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369A -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369A
KR20200131369A KR1020190055504A KR20190055504A KR20200131369A KR 20200131369 A KR20200131369 A KR 20200131369A KR 1020190055504 A KR1020190055504 A KR 1020190055504A KR 20190055504 A KR20190055504 A KR 20190055504A KR 20200131369 A KR20200131369 A KR 2020013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substance
chemical
control uni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927B1 (ko
Inventor
전석종
Original Assignee
시알시피 주식회사
전석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알시피 주식회사, 전석종 filed Critical 시알시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92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xic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으로서,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 취급시 주의사항, 물리적 위험성, 인체 유해성, 환경 유해성에 대한 정보, 취급시 주의사항, 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요령,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법적 규제 현황을 포함하는 물질안전보건정보를 저장하는 제1 DB 서버; 작업시간, 작업자에 대한 노출정도, 작업자의 노출시간, 작업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정보, 작업장의 배기 장치 가동 여부, 제품의 포장, 반응기의 압력 또는 온도 조건 및 화학제품에 대한 취급 정보를 저장하는 제2 DB 서버; 상기 제1 DB 서버에 액세스하여 제품 생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제1 화학 물질 및 제2 화학 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및 위해성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DB 서버에 엑세스하여 해당 화학물질에 작업 조건과 비교하여 작업자의 안전 확보 여부를 판단하는 화학 물질 통제부; 상기 제품 생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화학 물질 또는 상기 제2 화학 물질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여 유출 여부를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로 전송하는 검출부; 및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화학 물질의 유출을 차단 또는 회수하는 방제부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ALARM SYSTEM FOR TOXIC SUBSTANCE USING MATERIAL SAFETY DATA SHEET}
본 발명은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유해 물질의 유출을 감지하고 경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진 바에 따르면, 물질 안전관리 규정(MSDS : Material Safety Data Sheet)상에 명시된 유해 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장은, 국내에 약 16,000 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물질안전관리 규정상에 나열된 유해물질의 종류는 15,000 여개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유해 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의 작업자 등이 이러한 물질안전관리 규정을 모두 숙지하고 대응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현재 산업안전 보건법에 명시된 규정에 의하여, 작업장이나 연구실별로 사용하고 있는 유해 물질에 대해서 연구원이나 작업장 종사자들에게 공지하고 이들 유해 물질에 대한 MSDS 문서를 출력하여 비치하고 안전 교육을 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규정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람에게 유해한 유해 물질이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연구원이나 작업장 종사자들이 어느 유해 물질에 노출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과, 대피 등과 같은 대응 방안을 신속하게 수행하기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연구실이나 작업장에서 이용되는 유해 물질의 종류가 다양하고 유해 물질 중 다수는 무색, 무취의 물질이 다수 존재하여 작업자나 연구원들에게 노출되는 경우에는 유해 물질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불안감 증폭 등으로 인해 그 대응이 불가능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위험한 유해 물질을 다루는 환경 하에서 이러한 유해 물질에 노출될 시에 신속하게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므로, 신속 대응 방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 물질 경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2075호(공개일 2016년09월28일)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5109호(공고일 2011년11월21일)
본 발명은 유해물질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고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 취급시 주의사항, 물리적 위험성, 인체 유해성, 환경 유해성에 대한 정보, 취급시 주의사항, 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요령,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법적 규제 현황을 포함하는 물질안전보건정보를 저장하는 제1 DB 서버; 작업시간, 작업자에 대한 노출정도, 작업자의 노출시간, 작업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정보, 작업장의 배기 장치 가동 여부, 제품의 포장, 반응기의 압력 또는 온도 조건 및 화학제품에 대한 취급 정보를 저장하는 제2 DB 서버; 상기 제1 DB 서버에 액세스하여 제품 생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제1 화학 물질 및 제2 화학 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및 위해성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DB 서버에 엑세스하여 해당 화학물질에 작업 조건과 비교하여 작업자의 안전 확보 여부를 판단하는 화학 물질 통제부; 상기 제품 생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화학 물질 또는 상기 제2 화학 물질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여 유출 여부를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로 전송하는 검출부; 및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화학 물질의 유출을 차단 또는 회수하는 