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909A -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 - Google Patents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909A
KR20020023909A KR1020010087061A KR20010087061A KR20020023909A KR 20020023909 A KR20020023909 A KR 20020023909A KR 1020010087061 A KR1020010087061 A KR 1020010087061A KR 20010087061 A KR20010087061 A KR 20010087061A KR 20020023909 A KR20020023909 A KR 20020023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clincher
plate
forming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558B1 (ko
Inventor
김재문
구홍근
김병하
이상관
Original Assignee
정철상
주식회사 우연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상, 주식회사 우연,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정철상
Priority to KR10-2001-008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5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재료 자전거림을 제조하는 금형과 이를 이용한 제조기에 관련되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클린처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함으로서 우수한 품질의 자전거림이 제조되도록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측벽, 숄더, 클린처로 구성되는 자전거림을 카본과 같은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료로서 일체로 제조하는 금형에 있어서, 분리되는 상하금형(100)의 가장자리부를 감싸면서 체결되고 상기 숄더를 성형시키는 수평부가 상기 상하금형의 단부와 연속성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상하커버(200)와; 상기 상하커버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하커버와 결합될 시에 좌우변위발생없이 체결되어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하여 상기 숄더의 단부에 돌출되는 클린처와 숄더를 가압성형시키는 가압편(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하금형, 상하커버 그리고 가압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기 안착되는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료를 성형시킴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공정을 단축시키도록 한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mold apparatus of composite bicycle clincher-rim and manufacturing machine thereof}
본 발명은 복합재료 자전거림을 제조하는 금형과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카본과 같은 복합재로서 클린처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한 자전거림의 금형과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에 관련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림의 형태에는 튜브형태와 클린처형태의 두가지가 대표적인 것이며, 상기 튜브형태의 경우는 타이어를 결합시킴에 있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설치하게된다. 반면에 클린처형태의 경우에는 림을 구성하는 측벽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숄더의 단부에 클린처가 구비되어 이 부위에 의해 타이어가 고정된다.
첨부되는 도 1은 자전거림의 대표적인 형태인 튜브형태(a)와 클린처형태(b)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되는 내부는 빈공간이 형성된다. 최근에는 품질 및 성능향상을 위해 자전거림으로서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도1의 튜브형태 및 클린처형태의 림 또한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린처형태의 림의 경우는 튜브형태의 림에 더해서 숄더(1)와 클린처(2)가 구비되며, 이것은 타이어의 결합과 분해등을 보다 용이하게하기 위한 것이고 종래의 기술에서는 숄더까지는 카본과 같은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료로서 림의 측벽과 일체로 제조가 가능하였으나 클린처를 포함하여 일체로 제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기술상의 문제에 따른 것이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클린처가 구비되는 림은 클린처만을 별도의 재질인 경량의 알루미늄으로 가공하여 림의 상면에 접착고정시켜 하나의 자전거림을 완성시켰었다.
이에 따라 제조공정은 증가되고 생산비용도 증가되어 고가로 소비자들에게 제공되었으며, 이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림과 클린처를 제조후 재차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킴에 따라 사용에 따른 탈락현상이 일어나고 불량품이 증가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첨부되는 도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튜브형태의 림제조용 금형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개략적인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튜브형태의 림을 제조하는 금형은 분리되는 상하금형(10)과 림의 상면을 가압하여 오목하게 성형시키는 측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금형(10) 및 측판(20)으로 구성되는 튜브형태의 림의 제조과정은, 먼저 상기 상하금형(10)을 결합시키고 림의 측벽(20)을 이루게 되는 메인 탄소섬유 중간재(15)를 안착시키며 상기 메인 탄소섬유 중간재(15)의 위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튜브(16)를 안착시키게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측판(20)에 림의 상면을 이루게 되는 보조 탄소섬유 중간재(17)를 부착시킨 상태로 상기 상하금형(10)과체결시킨다.
상기 측판(20)의 한개소에는 에어홀(미도시)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 에어홀을 통하여 공압을 가한 상태에서 상하금형(10) 및 측판을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서 상기 메인 탄소섬유 중간재(15)와 보조 탄소섬유 중간재(17)는 상호 통합되면서 상기 튜브(16)의 팽창에 의해 상하금형(10) 및 측판(20)에 의해 마련되는 형태로 림이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료로 림을 구성하는 측벽,숄더 및 클린처를 일체로 성형시킬 수 있는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자전거림의 대표적인 형태인 튜브형과 클린처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튜브형태의 림제조용 금형을 나타낸도.
