 이송기어에 결합되는 결합수단과;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편조사가 감겨진 보빈이 회동되게 결합되는 본체부와;
    보빈에 감겨진 편조사의 장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유동되어 편조사의 스트로크를 제어시키는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과;
    상기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과 편조사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편조사의 장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유동되어 편조사의 스트로크를 제어시키는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 그리고,
    상기 보빈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과 걸림되며,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의 상측유동에 의해 상기 홈과의 걸림을 해제 제어시키는 풀림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판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면판과;
    상기 상면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가이드판에 형성된 궤도에 수용되며 궤도를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의 하면에 형성되며 가이드판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면판; 그리고,
    상기 하면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기어에 형성된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수용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면판의 상측에 결합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외향돌출되게 형성되어 보빈이 회동되게 수용 결합되는 수용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재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편조사가 걸림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4. 제1항에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로크 제어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고정편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상하로 유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가이드를 받아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편에 돌출형성되어 보빈에 감겨진 편조사가 걸림되는 고정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로크 제어수단은,
    상기 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회동돌조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돌조의 통공내부로 삽입되는 회동핀과;
    단부에 편조사가 걸림되는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핀에 의해 상기 회동돌조에 결합되어 탄정적으로 회동되는 회동제어부재; 그리고,
    상기 회동제어부재에 결합되는 탄성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핀 내부에는 상기 회동제어부재에 하향 회동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이 수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회동돌조의 일측관통공에 삽입되는 볼트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조절판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부재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핀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된 날개부; 그리고,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핀이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판은 일측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제어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제어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전달받아 유동되는 조절핀과;
    일단에는 상기 보빈의 홈과 걸림/해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조절핀의 유동력을 전달받는 압박부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회동핀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측면에 결합날개가 형성된 풀림조절부재; 그리고,
    상기 회동제어부재의 결합부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날개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제어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결합날개를 밀어내는 풀림접촉편;을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장치용 케리어.
KR1020020006887A 2002-02-06 2002-02-06 편조장치용 케리어 KR20020028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887A KR20020028939A (ko) 2002-02-06 2002-02-06 편조장치용 케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887A KR20020028939A (ko) 2002-02-06 2002-02-06 편조장치용 케리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957U Division KR200275972Y1 (ko) 2002-02-07 2002-02-07 편조장치용 케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939A true KR20020028939A (ko) 2002-04-17

Family

ID=1971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887A KR20020028939A (ko) 2002-02-06 2002-02-06 편조장치용 케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89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25B1 (ko) * 2009-08-20 2011-09-21 권혁주 태양광 발전기용 캐리어라인 편조기
CN103132235A (zh) * 2013-03-20 2013-06-05 新昌县本发机电有限公司 编织机锭子的张力控制及刹车装置
CN104153117A (zh) * 2014-08-29 2014-11-19 青岛华凯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编织机锭子装置
CN110820162A (zh) * 2019-11-16 2020-02-21 利辛县富亚纱网有限公司 一种纱网生产加工用间距可调节的导向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554Y1 (ko) * 1978-06-16 1981-10-26 슈우스께 고꾸분 스프링을 이용한 편조기용 캐리어에 있어서의 장력용 스프링 보호장치
KR890002782Y1 (ko) * 1986-05-24 1989-05-06 성금영 압동식 비료 주입기
JPH01161287U (ko) * 1988-04-28 1989-11-09
KR200174798Y1 (ko) * 1997-11-14 2000-04-01 이시영 사각면 스프링 크러치방식의 편조기 케리어
KR20010068325A (ko) * 2000-01-04 2001-07-23 김임선 다각 편조된 브레이드 및 그 편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554Y1 (ko) * 1978-06-16 1981-10-26 슈우스께 고꾸분 스프링을 이용한 편조기용 캐리어에 있어서의 장력용 스프링 보호장치
KR890002782Y1 (ko) * 1986-05-24 1989-05-06 성금영 압동식 비료 주입기
JPH01161287U (ko) * 1988-04-28 1989-11-09
KR200174798Y1 (ko) * 1997-11-14 2000-04-01 이시영 사각면 스프링 크러치방식의 편조기 케리어
KR20010068325A (ko) * 2000-01-04 2001-07-23 김임선 다각 편조된 브레이드 및 그 편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25B1 (ko) * 2009-08-20 2011-09-21 권혁주 태양광 발전기용 캐리어라인 편조기
CN103132235A (zh) * 2013-03-20 2013-06-05 新昌县本发机电有限公司 编织机锭子的张力控制及刹车装置
CN104153117A (zh) * 2014-08-29 2014-11-19 青岛华凯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编织机锭子装置
CN110820162A (zh) * 2019-11-16 2020-02-21 利辛县富亚纱网有限公司 一种纱网生产加工用间距可调节的导向设备
CN110820162B (zh) * 2019-11-16 2021-03-19 利辛县富亚纱网有限公司 一种纱网生产加工用间距可调节的导向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089B2 (en) String length adjusting device
TWI665351B (zh) 具有多重線軸環的編織機
US10874175B2 (en) Device for adjusting length of string
KR101744597B1 (ko) 낚시용 릴
CN112969379B (zh) 带调节装置
EP2921584B1 (en) Under-thread supply device for sewing machine
CN102027894A (zh) 钓鱼卷线筒的制动系统
KR20130053552A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20020028939A (ko) 편조장치용 케리어
KR200275972Y1 (ko) 편조장치용 케리어
EP3254579A1 (en) Sports shoe, in particular for cycling
JP6462934B2 (ja) 編組機
KR101576034B1 (ko) 브레이딩기용 얀캐리어
KR20110110615A (ko) 줄 길이 조절장치
WO2014196024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連続エレメント列成型装置の芯紐供給装置
JP4492595B2 (ja) ブレイディングキャリア
JP7109053B2 (ja) 織り機玩具
CN207738943U (zh) 一种纱线架
CN208430280U (zh) 一种用于大圆机的出纱角度可调喂纱嘴
JPS5857532B2 (ja) 編機の給糸交換装置
CS257758B2 (en) Weft brake for shuttless loom
SU1613000A3 (ru) Направл ющий механизм верхней нитки швейной машины
JP4013228B1 (ja) ブレードマシン用キャリヤー
CA27245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ployment of curtains
CN217733395U (zh) 一种新型雪尼尔回转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