방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화학 물질을 탐지하는 제1 탐지기; 및 상기 제2 화학 물질을 탐지하는 제2 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는, 상기 제1 화학 물질 및 상기 제2 화학 물질의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탐지기 및 상기 제2 탐지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는, 제1 화학 물질 또는 상기 제2 화학 물질이 사용되는 시점에만 상기 제1 탐지기 또는 상기 제2 탐지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제1 화학 물질 또는 상기 제2 화학 물질이 검출되면, 상기 방제부가 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는, 상기 제1 DB 서버로부터 검출된 화학 물질의 방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고 수준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고 수준에 따라 상기 방제부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방제 절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방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상기 방제 절차는, 검출된 화학 물질의 공급 중지, 화재 진압, 상기 사업장 내에 경고 방송 송출 및 관할 방제 관청으로 사고 내용 송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DB 서버로부터 상기 사고 수준에 해당하는 사고 대응 절차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 생산 설비 내에 근무하는 근로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로 상기 사고 대응 절차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에 의하면, 유해 물질의 검출시에 바로 연구실이나 작업장에 위치하거나 인접하는 연구원이나 작업원에게 검출된 유해 물질에 대응하는 조치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출된 유해 물질에 대응한 조치를 연구원이나 작업원의 개인별 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별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송출부의 세부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사업장'은 '제품 생산 설비'가 구비된 장소를 포괄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1000)은 제1 DB 서버(100), 제2 DB 서버(101) 화학 물질 통제부(200), 검출부(300), 방제부(400) 및 메시지 송출부(500)를 포함한다.
제1 DB 서버(100)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저장하는 서버이다.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는 화학물질을 취급할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사업장(P)에 비치하는 서류이다.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는 화학제품의 용도, 화학제품의 성분, 함량, 성분에 대한 물질정보, 취급시 주의사항, 물리적 위험성, 인체 유해성, 환경 유해성에 대한 정보, 취급시 주의사항, 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요령,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법적 규제 현황,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 취급시 주의사항, 물리적 위험성, 인체 유해성, 환경 유해성에 대한 정보, 취급시 주의사항, 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요령,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법적 규제 현황 등이 기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내용을 기초로 작업 위험사항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대비를 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용어나 내용이 전문적으로 기재되어있어 현장 작업자가 쉽게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고예방에 미흡한 부분이 있다.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데이터를 사업장 내 설비와 연동하여 화학물질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방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1 DB 서버(100)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전산화하여 저장하여 필요한 자료의 신속한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제1 DB 서버(100)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부터 해당 사업장(P)에서 취급하는 화학제품의 물질안전보건정보(성분, 함량, 분류정보, 취급시 주의사항, 물리적 위험성, 인체 유해성, 환경 유해성에 대한 정보, 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요령,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법적 규제 현황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보관 한다.
한편 제2 DB 서버(101)에는 취급하는 화학제품을 사용, 보관, 저장하는 경우에 대한 조건(예를 들어, 작업시간, 작업자에 대한 노출정도, 작업자의 노출시간, 작업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정보, 작업장의 배기 장치 가동 여부, 제품의 포장, 반응기의 압력 또는 온도 등에 대한 조건 등)에 대한 정보가 보관되어 있다. 화학제품 취급에 대한 조건은 화학물질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에 따라 화학제품의 양도자가 제공한 정보를 기초로 하거나, 해당 제품의 유해성 또는 위해성을 기초로 자체적으로 작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1000)은 개별기업에 설치된 제1 DB 서버(100)를 사용하거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산업안전보건 공단의 MSDS 정보 제공 시스템)에 직접 액세스하는 형식으로 MSDS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1000)에서 사업장(제품 생산 설비(P))에 원재료가 투입되면, 원재료의 코드 또는 제품명이 화학 물질 통제부(200)에 입력된다.
제품의 생산에 사용되는 원재료는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간결한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원재료는 제1 화학물질(C1) 및 제2 화학 물질(C2)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설명하면,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1000)은 제품 생산 설비(P)에 제1 화학물질(C1) 및 제2 화학 물질(C2)이 투입되면, 각각 제1 화학물질(C1)의 코드와 제2 화학 물질(C2)의 코드가 화학 물질 통제부(200)에 입력된다.
화학 물질 통제부(200)로 화학 물질의 코드 입력은 작업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작업 스케줄(즉, 제1 화학물질(C1) 및 제2 화학 물질(C2)의 투입 스케줄)에 맞추어 입력될 수 있다.
