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742A -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742A
KR20160133742A KR1020150066664A KR20150066664A KR20160133742A KR 20160133742 A KR20160133742 A KR 20160133742A KR 1020150066664 A KR1020150066664 A KR 1020150066664A KR 20150066664 A KR20150066664 A KR 20150066664A KR 20160133742 A KR20160133742 A KR 2016013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ensor
individual
unit
work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Priority to KR102015006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742A/ko
Publication of KR2016013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각 작업자 개인별, 단위사업장 및 중앙부서 전체의 상호통신을 통하여 개인별 상황 및 작업환경을 고려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체의 작업과정을 통괄하는 관리센터와;상기 관리센터와 상호통신이 이루어지는 단위작업장;그리고 상기 단위작업장과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고, 개별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개별작업자:로 이루어지되, 개별작업자의 작업장 환경의 변화 및 개인별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실시간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업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람직 하기로는 상기 관리센터는, 작업장의 환경변화 및 개별작업자의 환경변화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새로운 작업지시서를 생성하고, 이를 단위작업장에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단위작업장은, 개별작업자와 상호 통신하되, 작업지시 및 개별작업자의 환경정보 및 개인정보의 변경을 확인하고, 개별작업자의 작업조건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 관리센터와 상호 통신하고. 개별작업자와 상호 통신을 하도록 한다. 상기 개별작업자는,단위작업장과 상호 통신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환경변화를 통보하며 단위작업장의 지시에 의해 업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개인 작업자의 상태 및 환경이 실시간으로 제어 가능함으로써 전체 작업장의 능률이 향상되고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Method of work management that allows individual management}
본 발명은 작업관리 방법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선소,건설현장 등 다수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작업환경에서 각 개인별 상황과 작업환경조건 및 외부조건 등을 일체로 고려하여 상호통신 관리함으로써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업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 및 건설 등의 대형 작업장의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들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를 들면, 조선소의 경우 외부 노출된 환경에서 용접작업, 도장작업, 및 기계류 설치작업 등이 이루어지고, 밀폐된 내부공간에서도 역시 용접작업 페인트 작업 등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동시적으로 작업자들이 작업을 수행한다.
통상 이러한 작업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순서를 살펴보면, 크게 중앙부서에서 전체 작업을 수립하고, 각 단계 사업장별로 작업량 및 작업시간 등 작업과정을 부여하며, 단계 사업장 하부에 각 개인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적인 작업환경에서는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말단인 각 개인과 단위사업장 및 중앙부서와의 의사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작업조건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여 많은 시간 및 인력과 비용을 낭비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일예를 들어 외부환경적인 요소인 날씨를 예를 들어보면, 최근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지성소나기가 내릴 경우 그 작업장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장은 작업이 충분히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각 작업장별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미리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각 작업자의 개인별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일 예를 들어 특정 작업자의 신체적환경이 달라진 경우, 즉, 갑자기 허리가 아프다든지 등 이 있을 경우 그날의 작업량 및 시간은 줄어들어야 하며, 전체 작업공정에 있어서는 이에 따른 대체수단이 구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또한 각 개인별 숙련도, 나이 등에 따라 작업의 조건이 달라져야 하고, 이에 따른 대체수단이 강구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급작스런 환경변화 일예를 들어 국지적 작업으로 인한 화재로 위험성이 발생시 이를 신속히 대처해야함은 물론이지만, 인근작업장 및 현장 작업장의 각 개인에게 즉시 통보되어 사고위험으로부터 신속히 제거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작업환경속에 다양한 형태의 상황이 발생하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신속히 중앙부서 및 단위 작업장 그리고 각 개인이 서로 양방향으로 소통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스템은 구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국제공개번호 WO 2001/73223호의 경우, 단순히 작업자의 위치신호를 검출하고, 그 위치에 따른 작업환경(일기예보, 토질정보 등)만 전달되는 형태만 존재하고, 각 개인별 상황 및 긴급상황에 따른 상호 통신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공개번호 WO 2001/73223호(작업현장에 의거한 작업관리방법과 관리시스템 및 관리장치) 대한민국공개공보 10-2014-0096831호(옥외사업자용 국지 기상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작업자 개인별, 단위사업장 및 중앙부서 전체의 상호통신을 통하여 개인별 상황 및 작업환경을 고려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체의 작업과정을 통괄하는 관리센터와;상기 관리센터와 상호통신이 이루어지는 단위작업장;그리고 상기 단위작업장과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고, 개별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개별작업자:로 이루어지되, 개별작업자의 작업장 환경의 변화 및 개인별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실시간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업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람직 하기로는 상기 관리센터는, 작업장의 환경변화 및 개별작업자의 환경변화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새로운 작업지시서를 생성하고, 이를 단위작업장에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단위작업장은, 개별작업자와 상호 통신하되, 작업지시 및 개별작업자의 환경정보 및 개인정보의 변경을 확인하고, 개별작업자의 작업조건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 관리센터와 상호 통신하고. 개별작업자와 상호 통신을 하도록 한다. 상기 개별작업자는,단위작업장과 상호 통신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환경변화를 통보하며 단위작업장의 지시에 의해 업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각 개인 작업자의 상태 및 환경이 실시간으로 제어 가능함으로써 전체 작업장의 능률이 향상되고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념을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소통을 위한 개념을 나타낸 도.
