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903A -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제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제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22903A KR20020022903A KR1020000055451A KR20000055451A KR20020022903A KR 20020022903 A KR20020022903 A KR 20020022903A KR 1020000055451 A KR1020000055451 A KR 1020000055451A KR 20000055451 A KR20000055451 A KR 20000055451A KR 20020022903 A KR20020022903 A KR 200200229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floating
- video call
- service providing
- identification co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망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를 통하여 유동 IP를 부여받은 각각의 단말기간에 직접 화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서비스 제공서버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각 단말기에게 유동 IP를 부여함과 동시에 각 단말기의 식별코드와 유동 IP를 링크시켜 저장 및 관리하고, 단말기에서 화상통화기능을 요청하면, 입력된 다른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유동 IP를 검출하여 각 단말기에 부여된 유동 IP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를 상호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한 점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동 IP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로 약칭함)을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망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를 통하여 유동 IP를 부여받은 각각의 단말기간에 직접 화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P(인터넷 프로토콜)는 인터넷상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상의 각 컴퓨터, 즉, 호스트들은 다른 컴퓨터와 구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유한 주소를 갖는다. 사용자가 전자우편이나 웹 페이지 등과 같은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때, 메시지는 패킷이라고 불리는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각 패킷에는 전송자의 인터넷 주소와 수신자의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다. 어떤 패킷이라도 게이트웨이 컴퓨터로 먼저 보내질 수 있다. 게이트웨이 컴퓨터는 수신지 주소를 읽고 그 패킷을 인근의 게이트웨이로 넘긴다. 이후, 차례로 그 패킷이 속한 컴퓨터의 바로 인근이거나 해당 도메인에 있는 게이트웨이가 그것을 받아볼 때까지 수신지 주소를 읽기를 반복하면서 게이트웨이들은 패킷을 계속 전달한다. 해당 도메인의 게이트웨이는 그 패킷을 받으면, 패킷에 적힌 주소의 컴퓨터로 직접 전달한다.
한 메시지가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뉘어졌기 때문에, 각 패킷은 필요한 경우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으며, 패킷들은 원래의 보낸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수신될 수도 있다. 그러나, IP는 그저 패킷들을 배달만 할 뿐, 순서가 흐트러진 패킷들을 올바르게 재 정렬하는 것은 다른 프로토콜인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가 수행한다.
IP는 커넥션리스 프로토콜이므로, 통신 중에 양단간의 접속이 확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패킷들은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면서 다른 패킷들과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는 것처럼 독립적인 단위로 취급된다. OSI 통신 참조모델에서 IP는 세 번째 계층인 네트웍 계층에 속한다.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IP 버전은 흔히 IPv4라고 표기되는 버전 4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버전 6인 IPv6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IPv6은 좀 더 긴 인터넷 주소를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IPv6은 IPv4의 능력을 포함하며, IPv6을 지원할 수 있는 서버는 IPv4 패킷도 함께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IP는 인터넷 서비스 업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접속된 형태에 따라 고정IP와 유동IP로 구분된다. 즉, 전용선을 통하여 컴퓨터와 서버가 접속된 경우에는 해당 컴퓨터에 항상 고정된 IP가 부여되어 있으며, 모뎀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예를 들면, 전화선,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인 경우, 해당 컴퓨터가 접속할 때마다 서버는 새로운 IP를 부여하게 된다.