화학 물질의 코드가 입력되면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제1 DB 서버(100)에 액세스하여 제품 생산 설비(P)에서 사용되는 제1 화학 물질 및 제2 화학 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정보를 취득한다.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입력된 코드를 기초로 하여 제1 DB 서버(100)부터 각각 제1 화학물질(C1) 및 제2 화학 물질(C2)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정보(각 성분에 대한 물질정보,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 취급시 주의사항, 물리적 위험성, 인체 유해성, 환경 유해성에 대한 정보, 취급시 주의사항, 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요령,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법적 규제 현황 등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입력되어 있는 사항을 액세스한다.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또한 입력된 코드를 기초로 하여 제2 DB 서버(101)로부터 해당 작업에 대한 작업조건 정보를 액세스 한다.
검출부(300)는 제품 생산 설비(P)에서 사용되는 제1 화학 물질(C1) 또는 제2 화학 물질(C2)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여 유출 여부를 화학 물질 통제부(200)로 전송한다.
사업장(P)에는 사용되는 화학물질에 따라 각기 다른 검출기 또는 검출기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검출기 또는 검지기는 화학물질의 종류, 성질(기체, 액체, 알칼리성, 산성 등)에 따라 설치 위치, 감지 방법 등이 다르다. 본 설명에서 탐지기(310, 320)는 검출기 및 검출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검출부(300)는 제1 탐지기(310) 및 제2 탐지기(320)를 포함한다.
제1 탐지기(310)는 제1 화학 물질(C1)을 탐지하는 탐지기이고, 제2 탐지기(320)는 제2 화학 물질(C2)을 탐지하는 탐지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탐지기(310) 및 제2 탐지기(320)는 각각 1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모식적인 도시로서,
제품 생산 설비(P)의 규모 및 검지하고자 하는 화학 물질의 성격에 따라 제1 탐지기(310) 및 제2 탐지기(320)는 복수개가 필요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반응기(제품 생산 설비)에 여러 가지 화학 물질을 사용할 경우 각기 다른 검출기와 방제기가 사용제어야 한다.
한편,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제1 화학 물질(C1) 및 제2 화학 물질(C2)의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제1 탐지기(310) 및 제2 탐지기(32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
즉,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제1 DB 서버(100)에 액세스하여 제품 생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제1 화학 물질(C1) 및 제2 화학 물질(C2)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및 위해성 정보를 확인하고, 제2 DB 서버(101)에 엑세스하여 해당 화학물질에 작업 조건과 비교하여 작업자의 안전 확보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설명하면, 화학물질 통제부(200)는 제1 DB 서버(100)부터의 물질안전보건정보로부터 해당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및 위해성 정보를 확인하고, 제2 DB 서버(101) 저장된 해당 화학물질의 작업 조건이 작업자의 안전과 피해를 방지하기에 적합하도록 이루어 졌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물질안전보건정보로부터의 해당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및 위해성이 높으나, 작업자의 작업시간이 길거나 노출시간이 길게 설정되어 있거나, 작업자의 보호장비가 구비되지 않거나, 적절한 배기시설이 없는 조건이라면 작업이 시작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제1 화학 물질(C1) 및 제2 화학 물질(C2)의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제1 탐지기(310) 및 제2 탐지기(32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
화학물질의 종류, 성질 및 사용 시점에 관계없이 모든 탐지기가 항상 동작한다면 검출부(300)는 빈번하게 오작동하게 되어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작업 제어부로 하여금 생산 작업을 중지 시키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제1 화학 물질(C1) 및 제2 화학 물질(C2)이 사용되는 작업 스케줄(작업 시점)에만 제1 탐지기(310) 및 제2 탐지기(320)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작업 스케줄 상에서 제1 화학 물질(C1)만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 탐지기(310)만이 가동되도록 제어하고, 제2 화학 물질(C2)만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 탐지기(320)만이 가동되도록 제어한다. 혹은, 제1 화학 물질(C1)과 제2 화학 물질(C2)에 동시에 사용되다가 특정 시점에서 제2 화학 물질(C2)의 사용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제1 탐지기(310) 및 제2 탐지기(320)가 동시에 동작하다가 특정 시점에서는 제2 탐지기(320)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설명하자면,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투입되는 원재료에 따라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DB로부터 원재료에 대한 화학물질의 물질 정보와 물리화학적 성질, 유해성 자료를 기초로 작업장에 설치된 검출기 중 해당하는 검출기만 활성화시키고, 해당 원재료와 관계없는 검출기는 비활성화 시킨다.
