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279A -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과 관리시스템 및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과 관리시스템 및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279A
KR20020026279A KR1020017015372A KR20017015372A KR20020026279A KR 20020026279 A KR20020026279 A KR 20020026279A KR 1020017015372 A KR1020017015372 A KR 1020017015372A KR 20017015372 A KR20017015372 A KR 20017015372A KR 20020026279 A KR20020026279 A KR 20020026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chine
calculating
calculated
work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다치히로유키
히라타도이치
스기야마겐로쿠
와타나베히로시
시바타고이치
고마츠히데키
Original Assignee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치 류이치
Publication of KR2002002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27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송신하고,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작업기에 관련되는 관리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관리정보를 작업기에 송신한다. 관리정보로서는 토질에 의한 어태치먼트의 종류, 일기예보 등이 있다.

Description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과 관리시스템 및 관리장치{WORK MANAGING METHOD SUITED TO WORK SITE, MANAGING SYSTEM, AND MANAGINE APPARATUS}
예를 들면 유압셔블이나 크레인(이후, 건설기계라 함)이 가동하는 건설기계는 광범위에 걸쳐 각 현장고유의 사정에 따라 각 작업현장에 있어서의 작업은 다양하다.
그 때문에 운전자 또는 작업현장관리 책임자는 현장별로 적절한 작업기의 상태, 작업공정관리 등을 정하여 섬세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작업은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건설기계 등의 작업기가 가동하고 있는 작업현장의 현재지에 의거하여 각종 관리정보를 산출하고, 이 관리정보를 작업기에 송신하는 작업기관리방법과 관리시스템 및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이 적용되는 유압셔블의 가동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유압셔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유압셔블의 유압회로예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유압셔블의 제어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현재지 송신순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관리정보의 표시순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기지국에 있어서의 정보관리를 위한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8a, 도 8b는 기지국에 있어서의 처리순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서비스공장에 있어서의 정보관리를 위한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a는 토질과 그 기호와의 대응테이블를 나타내는 도,
도 10b는 그물형상으로 분할한 영역과 토질의 대응테이블을 나타내는 도,
도 10c는 토질과 버킷포올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
도 10d는 일기예보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토질에 따른 버킷포올을 선택하는 처리순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일기예보에 의하여 공정표를 변경하는 처리순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공정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관련시설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처리순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무선기지국과 유압셔블제조공장과 서비스공장을 통신회선으로 접속하는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유압셔블제조공장 내의 시스템구성을 니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현장의 지리적 요인에 의거한 다양한 관리정보를 작업기감시시설에서 산출하여 작업기에 송신하도록 한 작업관리방법과 관리시스템 및 관리장치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작업관리장치 또는 시스템은,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위치에 의거하여 작업기에 관련되는 관리정보를 산출하는 관리정보산출장치와, 관리정보 산출장치에서 산출된 관리정보를 작업기에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서는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고, 작업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작업기에 관련되는 관리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관리정보를 작업기에 송신한다.
이상 설명한 발명에 의하면, 검출된 작업기의 가동현장의 지리적 요인에 의거하여 각종 관리정보를 산출하여 작업기에 송신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작업기는 가동현장에 적합한 관리정보에 의거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2) 또 본 발명에 의한 작업관리장치 또는 시스템은,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장의 토질을 산출하는 토질산출장치와, 토질산출장치에서 산출한 토질로부터 작업기의 어태치먼트정보를 산출하는 어태치먼트정보산출장치와, 어태치먼트정보산출장치에서 산출된 어태치먼트정보를 작업기에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서는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고, 작업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작업기의 현장의 토질을 산출하고, 산출한 토질로부터 작업기의 어태치먼트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어태치먼트정보를 작업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하면, 검출된 작업기의 가동현장의 지리적 요인에 의거하여 토질을 결정하고, 이 토질에 따른 어태치먼트정보를 산출하여 작업기에 송신하 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동현장의 토질에 적합한 어태치먼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관리장치 또는 시스템은,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작업기의 현장주변의 관련시설정보를 산출하는 관련시설산출장치와, 산출한 관련시설장보를 작업기에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서는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고, 작업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작업기의 현장 주변의 관련시설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관련시설정보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하면, 검출된 작업기의 가동현장의 지리적 요인에 의거하여 그 주변의 관련시설정보를 산출하여 송신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작업기의 운전자는 용이하게 관련시설에 엑세스할 수 있다.
