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259A - 유량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259A
KR20020025259A KR1020027003042A KR20027003042A KR20020025259A KR 20020025259 A KR20020025259 A KR 20020025259A KR 1020027003042 A KR1020027003042 A KR 1020027003042A KR 20027003042 A KR20027003042 A KR 20027003042A KR 20020025259 A KR20020025259 A KR 20020025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valve body
flow control
outlet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523B1 (ko
Inventor
나카자와미츠히로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고우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고우리츠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고우리츠
Publication of KR2002002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Check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배기 유량을 서서히 증대시킬 수 있는 유량 제어 밸브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는 압력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구(26)와, 상기 유출구를 임의로 개폐하는 압접부(31)를 갖는 밸브체(3)와, 상기 밸브체의 압접부를 이동시키는 밸브 작동체(8)로 이루어지고, 유출구로부터 배기할 때에, 유출구를 폐색하고 있는 밸브체의 압접부 평면이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체는 대략 원통형 패킹(33)의 저부 개구로부터 코어(34)를 끼워 넣은 압접부의 하단부에 180도 간격을 두고 탄성체에 의한 지지판(32)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접부 및 지지판은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의 폭 치수는 상기 압접부의 외경 치수와 거의 같은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접부의 평면을 배기에 의해 경사시키기 위해서는, 예컨대, 상기 유출구를 밸브체의 압접부의 중심에 어긋나게 형성하면 좋다.

Description

유량 제어 밸브{FLOW CONTROL VALVE}
혈압계에는 여러 가지의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펌프에 의해 혈압 피측정자의 팔에 감긴 커프(cuff)에 공기를 보내고, 커프내의 압력을 소정치까지 올린 후에, 그 압력을 서서히 감압해 나가고, 이 감압 과정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있다. 혈압의 측정 후에는 커프내의 압력을 급속히 낮추어 혈압 피측정자의 팔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개방하여 팔에서 커프를 벗기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혈압계의 유량 제어 밸브는 가압한 커프내의 압력을 서서히 감압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러기 위해서 커프와 유통하는 압력 유출구의 크기를 서서히 증대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유량 제어 밸브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 6-4700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유량 제어 밸브는 커프와 유통하는 공기의 유출구와, 이 유출구를 폐쇄하고 가동축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패킹과, 가동축을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유량 제어 밸브는 공기의 유출구 및 패킹의 각 단부면을서로 평행 관계가 되지 않는 평면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패킹을 서서히 공기의 유출구에서 분리함으로써, 공기의 유출구를 한번에 개방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개방하도록 한 것이다. 커프내의 압력을 소정치까지 낮추어 혈압의 측정이 끝난 후에는 솔레노이드의 전류를 차단하여 스프링에 의해 가동축을 밀어 내리고, 커프내의 압력을 대기압까지 급속히 낮추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유량 제어 밸브는 공기의 유출구의 단부면 또는 패킹의 단부면 중 어느 한쪽을 슬라이딩축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시켜 형성한 것이지만, 패킹의 자세에 따라 공기의 유출량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유출구와 패킹의 각 단부면의 경사각을 미묘하게 조정해야만 하는 동시에, 가동축의 자세가 변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지만, 공기의 유출량을 서서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유량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갯수를 적게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유량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량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유량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혈압계 등의 정속 배기 밸브로서 사용되는 유량 제어용 전자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로서, 배기량을 서서히 증대시킬 수 있는 유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밸브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제5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는 제6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제7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제8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제9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제10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는 밸브체에 의한 유출구의 폐색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는 유출구와 밸브체의 압접부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설명도.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는 압력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이 유출구를 임의로 개폐하는 압접부를 갖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의 압접부를 이동시키는 밸브 작동체로 이루어지고, 유출구로부터 배기할 때에, 유출구를 폐색하고있는 밸브체의 압접부의 평면이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는 대략 원통형 패킹의 저부 개구로부터 코어를 끼워 넣은 압접부의 하단부에 180도 떨어진 채 지지판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략 원통형 패킹 및 지지판은 고무, 플라스틱 등의 탄성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의 폭 치수는 상기 압접부의 외경 치수와 거의 같은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출구로부터 배기할 때에, 밸브체의 압접부의 평면을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경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유출구의 중심과 밸브체의 압접부의 중심을 어긋나게 형성하면 좋다. 상기 유출구의 중심을 밸브체의 압접부의 중심에 어긋나게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상기 유출구를 커프로 연통되는 연결관의 축심에 어긋나게 형성하거나,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의 한쪽을 다른 쪽보다 짧게 형성하여 압접부의 중심에 어긋나게 하면 좋다.
