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036A -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036A
KR20020028036A KR1020000058917A KR20000058917A KR20020028036A KR 20020028036 A KR20020028036 A KR 20020028036A KR 1020000058917 A KR1020000058917 A KR 1020000058917A KR 20000058917 A KR20000058917 A KR 20000058917A KR 20020028036 A KR20020028036 A KR 20020028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diagnosis
health
torsion fiel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김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복 filed Critical 김영복
Priority to KR102000005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8036A/ko
Publication of KR2002002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션필드(torsion field)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해 지원되는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의 서비스 시스템은,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센서가 장착되어 진단 데이터를 구하고 그 데이터를 서버측에 통보하거나 자체 건강진단 및 치료를 하는 손목착용 제어부, 사용자별 건강서비스 가입 및 건강관련 열람정보제공을 처리하는 메인서버와, 상기의 시계형 사용자 손목착용 제어부로부터 송신된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강서비스 가입자에 한해서 개인건강을 진단하고, 개인별 건강진단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기의 손목착용 제어부에 치료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처리하여, 고급 진단 및 치료를 하는 고급 진단 및 치료 서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토션필드(torsion field)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토션필드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고급 진단 및 치료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해주고, 고급 진단 및 치료 서버에 의한 진단결과를 사용자별로 치료정보를 제공하고, 시계형 손목착용 제어부를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을 진단하거나 필요시에는 수족침 치료부를 이용하여 치료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24시간 개인의 건강을 진단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해주며,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위치파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Service system for diagnosing and curing personal health in the wireless Internet using torsion field and operating methods of the same}
본 발명은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선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건강 서비스 서버부와 접속되어 사용되거나 자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착용 제어부와, 치료를 위해서는 손이나 발에 수족침 치료부를 포함하는 개인의 건강을 진단하거나 치료를 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보급과 더불어 무선인터넷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으며, 콘텐츠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새로운 무선인터넷 부가서비스가 계속 소개되고 있다. 종래의 손목의 진맥을 이용한 건강진단기나, 스텐드얼론(stand alone)형이나 오프라인(off-line)방식으로 사용되는 개인용 건강진단기 등에서는, 진단의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건강진단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사용에 있어서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거나, 병원 및 가정내의 일정한 시설을 갖춘 공간에서만이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건강진단이 되지 못하며, 24시간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정확하게 진단해주는 시스템은 아직까지 소개되지 못하였다. 특히, 활동이 불편한 환자나 유아, 노약자의 경우 보호자나 간호사가 수시로 건강 검사를 하여야 하며, 혼자 방치되어 있는 시간에나 보호자의 수면시간 중에는, 생사가 위태로운 비상시에 응급조치나 긴급연락 등도 불가능하며, 건강진단의 정확도가 많이 떨어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개인의 건강을 정확히 진단하고 필요시에는 수족침 치료가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과 그러한 서비스를 위한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한 손목시계형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용의 중앙처리부 또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건강에 관한 여러가지 건강진단 및 수족침을 이용한 치료기능을 갖는 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목에 착용하여 적은 전력을 사용하면서도 블루투스(Bluetooth)등의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별로 착용하는 손목착용 제어부를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으로 사용하여, 개인의 건강을 진단하고; 무선 장갑형, 양말형 및 신발형의 수족침 치료부를 사용하여 필요시 반복적 예방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 시스템과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션필드 및 무선인터넷망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응급시 응급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과 함께하는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을 실시하는데 특히 적합한 운영방법들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전체 구성도 이고,
도 2는 도 1의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부, 손목착용 제어부, 및 치료부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고,
도 3은 도 2의 서버부의 구성도와 내부의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의 블록도 이고,
도 4와 도 5는 도 1의 손목착용 제어부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예를 나타내 보인 화면들이고,
도 6은 도 1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2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건강경고시 동작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2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건강경고 및 수족침 치료시 동작 흐름도(손목착용 제어부에서)이고,
도 9은 도 2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서버부, 손목착용 제어부 및 수족침 치료부 간)이고,
도 10은 도 1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응급환자 위치파악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서버부 110: 메인서버
120: 가입정보 DB 130: 고급 진단 및 치료 서버
140: 진단 및 치료 정보 DB 150: 서버부 구성도
160: 서버부의 내부 구성도163a: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의 구성도
190: 무선인터넷망200: 손목착용 제어부(외부)
215: 토션필드 진단센서(하단부) 222: LCD 디스플레이 화면