(4) 다시 또 본 발명에 의한 작업관리장치 또는 시스템은,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작업기 현장의 일기예보를 산출하는 일기예보산출장치와, 산출한 일기예보에 의거하여 미리 작성한 작업기의 공정표를 수정하는 수정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서는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고, 작업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작업기의 현장의 일기예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일기예보에 의거하여 미리 작성한 작업기의 공정표를 수정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하면 산출된 작업기의 가동현장의 지리적 요인에 의거하여 일기예보를 산출하여 공정표를 수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날씨에 따라 공정표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에 의하여 본 발명을 유압셔블의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이 적용되는 유압셔블의 가동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복수의 작업지구(A, B, C)에서는 각각 복수의 유압셔블이 가동하고 있다. 지구(A)에서는 유압셔블(a1 내지 an)이, 지구(B)에서는 유압셔블(b1 내지 bn)이, 지구(C)에서는 유압셔블(c1 내지 cn)이 각각 가동되고 있다. 지구(A, B, C)는 동일한 작업현장이 아니라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유압셔블은 자신의 현재지를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연산하고, 통신위성(CS) 및 기지국(BC)을 경유하여 서비스공장(SF)에 송신한다. 서비스공장(SF)에서는 각 유압셔블의 가동현장의 지리적 요인에 따른 각종 관리정보를 연산하고, 서비스공장(SF)으로부터 각 유압셔블에 통신위성(CS)을 거쳐 관리정보를 송신한다.
유압셔블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유압셔블은 주행체(81)와, 주행체(81)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선회체(82)를 가진다. 선회체(82)에는 운전실(83)과, 작업장치(84)와, 엔진(85)과, 선회모터(86)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장치(84)는 선회체(82)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부움(BM)과, 부움(BM)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AM)과, 아암(AM)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어태치먼트, 예를 들면 버킷(BK)으로 이루어진다. 부움(BM)은 부움실린더(C1)에 의해 승강되고, 아암(AM)은 아암실린더(C2)에 의해 클라우드와 덤프조작이 행하여지고, 버킷 (BK)은 버킷실린더(C3)에 의하여 클라우드와 덤프조작이 행하여진다. 주행체(81)에는 좌우의 주행용 유압모터(87, 88)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셔블의 유압회로의 개략을 도 3에 나타낸다. 엔진(85)은 유압펌프(2)를 구동한다. 이 유압펌프(2)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는 복수의 제어밸브(3s, 3tr, 3tl, 3b, 3a 및 3bk)에 의해 그 방향과 유량이 제어되어 상기한 선회유압모터(86), 좌우의 주행용 유압모터(87, 88), 유압실린더(C1, C2, C3)를 구동한다. 복수의 제어밸브(3s, 3tr, 3tl, 3b, 3a 및 3bk)는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럿밸브(4s, 4tr, 4tl, 4b, 4a 및 4bk)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파일럿압력에 의하여 전환조작된다. 파일럿밸브(4s, 4tr, 4tl, 4b, 4a 및 4bkl)는 파일럿유압펌프(5)로부터 소정압력의 파일럿유압이 공급되고, 조작레버(4Ls, 4Ltr, 4Lt1, 4Lb, 4La, 4bk)의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압력을 출력한다. 복수의 제어밸브(3s, 3tr, 3t1, 3b, 3a 및 3bk)는 하나의 밸브블럭에 집약된다. 또 복수의 파일럿밸브(4s, 4tr, 4tl, 4b, 4a 및 4bk)도 하나의 밸브블록에 집약된다.
도 4는 유압셔블의 현재지나 각 부의 상태를 검출하여 송신함과 동시에, 관리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유압셔블에는 GPS 위성(GS)으로부터의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24)가 탑재되고, 제어기(20)는 CPS 신호에 의거하여 유압셔블의 현재지를 산출한다. 또 유압셔블에는 유압펌프 등의 상태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를 가지는 센서군(10)이 탑재되고, 센서군(10)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태검출신호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어기(20)에 판독된다. 예를 들면 제어기(20)는 센서군(1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주행조작시간, 선회조작시간 및 프론트(굴착)조작시간을 연산한다. 현재지 정보 또는 연산된 각 조작시간 등의 가동시는 일단 기억장치(21)에 저장된다. 가동정보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송신기(30)로부터 송신되고, 통신위성(CS)을 거쳐 기지국(BC)에 보내진다. 한편 현재지 정보는 유압셔블에 설치된 송신스위치(26)를 온조작하였을 때에 송신기(30)로부터 송신되고, 통신위성(CS)을 거쳐 기지국(BC)으로 보내진다. 또 기지국(26)에서 수신한 가동정보 및 현재지 정보는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공중회선망(PC)을 거쳐 서비스공장(SF)에 있어서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0)에는 수신기(35)가 접속되어 있다. 이 수신기(35)는 통신위성(CS)을 거쳐 기지국(BC)으로부터 보내져오는 각종 관리정보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기(20)에 송출한다. 유압셔블의 운전석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 (25)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기(20)는 수신한 관리정보를 필요에 따라 표시한다.