이하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개념도 이고, 도 2는 각 주체별 역활에 따른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세가지 분류로 이루어지며, 첫째 관리센터(100)는 전체의 작업을 통괄하는 관리센터의 역활을 한다. 둘째 단위작업장(200)으로써 분업화된 각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실내외 현장을 가르키는 곳으로 관리센터(100)의 지시를 후술하는 각 개별 작업자(300)들에게 통지 하고, 작업자(300)들을 관리하는 중간 부서이다. 그리고 셋째는 각 개별작업자(300)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관리센터(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센터(100)는 전체 작업을 통괄지휘하는 곳으로, 이를 위해 모든 정보의 취합 및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외부환경정보, 예를 들면 날씨, 습도, 온도 등에 따른 정보를 수집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각 단위작업장(200)의 작업환경, 일 예를 들어 작업진척정도, 기계장치의 작동여부 및 수리여부, 작업장의 환경 등을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각 개별작업자(300)의 개인별 환경, 일 예를 들면 개인적 병력, 신체조건, 작업내용 등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하며, 이를 취합 분석하고, 단위작업장(200)의 업무량 및 개별작업자(300)의 업무량 등을 생성하고 이를 단위작업장(200)에 통보하도록 한다.
또한, 기본적인 이러한 작업이외에 단위작업장(200) 및 개별작업자(300)의 환경변화에 따른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정보와 취합 분석하여 새로운 업무지시등을 생성하도록 한다.
관리센터(100)와 단위작업장(200)의 상호 통신(10)은 컴퓨터, 유무선 전화 등 기 알려전 모든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호 연락을 수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개별작업자(300)는 실내,외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로써, 일차적인 상호 통신은 단위작업장(200)과 이루어져야 하고, 지시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각 개별 작업자(300)들이 착용하는 모자, 작업복 등에 통신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며, 단위작업장(200)과는 근거리 통신(와이파이 또는 블루트스)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 것이며, 바람직 하기로는 음성으로 전달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그리고, 각 개별작업자(300)들은 작업환경에 따른 각종센서 및 개인별 상황에 따른 센서 등을 착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센서에서 취합된 정보를 단위작업장(200)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단위작업장(200)은 개별작업자(300)를 직접 관리하는 주체임과 동시에 작업자(300)의 현황을 중앙부(100)로 전달하는 중단책으로써 양방향 모두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단위사업장(200)내의 작업자(300)들의 작업환경 및 작업현황을 체크하기 위하여 단위사업장(200) 내의 일정한 공간내로의 개별작업자(300)들의 이탈을 파악 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카메라도 좋지만, 위치센서 등 개별작업자(300)의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일정한 공간내를 벋어나면 작동하는 알람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각 개별 작업자(300)들이 단위사업장(200)에 허가되지 않은 돌출행동시 이를 상호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위작업장(200)과 관리센터(100)는 각 개별 작업자(300)의 개인별 환경(신체적, 정신적 등)과 작업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각 개별 작업자(300)들에게 적합한 업무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각 개별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개별작업자(300)들이 통신수단 또는 위치인식수단 등 개별적인 장치들과 각 작업조건에 따른 센서 등을 개인별로 구비하고, 이러한 장치는 단위작업장(200) 및 관리센터(100)와 연동되도록 하여 단위작업장(200) 또는 관리센터(100)에서 개별작업자(300)들의 개인적환경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 확인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계하에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개별작업자(300), 단위작업장(200) 및 관리센터(100)의 세가지 구성요소가 어우려저 상호통신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 개념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1) 일반적인 경우
개별작업자(300)의 개별적인 환경과 작업장소의 환경 및 외부 날씨 등의 환경들을 바탕으로 하여 전체 작업현황 및 작업지시서가 관리센터(100)에서 생성되고, 이를 각 단위작업장(200)에 따른 업무를 개별 작업장(A,B, C 등)에 전파하고, 각 개별작업장은(A,B,C 등) 각 개인별 작업자(a,b,,c 등)에 지시하고 업무를 시작한다. 각 개별작업자(300)들의 작업 진척사항을 단위사업장(200)에서 파악하고 이를 관리센터(100)에 전달 지시를 받고 업무가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사항으로 이루어진다.