도 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 - 클린처가 일체로 구비되는 림의 단면도.
도 5 -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6 - 하부성형판과 분할판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
도 7 -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를 이용한 제조기계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상하금형 105 : 측벽성형부
150 : 가이드면 200 : 상하커버
205 : 결합돌기면 210 : 숄더성형면
215 : 밀착면 300 : 가압편
310 : 분할판 315 : 격막
320 : 성형판 321 : 체결홀
325 : 보조면 326 : 클린처홈
400 : 프레임 400a: 수평프레임
400b: 수직프레임 410 : 피스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측벽, 숄더, 클린처로 구성되는 자전거림을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소재로서 일체로 제조하는 금형에 있어서, 분리되는 상하금형의 가장자리부를 감싸면서 체결되고 상기 숄더를 성형시키는 수평부가 상기 상하금형의 단부와 연속성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상하커버와; 상기 상하커버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하커버와 결합될 시에 좌우변위 발생없이 체결되어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하여 상기 숄더의 단부에 돌출되는 클린처와 숄더를 가압성형시키는 가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하금형, 상하커버 그리고 가압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기 안착되는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소재를 성형시킴을 기술적 요지로하는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와 상기의 금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조기계에 관련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는 상하금형, 상하커버, 가압편으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편은 분할판과 성형판으로 구성된다. 첨부되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에 해당되고 분리되는 상하금형(100)이 구비되며 상기 상하금형(100)의 외측에는 역시 분리되는 상하커버(2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판(310)과 성형판(320)으로 이루어지는 가압편(300)이 상기 상하커버(200)의 사이에 위치되는 구조를 이루게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자전거림은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소재로서 림을 이루는 측벽, 숄더 및 클린처를 일체로 성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소재로서 카본재질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여기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캐블라 복합소재나 유리섬유 복잡소재로도 제조가 가능하게 됨은 자명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되는 도 4를 참조하여 클린처가 일체로 구비되는 림(90)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림(90)은 측벽(91)과 상판(92), 숄더(93) 및 클린처(94)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91)과 상판(92)에 의해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게된다. 측벽(91)과 숄더(93)를 이루는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1카본체(95)라하며 상판(92)을 이루는 동일한 소재를 제2카본체(96)라하고 클린처(94)를 이루는 복합소재를 제3카본체(97)라 한다. 상기 제3카본체(97)는 가느다란 실형태의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소재이며 상기 제1카본체(95)의 양단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의 내부에 안치되는 상기의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소재들은 상기 금형장치에 가해지는 고온의 열에 의해 통합되어 상호간에 결합을 이루게됨으로서 하나의 림이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되는 도 5는 상기 금형장치를 구성하는 상하금형(100), 상하커버(200), 가압편(300)들이 결합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상하금형(100)은 분리되어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최외측 측면부에는 오목하게 함몰되는 측벽성형부(10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금형(100a)의 상면과 하금형(100b)의 하면 가장자리부 근처에는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면(150)을 구비하게된다. 상기 상금형(100a)과 하금형(100b)이 결합됨에 의해 림(90)의 측벽(91)을 이루는 연속성을 가지는 오목한 형상의 측벽성형부가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 상하금형(100)의 외측 즉, 상금형의 상부와 하금형의 하부에는 상하커버(20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하커버는 상하금형을 가압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상하커버(200)가 상하금형(100)을 가압하게될 시에는 상기 가이드면(150)을 따라 상하커버(2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면(205)이 맞닿으면서 긴밀하게 체결이 이루어지게된다.