도 5는 유압셔블의 송신스위치(26)가 조작되었을 때에 현재지를 나타내는 신호(현재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송신스위치(26)가 온되면 제어기(20)는 도 5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단계(S11)에서 기억장치(21)로부터 송신해야 할 현재지 신호를 판독한다. 판독한 현재지 신호는 단계(S12)에서 소정의 송신데이터로 가공되고, 단계(S13)에서 송신기(30)에 보내진다. 이에 의하여 송신기(30)는 유압셔블의 현재지를 통신위성(CS)을 거쳐 기지국(BC)으 로 송신한다. 또한 현재지 정보는 엔진시동용 키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또는 송신스위치(26)를 온하였을 때에 산출하는 등, 그 타이밍은 묻지 않는다.
도 6은 수신기(35)가 수신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유압셔블의 제어기(20)에서 실행되는 관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기(20)는 기지국(BC)으로부터 관리정보를 수신하면, 도 6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단계(S21)에서는 수신한 관리정보를 기억장치(21)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S22)에서는 필요에 따라 운전석의 모니터(25)에 관리정보를 표시한다. 이 실시형태의 관리정보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버킷포올의 종류, 일기예보에 의하여 변경된 공정표, 가동현장에 가장 가까운 가솔린스탠드의 전화번호, 또는 서비스공장의 전화번호이다. 또한 관리정보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압셔블에 관련되는 각종 관리정보가 포함된다.
도 7은 기지국(BC)에 있어서의 정보관리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지국(BC)은 수신한 각종 신호를 기억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서비스공장 (SF)에 송신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BC)에는 통신위성(CS)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서비스공장(SF)으로부터의 관리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기(31)와, 송수신기(31)에서 수신한 신호를 저장함과 동시에, 서비스공장 (SF)으로부터의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32)와, 서비스공장(SF)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일반공중회선망(PC)을 거쳐 송신함과 동시에, 서비스공장(SF)으로부터의 관리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모뎀(33)과, 이들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서비스공장(SF)측으로부터 일반공중회선망(PC)을 거쳐 기지국 (BC)에 엑세스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는 기지국(BC)에서 현재지 신호 등을 수신하여 서비스공장(SF)에 송신하기 위한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통신위성(CS)으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면 기지국(BC)의 제어장치(34)는 도 8a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단계(S31)에서는 수신한 신호를 기억장치(32)에 일단 저장한다. 단계(S32)에서는 수신한 신호의 헤더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자로부터 유압셔블을 식별하고, 단계(S33)에서는 식별된 유압셔블에 의거하여(식별자에 의거하여) 담당하는 서비스공장을 식별한다. 그리고 단계(S34)에서는 미리 기억장치(32)에 작성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한 서비스공장의 전화번호를 판독하고, 단계(S35)에 있어서 유압셔블의 식별자와 함께 현재지 신호를 모뎀(33)을 거쳐 해당하는 서비스공장(SF)에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BC)으로부터 각 서비스공장(SF)에의 각종 정보의 송신은 전용회선이나 LAN 회선 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BC)과 서비스공장(SF)이 유압셔블의 제조회사의 시설이면 이른바 사내 LAN(인트라넷)에 의하여 각종 정보를 수수하여도 좋다.
도 8b는 예를 들면 서비스장소(SF)로부터 보내지는 관리정보를 기지국(BC)에서 수신하여 유압셔블에 송신하기 위한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서비스공장(SF)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면 기지국(BC)의 제어장치(34)는 도 8b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단계(S36)에서는 수신한 신호를 기억장치932)에 일단 저장한다. 단계(S37)에서는 수신한 신호의 헤더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자로부터 유압셔블을 식별하고, 단계(38)에서는 식별된 유압셔블에 관리정보를 송신한다.
도 9는 서비스공장(SF)에 있어서의 정보관리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비스공장(SF)에는 기지국(BC)으로부터 일반공중회선망(PC)을 경유하여 보내져 오는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연산된 관리정보를 일반공중회선망(PC) 및 기지국(BC)을 경유하여 송신하는 모뎀(41)과, 모뎀(41)으로 수신한 신호를 저장함과 동시에 송신하는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42)와, 각종 연산처리를 실행하는 처리장치(43)와, 처리장치(43)에 접속된 표시장치(44)나 프린터(45)와, 키보드(46)를 구비하고 있다. 처리장치(43)는 기억장치(42)에 저장된 현재지 신호에 의거하여 각종 관리정보를 산출한다.