2) 외부 환경적인 요인의 변화 발생에 따른 경우
관리센터(100)에서 기 파악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을 수행하던 도중 갑작스런 기상변화로 인하여 국지성 호우 등 변화요인에 의하여 작업이 곤란해질 경우, 예를 들어 각 개별작업자(300)들 중에는 야외작업자(a)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반면에 실내작업자(b)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체의 조화로운 작업일정을 차질을 빗게 되는바, 야외작업자(a)가 환경변화를 단위사업장(200)에 통보하고, 단위사업장(200)에서는 관리센터(100)에 연락함으로써 관리센터(100)는 변화요인에 대한 최적의 해결책을 마련하고, 즉시, 이를 각 단위사업장(200)에 전달하고, 각 단위사업장(200)은 변화된 작업지시를 각 개별 작업자(300)들에게 통보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개별작업자(300)들에게 발생된 변화된 외부 환경요인을 고려하고, 이에 따른 각 단위작업장의 업무조정 및 이에 따른 개별작업자의 작업변화 등을 조정하여 관리센터(100)에서는 각 단위작업장(200)에 통보하고, 각 단위작업장(200)은 변경된 작업지시를 각 개별작업자(300)들에게 지시하여 전체적인 작업조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3) 개별 작업자의 요인 변화 발생에 따른 경우
개별작업자(300)의 기 환경요인은 이미 입력되어 이를 바탕으로 작업이 지시되나, 여러가지 돌발변수 및 환경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작업변화가 나타난다. 일 예를 들어 밀폐된 극한 환경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각 개별작업자(300)에게 지시된 사항은 3시간 용접작업이 지시되었으나, 개별작업자가 이를 무시하고, 계속적 작업에 열중시 밀폐된 환경에서는 호흡곤란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게된다. 이를 경우, 각 개별작업자(300)가 작업환경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므로, 이는 단위작업장(200) 및 관리센터(100)에서 알람 등의 경고음이 발생하고, 이를 인지후 즉각적으로 단위작업장(200)에서 개별작업자(300)에게 작업조건 위반을 통보를 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는 달리 개별작업자(300)가 작업을 수행도중 다양한 형태의 사고(낙상, 화상 등)가 발생하여 원활한 작업 수행 곤란시, 이를 단위작업장(200)에 통보하고, 단위작업장(200)은 관리센터(100)에 통보함으로써 관리센터(100) 및 단위작업장(200)은 변화된 환경을 고려하여 새로운 작업지시를 생성하고, 이를 전달함으로써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개념적인 상호통신 및 관리에 의한 작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용접작업에 따른 용접마스크, 용접복 및 용접장갑을 이용한 경우
용접작업은 가장 일반적인 작업 공정이며, 실내, 외 구분 없이 선박건조에서 가장 빈번한 작업 공정이다. 용접작업을 하는 중에는 용접 흄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중금속이나 용접 중에 발생되는 가스, 유해방사선 등이 작업자의 안전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스 중에는 오존, 질화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이 안전에 위해하고 특히 용접 흄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 유해물질도 작업자의 안전을 저해하고 있다. 용접 흄은 용접에서 발생되는 고온이 금속을 녹이는 과정에서 금속이 녹으며 증기가 발생하는데, 이 증기가 공기 중에서 급속히 냉각을 하게 되고 작은 입자가 되는 것을 말한다.