통상, 인터넷을 통한 화상통화가 가능한 공중전화 단말기("웹 폰", 이하, "단말기"라 칭함)의 경우, 통신사용요금을 절감을 이유로 전용선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모뎀을 통해 접속되는 경우가 더 빈번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각 단말기가 모뎀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각각의 단말기를통하여 상호간에 화상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각 단말기에는 유동IP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상호간의 IP주소를 모르는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각 단말기는 상호간에 접속할 수 없어 정상적인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화상통화를 제공하고자 하여 각 단말기가 전용선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경우, 전용선 사용비용이 매우 고가여서, 단말기 운영자는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의 모뎀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하고, 유동IP가 부여된 각 단말기간에 서버를 중계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유동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의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유동IP를 갖는 각 단말기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유동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개략적 내부블럭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데이터 수집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개략적 내부블럭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데이터 수집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400: 단말기 그룹 101, 102, 401~403: 단말기
200, 500: 인터넷망 300, 700: 서비스 제공서버
301, 701: 인터페이스부 302, 702: 정보 분류부
303, 703: 단말기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
304, 704: 유동 IP 데이터베이스 305: 유동 IP 선택부
306, 706: 유동 IP 검출부 307: 유동 IP 호출부
308: 화상통화 제어부 309: 메시지 전송부
310, 708: 중앙처리장치 311, 709: 메모리
601~603: ISP 서버 705: 식별코드 검색부
707: 유동 IP 통지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화상통화가 가능한 다수의 단말기와, 인터넷망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다수의 단말기에 식별코드 및 유동 IP를 부여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된 유동 IP와, 다수의 단말기에 부여된 식별코드를 링크시켜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화상통화기능을 요청한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부여된 제1 유동 IP와,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서 입력한 다른 하나의 단말기의 식별코드를 분석하는 정보 분류수단과; 다른 하나의 단말기에 부여된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저장수단에 저장된 제2 유동 IP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된 다른 하나의 단말기의 제2 유동 IP를 호출하는 호출수단과; 호출된 제2 유동 IP와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검출된 제1 유동 IP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단말기와 다른 하나의 단말기간에 상호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화상통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검출수단에 의해 다른 하나의 단말기에 유동 IP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화상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전송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수단은, 다수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된 식별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말기 식별코드 저장수단과; 다수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된 유동 IP를 다수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된 식별코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링크시켜 저장하는 유동 IP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별코드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의 일련번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기는, 화상통화기능과 인터넷 접속기능을 갖는 공중전화 단말기또는 컴퓨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화상통화가 가능한 다수의 단말기와, 인터넷망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다수의 단말기에 식별코드 및 유동 IP를 부여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화상통화기능을 요청한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부여된 제1 유동 IP를 검출하고;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다른 하나의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제2 유동 IP를 검출하며; 제2 유동 IP로 다른 하나의 단말기를 호출하고; 호출에 응답하여 접속된 다른 하나의 단말기와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검출된 제1 유동 IP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단말기와 다른 하나의 단말기를 화상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도록 한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개략적 내부블럭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데이터 수집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개략적 내부블럭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서버의 데이터 수집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동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수의 단말기로 구성된 단말기그룹(100)내에서 단말기 1(101)과 단말기 2(102)는 각각 기 등록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인터넷망(2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접속된다. 이때,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통상의 코넷, 두루넷, 데이콤 등과 같은 인터넷망을 제공하는 서비스(ISP)와, 각종 웹, 메일 등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단말기 1(101) 및 단말기 2(102)가 동작되면, 각각의 단말기(101, 102)는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자동 접속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101, 102)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각각의 유동 IP를 부여받는다.
또한,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인터넷망(200)을 통해 접속된 각각의 단말기(101, 102)에 대응하여 각 단말기(101, 102)의 식별코드와 각 단말기(101, 102)에 부여된 유동 IP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서버(30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면, 인터페이스부(301)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와 인터넷망(200)을 인터페이스한다.
정보 분류부(302)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접속된 각각의 단말기(101, 102)에 대한 고유한 식별코드를 분류하고, 각 단말기(101, 102)로부터 검출된 식별코드와 각 단말기(101, 102)에 부여된 유동 IP정보를 분류하여 각각의 데이터베이스(303, 304)에 저장한다.
유동 IP 선택부(305)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접속된 단말기(101, 102)에부여할 유동 IP를 선택하고, 선택된 유동 IP를 해당 단말기(101, 102)에 부여한다.
유동 IP 검출부(306)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접속된 단말기 1(101)에서 입력한 단말기 2(102)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유동 IP를 유동 IP 데이터베이스(304)로부터 검출한다.