처리장치(43)에는 데이터베이스(47)도 접속되어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47)에는 일본 각지의 토질정보와 일기예보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일기예보정보는 일반공중회선망(예를 들면 인트라넷)(PC) 경유로 매일 산출되어 데이터베이스(47)에 저장된다.
도 10a, 도 10b는 토질정보 테이블를 나타낸다. 도 10b는 미리 그물형상으로 분할한 복수의 영역과 그 영역 내의 토질을 대응지은 테이블이다. 도 10b에서 나타내고 있는 기호(A, B, C)는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와 자갈, 간토롬 (loam), 암반이며, 점토층이면 기호(D)로 표시된다. 분할하는 영역은 소정의 넓이로 하거나, 토질의 분포에 따른 넓이로 하거나, 그 넓이와 형상은 묻지 않는다.도 10d는 일기예보정보 테이블을 나타내고, 미리 정한 지역별로 1개월 단위의 일기 예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 일기예보는 서비스공장(SF)으로부터 인터넷경유로 기상정보제공 서비스회사로부터 매일 입수하여 데이터베이스(47)에 저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기지국(BC)에서 일반공중회선망(PC) 경유로 입수하여 기지국(BC) 기억장치(32)에 저장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1은 서비스공장(SF)에서 수신한 현재지 신호에 의거하여 처리장치(43)가 실행하는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현재지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공장(SF)의 처리장치(43)는 도 11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단계(S41)에서는 수신한 현재지 신호를 유압셔블의 식별자와 함께 기억장치(42)에 저장한다. 단계(S42)에서는 수신한 신호의 식별자로부터 유압셔블의 예를 들면 기종을 식별한다. 단계 (S43)에서는 현재지 신호에 의해 데이터베이스(47)의 토질테이블를 검색하여 유압 셔블의 가동현장의 토질을 산출한다. 현재지 신호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하는 신호이며, 토질은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영역별로 설정되어 있다. 처리장치(43)는 위도와 경도로부터 영역을 선택하고, 데이터베이스(47)로부터 토질을 판독한다. 단계(S44)에서는 산출된 토질에 최적의 버킷포올을 산출한다. 토질에 적합한 버킷포올의 종류는 미리 처리장치(43)에 예를 들면 도 10C의 데이터베이스로서 설정되어 있다. 단계(S45)에서는 버킷포올의 정보를 통신위성(CS)을 경유하여 송신하기 위한 송신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모뎀(41)으로부터 해당하는 유압셔블에 송신한다.
유압셔블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헤더에는 유압셔블의 식별자가 설치되고, 그것에 이어서 버킷포올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설치된다. 이 버킷포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신호는 도 6에 나타낸 처리순서에 따라 유압셔블에서 수신되고, 유압셔블의 기억장치(21)에 저장됨과 동시에 운전석의 모니터(25)에 표시된다.
이상에서는 유압셔블 가동현장의 토질을 판독하여 최적의 버킷의 포올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나, 버킷 자체의 형상이나 프론트 어태치먼트 자체를 토질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작업기가 어스드릴 등의 굴삭비트를 가지는 어태치먼트인 경우에는 토질에 최적의 비트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명세서에서는 이들 버킷포올, 버킷형상, 비트를 포함하여 어태치먼트정보라 한다.
도 12는 서비스공장(SF)에서 수신한 현재지 신호에 의거하여 처리장치(43)가 실행하는 처리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현재지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공장(SF)의 처리장치(43)는 도 12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단계(S51)에서는 수신한 현재지 신호를 유압셔블의 식별자와 함께 기억장치(42)에 저장한다. 단계 (S52)에서는 수신한 신호의 식별자로부터 유압셔블을 식별한다. 단계(S53)에서는 현재지의 위도와 경도로부터 일기예보의 지역을 선택하여 데이터베이스(47)의 일기예보 테이블를 검색하고, 유압셔블의 가동현장에 있어서의 한달간의 일기예보를 추출한다. 단계(S54)에서는 이 일기예보에 의거하여 공정표를 변경한다. 단계(S55)에서는 변경된 공정표를 통신위성(CS)을 경유하여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모뎀(41)으로부터 해당하는 유압셔블에 송신한다.
도 6에 나타낸 처리순서에 따라 공정표는 유압셔블에서 수신되어 기억장치 (21)에 저장됨과 동시에 모니터(25)에 표시된다.