또한, 유출구로부터 배기할 때에, 밸브체의 압접부의 평면을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경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의 한쪽 두께를 다른 쪽보다 얇게 형성하거나 혹은 코어의 위치를 원통형 패킹의 중심에 어긋나게 끼워 넣음으로써 지지판의 한쪽 스프링 작용을 다른 쪽보다도 약하게 하면 좋다.
상기 유출구를 커프로 연통되는 연결관의 축심에 어긋나게 형성한 경우에는, 압접부의 중심에서 어긋난 위치에 배기가 닿기 때문에, 압접부의 평면은 경사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의 한쪽을 다른 쪽보다 짧게 형성하면, 유출구와압접부의 중심이 어긋나는 동시에,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에 차가 생기기 때문에, 배기에 의해 압접부의 평면은 경사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의 한쪽 두께를 다른 쪽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한 경우, 혹은 상기 밸브체의 원통형 패킹의 중심에 어긋나게 코어를 끼워 넣었을 경우에는, 한쪽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이 다른 쪽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보다도 약해지기 때문에, 밸브체의 압접부의 평면이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경사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는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이 약해지는 동시에,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압이 작아졌을 경우에도 반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체의 압접부 평면의 경사를 길게 유지할 수 있고, 한층 미세한 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형성하는 홈 또는 슬릿은 압접부의 양측에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하면 좋다. 또한, 상기 홈 또는 슬릿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호형이어도 좋고, 지지판의 측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또한, 지지판의 측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을 이하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유량 제어 밸브의 제1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유량 제어 밸브의 전체 구조는 원통형의 케이싱(1)과 덮개(2) 사이에 대략 평면 직사각 형상의 밸브체(3)의 양단부를 끼우고, 케이싱(1)내에 솔레노이드(4)와 마그넷(5)을 수납하는 원통형의 수납체(6)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수납체(6)의 관통 구멍(7)에 상기 밸브체(3)를 밀어 올리는 밸브 작동체(8)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음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세히 설명하면, 원통형 케이싱(1)의 주벽(11)의 측면에는 잘라진 평탄면(12, 12)이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 저부(13)의 중심에는 상기 밸브 작동체(8)의 단부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14)이 마련되고, 상부 개구부의 내측에는 단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2)는 상판(21)과 주벽(22)으로 이루어지고, 상판(21)의 중앙부에는 커프로 연통되는 연결관(23)이 밸브 작동체(8)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벽(22)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단부(15)에 끼워 맞추는 볼록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23)에 설치된 유출 통로(25)의 유출구(26)는 상판(21)의 하면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판(21)에는 상기 연결관(23)을 사이에 끼워 180도 떨어져 있는 위치에 배출구(27, 27)가 설치되고, 주벽(22)의 측면에는 잘라진 평탄면(28)이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평탄면(28)은 케이싱(1)과 조립했을 때, 케이싱(1)의 평탄면(12)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관(23)의 축심과 밸브 작동체(8)의 축심과는 거의 동일하지만, 상기 유출 통로(25)의 중심은 연결관(23)의 중심에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편심 방향은 후술하는 밸브체(3)의 길이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체(3)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원주형(圓柱形) 압접부(31)의 하단부에서 180도 떨어진 채 지지판(32, 32)이 압접부(31)의 측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접부(31)는 원통형 패킹(33)의 저부 개구로부터 코어(34)를 끼워 넣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32, 32)과 원통형 패킹(33)은 고무, 플라스틱 등의 탄성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32, 32)은 거의 동일한 두께로서, 폭 치수는 압접부의 외경 치수와 거의 같은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32, 32)의 단부가 원통형 케이싱(1)의 상부 개구부의 단부에 가설된 상태로 덮개(2)의 주벽(22)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기 압접부(31)의 축심과 연결관(23)의 축심은 거의 동일선상에 있다. 