230: 무선입출력 인터페이스 250: 손목착용 제어부(내부)
260: CPU290: 블루투스 무선인터페이스
300: 수족침 치료부 310: 장갑형(손) 치료부
320: 신발형(발) 치료부 330: 양말형(발) 치료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강서비스 센터의 토션필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서버, 개인별로 착용하는 손목시계형의 손목착용 제어부와 치료시 필요한 장갑형 또는 양말형이나 신발형의 수족침 치료부로 구성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은, 손목착용 제어부를 이용하여 인체에서 나오는 토션필드 진단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측정된 토션필드 데이터를 서버측에 통보하거나 자체 내장된 분석정보로 건강진단 또는 수족침 치료를 하고, 토션필드 센서가 장착된 시계형의 사용자 손목착용 제어부로부터 서버부에 송신된 토션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건강을 진단하고, 개인별 건강진단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계형 손목착용 제어부에 치료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처리하는 고급 진단 및 치료 서버; 및 사용자별 건강서비스 가입 및 건강 열람정보제공 등을 처리하는 메인서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의 전체동작 방법;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토션필드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강경고 정도를 진단하여 경고해주는 동작 방법;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건강을 진단한 결과를 건강경고만 하거나, 또는 치료까지 하는 경우에는 수족침 치료를 하는 동작 방법; 손목착용 제어부 만을 이용하는 경우가 아니고 무선인터넷을 통한 서버도 포함하는 서비스의 경우에는, 서버부, 손목착용 제어부 및 수족침 치료부 간의 동작 방법; 및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위치 파악도 용이하게 해주는 동작 방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해 지원되는 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해 지원되는 건강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을 통해 지원되는 건강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인터넷망(190)을 통해 접속된 서버부(100)와 손목착용 제어부(200)와 상기의 제어부와 블루투스 무선인터페이스(290)를 이용하여 접속된 수족침 치료부(300)로 구성된다.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서버부(100)는 가입정보 데이터베이스(120)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신규가입 및 가입해약, 서비스 비용 등을 관리해주는 웹서버인 메인서버(110)와, 토션필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진단 및 치료 토션 정보 데이터베이스(140)를 이용하여 건강진단 및 치료 정보를 제공해주는 고급 진단 및 치료서버(130)로 구성된다.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200)는 외관으로 안테나를 내장할 수 있는 손목착용 줄(202), 필요시 사용 할 수 있는 보조 안테나(204), 기타 다수개의 제어 명령으로 여러가지 제어를 할 수 있는 제어버튼들(206, 208, 210), 토션필드 센서 입력 인터페이스(214), 한의학에서 전통적으로 3 손가락으로 맥진에 사용되온 손목부위(손목시계 줄의 일부 부위에 해당)에서 토션필드 진단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토션필드 진단 데이터 센서(하단부)(215) 및 병명이나 증세 입력용 버튼(상단부)(216), 전원 ON/OFF 명령 입력을 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218), 메시지 입출력을 화면으로 볼 수 있는 LCD 디스플레이 화면(222), 음성인식수단을 이용하여 병명이나 명령을 음성입력 할 수 있는 마이크(224), 건강감시 중 경고나 건강상태를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폰 기능이 가능한 스피커(226), 수족침 치료부와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230), 건강 경고시 반복적인 ON/OFF로 건강의 경고상태를 알 수 있게 해주는 LED(232)와 경고시 손목착용 제어부 바닥면(피부쪽)에 있는 두드림(knocking)용 노커(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수족침 치료부(300)는 손에 수족침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장갑형(손) 치료부(310), 또는 발에 수족침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신발형(발) 치료부(320)나 또는 양말형(발) 치료부(330)로 구비되며;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손에 착용하여 사용하며, 상기의 손목착용 제어부(200)의 상기의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230)를 이용하여 병명이나 증세에 따른 해당 압박봉 만이 돌출되는 제어명령을 받는 장갑형 수지침 치료부(310); 발에 착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의 상기의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병명이나 증세에 따른 해당 압박봉 만이 돌출되는 제어명령을 받는 신발형 또는 양말형의 수족침 치료부(320, 330)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한 구성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서버부(150)는 도 1의 서버부(100)를 블럭 구성도로 나타내 보인 것인데, 상기 서버부(150)는 메인서버(160), 가입자 DB(165), 고급진단 및 치료 서버(170)와 토션필드를 이용하는 토션 진단/치료 DB(175)로 구성되며, 먼저 손목착용 제어부의 내부 구성 블럭도(250)의 설명과 도 1에서의 치료부(300) 중, 상세한 실시예로서 장갑형(손) 치료부(31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손목착용 제어부(250)의 내부 구성은,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안테나회로 블럭(252); 간단한 제어 명령 입력을 위한 제어버튼회로 블럭(254); 건전지회로 블럭; 솔라셀(solar cell) 회로 블럭; 무선송수신 회로 블럭(256); 중앙제어 명령 수행을 위한 CPU(260); RAM(262), ROM(264), 플레시 메모리 회로(266) 블록;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블럭(270); LCD 디스플레이 회로 블럭(272); 건강 경고시 사용하는 두드림(knocking)용 회로 블럭(274); 토션필드 진단데이터 센서 및 병명 입력을 위한 토션센서 입력 회로 블럭(2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갑형(손) 수족침 치료부(310)는 안테나회로 블록(312), 무선 입출력인터페이스 회로 블록(314), 중앙제어부 블럭(316), 치료봉 제어부블럭(318), 수족침 치료봉들 블럭(319)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2의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250)내의 ROM(264)과 플레시 메모리(266)에 내장된 손목착용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은,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동작 방법;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건강 경고시 동작 방법;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건강경고 및 수족침 치료시(손목착용 제어부에서) 동작 방법;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부, 손목착용 제어부 및 수족침 치료부 간) 동작 방법; 및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위치 파악도 용이하게 해주는 동작 방법;에서 손목착용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과 관련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도 2에서, 상기한 서버부(150), 상기한 손목착용 제어부(250), 및 수족침 치료부의 일 실시예로서의 상기한 장갑형(손) 치료부(310)의 내부 블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250)에서의
상기 안테나회로(252)를 통하여 입출력 되는 신호가 외부로 부터 수신 되거나 내부 신호가 외부로 송신된다.