도 13은 단계(S54)에서 실행되는 공정표의 수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3월 1일 내지 5일까지를 A지구의 작업기간, 3월 6일 및 7일을 그 예비일로 하고 있다. 또 3월 8일 내지 3월 12일을 A 지구의 황무지정지작업, 3월 13일을 B 지구로의 이동일, 3월 14일 내지 16일을 B 지구에서의 작업기간으로 하고 있다.
유압셔블로부터 현재지 신호를 수신한 서비스공장(SF)의 처리장치(43)에 의해 행하여지는 공정표 변경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3월 1일 현재, 3월 1일 내지 l6일까지의 일기예보는 상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3월 1일 내지 3월 7일까지는 3월 5일이 비로 작업중지라고 예상되나, 3월 6일과 7일의 양 일이 예비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정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3월 8일 내지 3월 12일의 황무지정지작업공정에는 예비일의 예정이 없다. 그 때문에 3월 10일의 종일 비 예상 및 3월 11일의 오전중 비, 오후 흐림의 일기예보에 의하여 공정이 하루 반 지연될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하루 반의 작업량, 즉 12시간분의 작업량을 3월 8일 내지 12일까지의 사이에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월 8일에 6시간, 3월 9일에 4시 간, 3월 12일에 2시간의 추가작업을 행하여 비에 의한 공정의 지연을 만회하도록 공정표를 수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정변경처리를 매일 행하여 다음날의 공정을 전날까지 유압셔블에 송신함으로써 유압셔블의 운전자, 또는 현장책임자는 일기예보에 따른 공정표 수정작업을 일체할 필요가 없어 번잡한 사무처리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도 13의 변경전의 공정표는 미리 관리책임자가 작성한 것이다. 또 도 13의 공정표의 수정처리는 여러가지의 처리순서를 행할 수 있다. 다시 이 공정표를 기초로 유압셔블의 빈 시간을 예측하여 서비스(메인티넌스)의 일정을 세우는 등, 다른 관리에도 유용할 수 있다.
도 14도는 서비스공장(SF)에서 수신한 현재지 신호에 의거하여 처리장치(43)가 실행하는 처리순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현재지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공장(SF)의 처리장치(43)는 도 14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단계 (S61)에서는 수신한 현재지 신호를 유압셔블의 식별자와 함께 기억장치(42)에 저장한다. 단계(S62)에서는 수신한 신호의 식별자로부터 유압셔블을 식별한다. 단계 (S63)에서는 현재지 신호에 의해 데이터베이스(47)의 가솔린스탠드테이블과 서비스공장 테이블을 검색한다.
가솔린스탠드테이블은, 전국의 가솔린스탠드의 명칭과 소재지와 전화번호를 대응지은 것이다. 서비스공장 테이블은 전국의 서비스공장과 소재지와 전화번호를 대응지은 것이다. 가솔린스탠드 및 서비스공장의 소재지는 위도와 경도로 특정되어 있고, 유압셔블의 현재지도 위도와 경도로 특정되어 있다. 따라서 처리장치(43)는 유압셔블의 현재지와 가장 가까운 가솔린스탠드나 서비스공장을 간단하게 검색할 수가 있다.
단계(S63)에 있어서, 유압셔블의 가동현장에 가장 가까운 가솔린스탠드와 서비스공장을 검색하여 그들의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단계(S64)에서는 산출된 가솔린스탠드와 서비스공장(SF)의 각각의 전화번호를 통신위성(CS)을 경유하여 송신하기 때문에 송신용 데이터를 작성하여 모뎀(41)으로부터 송신한다.
도 6에 나타낸 처리순서에 따라 가솔린스탠드와 서비스공장의 각각의 전화번호는 유압셔블에서 수신되고, 기억장치(21)에 저장됨과 동시에 모니터(25)에 표시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유압셔블(a1 내지 cn)로부터의 신호를 통신위성(CS)을 이용하여 기지국(BC)에 송신하고, 기지국(BC)으로부터 서비스공장(SF)에 일반공중회선망 (PC)을 거쳐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통신위성(CS)을 사용하지 않고 PHS 전화, 휴대전화 등의 이동체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압셔블로부터의 신호를 송신하여도 좋다. 또는 전용회선, 인터넷, LAN 회선 등이어도 좋다. 또 유압셔블로부터의 현재지 신호를 서비스공장(SF)에 송신하였으나, 유압셔블 소유자의 관리부문에 현재지 신호를 송신하여 그 관리부문에 있어서 동일한 관리정보을 산출하여 유압셔블에 송신하여도 좋다.