원통형 패킹(33)의 유출구(26)에 압접하는 면은 평면(35)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출구(26)와 거의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32, 32)이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34)가 도 2의 하측에서 밀어 올려지면 지지판(32, 32)이 신장하여 원통형 패킹(33)의 평면(35)을 유출구(26)에 압접하여 폐색할 수 있다. 압접부(31)의 축심과 연결관(23)의 축심은 거의 동일선상에 있지만, 유출 통로(25)가 연결관(23)의 축심에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출구(26)는 원통형 패킹(33)의 축심에서 어긋난 위치에 압접되게 된다.
다음에, 밸브 작동체(8)를 도 2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4)와, 상기 솔레노이드(4)의 외측에 설치된 마그넷(5)이 케이싱(1)에 수납된 원통형수납체(6)에 설치되어 있다. 원통형 수납체(6)는 내벽(62)과 외벽(63)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서, 내벽(62)의 내측은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으로 되어 있고, 내벽(62)과 외벽(63) 사이는 환상 홈(64)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4)와 마그넷(5)이 상기 환상 홈(64)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밸브 작동체(8)는 상기 솔레노이드(4)보다 약간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81)와 슬라이드축(82)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81)의 상면 중앙부에는 슬라이딩축(82)의 축심상에 반구형의 볼록부(83)가 돌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축(82)의 외주면에는 관통 구멍(7) 사이에서 요동을 막는 환상 볼록부(84)가 마련되어 있다. 솔레노이드(4)에 전류가 흘러 전자력이 발생하여 밸브 작동체(8)가 이동하면, 상기 볼록부(83)가 코어(34)에 접촉한다. 그리고, 그대로 압접부(31)를 도 2의 상측으로 밀어 올려 원통형 패킹(33)에 의해 유출구(26)를 폐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의 중심을 연결관의 유출구와 밸브 작동체의 볼록부의 중심에서 어긋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결관(23)의 중심에 설치한 유출 통로(25a)의 유출구(26a)와 밸브 작동체(8)의 볼록부(83)의 중심을 상하 방향에서 동일선상에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유출 통로(25a)와 슬라이딩축(82)의 축심도 상기 유출구(26a) 및 볼록부(83)의 중심과 거의 동일선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3a)를 구성하는 압접부(31)의 중심을 유출구(26a)와 볼록부(83)의 중심에 어긋나게 설치한다. 압접부(31)의 중심의 편심 방향은압접부(31)의 양측에 180도 떨어진 채 형성한 지지판(32) 중 어느 한쪽 측으로 한다. 도 4에 있어서는, 지지판(32b)을 짧게 형성하고, 지지판(32a)을 길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압접부(31)가 편심되는 방향의 지지판이 짧고, 반대측 지지판은 길게 형성되게 되며, 도 4에서는, 우측이 길고 좌측이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체(3a) 및 유출구(26a)의 구성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유출구(26a)가 완전히 폐색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밸브 작동체(8)를 도 4의 하측으로 서서히 내리면, 유출구(26a)가 압접부(31)의 중심에서 어긋나 있고, 한쪽 지지판이 길어 스프링 작용이 약해지고 있기 때문에, 유출 통로(25a)를 지나 배기되는 공기에 의해 압접부(31)의 평면(35)은 기울어 유출구(26a)의 하단면과는 비평행 관계가 된다. 더욱이, 밸브 작동체(8)를 서서히 내리면, 평면(35)이 기운 상태로 유출구(26a)에서 서서히 멀어지기 때문에, 저속 배기를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체만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다른 구성은 도 4와 동일하기 때문에 전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를 구성하는 지지판의 한쪽을 얇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주형 압접부(31)의 하단부에 180도 떨어진 채 고무 등의 탄성재로 된 지지판(32c, 32d)을 압접부(31)의 측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판(32d)의 두께(t1)를 지지판(32c)의 두께(t)보다도 얇게 형성하여 스프링 작용을 약하게 한 것이다. 이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접부(31)의 중심은 유출구(26a)와 볼록부(83)의 중심과 거의 동일선상에 설치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체만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다른 구성은 도 4와 동일하기 때문에 전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압접부(31a)의 코어(34a)를 지지판의 한쪽 측으로 비켜 놓음으로써 다른 쪽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을 약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제1∼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주형 압접부(31a)의 하단부에 180도 떨어져 있는 채 고무 등의 탄성재로 된 지지판(32, 32)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 압접부(31a)는 저부가 개구된 원통형 패킹(33a)에 코어(34a)를 끼워 넣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주형 패킹(33a)의 주벽은 지지판의 한쪽 측을 두껍게 형성하고, 다른 쪽 측을 얇게 형성하고 있으며, 저부 개구의 중심이 비켜 놓여져 있다. 따라서, 코어(34a)를 끼워 넣음으로써 한쪽 측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이 약해진다.