방제부(400)는 화학 물질 통제부(200)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화학 물질의 유출을 차단하거나 또는 유출된 화학 물질을 회수한다.
방제부(400)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각기 다른 방재 설비가 필요하다. 도시 생략되었으나, 방제부(400)는 제1 화학 물질(C1)을 방제하는 제1 방제기 및 제2 화학 물질(C2)을 방제하는 제2 방제기를 포함한다.
활성화된 검출기로부터 화학물질의 누출이 감지되면,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제1 DB 서버(100)로부터의 안전정보, 방제 정보를 기초로 해당하는 방제 장치를 작동하여 누출 또는 화재 등을 진화한다.
즉,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검출부(300)에서 제1 화학 물질(C1) 또는 제2 화학 물질(C2)이 검출되면 방제부(400)가 가동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화학 물질(C1)의 누출만이 감지된 경우 제1 화학 물질(C1)을 방제하는 제1 방제기가 가동되도록 방제부(400)를 제어하고, 제2 화학 물질(C2)의 누출만이 감지된 경우 제2 화학 물질(C2)을 방제하는 제2 방제기가 가동되도록 방제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사업장(P) 내에 경고 방송을 하고 관련 사고 내용을 관할 방제 관청(예를 들어 소방서)로 송출할 수 있다.
한 예로, 화학 물질 통제부(200)는 제1 DB 서버(100)로부터 검출된 화학 물질의 방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고 수준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고 수준에 따라 방제부(400)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방제 절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방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복수의 상기 방제 절차는 검출된 화학 물질의 공급 중지, 화재 진압, 사업장(P) 내에 경고 방송 송출 및 관할 방제 관청(O)으로 사고 내용 송출 등을 포함한다.
제1 화학 물질(C1)은 누출되었을 경우 유해성이 높고, 제2 화학 물질(C2)은 유해성이 낮은 것으로 가정하면, 제2 화학 물질(C2)이 검출된 경우 사고 수준에 대한 방제 절차는 예를 들어 '검출된 화학 물질의 공급 중지' 하나만 적용될 수 있다.
제1 화학 물질(C1)이 검출된 경우 사고 수준에 대한 방제 절차는 예를 들어 '검출된 화학 물질의 공급 중지', '화재 진압', '사업장(P) 내에 경고 방송 송출' 및 '관할 방제 관청(O)으로 사고 내용 송출'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송출부(500)는 제1 DB 서버(100)로부터 사고 수준에 해당되는 사고 대응 절차를 수신하여 사업장(P) 내에 근무하는 근로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M)로 상기 사고 대응 절차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1 화학 물질(C1)이 검출된 경우 사고 수준에 대한 방제 절차는 '사업장(P) 내에 경고 방송 송출' 및 '관할 방제 관청(O)으로 사고 내용 송출'을 포함하는데,
메시지 송출부(500)는 모바일 단말(M)로 '사업장(P) 내에 경고 방송 송출'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송출하여, 사업장의 소음 등으로 인하여 경고 방송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송출되는 '메시지' 제1 화학 물질(C1)의 유출 여부 뿐만 아니라, 제1 화학 물질(C1)의 유출시 대응해야 하는 사고 대응 절차(즉, 사고 대응 매뉴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지 송출부(500)는 근로자가 담당하는 업무에 맞춘 사고 대응 절차를 발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송출부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출부(500)는 대응절차 수신 모듈(510), 메시지 생성 모듈(520), 근로자 정보DB(530), 매뉴얼 DB(540) 및 메시지 송출 모듈(550)을 포함한다.
대응절차 수신 모듈(510)은 화학 물질 통제부(200)에서 결정된 사고 수준을 수신한다. 이어서, 대응절차 수신 모듈(510)은 제1 DB 서버(100)로부터 앞서 수신된 사고 수준에 해당하는 사고 대응 절차를 수신한다.