유압셔블 관리자를 렌탈업자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에서는 유압셔블의 현재지를 통신위성(SC) 및 기지국(BC)을 경유하여 서비스공장(SF)에 송신하도록 하였으나, 기지국(BC)을 경유하지 않고 통신위성 (CS)으로부터의 신호를 서비스공장(SF)에서 직접 수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공중회선망(PC)을 경유하여 무선기지국 (BCA)과 유압셔블제조공장(OW)을 연결하여 유압셔블제조공장(OW)과 복수의 서비스공장(SF1 내지 SFn)을 전용회선을 사용하여 접속(인트라넷)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에 나타낸 무선기지국(BCA) 내의 시스템과 동일한 시스템을 유압셔블제조공장(OW)에 설치한다.
도 16에 있어서 제조공장(OW)에는 통신위성(CS)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무선기지국(BCA) 및 일반공중회선망(PC)을 거쳐 수신하는 모뎀(31A)과, 서비스공장으로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전용회선을 거쳐 송신하기 위한 모뎀(33A)과, 모뎀 (31A) 또는 모뎀(33A)에서 수신한 신호를 저장하는 기억장치(32A)와, 이들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34A)에 의해 도 8과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유압셔블제조공장(OW)의 기능을 유압셔블 제조회사의 본사기구나 상기한 렌탈업자 내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작업기가 가동하는 현장에서 일하는 운전자, 현장감독 등의 작업원이 휴대하는 통신기능부가 PDA나 휴대전화 등에 대하여 산출된 각종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유압셔블에의 신호는 모뎀(31A)을 거쳐 송신된다. 서비스공장으로부터의 신호는 모뎀(33A)을 거쳐 수신한다.
또 유압셔블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유압셔블 이외의 건설기계나 그 밖의 작업차량을 포함하는 작업기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에 관련되는 관리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관리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
  2.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의 토질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토질로부터 상기 작업기의 어태치먼트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어태치먼트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
  3.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 주변의 관련시설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관련시설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
  4.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의 일기예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일기예보에 의거하여 미리 작성한 상기 작업기의 공정표를 수정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
  5.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서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는 작업기측 송신기와,
    상기 작업기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작업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작업기감시측 수신장치와,
    상기 작업기감시측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에 관련되는 관리정보를 산출하는 관리정보산출장치와,
    상기 관리정보산출장치에서 산출된 상기 관리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작업기감시측 송신기와,
    상기 작업기감시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관리정보를 수신하는 작업기측 수신장치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시스템.
  6.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서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는 작업기측 송신기와,
    상기 작업기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작업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작업기감시측 수신장치와,
    상기 작업기감시측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의 토질을 산출하는 토질산출장치와,
    상기 토질산출장치에서 산출한 상기 토질로부터 상기 작업기의 어태치먼트정보를 산출하는 어태치먼트정보 산출장치와,
    상기 어태치먼트정보 산출장치에서 산출된 어태치먼트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작업기감시측 송신기와,
    상기 작업기감시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어태치먼트정보를 수신하는 작업기측 수신장치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시스템.
  7.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서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는 작업기측 송신기와,
    상기 작업기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작업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작업기감시측 수신장치와,
    상기 작업기감시측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 주변의 관련시설정보를 산출하는 산출장치와,
    산출한 상기 관련시설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작업기감시측 송신기와,
    상기 작업기감시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관련시설정보를 수신하는 작업기측 수신장치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시스템.
  8. 작업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와,
    상기 위치검출장치에서 검출한 위치의 위치신호를 송신하는 작업기측 송신기와,
    상기 작업기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작업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작업기감시측 수신장치와,
    상기 작업기감시측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상기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의 일기예보를 산출하는 산출장치와,
    산출한 상기 일기예보에 의거하여 미리 작성한 상기 작업기의 공정표를 수정하는 수정장치와,
    상기 작업기감시측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수정된 공정표를 수신하는 작업기측 수신장치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시스템.
  9.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에 관련되는 관리정보를 산출하는 관리정보산출장치와,
    상기 관리정보산출장치에서 산출된 상기 관리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장치.
  10.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에 관련되는 관리정보를 산출하는 관리정보산출장치와,
    상기 관리정보산출장치에서 산출된 상기 관리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가지는 작업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시스템.
  11.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의 토질을 산출하는 토질산출장치와,
    상기 토질산출장치에서 산출한 상기 토질로부터 상기 작업기의 어태치먼트정보를 산출하는 어태치먼트정보산출장치와,
    상기 어태치먼트정보산출장치에서 산출된 어태치먼트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장치.