상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커버(200)에 있어서 내면측에는 다수의 불규칙한 요철면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최좌측단에 결합돌기면(205)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면(205)에 이어서는 상기 측벽성형부(105)와 연속성을 이루게되는 숄더성형면(210)이 형성된다. 상기 숄더성형면(210)은 상기 상하금형(100)의 측벽성형부(105)와 이어지는 부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숄더성형면(210)은 림에 있어서 측벽(91)에 연이어 형성되는 숄더(93)가 성형되는 부위이며 제1카본체(95)를 가압하게된다. 상기 숄더성형면(210)의 다음으로는 후술할 가압편(300)을 가압하는 밀착면(215)이 형성되어 상기 분할판(310)과 성형판(320)을 동시에 가압하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금형(100)과 상하커버(200)는 상하로 분리되며 분리되는 상금형(100a),하금형(100b) 그리고 상부커버(200a), 하부커버(200b)로 개개의 개체로 성형되도록 하여 결합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가압편(300)을 구성하는 분할판(310)과 성형판(3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성형판(320)은 상기 분할판(310)을 사이에 두고 그 상하면에 설치되며 상부성형판(320a) 및 하부성형판(320b)이라 한다. 상기 분할판(310)은 도면상 우측단부측이 상기 상하커버(200)의 내측면과 맞닿게되며 좌측단부는 중앙부가 길게 돌출되는 형상을 이루게된다. 상기 분할판(310)의 좌측에 돌출되는 부위를 격막(315)이라하며 상기 격막(315)의 상하면에 상기 상하부성형판(320a,320b)이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할판(310)과 상부성형판(320a) 및 하부성형판(320b)은 각각 네등분으로 분리되도록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결합됨으로서 하나의 완전한 원형형태를 이루면서 림의 형태를 갖추게된다.
상기 분할판(310)의 우측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홀(317)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317)에는 상기 분할판(310)을 상기 상하커버(200) 사이에서 지지되도록하는아암(305)이 결합되는 부위가 된다. 상기 아암(305)은 금형과는 분리되어 금형의 외측에서부터 형성되는 부재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암과 분할판의 결합이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분할판(310)의 격막(315)의 상하면에 위치되는 성형판(3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성형판(320)의 하면 즉 상기 격막(315)과 접촉되는 부위는 편평한 평면을 이루게되며 상기 상하커버(200)의 내면을 향한 부위는 요철을 이루게된다. 즉, 상기 밀착면(215)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며 도면상 좌측단부는 숄더(93)와 클린처(94)를 형성시키는 부위가된다.
상기 숄더성형면(210)에 대응하여 수평면을 이루는 보조면(325)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면(325)의 우측단부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클린처홈(3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면(325)의 좌측단부는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게되는데 상기 분할판(310)의 단부과 연속적인 곡면을 이루어 림(90)의 상판(92)을 성형시키게된다. 상기 분할판(310)에 있어서 격막(315)의 상하면에는 분리되는 상기 성형판(320)이 설치되는데,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성형판(320b)의 경우는 상기 분할판(310)에 구속되도록 하는 별도의 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성형판(320b)을 분할판(3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첨부되는 도6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하부성형판을 분할판에 구속시키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판(310)의 격막(315)에는 수용홀(316)을 형성시키며 이 홀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부성형판(320)에 체결홀(321)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상기 체결홀(321)과 수용홀(316)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분할판(310)에 성형판(320)을 구속시키게할 수 있다.
상기 성형판(320)과 분할판(310)과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타이트하게 체결할 필요가 없으며 미소간격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체결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성형판과 분할판이 결합되면 림의 상판이 형성되도록 볼록한 곡면을 이루게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상하금형(100), 상하커버(200), 성형판(320) 그리고 분할판(310)이 체결되면 밀폐되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되는데, 그 공간부의 내부에서 림(90)이 성형되는것이다. 물론 상기 금형,커버등을 결합시키기 전에 미리 제1카본체(95),제2카본체(96) 그리고 제3카본체(97)를 제위치에 부착시키도록 해야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금형장치에 의한 림이 제조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최초 분리되어있는 상하금형(100)을 결합시키도록 하며, 이에 따라 형성되는 오목한 측벽성형부(105)에 림의 측벽(91)과 숄더(93)를 이루게되는 제1카본체(95)를 부착시키도록한다. 이 단계에서는 숄더(93)를 이루게되는 제1카본체의 양단부는 지지됨이 없이 매달린 상태를 이루게된다.
이어서는 상기 제1카본체(95)의 양단부에 클린처(94)를 이루게되는 가는 실모양의 제3카본체(97)를 부착시키도록하며 그런후에 합성수지튜브(98)를 안착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분할판(310)에 성형판(320)을 고정시키도록하며 상기 상하커버(2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한다. 상기 분할판(310)과 상하부성형판(320)이형성하는 좌측단부의 볼록면에는 림의 상판(92)을 이루는 제2카본체(96)를 부착시키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하커버(200)를 각각 하강 및 상승시켜 상하금형과 분할판 및 성형판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의 각 금형의 구성요소들이 체결되면 적당한 열을 가하므로서 상기 제1카본체, 제2카본체 및 제3카본체를 용융시켜 상호간에 접합이 이루어지게한다. 이때 상기 분할판(310)의 일측을 통하여 에어분사구(미도시)를 형성시켜 상기 합성수지튜브(98)를 팽창시킴으로서 균일한 내부단면을 유지하는 림을 제작할 수 있게된다.