상기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출구(26a)가 완전히 폐색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밸브 작동체(8)를 서서히 내리면, 한쪽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유출 통로(25)를 지나 배기되는 공기에 의해 압접부(31, 31a)의 평면(35)은 기울어져 유출구(26)의 하단면과는 비평행 관계가 된다. 평면(35)이 기운 상태로 유출구(26)에서 서서히 멀어지게 되기 때문에, 저속 배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체(3d)만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판(32)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한쪽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을 다른 쪽보다도 약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주형 압접부(31)의 하단부에 180도 떨어진 채 고무 등의 탄성재로 된 지지판(32, 32)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 압접부(31)는 저부가 개구된 원통형 패킹(33)에 코어(34)를 끼워 넣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32, 32)의 상면에는 원호형의 홈(37, 37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원호형의 홈(37, 37a)은 지지판(32, 32) 방향의 중심선(X)의 상하에 점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37)의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를 L, 홈 폭 치수를 T로 하고, 홈(37a)의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를 L1, 홈 폭 치수를 T1로 하면, L과 T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L=L1일 때, T>T1 또는 T<T1이며, T=T1일 때, L>L1 또는 L<L1이다. 이와 같이, 홈(37, 37a)의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 또는 홈 폭 치수에 차를 둠으로써 한쪽 측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을 약하게 하는 동시에, 반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체(3e)만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상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제5 실시 형태와 홈의 위치가 다르다. 즉, 지지판(32)의 상면에 설치된 홈(38, 38a)은 지지판(32, 32) 방향의 중심선(X)상에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홈(38)의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를 L, 홈 폭 치수를 T로 하고, 홈(38a)의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를 L1, 홈 폭 치수를 T1로 하면, L과 T의 관계는 상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체(3f)만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홈(39, 39a)이 지지판(32, 32) 방향의 중심선(X)의 양측으로 분할되어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홈(39)과 홈(39a)의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 및 홈 폭 치수의 관계는 상기 제5 실시 형태나 제6 실시 형태의 경우 동일하다.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체(3g)만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홈(40, 40a)을 점선형으로 설치한 점에서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르다. 홈(40)과 홈(40a)의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 및 홈 폭 치수의 관계는 상기 제5 실시 형태나 제6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체(3h)만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홈(41,41a)을 지지판(32, 32) 방향의 중심선(X)의 양측에 비대칭으로 설치한 점에서 다르다. 