유동 IP 호출부(307)는 유동 IP 검출부(306)에 의해 검출된 단말기 2(102)의 유동 IP를 호출하여 단말기 1(101)과 단말기 2(102)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화상통화 제어부(308)는 각각의 단말기(101, 102)간의 화상통화기능을 제어한다.
메시지 전송부(309)는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통화기능의 수행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각각의 단말기(101, 102)로 전송한다.
중앙처리장치(310)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접속된 각 단말기(101, 102)에 할당되지 않은 잔류 유동 IP를 선택하여 부여함과 동시에 각 단말기(101, 102)의 고유 식별코드를 관리하며, 각 단말기(101, 102)에 부여된 유동 IP를 각 단말기(101, 102)의 식별코드와 링크시켜 저장 및 관리하고, 화상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311)는 중앙처리장치(310)가 수행할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중앙처리장치(310)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임시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단말기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303)는 각각의 단말기(101, 102)를 구분하기 위해 부여된 고유의 식별코드(예를 들면, 전화번호, 일련번호 등)를 저장한다.
유동 IP 데이터베이스(304)는 각 단말기(101, 102)에 부여된 유동 IP를 해당단말기(101, 102)의 식별코드와 링크시켜 저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서버(300)의 데이터 수집과정을 설명하면, 단말기 1(101) 및 단말기 2(102)가 동작되면, 각각의 단말기(101, 102)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인터넷망(200)에 접속되고, 사용자가 웹 서비스(화상통화, 인터넷 검색, 메일 송/수신, 채팅 등)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예를 들면, 일반통화, 팩스 전송 등)를 이용하는 경우,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호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 단말기와 일반통화, 팩스 전송 등의 일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단말기(101, 102)가 인터넷망(20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접속하면(S101), 접속신호는 인터넷망(200)과 인터페이스부(301)를 경유하여 중앙처리장치(310)에 전송되고, 중앙처리장치(310)는 정보 분류부(302)를 통하여 접속된 단말기(101, 102)로부터 전송된 고유 식별코드를 검출함과 동시에 유동 IP 선택부(305)를 통하여 접속된 각각의 단말기(101, 102)에 부여할 유동 IP를 선택한 후 선택된 유동 IP를 각 단말기(101, 102)에 부여한다(S102, S103). 이후, 중앙처리장치(310)는 각 단말기(101, 102)로부터 검출된 식별코드와 각 단말기(101, 102)에 부여된 유동 IP를 링크시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303, 304)에 저장한다(S104, S105).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설명하면,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유동 IP를 부여받은 단말기 1(101)에서 화상통화기능이 선택되면(S201), 이 선택신호 및 단말기 1(101)의 유동 IP정보는 인터넷망(200)과 인터페이스부(301)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310)에 전송되고, 중앙처리장치(310)는 단말기 1(101)에 단말기 2(102)의 식별코드(예를 들면, 전화번호, 일련번호 등)를 입력하도록 요청한다(S202). 이때,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측 단말기 즉, 단말기 2(102)의 식별코드를 입력하면(S203), 중앙처리장치(310)는 유동 IP 검출부(306)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단말기 2(102)의 식별코드가 단말기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303)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체크한다(S204).
여기서, 단말기 1(101)로부터 전송된 단말기 2(102)의 식별코드가 단말기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303)에 등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것은 단말기 2(102)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중앙처리장치(310)는 메시지 전송부(309)를 통하여 현재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없다는 에러메시지를 단말기 1(101)에 전송한다(S205).
한편, 단말기 1(101)로부터 전송된 단말기 2(102)의 식별코드가 단말기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303)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310)는 유동 IP 검출부(306)를 통하여 해당 식별코드에 링크되어 유동 IP 데이터베이스(304)에 저장된 단말기 2(102)의 유동 IP를 검출하고(S206), 검출된 유동 IP를 이용하여 단말기 2(102)를 호출한다(S207).