문제는 작업장에서 생산성을 이유로 전류와 전압을 세게 하고 용접을 하게 되는데 이는 용접 흠의 발생량도 증가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저해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별작업자(300)의 용접장비(용접마스크,용접복 및 용접장갑 등)에 접장갑 등)에 부착하는 개별 통신 장비에 유해가스 측정 센서, 복사열 센스, 산소농도 측정 센스 등의 기능센스를 부착하여 작업장에 들어서는 순간과 작업 중에 수시로 센스를 통한 관련 자료를 포집하여 관리센터로 보내고, 관리센터는 분석한 포집 자료와 관리센터가 가진 작업장의 환경, 예를 들면 작업장의 습도가 높아 생산성과 품질에 유의 하여야 함 등의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안전과 작업 능률을 유지하게 되는 관리 시스템이다. 특히 개별 장비에 센스를 부착할 때, 폐의 기능이 약한 작업자는 유해가스 중에서도 오존 잔류량 측정 센스를 부착하여 특화함으로서 오존에 의해 유발되는 폐 자극증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용접 작업장에는 각종 유해산소와 유해 광선, 용접 흄에 포함되어 있는 크롬, 니켈, 카드늄, 망간, 아연, 구리 등 다양한 유해요소가 있어 이를 개별 작업자의 특성에 따라서 측정센스를 결정 부착하여 그 효과를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각 개별작업자(300)의 특성에 따른 센서부착과 그 결과에 따른 작업지시를 관리센터(100)에서 기본적으로 통제를 하지만, 단위작업장(200)에 이를 통보하여 각 개별작업자(300)의 작업관리가 이루어 지도록 한다.
실시예2
안전모 및 작업모자를 통한 경우
안전모는 실내, 외 작업장을 막론하고 모든 작업장에서의 착용이 의무화 되어 있다. 특히 특정작업을 위하여 안전모를 탈의 하는 경우 외에는 항상 착용을 하고 있어 개별 관리를 위한 통신기기 부착과 운용에 아주 좋은 장비가 될 수 있다. 안전모의 기본적 기능은 낙하물과 접촉에 의한 부딪침 등으로 부터의 신체 보호이지만 안전모가 위치하는 특성에 따라 관련 센스를 부착하여 관리센터와 정보를 교류하고 개별적 특성화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하절기 옥외 작업 시, 고열로 인한 건강 장해나 자외선 과다 노출에 의한 피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유발할 수 있는 작업장의 작업자 안전모에 체열측정센스, 자외선 측정 센스 등을 부착하여 수시로 센스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관리센터로 보내어져 개별적 분석을 수행하고, 또한 관리센터(100)에서 외부환경(날씨, 온도 및 습도 등)에 따른 작업조건과 비교하여 각 개별작업자(300)에 맞는 결과를 도출하고, 이 결과에 따른 유의 사항을 개별 작업자에게 알려 주어 작업의 가감 정도를 조절하고 유해 요소로부터 안전을 유지하도록 한다. 특히, 나이가 비교적 많은 오십대이상과 이,삼십대 젊은층은 동일한 외부환경에서도 받아들이는 개별적인 결과치는 달라지며, 또한 개별적인 신체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개별작업자(300)의 센서를 통한 개별결과와 관리센터(100)의 기준조건을 비교하여 개별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안전모는 개별적 특성을 떠나 모든 작업자가 착용을 하는 가장 일반적인 안전 보호구 이다. 개별 특성에 따른 센스가 이외에도 체온, 혈압, 맥박 등 기본적인 건강을 확인 할 수 있는 센스 등을 부착하여 기본적인 관리를 할 수 있고,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장 가까운 피난처, 구급함, 소화기, 제세동기 위치 등을 관리 센터로부터 즉시 안내 받아 응급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방법이다.
실시예3
송기마스크를 통한 개별적 관리
송기마스크는 선박 건조 작업에 있어서 사상과 도장 작업 시 작업의 특성에 따른 유해 가스, 증기, 도료,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립자상 물질 또는 산소 결핍 공기를 흡입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건강 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개인 호흡기 보호 장비이다.
통상적으로 페인터 작업을 하기 전에 녹을 제거하는 사상 작업을 하게 된다.