수신시 상기 안테나회로(252)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무선 송수신회로(256)를 통하여 내부 신호처리되어 디지탈로 변환된 신호를 CPU(260)가 ROM(264)이나 플레시 메모리(266)에 내장된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제어를 한다. 필요시 제어버튼에서 입력된 병명이나 증세정보나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센서로 부터의 입력 회로(280)를 이용하여 입력된 정보를 임시로 RAM(262)에 저장하였다가 사용한다. 건강경고 모드가 두드림용(knocking)이면, 두드림용(knock) 회로(274)를 이용하여 상기 도 1의 두드림용 노커(knocker)(미도시)를 상하로 반복 구동하여 건강의 경고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화면에 보여줄 내용은 LCD 디스플레이 회로(272)를 이용하여 상기 도 1의 LCD 디스플레이 화면(222)에 메뉴나 메시지 입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건강 경고 내용을 상기 도 1의 스피커(226)로 들을 수 있다. 무선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70)를 이용하여 상기 도 1의 장갑형(310), 신발형(320) 또는 양말형(330)의 수족침 치료기로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병명이나 증세에따른 수족침의 해당 치료 압박봉만을 반복적으로 돌출하게하는 제어명령으로 반복적인 간단한 예방치료를 할 수있다.
병명 또는 증세 관련 내용을 필요시에는 상기 마이크(224)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진단데이터 결과를 주파수 대역별 통계적 데이터(예: 최고값, 최저값, 평균값등)를 이용하거나 필요시에는 토션필드 로(raw)데이터 자체를 상기의 무선 송수신회로(256)와 안테나회로(252)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로 송신되어 건강서비스센터에 송부된다.
상기의 손목착용 제어부(외부)(200)에 대해 고급진단 및 치료 정보 서비스를지원하는 본 발명의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해 지원되는 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버부(150)의 각 서버(160)(170)와 해당 데이터베이스(165)(175)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때의 작업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호 다른 인터넷 주소로서 무선인터넷망(19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의 제한적인 사용자에 대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메인서버(160), 고급진단 및 치료 서버(170)의 각 기능을 하나의 서버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도 된다.
메인서버(160)는 손목착용 제어부(내부)(250)로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해 지원되는 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이용 안내 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에서의 진단 및 치료를 지원하는 최신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제어부내의 플래시 메모리(266)로 로딩시켜 주는 것을 처리한다.
메인서버(16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블럭이 도시된 서버부의 구성도인 도 3을 참조하면, 메인서버(160)는 선행처리부(161), 회원관리부(162), 진단 및 치료 지원부(163), 토션필드 데이터를 이용한 토션 진단 및 치료 처리부(164), 가입자 DB(165), 고급 진단 및 치료 서버(170), 및 토션필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션 진단/치료 DB(175)를 구비한다.
선행처리부(161)는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해 지원되는 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손목착용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메인서버(160)의 인터넷주소로 접속을 하면 사용자 손목착용 제어부(150)로 건강 서비스 이용을 안내해주는 초기 이용안내 페이지를 제공한다. 그 일 예가 도시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손목착용 제어부(200)의 표시장치인 LCD 디스플레이 화면(222)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무선인터넷 웹브라우저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222a)에는 년도,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내주는 부분(222a1), 무선인터넷망에서의 건강서비스센터의 메인서버(160)의 도메인 주소 입력란(222a2)(즉, 인터넷주소 표시창), 명령선택 결과를 상태메세지로 나타내주는 메세지란(222a5)과, 건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회원가입을 지원하는 회원가입 메뉴창(미도시) 및 가입된 회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하도록 된 입력창(222a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 3에서의 회원관리부(162)는 신규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가입절차 수행을 지원하고, 가입된 회원에 대한 개인건강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가입된 회원에 한해서만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해 지원되는 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된 경우 회원관리부(162)는 도 4의 디스플레이 화면(222a)의 로그인 입력창(222a3)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장치(165)에 기록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회원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회원관리부(162)는 그 인증 확인절차를 정상적으로 거친 회원에게 동일한 페이지(222a)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222a4)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메뉴 페이지에서 선택된 도 4와 도5에 실시예로 일부 도시된 서브페이지들(222b: 서비스선택 선택시, 222c: 건강기록 조회 선택시, 222d: 병명/증세 선택시, 222e: 치료기 선택시, 222f: 건강진단 선택시, 222g: 치료 선택시)처럼 선택된 해당 페이지로 이동된다.