이에, 단말기 2(102)에 있는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면, 단말기 2(102)는 서비스 제공서버(300)에 접속되고,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310)는 단말기 1(101)로부터 검출된 유동 IP정보와 단말기 2(102)에 대응하는 유동 IP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2(102)의 접속상태를 단말기 1(101)로 전환함으로써 단말기 1(101)과 단말기 2(102)간에 직접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화상통화 제어부(308)를 제어하여 양 단말기(101, 102)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209, S210). 이에 따라, 유동 IP를 부여받은 각 단말기(101, 102)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단말기(401~403)로 구성된 단말기 그룹(400)과, 인터넷망(500)을 제공하고 접속된 각 단말기(401~403)에 유동 IP를 부여하는 다수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서버(예를 들면, 한국통신, 두루넷, 보라넷, 하나로 등등)(601~603)와, 각 단말기(401~403)에 부여된 유동 IP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서버(700)가 인터넷망(500)에 의해 접속되며,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각 ISP 서버(601~603)로부터 고정 IP를 부여받는다.
즉, 각 단말기(401~403)가 동작되면, 각각의 단말기(401~403)는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기 계약된 ISP 서버(601~603)에 접속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401~403)는 ISP 서버(601~603)로부터 각각의 유동 IP를 부여받는다.
또한, 각 단말기(401~403)는 ISP 서버(601~603)로부터 부여받은 유동 IP를 서비스 제공서버(700)에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각 단말기(401~403)로부터 제공된 유동 IP를 각 단말기(401~403)의 식별코드와 링크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서버(70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면, 인터페이스부(701)는 서비스 제공서버(700)와 인터넷망(500)을 인터페이스한다.
정보 분류부(702)는 각각의 단말기(401~403)에 대한 고유한 식별번호를 분류하고, 각각의 단말기(401~403)로부터 제공된 각각의 유동 IP를 분류하여 각각의 데이터베이스(703, 704)에 저장한다.
식별코드 검색부(705)는 ISP 서버(601~603)로부터 특정 식별코드에 대한 유동 IP의 요청이 있으면, 단말기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된 각 단말기(401~403)의 식별코드 중 ISP 서버(601~603)가 요청한 해당 단말기의 식별코드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한다.
유동 IP 검출부(706)는 ISP 서버(601~603)가 요청한 특정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유동 IP를 유동 IP 데이터베이스(704)로부터 검출한다.
유동 IP 통지부(707)는 유동 IP 검출부(706)에 의해 검출된 유동 IP를 호출 단말기에 전송한다.
중앙처리장치(708)는 각각의 단말기(401~403)로부터 전송된 식별코드와 유동IP를 관리하며, ISP 서버(601~603)로부터 특정 단말기의 유동 IP가 요청되면, 해당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유동 IP를 검출하여 해당 단말기에 통지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709)는 중앙처리장치(708)가 수행할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중앙처리장치(708)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임시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단말기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703)는 각각의 단말기(401~403)를 구분하기 위해 부여된 고유의 식별코드(예를 들면, 전화번호, 일련번호 등)를 저장한다.
유동 IP 데이터베이스(704)는 각 단말기(401~403)에 부여된 유동 IP를 해당 단말기(401~403)의 식별코드와 링크시켜 저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데이터 수집과정을 설명하면, 각각의 단말기(401~403)가 동작되면(S301), 각각의 단말기(401~403)는 기 계약된 ISP 서버(601~603)에서 제공하는 인터넷망(500)에 접속되고(S302), 이에 따라, ISP 서버(601~603)는 접속된 각 단말기(401~403)에 유동 IP를 부여한다(S303).