즉, 홈(41)의 길이를 홈(41a)보다도 길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홈(41)과 홈(41a)의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 및 홈 폭 치수는 동일하지만, 길이에 차를 둠으로써 한쪽 측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을 약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체(3i)만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홈(42, 42a)을 지지판(32,32)의 측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한 점에서 다르다. 이 홈(42)과 홈(42a)의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 및 홈 폭 치수의 관계는 상기 제5 실시 형태나 제6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는, 홈을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각 실시 형태의 홈을 슬릿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릿으로 변경한 경우에는, 지지판(32, 32) 중 어느 한쪽 측의 슬릿에, 압접부(31)로부터의 간격 치수 및/또는 슬릿의 길이 치수에 차를 둠으로써 한쪽 측의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32, 32)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유출구(26a)에서 배기되는 공기압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압이 약해진 경우에도 지지판(32, 32)의 반동이 적고, 평면(35)의 경사면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 이하의 실시 형태에 도시되어 있는 홈 또는 슬릿은 도 6까지 도시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조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미 지지판(32, 32) 중 한쪽 측의 지지판은 스프링 작용이 약하고, 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홈 또는 슬릿을 대칭으로 형성하면 좋다.
이하에,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솔레노이드(4)에 소정치의 전류를 흘림으로써 전자력을 발생시키고, 도 14에 있어서 밸브 작동체(8)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밸브 작동체(8)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볼록부(83)가 밸브체(3)의 코어(34)에접촉하여 지지판(32, 32)의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밸브체(3)를 밀어 올리고, 원통형 패킹(33)의 평면(35)을 유출구(26)에 압접하여 완전히 폐색한다.
그 후, 솔레노이드(4)의 공급 전류를 조금씩 감소시켜 혈압계의 저속 배기의 과정으로 들어간다. 전류의 감소에 따라 전자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지지판(32, 32)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밸브 작동체(8)는 도 14의 하측으로 서서히 밀어 내려지게 된다. 밸브 작동체(8)가 밀어 내려짐으로써 유출구(26)는 서서히 개방되지만, 유출구(26)는 압접부(31)의 중심에서 어긋나 있고, 볼록부(83)는 압접부(31)의 중심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평면(35)은 배기에 의해 약간 기운다. 이 기울기에 의해 미세한 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a에는 압접부(31)가 유출구(26)를 개방하고자 하는 순간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b에는 압접부(31)의 평면(35)이 경사져서 도면의 우측에서부터 서서히 배기되어 나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4)의 전자력을 서서히 약하게 함으로써 지지판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밸브 작동체(8)가 밀어 내려지고, 폐색되어 있던 공기는 서서히 배기되게 된다. 커프내의 압력을 소정치까지 낮춘 후에, 솔레노이드(4)로의 전류의 공급을 멈추면, 지지판(32, 32)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유출구는 급속히 개방되고, 커프내의 압력을 급속히 대기압까지 낮출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의 유량 제어 밸브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작동하고, 배기량이 점증한다고 하는 배기 특성을 나타낸다.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제5 이하의 실시 형태를 조합하면, 반동을 억제하여 압접부의 경사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폐색하는 압접부의 평면이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가압력에 의해 폐색될 수 있다. 한편, 유출구를 개방할 때에는 압접부의 평면을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경사지게 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유출구는 압접부의 이동에 따라 서서히 개방되게 되고, 배기 유량을 미세 또한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지지판이 스프링 작용을 갖기 때문에,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압접부의 평면을 경사지게 하는 동시에, 밸브 작동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종래와 같은 밸브 작동체를 이동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를 혈압계에 적용한 경우에는 배기 유량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6)