진단 및 치료 지원부(163)는 가입된 회원에게 건강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된 경우 로그인 과정을 거쳐 회원 페이지를 경유한 사용자가 초기화면 페이지상에 표시된 메뉴 중 선택창을 클릭하면 진단 및 치료 지원부(163)가 실행된다.
진단 및 치료 지원부(163)는 사용자 손목착용 제어부(250)의 플레시메모리(266)에 최신 버전의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163a)을 사용자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250)내의 플레시메모리(266)로 다운로드 한다.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은 사용자 손목착용 제어부(250)의 토션필드 진단데이터 센서 입력회로(28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체 진단 및 치료 서비스나 서버를 이용하여 토션필드를 이용한 고급 진단 및 치료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163a)은 도 3의 하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데이터 센서 입력회로(280)로부터 입력되는 토션필드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토션필드 진단센서 입력부(163b)와,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 입력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는 토션필드 진단데이터 분석부(163c)와 토션 진단 및 치료 처리부(163d)를 구비한다.
상기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163a)은 진단결과를 이용하여 건강경고 및 수족침 치료 동작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서버부와 수족침 치료부 간의 운영 동작도 제어한다. 이러한 운영 동작들의 일부 실시예가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서버부(160)내의 토션필드 데이터를 이용하는 토션 진단 및 치료처리부(164)는 회원으로 확인된 사용자에 한해서 고급 진단 및 치료 서버(170)와 진단 및 토션필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료 DB(165)를 이용하여 고급의 진단 및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특수한 예로 손목시계 처럼, 물 속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의 회로들은 모두 외부가 방수로 제작되어, 물 속에서도 건강진단 및 경보(자체경보 및 원격경보)가 가능하도록 하여 장소에 상관없이(예: 목욕탕, 수영장등) 사용가능한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용의 손목착용 제어부가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의 또다른 특수한 예로 응급시 환자의 위치를 인체에서 나오는 토션필드를 이용하며,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현재 핸드폰이나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의 위치추적 부가기능(정확성이 떨어짐)과 본발명에 따른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에 내장된 블루투스기술 및 스피커폰을 보완하여 이용하고, 경고음 및 경고 LED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추적이 가능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시스템과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도 10 참조).
상기의 내용을, 실시예로서, 도 6, 도 7, 도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6은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시스템의 동작 단계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용 버튼(216)으로 입력창(222a3)을 통해 입력하고(단계 S1), 자체확인을 하여서(단계 S2) 확인이 안되면 반복입력 메세지를 LCD 디스플레이 화면(222)의 메뉴화면(222a)의 상태메세지란(222a5)에 보여주고(단계S3) 상기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단계(단계 S1)로 되돌아 가고, 자체확인이 되면 선택메뉴(222a4) 메세지를 보여주고(단계 S4) 메뉴(222a4)에서 선택을 한다(단계 S5).
손목착용 제어부(200, 250))에서 선택 메뉴(222a4)에서의 선택 데이터가 저장된 RAM(262)을 참조하여, 처리가 가능한 자체 기능인가를 체크하여(단계 S6), 자체기능이면, 건강진단만 할것인가를 체크하여(단계 S7), 건강진단만하면 건강진단동작 수행을 하고(단계 S8; 상세한 동작은 도 7 참조), 건강진단만하는 것이 아니면 치료도 수행할 것인지를 체크하여(단계 S9), 치료도 수행하면 수족침 치료부(300)를 이용하여 건강진단 및 치료를 수행한다(단계 S10; 상세한 동작은 도 8 참조).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200, 250)에서 처리가 가능한 자체 기능인가를 체크할 때(단계 S6), 자체기능이 아니면 서버부(150)와 무선인터넷망(190)을 통한 통신 준비를하고(단계 S11), 사용가능한지 등을 체크하여(단계 S12), 사용가능하지 못하면 상기 선택메뉴(222a4)와 상태메세지(222a5)를 보여주는 단계(단계 S4)를 다시 반복한다.
상기 사용가능한지 등을 체크하는 단계(단계 S12)에서, 사용가능하면 무선인터넷망(190)과 서버부(15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고(단계 S13; 상세한 동작은 도 9 참조), 기타 필요한 해당동작을 수행하고(단계 S14) 종료하는지를 체크하여(단계 S15), 종료가 아니면 건강서비스 동작 수행을 반복하기위해 상기 선택메뉴메세지를 보여주는 단계(단계 S4)를 다시 반복한다. 종료이면 모든 동작을 끝낸다.