ISP 서버(601~603)로부터 유동 IP를 부여받은 각 단말기(401~403)는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700)에 접속한 후(S304),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코드와 ISP 서버(601~603)로부터 할당받은 유동 IP를 서비스 제공서버(700)에 통지한다(S305).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서버(700)내의 중앙처리장치(708)는 정보 분류부(702)를 통하여 각 단말기(401~403)에 대한 식별코드와 유동 IP를 링크시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703, 704)에 저장한다(S306).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의 수행과정을 설명하면, ISP 서버 1(601)로부터 유동 IP를 부여받은 단말기 1(401)로부터 화상통화기능이 선택되면(S401), ISP 서버 1(601)은 단말기 1(401)에 화상통화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측 단말기(단말기 2(402) 혹은 단말기 3(403))의 식별코드(예를 들면, 전화번호, 일련번호 등)를 입력하도록 요청한다(S402). 이때, 사용자가 단말기 1(401)을 통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측 단말기 즉, 단말기 2(402) 혹은 단말기 3(403)의 식별코드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상대측 단말기의 식별코드는 ISP 서버 1(601)로 전송되고(S403), ISP 서버 1(601)은 입력된 식별코드를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서버(700)로 전송한 후(S404), 전송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유동 IP를 요청한다(S405). 이때, 서비스 제공서버(700)는 각각의 ISP 서버(601~603)로부터 고정 IP를 부여받았으므로, 각각의 ISP 서버(601~603)는 상시 서비스 제공서버(700)에 접속하여 유동 IP를 요청할 수 있다.
ISP 서버 1(601)로부터 유동 IP가 요청되면, 서비스 제공서버(700)의 중앙처리장치(708)는 정보 분류부(702)를 통하여 ISP 서버 1(601)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터 중 상대측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한 데이터를 분류하고(S406), 식별코드 검색부(705)를 통하여 단말기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된 각종 단말기의 식별코드 중 ISP 서버 1(601)로부터 전송된 해당 단말기의 식별코드가 등록되어 있는가를 검색한다(S407). 여기서, 단말기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703)에 해당 단말기의 식별코드가 등록되지 않았으면(S408), 중앙처리장치(708)는 인터페이스부(701)와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ISP 서버 1(601)에 해당 식별코드 등록되지 않았음을 통지한다(S409). 이에 따라, ISP 서버 1(601)은 단말기 1(401)에 해당 식별코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통지한다(S410).
만약, 위의 단계(S408)에서 해당 식별코드가 등록되어 있으면, 중앙처리장치(708)는 유동 IP 검출부(706)를 통하여 해당 식별코드에 링크되어 저장된 유동 IP를 유동 IP 데이터베이스(704)로부터 검출하고(S411), 유동 IP 통지부(707)를 통하여 검출된 유동 IP를 단말기 1(401)에 통지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서버(700)의 유동 IP 통지부(707)로부터 출력된 유동 IP정보는 인터페이스부(701) 및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단말기 1(401)로 전송한다(S412). 이에 따라, 단말기 1(401)은 ISP 서버 1(601)과 호출하고자 하는 상대측 ISP 서버(ISP 서버 2(602) 혹은 ISP 서버 3(603))를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서버(700)로부터 전송된 상대측 단말기의 유동 IP를 호출함으로써(S143), 단말기 1(401)과 상대측 단말기는 상호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S144).