샌딩 또는 블라스팅으로 불리우는 쇳가루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작업과 핸드 그라인드로 표면을 깍아 내는 작업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장은 일차적으로 용접이 끝난 작업장이어서 작업장 내에 용접 흄, 유해가스, 미스트(mist) 등이 잔류하고 있다. 이는 다음 작업자에게 상당히 위험한 유해요소 이어서, 철저한 작업 수칙과 관리가 필요로 한다.
개별 작업자가 착용한 호흡 보호구 통하여 기본적인 호흡과 작업은 가능하나 송기마스크는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튜브와 작업장 내 현상을 차단 및 밀폐하는 구조로 되어있으나, 사용의 정도에 따라 외부 공기가 스며들 수도 있다. 개별 작업자가 착용하는 송기마스크에 유해가스 측정 센스, 공급되어지는 공기압 측정 센스 등이 장착 된 통신기기를 부착하여 작업자의 송기 마스크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보를 관리센터로 송부하여 송기마스크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고 유지함으로서 개별 작업자의 안전을 유지하고 재해를 예방하는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장의 잔류 유해가스가 핸드그라인드의 불꽃에 반응하여 화재, 폭발 등 대형사고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송기마스크에 가스농도측정 센스를 부착하여 작업 전에 가스농도를 측정한 후 하한계 이하 수치에서 작업하는 것도 응용의 예가 될 것이다.
소음관련 측정 센스와 결합된 통신기기를 부착하여 적정 데시빌(dB)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센터가 통제를 하고 또한 이러한 포집 자료를 분석하여 좀 더 나은 작업장으로 개선을 시켜, 작업 능률 및 생산성의 향상과 작업자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4
방독 및 방진 마스크를 이용하는 경우
송기마스크는 공기공급식 호흡용보호구 이고, 방독/방진 마스크는 공기정화식 호흡용보호구 이다. 작업장의 분류에 따라 구분 사용하지만 방독/방진 마스크는 사용이 간편하여 널리 사용되어 진다.
착용자 본인의 폐력을 이용하여 여과재 또는 정화통을 통과한 공기로 흡입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적정 산소농도와 유해비가 높지 않아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인의 폐력을 이용함으로 호흡이 힘들어지고 안면부 내가음압이 형성되어 쪼임에 의한 착용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빈번하다.
방독/방진 마스크의 여과재나 정화통에 유해공기측정 센스를 부착한 통신기기를 장착하여 측정 결과를 관리센터에 통보하여 분석 정도에 따라 여과재나 정화통을 교체하는 시기를 알려주고 관리센터의 조정에 따라 작업장을 통제 및 환기하여 개선 및 안전을 유지 할 수 있다.
이 경우도 개별 작업자의 특성에 따라 특정 유해가스측정 센스를 부착한 통신기기를 장착하여 개별적 관리가 가능한 관리 방법이다.
이 이외에도 각 개별작업자(300)의 개인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센서를 부착하며, 일 예로 폐가 약하면 오존잔류측정 센스 통신기기를 눈이 불편한 경우는 질소산화물잔류측정 센스 통신기기를 부착하여 개별 관리 하는 것이다. 특히 도장 및 사상 작업은 개별 작업자의 심폐 기능과 기본 체력이 필요로 하는 고난도 작업이어서 개별 작업자의 특성에 따라 사전 관리가 되어야 안전 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매년 정기 검진에서 허리가 불편하다는 내용이 의료기관으로부터 관리센터로 내용이 전달되어지면, 이러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그 작업자가 도장 등 장시간 서서 일을 하는 작업장에서 계속해서 작업을 하게 될 경우, 관리센터에서 작업시간, 작업량 등을 조정하여 개별 작업자를 관리함으로서 작업자의 건강 및 안전 상태를 유지 하여 주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5
안전화/작업화 및 신발을 통한 관리
모든 작업장에서 안전모와 함께 개별로 모두가 착용하는 개인 보호구가 안전화 또는 작업화 이다. 안전화에는 낙하물 또는 부딪힘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스틸토캡, 바닥의 날카로운 요철물로부터 보호를 위한 내답판등이 포함되어 있다. 안전화와 관련 가장 빈번하게 유발되는 재해는 미끄러짐이다. 상황에 따라 경중의 정도가 다르지만 예방이 힘든 재해이기도 하다. 특히 조선소와 같이 철 구조물이 많고, 습도가 높은 곳은 더 많은 재해가 발생되곤 한다. 안전화에 지면의 습한 여부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습도측정센스가 포함된 통신기기를 부착하여, 수집된 그 정보를 관리센터에서 미끄러짐 정도를 분석하여 정보가 포집된 그 작업장 출입자에게 개별로 사전 고지하여 재해를 예방 관리하는 방법이다. 또한 운동량 측정센스나 압력센스 등의 기능이 있는 통신기기를 부착하여 정보 수집 내용을 분석 후 개별 고지함으로서 피로함 또는 주의력 부족에서 유발되는 재해나 공정불량을 사전에 예방하는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6
일반사무실 또는 단순작업장에 이용하는 경우
책상에서 근무하는 일반 관리직의 경우 또는 단순 조립 등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운동량 및 움직임을 측정하는 기능이 있는 통신기기를 휴대하여, 움직임이 없이 장시간 앉아 있다면 이를 관리센터에서 개별 고지하여 스트레칭을 유도하거나 움직이게 하여 직업적 특성 징후로 유발되는 재해를 예방하는 관리 방법이다.