상기 건강진단동작 단계(단계 S8)를 수행하고, 또는 상기 치료부(300)를 이용한 치료도 수행하면 건강진단 및 치료를 하는 단계(단계 S10)를 수행하고, 상기 기타 필요한 해당동작을 수행하고(단계 S14) 종료하는지를 체크하여(단계 S15), 종료가 아니면 건강서비스 동작 수행을 반복하기위해 상기 선택메뉴 메세지를 보여주는 단계(단계 S4)를 다시 반복한다. 종료이면 모든 동작을 끝낸다.
도 7은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손목착용 제어부(200, 250)에서 건강경고시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에서의 건강경고시 동작 단계는 건강진단을 준비하고(단계 S101), 경고 수준 상태인지를 체크하여(단계 S102) 경고상태가 아니면, 반복적으로 건강을 진단하면서(단계 S103) 경고상태를 체크하고, 경고수준 상태이면, 경고동작 수행 및 경고 메세지를 LCD 디스플레이(222, 222f)에 나타내고(단계 S104) 메모리(266)에 저장된 경고 모드를 검사한다(단계 S105).
두드림(knocking) 기능모드 인지를 체크하여(단계 S106), 두드림 기능 모드이면, 두두림용 회로(274)를 이용하여 Knock 모터가 두드림(knocking)을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108).
두드림기능 모드가 아니면, 경고 LED(232)를 반복적으로 ON/OFF한다(단계 S107).
사용자가 인식하는지를 체크하여(단계 S109) 인식을 하면, 두드림(knocking)이나 LED를 중지시키거나 OFF시키고(단계 S110) 기타 경고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11).
사용자가 인식을 안하면, 상기된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 모드 검사부터 다시 반복한다(단계 S105).
도 8은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건강경고 및 수족침 치료시 동작 흐름도(손목착용 제어부에서) 이다.
상기 스피커 또는 무선 출력 인터페이스 관련한 무선인터넷 건강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건강경고 및 수족침 치료시의 동작 단계는 건강진단 동작을 준비하고(단계 S112), 메모리(266)에 저장된 모드를 검사하여(단계 S113) 진단 모드 Only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114).
진단모드 Only이면, 치료부(300)등과의 무선 출력(230)기능은 OFF시키고 스피커(226)와 디스플레이(222)에 나타내는 메세지를 ON시키고(단계 S115) 진단 모드가 아니면, 치료 모드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116).
치료모드이면, 유무선 수지침 장갑(310)인지를 나타내는 장갑형 모드 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117) 치료 모드가 아니면, 기타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21).
상기 장갑형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에서(단계 S117) 장갑형 모드이면, 무선 출력(230)을 ON시키고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등의 무선이나 유선연결의 인터페이스(230, 290)를 사용하고, 이때 참고로 치료부(310)내에서의 안테나회로 무선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314), 치료봉제어부(318) 들을 중앙제어부(316)가 제어하여 수지침치료봉들(319)을 이용하여 치료하며, 장갑형 수지침 치료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18).
장갑형 모드가 아니면, 신발형/양말형 인지를 체크하여(단계 S119), 신발형(320)이나 양말형(330)이면 무선 출력을 ON시키고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등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족침의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단계 S120), 신발형/양말형 치료가 아니면 기타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21).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서버부, 손목착용 제어부 및 수족침 치료부 간) 이다.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초기화등 준비를 하고(단계 S130), 손목착용 제어부(200, 250)에서 토션필드 진단데이터 센서(215)와 관련회로(280)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진단을 하고(단계 S132), 손목착용 제어부에서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데이터를 필요시 서버(160)의 토션 진단 및 치료 처리부(164)와 정보교환을 하고(단계 S134), 진단결과가 정상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136), 정상이면 필요한 해당정보를 손목착용 제어부 내의 메모리(262, 266) 또는 서버내의 데이터베이스(165, 175)를 Update하고(단계 S138) 다시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손목착용 제어부에서의 수족침에 대한 작동지시가 있는가를 검사하여(단계 S140), 작동지시가 없으면 건강이 비정상이라는 경고 메세지, 또는 두드림이나 LED ON/OFF로 경고를 하고 해당정보를 Update하고(단계 S142) 다시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을 반복한다. 작동지시가 있으면 건강이 비정상이라는 경고 메세지, 또는 두드림이나 LED ON/OFF로 경고를 하고 해당되는 수족침 제어를 한다(단계 S146). 손목착용 제어부(200,250)의 수족침(300) 작동에 대한 명령지시를 하고(단계 S148), 완료할 것인가를 검사하여(단계 S150), 완료가 아니면 경고 메세지를 보내고 수족침 제어를 반복하고, 완료이면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응급환자 위치파악 동작 흐름도 이다.
상기 서버부(150, 160) 및 손목착용 제어부(200, 250)에서, 초기화등 준비를 하고(단계 S160), 서버부의 가입자 DB(165)에서 사용자(응급환자)의 주소를 파악하고(단계 S162), 무선인터넷망(190)을 이용한 지역을 파악하고(단계 S164), 사용자가 소재하는 부근 지역이 확인이 되는가를 체크하여(단계 S166), 확인이 아직 안되면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한 부근주소 파악을 반복한다(단계 S168).