한편, 여기서는 단말기를 인터넷과 화상통화기능을 갖는 공중전화 단말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도면의 전반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전화 단말기와화상통화가 가능한 컴퓨터간에도 이와 같은 기능을 확장하여 해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된 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부여된 유동 IP를 관리하고, 단말기간의 화상통화가 요청되면, 해당 단말기의 유동 IP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를 접속함으로써, 유동 IP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간에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 화상통화가 가능한 다수의 단말기와, 인터넷망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식별코드 및 유동 IP를 부여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된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된 상기 유동 IP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부여된 상기 식별코드를 링크시켜 저장하는 저장수단;화상통화기능을 요청한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부여된 제1 유동 IP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서 입력한 다른 하나의 단말기의 식별코드를 분석하는 정보 분류수단;상기 다른 하나의 단말기에 부여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제2 유동 IP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검출된 상기 다른 하나의 단말기의 제2 유동 IP를 호출하는 호출수단; 및호출된 상기 제2 유동 IP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검출된 상기 제1 유동 IP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와 상기 다른 하나의 단말기간에 상호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화상통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 하나의 단말기에 상기 유동 IP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상기 화상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화상통화가 가능한 다수의 단말기와, 인터넷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접속된 각 단말기에 유동 IP를 부여하는 다수의 ISP 서버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부여된 상기 식별코드 및 상기 유동 IP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식별코드와 상기 유동 IP를 상호 링크시켜 저장하는 저장수단;화상통화기능을 요청한 제1 단말기에서 제1 ISP 서버를 중계하여 입력된 제2 단말기의 상기 식별코드를 검출하는 정보 분류수단;상기 제1 단말기가 화상통화기능을 요청한 제2 단말기의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제2 유동 IP를 검출하는 유동 IP 검출수단; 및검출된 상기 제2 단말기의 제2 유동 IP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수신된 상기 유동 IP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호출하도록 한 유동 IP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상기 제1 ISP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코드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었는가를 검색하는 유동 IP 검색수단; 및상기 유동 IP 검색수단에 의한 검색결과, 유동 IP가 존재하지 않으면, 화상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에러상태정보를 상기 제1 ISP 서버 또는 상기 제1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된 상기 식별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말기 식별코드 저장수단; 및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된 상기 유동 IP를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된 상기 식별코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링크시켜 저장하는 유동 IP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상기 단말기의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상기 화상통화기능과 상기 인터넷 접속기능을 갖는 공중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상기 화상통화기능과 상기 인터넷 접속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시스템.
- 화상통화가 가능한 다수의 단말기와, 인터넷망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식별코드 및 유동 IP를 부여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화상통화기능을 요청한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부여된 제1 유동 IP를 검출하는 단계;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다른 하나의 단말기의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유동 IP를 검출하는 단계;상기 제2 유동 IP로 상기 다른 하나의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 및상기 호출에 응답하여 접속된 상기 다른 하나의 단말기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검출된 제1 유동 IP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와 상기 다른 하나의 단말기를 화상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 IP 검출단계는,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다른 하나의 단말기의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유동 IP가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 상기 화상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
-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화상통화가 가능한 다수의 단말기와, 인터넷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접속된 각 단말기에 유동 IP를 부여하는 다수의 ISP 서버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에 부여된 상기 식별코드 및 상기 유동 IP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화상통화기능을 요청한 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2 단말기의 식별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검출된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유동 IP를 검출하는 단계;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검출된 상기 유동 IP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유동 IP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호출하여 화상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각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일련번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상기 화상통화기능과 상기 인터넷 접속기능을 갖는 공중전화 단말기 또는 컴퓨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를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 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5451A KR20020022903A (ko) | 2000-09-21 | 2000-09-21 |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제공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5451A KR20020022903A (ko) | 2000-09-21 | 2000-09-21 |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제공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2903A true KR20020022903A (ko) | 2002-03-28 |