  12.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현장의 토질을 산출하는 토질산출장치와,
    상기 토질산출장치에서 산출한 상기 토질로부터 상기 작업기의 어태치먼트정보를 산출하는 어태치먼트정보산출장치와,
    상기 어태치먼트정보산출장치에서 산출된 어태치먼트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가지는 작업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시스템.
  13.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 주변의 관련시설정보를 산출하는 산출장치와,
    산출한 상기 관련시설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장치.
  14.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 주변의 관련시설정보를 산출하는 산출장치와,
    산출한 상기 관련시설정보를 상기 작업기측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가지는 작업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시스템.
  15.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의 일기예보를 산출하는 산출장치와,
    산출한 상기 일기예보에 의거하여 미리 작성한 상기 작업기의 공정표를 수정하는 수정장치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장치.
  16. 송신되어 오는 작업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기의 현장의 일기예보를 산출하는 산출장치와,
    산출한 상기 일기예보에 의거하여 미리 작성한 상기 작업기의 공정표를 수정하는 수정장치를 가지는 작업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시스템.
KR1020017015372A 2000-03-31 2001-03-30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과 관리시스템 및 관리장치 KR20020026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99163 2000-03-31
JP2000099163 2000-03-31
PCT/JP2001/002813 WO2001073223A2 (fr) 2000-03-31 2001-03-30 Mise en oeuvre d'engins de chantier pour un chantier du btp, systeme et dispositif de ges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279A true KR20020026279A (ko) 2002-04-09

Family

ID=1861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372A KR20020026279A (ko) 2000-03-31 2001-03-30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과 관리시스템 및 관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43582B2 (ko)
EP (1) EP1191157A4 (ko)
JP (1) JP3704092B2 (ko)
KR (1) KR20020026279A (ko)
CN (1) CN1205395C (ko)
WO (1) WO20010732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9865B2 (en) * 2000-10-12 2005-07-19 Komatsu Ltd. Display device for work machine
JP3948286B2 (ja) * 2002-01-15 2007-07-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US7624384B2 (en) * 2004-11-30 2009-11-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ynamic binary translation with translation reuse
US7245999B2 (en) 2005-01-31 2007-07-17 Trimble Navigation Limited Construction machine having location based auto-start
US7681192B2 (en) * 2005-01-31 2010-03-16 Caterpillar Trimble Control Technologies Llc Location-centric project data delivery system for construction
US20070179640A1 (en) * 2006-01-31 2007-08-02 Caterpillar Inc.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for a machine environment
US9519876B2 (en) 2006-10-05 2016-12-13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for providing maintenance to an asset
US8645176B2 (en) 2006-10-05 2014-02-04 Trimble Navigation Limited Utilizing historical data in an asset management environment
US8004397B2 (en) 2006-10-05 2011-08-23 Trimble Navigation Limited Receiving information pertaining to a construction project
US9773222B2 (en) 2006-10-05 2017-09-26 Trimble Inc. Externally augmented asset management
US8965841B2 (en) 2006-10-05 2015-02-24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for automatic asset classification
US9811949B2 (en) 2006-10-05 2017-11-07 Trimble Inc. Method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pertaining to an asset
US8666936B2 (en) 2006-10-05 2014-03-04 Trimble Naviga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sset management
US9747571B2 (en) 2006-10-05 2017-08-29 Trimble Inc. Integrated asset management
US7898403B2 (en) 2006-10-05 2011-03-01 Trimble Navigation Limited Detecting construction equipment process failure
US8255358B2 (en) 2006-10-05 2012-08-28 Trimble Naviga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to a customer
US9536405B2 (en) 2006-10-05 2017-01-03 Trimble Inc. Unreported event status change determination and alerting
US9041561B2 (en) 2006-10-05 2015-05-26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a reporting device
US9111234B2 (en) 2006-10-05 2015-08-18 Trimble Navigation Limited Enabling notifications pertaining to an asset
US9747329B2 (en) 2006-10-05 2017-08-29 Trimble Inc. Limiting access to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US8600932B2 (en) 2007-05-07 2013-12-03 Trimble Navigation Limited Telematic asset microfluidic analysis
US8463460B2 (en) 2011-02-18 2013-06-11 Caterpillar Inc. Worksite management system implementing anticipatory machine control
US8655505B2 (en) 2011-02-18 2014-02-18 Caterpillar Inc. Worksite management system implementing remote machine reconfiguration
US9760685B2 (en) 2011-05-16 2017-09-12 Trimble Inc. Telematic microfluidic analysis using handheld device