또한 일반적 또는 특성적 의료용(체온/혈압/맥박 등) 측정 센스 기능을 포함한 통신기기를 휴대하여 수집된 정보를 관리센터와 양방향 교신 및 분석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최적의 상태를 유지시키고 재해를 예방하는 안전관리 방법이다.
이상과 같이 개별작업자(300), 단위작업장(200) 및 중앙관리센터(100)이 상호 유기적으로 통신이 가능하고, 제어가 가능함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미연방지 및 불의의 사고시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업무 효율이 증대하는 잇점이 있다.
100 : 관리센터 200 : 단위작업장
300 : 개별작업자

Claims (11)

  1. 외부환경요인, 단위작업장의 환경요인 및 개별작업자의 개인별 환경요인을 구비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체의 작업과정을 통괄하는 관리센터와;
    상기 관리센터와 상호통신이 이루어지고, 관리센터에서 지시하는 작업에 따라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위작업장;그리고
    상기 단위작업장과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고, 개별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개별작업자:로 이루어지되,
    개별작업자의 작업장 환경의 변화 및 개인별 환경의 변화에 따른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작업지시가 이루어지는 실시간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터는,
    작업장의 외부환경정보 및 변화정보와 개별작업자의 개인환경정보 및 환경변화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새로운 작업지시서를 생성하고, 이를 단위작업장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장은,
    개별작업자와 상호 통신하되, 작업지시 및 개별작업자의 환경정보 및 개인정보의 변경을 확인하고,
    개별작업자의 작업조건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 관리센터와 상호 통신하고. 개별작업자와 상호 통신을 하며, 상기 관리센터에 의해 변경된 작업지시를 각 개별작업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작업자는,
    단위작업장과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각 작업장환경에 따른 센서 및/또는 개인별 환경에 따른 센서를 구비하고,
    단위작업장에 환경변화 요인 및 센서측정값을 전달하여 변화된 작업환경을 단위작업장통보하고, 단위작업장의 지시에 의해 새로운 업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5. 제 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작업자는,
    용접복, 용접마스크 용접장갑, 안전모, 작업모자, 송기마스크 및 방진/방독마스크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에 개인별 통신수단 및/또는 센서를 부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작업자는,
    상기 단위작업장과 음성 및/또는 문자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유해가스 측정센서, 복사열센서, 산소농도 센서, 체열측정센서, 자외선 측정센서,공기압측정센서, 소음측정센서, 오존측정센서, 질화물측정센서, 열감지센서,습도센서, 압력센서, 운동량측정센서. 체온측정센서, 혈압센서, 맥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작업자는,
    용접복, 용접마스크 및 용접장갑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단위작업장과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유해가스측정센서, 복사열센서, 산소농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작업자는,
    안전모 및/또는 작업모자에 단위작업장과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체열측정센서, 자외선측정센서 유해가스측정센서, 복사열센서, 산소농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작업자는,
    송기마스크, 및/또는 방독/방진마스크에 단위작업장과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유해가스측정센서, 공기압측정센서,소음측정센서, 오존측정센서, 질화물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작업자는,
    신발에 습도센서, 압력센서, 운동량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작업자는,
    체온센서, 혈압센서, 맥박센서 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KR1020150066664A 2015-05-13 2015-05-13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KR20160133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664A KR20160133742A (ko) 2015-05-13 2015-05-13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664A KR20160133742A (ko) 2015-05-13 2015-05-13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742A true KR20160133742A (ko) 2016-11-23

Family

ID=5754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664A KR20160133742A (ko) 2015-05-13 2015-05-13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374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394B1 (ko) * 2018-12-21 2019-11-20 정희석 농축산물 생산을 위한 표준작업공정의 전파와 관리 시스템