  1. 압력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이 유출구를 임의로 개폐하는 압접부를 갖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의 압접부를 이동시키는 밸브 작동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에는 압접부의 하단부에 180도 떨어져 있는 탄성재로 된 지지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압접부는 지지판과 일체로 탄성재로 형성된 대략 원통형 패킹의 저부 개구로부터 코어를 끼워 넣도록 되어있고, 유출구로부터 배기할 때에, 밸브체의 압접부의 평면이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폭 치수는 상기 압접부의 외경 치수와 거의 같은 크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를 밸브체의 압접부의 중심에 어긋나게 형성함으로써 밸브체의 압접부의 평면이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를 커프로 연통되는 연결관의 축심에 어긋나게 형성함으로써 유출구의 중심을 밸브체의 압접부의 중심에 어긋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의 한쪽을 다른 쪽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압접부의 중심을 유출구의 중심에서 지지판의 한쪽으로 어긋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의 한쪽 두께를 다른 쪽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함으로써 밸브체의 압접부의 평면이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대략 원주형 압접부에 끼워 넣는 코어의 중심을 상기 압접부의 중심에서 어긋나게 함으로써 유출구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밸브체의 압접부의 평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홈 또는 슬릿은 압접부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홈 또는 슬릿은 압접부의 양측에 비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홈 또는 슬릿은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홈 또는 슬릿은 지지판의 측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홈 또는 슬릿은 지지판의 측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홈 또는 슬릿은 원호형인 동시에, 압접부의 양측에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홈 또는 슬릿은 지지판의 측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압접부의 양측에 대칭 또는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1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판에 홈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홈 또는 슬릿은 지지판의 측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압접부의 양측에 대칭 또는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KR1020027003042A 2000-07-10 2000-07-10 유량 제어 밸브 KR100716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4585 WO2002004850A1 (fr) 2000-07-10 2000-07-10 Soupape regulatrice de deb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259A true KR20020025259A (ko) 2002-04-03
KR100716523B1 KR100716523B1 (ko) 2007-05-10

Family

ID=1173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042A KR100716523B1 (ko) 2000-07-10 2000-07-10 유량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22629B1 (ko)
EP (1) EP1225380B1 (ko)
JP (1) JP3591731B2 (ko)
KR (1) KR100716523B1 (ko)
CN (1) CN100359225C (ko)
DE (1) DE60039527D1 (ko)
TW (1) TW457082B (ko)
WO (1) WO2002004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23B1 (ko) 2000-07-10 2007-05-10 유겐가이샤 고우리츠 유량 제어 밸브
US6910674B2 (en) * 2002-10-09 2005-06-28 Maquet Critical Care Ab Valve for use in a breathing apparatus
DE10307860B4 (de) * 2003-02-25 2006-07-06 Robert Bosch Gmbh Gehäuse für ein Magnetventil und Magnetgruppe
DE50300171D1 (de) * 2003-05-13 2004-12-30 Festo Ag & Co Klappankerventil
JP3866705B2 (ja) * 2003-09-17 2007-01-10 谷口 守男 流動体の供給量調整装置
US8430378B2 (en) * 2008-05-30 2013-04-30 South Bend Controls Holdings Llc High flow proportional valve
DK2420708T3 (da) 2010-08-16 2013-08-05 Leinemann Gmbh & Co Kg Skifteventil
CN103185163A (zh) * 2011-12-30 2013-07-03 北京谊安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流量控制比例阀
US9120111B2 (en) 2012-02-24 2015-09-01 Rain Bird Corporation Arc adjustable rotary sprinkler having full-circle operation and automatic matched precipitation