림(90)을 완성시킨 후에는 체결시의 역순으로 상하커버(200)를 분리시키고 이어서 분할판(310) 및 성형판(320)을 분리시키며 다음으로, 상기 상하금형(100)을 분리시키면 된다. 상기 분할판은 성형판과 볼트와 너트에 의해 구속되어져 있음으로 림이 완성된 상태에서는 체결된 볼트와 너트를 해체시켜 먼저 분할판을 떼어내고 이어서 성형판을 떼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림의 금형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림의 금형장치는 숄더와 클린처가 일체로 구비되는 림을 제조함에 있어 치수정밀도를 높이고 불량품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금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하금형에 대해 수직하게 가압력이 작용되도록하며 상하커버와 분할판과 성형판이 체결될시에도 좌우로의 변위는 발생됨이없이 상하로의 미세한 변위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고있다. 즉 본 발명은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서 일축방향으로만 변위가 발생되도록함으로서 제품성형시에 발생되는 제품불량을 억제할 수 있게된다.
다음으로는 상기의 금형장치를 이용한 제조기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7은 상기 제조기계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기계는 상술한 금형장치로서의 상하금형(100), 상하커버(200), 분할판(310) 및 성형판(320)이 구비되고 이들은 프레임(400)상에 설치된다. 지면에 접하는 수평프레임(400a)상의 중간부에 하나의 수직프레임(400b)이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400b)을 중심으로하여 상하금형(100)과 상하커버(200) 및 분할판(310) 그리고 성형판(320)이 설치된다. 상기 상하금형(100)과 상하커버(200)는 상하로 반복적인 운동을 하면서 체결 혹은 분리되는데, 이를 구현하는 것으로서는 유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제1작동부(410a)와 제2작동부(410b)가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상에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상하금형(100)과 상하커버(200)는 원형의 판상부재이며 센터부는 뚫려져있으며 수직프레임(400b)이 센터부를 관통한채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작동부에 의해 상기 상하금형과 상하커버는 이동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금형(100)의 외곽에는 분할판(310)과 성형판(320)이 위치하게되며 이들은 수평프레임(400a)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블(420)상에 설치되는 제3작동부(410c)과 연결되어 좌우로 이동하게된다. 상기 분할판과 성형판은 각각 4등분으로 분리되어져 있음으로 이들을 움직이는 네개의 실린더가 필요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제조기계는 에어 콤프레셔(430)와 히터장치(440)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 콤푸레셔에서는 림의 내부에 놓이는 합성수지튜브를 팽창시킬수 있는 에어를 공급하게되고 히터장치는 상기 상하금형을 비롯한 상하커버 및 분할판과 성형판에 열을 공급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클린처가 구비되는 림을 제조시 숄더와 클린처에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힘이 작용하게 됨으로서 균일하고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림을 제조할 수 있는 금형과 제조기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측벽, 숄더, 클린처로 구성되는 자전거림을 탄소섬유 고분자 복합재료로서 일체로 제조하는 금형에 있어서,
    분리되는 상하금형의 가장자리부를 감싸면서 체결되고 상기 숄더를 성형시키는 수평부가 상기 상하금형의 단부와 연속성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상하커버와;
    상기 상하커버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하커버와 결합될 시에 좌우변위발생없이 체결되어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하여 상기 숄더의 단부에 돌출되는 클린처와 숄더를 가압성형시키는 가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하금형, 상하커버 그리고 가압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기 안착되는 복합재료를 자전거림의 형상으로 성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은,
    상기 상하커버의 최외각부에서 결합되며 내측방향 중앙부에 돌출되는 격벽이 형성되는 분할판과;
    편평한 하면과 외측면은 상기 분할판에 결합되며 상면부에는 상기 수평부에 대응하여 숄더를 형성시는 보조면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면의 단부는 함몰되어 클린처를 성형시키는 클린처홈이 구비되고 상기 클린처홈과 연이어 상기 커버의 내면과 결합되는 요철면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할판의 상하면에 분리되는 성형판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커버가 닫힘에 의해 림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과 성형판은,
    네등분으로 각각 분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외측면에 결합홀이 형성되어져 별도의 아암에 체결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은,
    상기 분할판과 볼트에 의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6. 유압 또는 공압 발생기가 구비되고,
    상하금형, 상하커버, 분할핀 및 성형판을 가열시키는 히팅장치와;
    상기 분할판을 통해 상기 상하금형, 상하커버, 분할핀 그리고 성형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에어를 공급시키는 콤푸레셔와;
    프레임에 형성되는 기둥을 센터축으로하여 상기 상하금형을 구속한채로 유공압에 의해 작동되어 상하금형을 분리 혹은 결합시키는 제1작동부와;
    상기 상하금형의 외측부를 가압하는 상하커버를 구속하여 상기 상하금형을 가압시키도록 승하강시키는 제2작동부와;
    상기 분할판을 구속하여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3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림을 성형시에는 상기 제1작동부와 제2작동부는 상하금형과 상하커버를 각각 승하강하고 상기 제3작동부는 상기 상하커버의 사이에 분할판이 위치되도록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성형기.