메시지 생성 모듈(520)은 사고 수준 및 사고 수준에 해당하는 대응 절차를 모바일 단말(M)이 수신할 수 있는 전자 메시지 형태로 가공한다. 여기서 전자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형식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형식을 포함한다.
근로자 정보 DB(530)는 사업장(P)에 재직 또는 근로중인 근로자의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정보는 근로자의 직책, 담당 업무 및 비상 연락망을 포함하며, 실시자에 따라 SNS 계정 정보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매뉴얼 DB(540)는 사고 수준별 사고 대응 절차를 사업장(P) 현장에 맞추어 작성한 대응 문서를 저장한다. 제1 DB 서버(100)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기재된 정형화된 대응 절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고 수준이 높고, 긴급한 대응이 필요한 경우 제1 DB 서버(100)에서 수신된 사고 대응 절차만으로는 효과적인 대응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매뉴얼 DB(540)는 사업장(P)의 상황을 반영하여 개별 근로자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간결하게 문서화한 매뉴얼을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메시지 생성 모듈(520)에 제공한다.
대응절차 수신 모듈(510)이 화학 물질 통제부(200)로부터 사고 수준을 수신하고, 제1 DB 서버(100)로부터 사고 대응 절차를 수신하면,
메시지 생성 모듈(520)은 근로자 정보 DB(530)로부터 해당 사업장(P)에 재직 또는 근로중인 근로자의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 정보는 '직책', '담당 업무' 및 '긴급 연락망'을 포함한다.
이어서, 메시지 생성 모듈(520)은 매뉴얼 DB(540)로부터 사고 수준에 따른 매뉴얼을 수신한다. 여기서, 매뉴얼은 태그 정보로서 사고 수준, 직책 및 담당 업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고 수준이 '사고 3단계'라고 가정하면 메시지 생성 모듈(520)은 매뉴얼 DB(540)로부터 '사고 3단계'에 해당하는 매뉴얼을 수신한다.
이어서, 직책 및 담당 업무 태그를 참조하여 수신된 매뉴얼을 근로자 정보 DB(530)로부터 수신된 근로자별 '직책', '담당 업무' 및 '긴급 연락망'과 매치시켜 개별 근로자에게 송출될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직책 및 담당 업무별 사고 대응 매뉴얼로서, 텍스트 뿐만 아니라 동영상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메시지 송출 모듈(550)은 생성된 '메시지'를 각 근로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M)로 송출한다. 문자 메시지 또는 MMS를 방식으로 송출할 경우 '긴급 연락망' 정보로 송출할 수도 있고, 실시자에 따라서는 근로자의 SNS를 통해 '메시지'를 송출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메시지 송출부(500)는 근로자의 메시지 수신 확인 및 매뉴얼에 따른 사고 대응을 확인하기 위한 수신/대응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근로자가 '긴급 연락망' 또는 SNS를 통해 대응 매뉴얼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M)에서 '수신 확인' 및 매뉴얼에 따른 '대응 완료'를 수신/대응 확인 모듈로 회신할 수 있다.