US9156043B2 (en) 2012-07-13 2015-10-13 Rain Bird Corporation Arc adjustable rotary sprinkler with automatic matched precipitation
KR101407599B1 (ko) 2012-12-10 2014-06-13 길현용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DE202013100643U1 (de) * 2013-02-13 2013-02-21 Bürkert Werke GmbH Magnetventil
DE102017117910A1 (de) * 2017-08-07 2019-02-07 Gemü Gebr. Müller Apparatebau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Absperrkörper für ein Fluidvent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bsperrkörpers
JP2019105350A (ja) * 2017-12-14 2019-06-27 高砂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ルブ装置
CN110260389B (zh) * 2019-05-17 2021-08-13 北京太伟宜居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架空式地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7940A (en) * 1978-03-06 1979-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lve gear
JPS54153019U (ko) * 1978-04-18 1979-10-24
US4205575A (en) * 1978-05-19 1980-06-03 The Wurlitzer Company Binary interpolato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790346A (en) * 1987-09-11 1988-12-13 Kolze Lawrence A Fluid control valve
JPH02132182A (ja) * 1988-11-11 1990-05-21 Natl House Ind Co Ltd 防火用目地材
JPH02132182U (ko) * 1989-04-07 1990-11-02
JPH085429Y2 (ja) * 1989-07-31 1996-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切替弁
US5209455A (en) * 1990-11-19 1993-05-11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Valve and solenoid valve operated by very small force
CN1027307C (zh) * 1990-11-19 1995-01-04 三菱材料株式会社 由小作用力操作的阀门和电磁阀
US5145152A (en) * 1991-07-09 1992-09-08 Smc Corporation High-vacuum valves
DE4201450C1 (ko) * 1992-01-21 1993-08-19 Danfoss A/S, Nordborg, Dk
JP3107916B2 (ja) * 1992-07-30 2000-11-13 フオスター電機株式会社 流量コントロール弁
US5709370A (en) * 1995-04-10 1998-01-20 Kah, Jr.; Carl L. C. Magnetically actuated valve
US5730423A (en) * 1996-10-16 1998-03-24 Parker-Hannifin Corporation All metal diaphragm valve
DE19846841C2 (de) * 1998-10-12 2002-06-20 I E M Ind Entwicklung Medizint Elektromagnetisches Ventil
KR100716523B1 (ko) 2000-07-10 2007-05-10 유겐가이샤 고우리츠 유량 제어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5380B1 (en) 2008-07-16
DE60039527D1 (de) 2008-08-28
EP1225380A1 (en) 2002-07-24
CN1373841A (zh) 2002-10-09
JP3591731B2 (ja) 2004-11-24
KR100716523B1 (ko) 2007-05-10
US6722629B1 (en) 2004-04-20
EP1225380A4 (en) 2004-03-31
WO2002004850A1 (fr) 2002-01-17
CN100359225C (zh) 2008-01-02
TW457082B (en) 200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523B1 (ko) 유량 제어 밸브
KR100624039B1 (ko) 포핏형 밸브 밀봉기구
US6105610A (en) Cartridge valve with triple sequential seal
KR101147049B1 (ko) 로우 슬라이딩 패킹을 구비한 유체압 기기
CN105485402A (zh) 小型电磁阀
WO2007008233A3 (en) Valve with bellow
CN112105854B (zh) 闸阀
JPH10267141A (ja) スプール
JP4265965B2 (ja) 小型電磁弁の製造方法
WO2003074901A1 (fr) Amortisseur rotatif
JP4252512B2 (ja) 小型電磁弁
JP4790936B2 (ja) 流体制御弁
JPH0330751B2 (ko)
JP4251590B2 (ja) 仕切弁
US20230022254A1 (en) Fluid pressure proportional valve
JP2017219061A (ja) 流量制御弁および血圧情報測定装置
JPH04203570A (ja) 気体制御弁
JPH0220539Y2 (ko)
JPH0647007A (ja) 流量コントロール弁
KR200172892Y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H05172255A (ja) 微差圧用弁
KR100513929B1 (ko) 벨로우즈를 이용한 게이트형 극저온 밸브
JPH0425674A (ja) 弁体摺動用ガイド付弁
JPH09113071A (ja) 差圧弁
JP2003345447A (ja) 圧力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