부근 지역이 확인이 되면, 블루투스 무선인터페이스(230, 290)를 이용한 부근 주소 파악을 하고 (단계 S170), 부근 주소 파악이 되는가를 체크하여(단계 S172), 부근 주소의 파악이 아직 안되면, 상기의 블루투스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근 주소 파악을 반복한다( 단계 S170).
부근 주소 파악이 되면, 손목착용 제어부의 스피커폰(226)의 경고음 작동과 LED (232)깜박임 작동을 지시하고 세부위치 파악을하고(단계S176), 위치 확인이 완료되었는가를 체크하여(단계 S180), 아직 위치 확인이 안 되었으면 상기의 손목착용 제어부의 스피커폰의 경고음 작동과 LED 깜박임 작동을 지시하고 세부위치 파악을 반복하고(단계 S176), 위치확인이 완료되었으면 종료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용 건강진단 및 수족침 치료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손목에 착용하여 적은 전력을 사용하면서도 토션필드 및 블루투스(Bluetooth)등의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여 손목착용 제어부를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을 진단하고, 무선 장갑형, 양말형 및 신발형의 수족침 치료부를 사용하여 필요시 반복적 예방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고, 인체에서 나오는 토션필드 및 무선인터넷망과 블루투스기술을 이용하여, 응급시 응급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수족침 치료 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에 의하면, 토션필드를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을 진단하고 진단정보를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서버부로 전송하여 개인건강을 진단하고, 필요시에는 손목착용 제어부에 치료정보까지 제공하는 고급 진단 및 치료 서버로 부터 전송된 치료정보를 이용하여, 손목시계형의 손목착용 제어부인 개인용 건강진단 및 치료 장치를 통해서, 건강진단 및 경보만하거나, 손에 사용하는 수지침 치료용 장갑이나 발에 사용하며 족침치료가 가능한 양말형이나 신발형을 사용한 치료까지도 함으로써, 개인건강을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진단하고, 필요시에는 동양의학에 근거한 수족침 치료를 하여 개인의 건강을 지켜주며, 응급시에는 인체에서 나오는 토션필드 및 무선인터넷망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망을 활용한 개인건강 진단 및 수족침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운영방법이다.

Claims (10)

  1.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건강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센서를 이용하여 토션필드 진단데이터를 정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자체에서 건강상태를 판단해서 개인의 건강을 진단해주거나 서버측에 통보해주거나, 자체의 기억수단에 내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족침 치료를 하거나,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센서가 장착된 손목착용 제어 수단;
    상기 손목착용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건강서비스 가입 및 건강관련 열람정보제공 등을 처리하고, 상기 손목착용 제어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정보를 이용하여 건강진단과 개인별 건강진단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목착용 제어 수단에 치료정보를 전송하거나, 업데이트된 최근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건강진단용의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의 손목착용 제어 수단의 기억수단에 다운로딩해주며, 필요시에는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버 수단; 및
    상기 손목착용 제어 수단으로 부터 제어를 받아서 수족침 치료가 가능하게 해주며, 손에 착용하여 치료하는 장갑형 또는 발에 착용하여 치료하는 양말형이나 신발형의 수족침 치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수단은 서버에 제어되어 상기 개인건강 정보나건강관련 열람정보를 저장하는 토션필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수단이나, 진단 및 치료하는 서버에 제어되어 진단 이나 치료 정보를 저장하며 토션필드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수단, 또는 사용자의 손목착용제어부에 진단 및 치료 정보나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해주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는
    사용자 손목에서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데이터를 전기적신호로 변환 입력되게 하여, 토션필드 진단신호를 처리가능한 전기적 신호로 제공하는 센서 입력이나 병명, 제어 명령등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
    상기 센서 입력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센서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건강진단을 처리하는 중앙처리 수단;
    상기 중앙처리 수단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어 건강 진단 또는 치료에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건강 정보데이터를 기억 보관하며, 필요시에는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도 가능한 저장 수단; 및
    상기 중앙처리 수단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어 건강 진단 또는 치료에 필요하여 출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족침 치료부는
    손에 착용하여 사용하며, 상기의 손목착용 제어부로부터,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병명이나 증세에 따른 해당 압박봉 만이 돌출되는 제어명령을 받아서 수지침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장갑형 치료 수단; 또는
    발에 착용하여 사용하며, 상기의손목착용 제어부로부터,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병명이나 증세에 따른 해당 압박봉 만이 돌출되는 제어명령을 받아서 신발형 또는 양말형의 족침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신발형 치료 수단; 또는
    발에 착용하여 사용하며, 상기의손목착용 제어부로부터,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병명이나 증세에 따른 해당 압박봉 만이 돌출되는 제어명령을 받아서 양말형의 족침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양말형 치료 수단;을 포함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