US9739763B2 (en) 2011-05-16 2017-08-22 Trimble Inc. Telematic locomotive microfluidic analysis
JP5866645B2 (ja) 2011-06-17 2016-02-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無人走行車両の走行禁止領域設定システム及び無人走行車両の走行禁止領域設定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788022B (zh) * 2012-05-31 2018-01-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青岛供电公司 移动作业终端系统
US9008886B2 (en) * 2012-12-12 2015-04-14 Caterpillar Inc. Method of modifying a worksite
US10204388B2 (en) 2013-04-19 2019-02-12 Trimble Inc. Method, system, and medium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CN104679952B (zh) * 2015-02-11 2017-09-01 太原科技大学 校核核电起重机械抗震特性的仿真计算方法
KR20160133742A (ko)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JP2017010161A (ja) * 2015-06-18 2017-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人作業機の制御装置
JP6915007B2 (ja) * 2015-08-24 2021-08-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
JP2017043885A (ja) 2015-08-24 2017-03-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
US10109121B2 (en) * 2016-03-18 2018-10-23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part wear based on environment
JP6483072B2 (ja) * 2016-10-24 2019-03-13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農業機械
JP6407938B2 (ja) * 2016-10-24 2018-10-17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農業機械
US10572840B2 (en) 2017-06-30 2020-0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scheduling a job plan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CN111315935B (zh) * 2017-11-10 2023-06-20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JP6782270B2 (ja) * 2018-03-12 2020-11-11 日立建機株式会社 施工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
CN108681316B (zh) * 2018-07-11 2020-04-28 云南康迪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施工环境监测系统
JP7141894B2 (ja) * 2018-09-05 2022-09-2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15176266A (zh) * 2020-03-26 2022-10-11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施工机械的信息通信系统、施工机械的显示装置、机器学习装置
JP2021156086A (ja) * 2020-03-30 2021-10-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の管理装置
JP2021179826A (ja) * 2020-05-14 2021-11-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遠隔操作支援サーバ、遠隔操作支援システムおよび遠隔操作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005B2 (ja) 1988-11-29 1996-08-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作業の管制システム
WO1995018432A1 (en) * 1993-12-30 1995-07-06 Concord, Inc. Field navigation system
JPH08221694A (ja) * 1995-02-09 1996-08-30 Nippondenso Co Ltd 車両用情報報知装置
JPH09256635A (ja) * 1996-03-21 1997-09-30 Takenaka Komuten Co Ltd 建設工事管理支援装置及びシステム
JPH10317415A (ja) * 1997-05-19 1998-12-02 Shiraishi:Kk 万能型深礎用バックホウ
EP0989525A3 (en) 1998-08-31 2001-09-1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0921A (zh) 2002-11-20
EP1191157A1 (en) 2002-03-27
CN1205395C (zh) 2005-06-08
WO2001073223A2 (fr) 2001-10-04
WO2001073223A3 (fr) 2007-10-25
EP1191157A4 (en) 2009-07-29
US6643582B2 (en) 2003-11-04
JP3704092B2 (ja) 2005-10-05
US20020165656A1 (en)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6279A (ko) 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과 관리시스템 및 관리장치
EP1213394A1 (en) Failure measure outputting method, output system, and output device
US67515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achine operation data
US7513070B2 (en) Work support and management system for working machine
US200402103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xcavation to plan
JPH08506870A (ja) 作業場所に対して地形変更マシンを操作する方法と装置
JP3735068B2 (ja) 巡回サービス予定作成方法、作成システムおよび作成装置
US200600418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display data between machines
JP4048799B2 (ja) 土工事における施工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3685090B2 (ja) 建設機械の稼働台数出力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稼働台数管理システム
US20230009234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s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machine learning apparatus
JP4203584B2 (ja) 土工事における施工管理支援システム
EP4318339A1 (en) Component service life prediction system and maintenance assistance system
EP15267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formation exchanges between communicating entities, e.g. apparatus on a worksite
JP2019041137A (ja) 観測設定管理システム及び観測設定管理方法
JP3824715B2 (ja) 発破地面の掘削負荷計測装置
JP3836726B2 (ja) 作業機レポート作成方法、作成システムおよび作成装置
CN113445987A (zh) 基于移动终端下增强现实场景的铁路钻探辅助作业方法
JP3704012B2 (ja) 地盤地図作成システムおよび地盤地図作成方法
CN111749243B (zh) 一种半自动挖掘机数字化土方场地标高控制施工方法
JPH10306471A (ja) 掘削作業量計測表示装置
Carter Mining with precision
JPS6367691A (ja) 計測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707

Effective date: 200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