'메시지'를 송출하는 것만으로 방제 대응이 수행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수신/대응 확인 모듈에서 근로자별 '수신 확인' 및 '대응 완료'를 확인하는 것으로 매뉴얼에 따른 대응이 어느 정도 진행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는데,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100: 제1 DB 서버, 101: 제2 DB 서버
200: 화학 물질 통제부
300: 검출부
400: 방제부
500: 메시지 송출부

Claims (7)

  1.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 취급시 주의사항, 물리적 위험성, 인체 유해성, 환경 유해성에 대한 정보, 취급시 주의사항, 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요령,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법적 규제 현황을 포함하는 물질안전보건정보를 저장하는 제1 DB 서버;
    작업시간, 작업자에 대한 노출정도, 작업자의 노출시간, 작업자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정보, 작업장의 배기 장치 가동 여부, 제품의 포장, 반응기의 압력 또는 온도 조건 및 화학제품에 대한 취급 정보를 저장하는 제2 DB 서버;
    상기 제1 DB 서버에 액세스하여 제품 생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제1 화학 물질 및 제2 화학 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및 위해성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DB 서버에 엑세스하여 해당 화학물질에 작업 조건과 비교하여 작업자의 안전 확보 여부를 판단하는 화학 물질 통제부;
    상기 제품 생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화학 물질 또는 상기 제2 화학 물질의 유출 여부를 감지하여 유출 여부를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로 전송하는 검출부; 및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화학 물질의 유출을 차단 또는 회수하는 방제부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화학 물질을 탐지하는 제1 탐지기; 및
    상기 제2 화학 물질을 탐지하는 제2 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는,
    상기 제1 화학 물질 및 상기 제2 화학 물질의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탐지기 및 상기 제2 탐지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는,
    제1 화학 물질 또는 상기 제2 화학 물질이 사용되는 시점에만 상기 제1 탐지기 또는 상기 제2 탐지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제1 화학 물질 또는 상기 제2 화학 물질이 검출되면,
    상기 방제부가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학 물질 통제부는,
    상기 제1 DB 서버로부터 검출된 화학 물질의 방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고 수준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고 수준에 따라 상기 방제부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방제 절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방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방제 절차는,
    검출된 화학 물질의 공급 중지, 화재 진압, 상기 제품 생산 설비 내에 경고 방송 송출 및 관할 방제 관청으로 사고 내용 송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DB 서버로부터 상기 사고 수준에 해당되는 사고 대응 절차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 생산 설비 내에 근무하는 근로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로 상기 사고 대응 절차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KR1020190055504A 2019-05-13 2019-05-13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KR10219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04A KR102190927B1 (ko) 2019-05-13 2019-05-13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04A KR102190927B1 (ko) 2019-05-13 2019-05-13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369A true KR20200131369A (ko) 2020-11-24
KR102190927B1 KR102190927B1 (ko) 2020-12-15

Family

ID=7367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04A KR102190927B1 (ko) 2019-05-13 2019-05-13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9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8049A (ko) * 2008-06-10 2009-12-1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0444A (ko) * 2014-06-05 2015-12-16 (주)피시피아 유해 물질 경고 장치, 유해 물질 경고 방법 및 유해 물질 경고 시스템
KR20160008475A (ko) * 2014-07-14 2016-01-22 송재훈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20160112075A (ko) 2015-03-17 2016-09-2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질안전보건자료 제공방법
KR20160133742A (ko) *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8049A (ko) * 2008-06-10 2009-12-1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5109B1 (ko) 2008-06-10 2011-11-2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0444A (ko) * 2014-06-05 2015-12-16 (주)피시피아 유해 물질 경고 장치, 유해 물질 경고 방법 및 유해 물질 경고 시스템
KR20160008475A (ko) * 2014-07-14 2016-01-22 송재훈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20160112075A (ko) 2015-03-17 2016-09-2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질안전보건자료 제공방법
KR20160133742A (ko) *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개인별 관리가 이루어지는 작업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927B1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382B1 (ko)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Festag False alarm ratio of fire detection and fire alarm systems in Germany–A meta analysis
EP2739969B1 (en) Self-testing combustible gas and hydrogen sulfide detection apparatus
EP2115645A1 (en) 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disaste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JP2008158879A (ja) 避難経路算出装置、避難経路算出方法及び避難経路算出プログラム
Rausand Preliminary hazard analysis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90927B1 (ko)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이용한 유해물질 경고 시스템
KR20200107912A (ko) 건설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32683A (ko) 화학사고대응 정보 제공 시스템
WO2021070667A1 (ja) アラーム発報装置およびアラーム発報方法
KR101711950B1 (ko) 화재 발생 장소의 설비 제어 시스템
KR102266547B1 (ko) 위험물 유출 중앙 관리방법
US10672257B2 (en) Method for securing fire-hazardous operations to be executed by a person
KR101638896B1 (ko)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6571B1 (ko)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센서 기반의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시스템
Wincek Amiss, a miss, a near miss
TWI667558B (zh) 危險物品監控系統
WH et al. Safety Critical Element Methodology in an Oil and Gas Company.
Bock et al. ROGA–A New Method for Risk‐Based Hazard Analysis: Part 2–Semi‐Quantitative Assess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Hazard Analysis
KR102214190B1 (ko) 위험물 유출 중앙 감지시스템
Wincek Basis of safety: A concise communication method for critical process safety information
Regulations Guidance
CN111105601A (zh) 危险物品监控系统
Renáta et al. Description of the management of a major hazard event in a high priority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