  5.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을 통해 지원되는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 제어 수단내의 저장 수단내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이나 서버 수단내의 제어 프로그램에서,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손목착용 제어수단에서 건강 경고시 동작 방법 ;
    건강경고 및 수족침 치료시손목착용 제어수단에서 동작 방법;
    서버수단, 손목착용 제어수단 및 수족침 치료수단 간 동작 방법; 및
    응급환자 위치파악 동작 방법;을 포함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S1), 자체확인을 하여서(S2) 확인이 안되면 반복입력 메세지를 보여주고(S3) 상기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단계(S1)로 되돌아 가고, 자체확인이 되면 선택메뉴 메세지를 보여주고(S4) 메뉴에서 선택을 하는(S5) 단계;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처리가 가능한 자체 기능인가를 체크하여(S6), 자체기능이면, 건강진단만 할것인가를 체크하여(S7), 건강진단만하면 건강진단동작 수행을 하고(S8), 건강진단만하는 것이 아니면 치료도 수행할 것인지를 체크하여(S9), 치료도 수행하면 건강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는(S10) 단계;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처리가 가능한 자체 기능인가를 체크할 때(S6), 자체기능이 아니면 서버와 통신 준비를하고(S11), 사용가능한지 등을 체크하여(S12), 사용가능하지 못하면 상기 선택메뉴 메세지를 보여주는 단계(S4)를 다시 반복하는 단계;
    상기 사용가능한지 등을 체크하는 단계(S12)에서, 사용가능하면 무선인터넷망과 서버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고(S13), 기타 필요한 해당동작을수행하고(S14) 종료하는지를 체크하여(S15), 종료가 아니면 건강서비스 동작 수행을 반복하기위해 상기 선택메뉴 메세지를 보여주는 단계(S4)를 다시 반복하고, 종료이면 모든 동작을 끝내는 단계; 및
    상기 건강진단 동작 단계(S8)를 수행하고, 또는 상기 치료도 수행하면 건강진단 및 치료를 하는 단계(S10)를 수행하고, 상기 기타 필요한 해당동작을 수행하고(S14) 종료하는지를 체크하여(S15), 종료가 아니면 건강서비스 동작 수행을 반복하기위해 상기 선택메뉴 메세지를 보여주는 단계(S4)를 다시 반복하고, 종료이면 모든 동작을 끝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 제어수단에서 건강 경고시 동작 방법은,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에서의 건강경고시 동작 단계는 건강진단을 준비하고(S101), 경고 수준 상태인지를 체크하여(S102) 경고상태가 아니면, 반복적으로 건강을 진단하면서(S103) 경고상태를 체크하고, 경고수준 상태이면, 경고동작 수행 및 경고 메세지를 LCD 디스플레이에 나타내고(S104)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 모드를 검사하는(S105) 단계;
    두드림(knocking) 기능모드 인지를 체크하여(S106), 두드림기능 모드이면, Knock 모터가 두드림(knocking)을 반복 수행하도록 하고(S108), 두드림기능 모드가 아니면, 경고 LED를 반복적으로 ON/OFF하는(S107) 단계; 및
    사용자가 인식하는지를 체크하여(S109) 인식을 하면, 두드림(knocking)이나LED를 중지시키거나 OFF시키고(S110) 기타 경고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S111), 사용자가 인식을 안하면, 상기된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 모드 검사부터 다시 반복하는(S10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경고 및 수족침 치료시손목착용 제어수단에서 동작 방법은,
    상기 스피커 또는 무선 출력 인터페이스 관련한 무선인터넷 건강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건강경고 및 수족침 치료시의 동작 단계는 건강진단 동작을 준비하고(S112), 메모리에 저장된 모드를 검사하여(S113) 진단 모드 Only인지를 체크하는(S114) 단계;
    진단모드 Only이면, 치료부등과의 무선 출력기능은 OFF시키고 스피커와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는 메세지를 ON시키고(S115) 진단 모드가 아니면, 치료 모드인지를 체크하고(S116), 치료모드이면, 유무선 수지침 장갑인지를 나타내는 장갑형 모드 인지를 체크하고(S117) 치료 모드가 아니면, 기타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S121) 단계;
    상기 장갑형 모드인지를 체크할 때(S117) 장갑형 모드이면, 무선 출력을 ON시키고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등의 무선이나 유선연결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장갑형 수지침 치료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S118), 장갑형 모드가 아니면, 신발형/양말형 인지를 체크하여(S119), 신발형이나 양말형이면 무선 출력을 ON시키고 적외선또는 블루투스등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족침의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S120), 신발형/양말형 치료가 아니면 기타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S12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수단, 손목착용 제어수단 및 수족침 치료수단 간 동작 방법은,
    상기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초기화등 준비를 하고(S130),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일정시간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을 하고(S132), 손목착용 제어부에서의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데이터 결과를 필요시 서버와 정보교환을 하고(S134), 진단결과가 정상인지를 판단하여(S136), 정상이면 필요한 해당정보를 손목착용 제어부 내의 메모리 또는 서버내의 데이터베이스를 Update하고(S138) 다시 토션필드를 이용한 진단을 반복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진단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손목착용 제어부에서의 수족침에 대한 작동지시가 있는가를 검사하여(S140), 작동지시가 없으면 건강이 비정상이라는 경고 메세지, 또는 두드림이나 LED ON/OFF로 경고를 하고 해당정보를 Update하고(S142) 다시 진단을 반복하고, 작동지시가 있으면 건강이 비정상이라는 경고 메세지, 또는 두드림이나 LED ON/OFF로 경고를 하고 해당되는 수족침 제어를 하는(S146) 단계;
    손목착용 제어부의 수족침 작동에 대한 명령지시를 하고(S148), 완료할 것인가를 검사하여(S150), 완료가 아니면 경고 메세지를 보내고 수족침 제어를 반복하고, 완료이면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 위치파악 동작 방법은,
    상기 서버부 및 손목착용 제어부에서, 초기화등 준비를 하고(S160), 서버부의 가입자 DB에서 사용자(응급환자)의 주소를 파악하고(S162),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한 지역을 파악하고(S164), 사용자가 소재하는 부근 지역이 확인이 되는가를 체크하여(S166), 확인이 아직 안되면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한 부근주소 파악을 반복하는(S168) 단계;