Family
ID=1968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5451A KR20020022903A (ko) | 2000-09-21 | 2000-09-21 |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제공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2290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4025A (ko) * | 2002-03-15 | 2003-09-19 | 안현기 | 인터넷을 통신망으로 이용하는 화상 전화 시스템 및 이를위한 셋탑박스 |
KR20040041225A (ko) * | 2002-11-08 | 2004-05-17 | 주식회사 제로원시스템 |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화상 전화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그 시스템 |
KR100934181B1 (ko) * | 2003-01-29 | 2009-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다이나믹 주소 할당 방법 |
KR100940447B1 (ko) * | 2007-12-27 | 2010-02-10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동적 ip주소 기반의 시스템 사이의 무료 영상통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2264A (ko) * | 1999-11-10 | 2000-03-06 | 백덕호 | 동적 아이피 주소 기반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
JP2000172611A (ja) * | 1998-12-09 | 2000-06-23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テレビ電話システム |
KR20000047921A (ko) * | 1998-12-04 | 2000-07-25 |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 무선 이동 서버 및 동적 디엔에스 갱신을 갖는피어-투-피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KR20010037640A (ko) * | 1999-10-19 | 2001-05-15 | 윤종용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KR20010109868A (ko) * | 2000-06-03 | 2001-12-12 | 윤종용 | 단말기간 ip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00
- 2000-09-21 KR KR1020000055451A patent/KR200200229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7921A (ko) * | 1998-12-04 | 2000-07-25 |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 무선 이동 서버 및 동적 디엔에스 갱신을 갖는피어-투-피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JP2000172611A (ja) * | 1998-12-09 | 2000-06-23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テレビ電話システム |
KR20010037640A (ko) * | 1999-10-19 | 2001-05-15 | 윤종용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KR20000012264A (ko) * | 1999-11-10 | 2000-03-06 | 백덕호 | 동적 아이피 주소 기반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
KR20010109868A (ko) * | 2000-06-03 | 2001-12-12 | 윤종용 | 단말기간 ip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4025A (ko) * | 2002-03-15 | 2003-09-19 | 안현기 | 인터넷을 통신망으로 이용하는 화상 전화 시스템 및 이를위한 셋탑박스 |
KR20040041225A (ko) * | 2002-11-08 | 2004-05-17 | 주식회사 제로원시스템 |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화상 전화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그 시스템 |
KR100934181B1 (ko) * | 2003-01-29 | 2009-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다이나믹 주소 할당 방법 |
KR100940447B1 (ko) * | 2007-12-27 | 2010-02-10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동적 ip주소 기반의 시스템 사이의 무료 영상통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76906B2 (ja) | インターネット網に接続可能な電話通信装置と主電話制御装置とipアドレスを管理する方法 | |
JP4167648B2 (ja) | Ip基盤の画像/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呼転換方法 | |
KR100385239B1 (ko) | 근거리망에서 전자 우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
EP1684486A1 (en) | Cal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WiFi network | |
JPH10136024A (ja) | 通信システム | |
WO2006129296A1 (en) | Method, system and circuit for suggesting alternative voip destinations to a called number | |
JP3856427B2 (ja) | 端末間の接続方法 | |
US20050053222A1 (en) | Incoming and outgoing call system based on duplicate private network | |
JP2004153317A (ja) | 端末メディア選択方法及び発信方法及び通信メディア選択装置及び端末メディア選択システム | |
KR20020022903A (ko) |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제공시스템 및 방법 | |
KR100361021B1 (ko) | 객체명을 사용한 통신 접속 시스템 및 방법 | |
US7065069B1 (en) | System for interconnecting circuit-based terminal devices with packet-based terminal devices in a voice communication connection | |
JPH10294755A (ja) | 情報端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JP2001197554A (ja) | 携帯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通信方法 | |
KR101050936B1 (ko) | 차세대 네트워크에서의 세션 개시 프로토콜 라우팅 시스템및 그 라우팅 방법 | |
JP3664718B2 (ja) | Ip電話用ゲートウェイ装置の発着信処理、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ip電話システム | |
JP2001136202A (ja) | Tcp/ip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設定方法および方式 | |
KR100275514B1 (ko) | 공중망에서 중계망 선택정보를 반영한 루팅 시나리오 결정방법 | |
JP6602919B2 (ja) | 通信サーバ | |
JP3737720B2 (ja) | 通話システム、及び通話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 |
KR100901630B1 (ko) | 고정 번호를 가진 인터넷 전화단말에 위치 정보 자동 부여방법 | |
JP2001156856A (ja) | ネットワーク間情報通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
JP2006270546A (ja) | 中継装置、中継方法および中継プログラム | |
JP4411185B2 (ja) | Ip電話発信方法、ip電話交換機及びip電話発信プログラム | |
JP5415146B2 (ja) | 緊急呼接続サービスを行う通信システム、呼制御装置、通信方法、呼制御方法及び呼制御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801 | Dismissal of trial |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004 Effective date: 2004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