KR102086079B1 (ko) * 2018-10-02 2020-03-06 (주)오픈웍스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131369A (ko) * 2019-05-13 2020-11-24 시알시피 주식회사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KR102344336B1 (ko) * 2021-08-04 2021-12-29 삼일씨티에스(주)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3409A (ko) 2021-07-19 2023-01-26 (주)유니드 작업 과정 관리 시스템
KR102585393B1 (ko) * 2023-04-12 2023-10-06 에코빅풋 주식회사 밀폐 구역 표면처리, 단면보수, 모르타르 및 도장 작업을 위한 스마트 안전 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3223A2 (fr) 2000-03-31 2001-10-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Mise en oeuvre d'engins de chantier pour un chantier du btp, systeme et dispositif de gestion
KR20140096831A (ko) 2013-01-29 2014-08-06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옥외 사업장용 국지 기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3223A2 (fr) 2000-03-31 2001-10-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Mise en oeuvre d'engins de chantier pour un chantier du btp, systeme et dispositif de gestion
KR20140096831A (ko) 2013-01-29 2014-08-06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옥외 사업장용 국지 기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079B1 (ko) * 2018-10-02 2020-03-06 (주)오픈웍스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46394B1 (ko) * 2018-12-21 2019-11-20 정희석 농축산물 생산을 위한 표준작업공정의 전파와 관리 시스템
KR20200131369A (ko) * 2019-05-13 2020-11-24 시알시피 주식회사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KR20230013409A (ko) 2021-07-19 2023-01-26 (주)유니드 작업 과정 관리 시스템
KR102344336B1 (ko) * 2021-08-04 2021-12-29 삼일씨티에스(주)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85393B1 (ko) * 2023-04-12 2023-10-06 에코빅풋 주식회사 밀폐 구역 표면처리, 단면보수, 모르타르 및 도장 작업을 위한 스마트 안전 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3742A (ko)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EP3474958B1 (en) Indicating hazardous exposure in a supplied air respirator system
Blunt et al. Health and safety in welding and allied processes
Golbabaei et al. Air pollution in welding processes—assessment and control methods
US11771927B2 (en) Rebreathing apparatus having inhaled oxygen mixing and exhaled carbon dioxide removal functions by electronic control
KR20160004079A (ko) 호흡 보호구의 공기 정화장치의 이상상황 경고방법
KR102125879B1 (ko) 자급식 호흡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자급식 호흡장치 상태 판단 방법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Occupational exposures to air contaminants at the World Trade Center disaster site--New York, September-October, 2001
KR101999206B1 (ko)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Muhamad et al. Risk assessment of abrasive blasting environment in pressure vessel fabrication plants
Ravert Controlling chromium fumes
Niwas et al. Working Environmental Impact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Modern Industrial Sector
KR102131130B1 (ko) 공기질 위험 경고 및 개선장치
TO WELDING FUME CONTROL
Tucker Jr Thermal Spray Technology
Paris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Gately et a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obson Silica Safety
Smith et al. Workspace, equipment and tool design
Chute et al. The national shipbuilding research program welding fume study
Enger Identifying Potential Inhalation and Noise Hazards in Abrasive Blasting Operations
Shield Safety Signage
Freschet Case Study: The Implementation of Tool Box Talks at a Steel Subcontracting Shop
ZEKERI ASSESSMENT OF SAFETY PRECAUTION AND RISK MANAGEMENT PRACTICES AMONG ROADSIDE ARC WELDER TECHNICIANS IN MINNA METROPOLIS
Wandzich et al. Workplace quality during the weld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