    부근 지역이 확인이 되면, 인체에서 나오는 토션필드와 블루투스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근 주소 파악을 하고(S170), 부근 주소 파악이 되는가를 체크하여(S172), 부근 주소의 파악이 아직 안되면, 상기의 토션필드와 블루투스 무선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근 주소 파악을 반복하는(S170) 단계;
    부근 주소 파악이 되면, 손목착용 제어부의 스피커폰의 경고음 작동과 LED 깜박임 작동을 지시하고 세부위치 파악을하고(S176), 위치 확인이 완료되었는가를 체크하여(S180), 아직 위치 확인이 안 되었으면 상기의 손목착용 제어부의 스피커폰의 경고음 작동과 LED 깜박임 작동을 지시하고 세부위치 파악을 반복하고(S176), 위치확인이 완료되었으면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000058917A 2000-10-06 2000-10-06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20020028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917A KR20020028036A (ko) 2000-10-06 2000-10-06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917A KR20020028036A (ko) 2000-10-06 2000-10-06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036A true KR20020028036A (ko) 2002-04-15

Family

ID=1969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917A KR20020028036A (ko) 2000-10-06 2000-10-06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803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711A (ko) * 2001-12-31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3704A (ko) * 2002-11-16 2004-05-27 이상성 휴대용 전자 수지침
KR20050073149A (ko) * 2004-01-09 2005-07-13 (주) 한국소프트웨어개발원 모바일 emm(휴대용 전자의료정보관리) 시스템
WO2010138025A1 (ru) * 2009-05-28 2010-12-02 Muzhikov Valery Gennadievich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флекторной коррек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нарушений организма
KR20200072927A (ko) 2018-12-13 2020-06-23 안은경 손관리 및 건강체크용 글러브
WO2021217675A1 (zh) * 2020-04-30 2021-11-04 道鑛有限公司 保健装置、保健本体、保健方法及保健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711A (ko) * 2001-12-31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3704A (ko) * 2002-11-16 2004-05-27 이상성 휴대용 전자 수지침
KR20050073149A (ko) * 2004-01-09 2005-07-13 (주) 한국소프트웨어개발원 모바일 emm(휴대용 전자의료정보관리) 시스템
WO2010138025A1 (ru) * 2009-05-28 2010-12-02 Muzhikov Valery Gennadievich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флекторной коррек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нарушений организма
KR20200072927A (ko) 2018-12-13 2020-06-23 안은경 손관리 및 건강체크용 글러브
WO2021217675A1 (zh) * 2020-04-30 2021-11-04 道鑛有限公司 保健装置、保健本体、保健方法及保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8100B2 (ja) 受信装置及び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
US9044136B2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US6903657B2 (e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medical diagnosis in real time
CN103989457B (zh) 医疗监控系统
US10786169B2 (en) Bio-processor for measuring each biological signals and wear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49569B1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실버타운 의료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301429A1 (en) Method for remote diagnostic monitoring and support of patients and device and telemedical center
JPH1170086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4633745B2 (ja) 測定システム及び測定方法
JP2003187003A (ja) 緊急医療提供方法
JP2008047097A (ja) 患者異常通知システム
WO2016187568A1 (en) Monitoring incontinence events
KR20160148302A (ko)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70055738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via the internet
KR20020013214A (ko)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감시 및 치료 서비스 시스템과 그운영방법
KR20020028036A (ko) 토션필드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개인건강 진단 및 치료서비스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US20240108290A1 (en)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and artificial-intelligence-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JP2003299624A (ja) 遠隔診断支援システム
KR10181099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응급 문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6013382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JP2004255029A (ja) 携帯端末、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JP2002269662A (ja) 身体異常通報装置および救急通報システム
JP6482764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方法、およ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KR20150037004A (ko) 장갑형 다기능 전자침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CN114903472A (zh) 基于物联网定位的医院管理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