KR10-2001-0087061A 2001-12-28 2001-12-28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 KR100448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061A KR100448558B1 (ko) 2001-12-28 2001-12-28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061A KR100448558B1 (ko) 2001-12-28 2001-12-28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909A true KR20020023909A (ko) 2002-03-29
KR100448558B1 KR100448558B1 (ko) 2004-09-13

Family

ID=1971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061A KR100448558B1 (ko) 2001-12-28 2001-12-28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5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05B1 (ko) * 2006-08-23 2008-11-18 유칠성 카본 림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장치
KR101034452B1 (ko) * 2009-08-18 2011-05-17 주식회사 스피자 알로이 보형물을 삽입한 카본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0195A1 (fr) * 1979-07-02 1981-01-23 Ferrary J P Procede de fabrication d'une jante de cycle ou de cyclomoteur
FR2693672B1 (fr) * 1992-07-15 1994-11-04 Mavic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jante pour cycle et jante réalisée avec ce procédé.
JP3585957B2 (ja) * 1994-09-14 2004-11-1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樹脂成形装置およびその金型のクリーニング方法
FR2727356A1 (fr) * 1994-11-30 1996-05-31 Mavic Sa Jante de velo et roue comprenant une telle jante
US5975645A (en) * 1996-09-09 1999-11-02 Compositech, Inc. Carbon bodied bicycle rim
KR100436209B1 (ko) * 2001-10-24 2004-06-12 주식회사 우연 자전거 림의 클린처를 일체로 성형하는 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05B1 (ko) * 2006-08-23 2008-11-18 유칠성 카본 림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장치
KR101034452B1 (ko) * 2009-08-18 2011-05-17 주식회사 스피자 알로이 보형물을 삽입한 카본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558B1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24908A (zh) 一种无人机复合材料平尾整体固化成型工装
KR101150799B1 (ko) 트레드 몰드 세그먼트,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및 타이어 가류금형의 조립방법
CN102159384A (zh) 用于控制模制环形固定结构的阶段的方法、设备
KR100448558B1 (ko) 복합재료 자전거림의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기계
KR101393502B1 (ko) 타이어 가류기의 공용형태 비드링
US8758000B2 (en) Apparatus for moulding plastic micro-pieces by ultrasound
CN101918190A (zh) 在基于纸板的容器内形成分隔体的模具系统
KR100869305B1 (ko) 카본 림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장치
KR100436209B1 (ko) 자전거 림의 클린처를 일체로 성형하는 금형
JP3590402B2 (ja) タイヤ加硫装置におけるブラダーの流体給排ヘッド
JP4706889B2 (ja) 缶胴成形装置
KR20150023170A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그 방법
TWM608090U (zh) 熱塑複合材料自行車輪框
US20070193327A1 (en) Di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re
CN207172794U (zh) 一种抽真空轮胎活络模具
CN210082318U (zh) 一体式锁头腹板的成形模具
JP2005053271A (ja) 空気入りランフラットタイヤ用の支持体の製造方法
CN116423874B (zh) 一种适用于复杂加筋复合材料壳体成型的分块模具
JP2511212B2 (ja) 中空半割体接着治具
JP2018519184A (ja) 加工空間の高さ位置固定機
CN111391246B (zh) 一种带有横移导向结构的注塑模具
TW201235182A (en) Tire vulcanization device
CN102695622A (zh) 空气悬架装置的弹簧管熔接机
JPS6021538B2 (ja) コ−ドレスタイヤの製造装置
KR100560137B1 (ko) 자전거 림의 금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