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769A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769A
KR20020022769A KR1020027000355A KR20027000355A KR20020022769A KR 20020022769 A KR20020022769 A KR 20020022769A KR 1020027000355 A KR1020027000355 A KR 1020027000355A KR 20027000355 A KR20027000355 A KR 20027000355A KR 20020022769 A KR20020022769 A KR 20020022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enerator
igniters
connector
connectors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나카고지
사소다카시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2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7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03Mounting initiator heads in initiators; Sealing-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팽창전개의 제어를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D)는 각 연소실(3, 4) 내의 가스발생제(7)를 각 점화기(8, 9)로 각각 독립해서 연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각 점화기(8, 9)를 상이한 커넥터(33, 34)와의 접속구성(패턴(E))으로써, 하우징(1)에 각각 장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
자동차의 충돌시에 생기는 충격으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해, 급속하게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가스 발생기는 스티어링 휠 내나 계기판 내에 장착된 에어백 모듈에 편입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 발생기는 작동회로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점화기(스퀴브; squib)를 발화하고, 이 화염에 의해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키므로써, 다량의 가스를 급속하게 발생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승무원의 착석자세(정규착석, 앞으로의 구부림 등의 비정규 착석)의 여하에 관계없이, 항상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전개시키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승무원이 스티어링 휠이나 계기판 근방에 있는 비정규 착석에 있는 경우 등의 승무원의 착석자세에 맞는 에어백의 팽창전개가 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조수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가스 발생기에 적용한 것이 제안·개발되어 있다. 이 가스 발생기는 긴 원통형상의 하우징내를 복수의 연소실에 구획형성하고, 각 연소실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기(스퀴브)에 의해 각각 독립해서 연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각 점화기를 시간차로써 작동(통전 발화)함으로써, 에어백의 전개초기에, 하나의 연소실로부터의 소량의 가스에 의해 완만하게 팽창전개시키고, 그 후에 각 연소실로부터의 다량의 가스에 의해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전개시키는 것이다. 이것으로,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 가능하게 하고, 승무원의 착석자세에 맞는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와 같이, 복수의 점화기로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키는 것으로는, 각 점화기(스퀴브)와 이 각 점화기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작동회로(컨트롤 유닛)를 접속하는 커넥터를 잘못 부착하는 일이 일어나기 쉽다.
이 커넥터의 부착 착오는 각 점화기의 작동(통전 발화)을 역전시켜, 에어백의 팽창전개의 제어를 적정하게 행할 수 없고, 그 신뢰성도 낮은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에어백의 팽창전개의 제어를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 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기에 의해 연소시키는 것으로,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운전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가스 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각 점화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각 점화기(핀형 스퀴브)에서 접속구성(패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각 점화기(핀형 스퀴브)에서 접속구성(패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6은 각 커넥터의 장착구성(패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7은 각 점화기(핀형 스퀴브)에서 접속구성(패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8은 각 커넥터의 장착구성(패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9는 각 점화기(핀형 스퀴브)에서 접속구성(패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10은 각 점화기(핀형 스퀴브)에서 접속구성(패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11은 각 점화기(피그테일형 스퀴브)의 각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구성(패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12는 각 점화기(피그테일형 스퀴브)의 각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구성(패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13은 각 점화기(피그테일형 스퀴브)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도, 및
도 14는 조수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가스 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하우징 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기에 의해 연소시키는 것으로, 각 점화기를 상이한 커넥터와의 접속구성(패턴)으로써, 하우징에 각각 장착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를 각 점화기에 접속할 때, 각 점화기의 패턴을 식별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각 점화기에 대한 커넥터의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점화기의 작동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가스량을 조정할 수 있어,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복수의 연소실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기에 의해 각각 독립해서 연소시키는 것으로, 각 점화기를 2개의 전극으로의 통전에 의해 발화되는 전기식으로 하고, 상이한 커넥터와의 접속구성(패턴)으로써 하우징에 각각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를 각 점화기에 접속할 때, 각 각 점화기의 패턴을 식별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각 점화기에 대한 커넥터의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점화기의 작동순서, 연소실의 연소순서를 역전시키는 일 없이, 에어백의 팽창전개의 제어를 적정히 실행할 수 있고, 그 제어의 신뢰성도 향상된다. 또, 에어백의 팽창전개는 각 점화기를 미소시간차로써 작동시켜서 제어할 수 있다. 즉, 다음의 형태로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의 전개초기에 있어서는 에어백을 완만하게 팽창전개시키고, 그 후에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전개시킨다. 또 각 점화기를 동시에 작동시켜서,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전개시킨다. 더욱, 하나의 점화기만을 작동함으로써, 에어백을 완만하게 팽창전개시킨다. 이 결과, 승무원의 착석자세에 맞는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각 점화기의 접속구성(패턴)은 다음의 패턴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 패턴으로서는 (1) 각 점화기에 있어, 각 전극간을 연결하는 직선을 상정하고, 각 직선을 상호 교차시켜서, 하우징에 각각 장착하는 패턴, (2) 각 점화기 사이에서, 각 전극의 형상을 상이하게 하여, 하우징에 각각 장착하는 패턴, (3) 각 점화기 사이에서, 각 전극의 간격을 상이시켜서, 하우징에 각각 장착하는 패턴, (4) 각 점화기를 상이한 형상으로 하는 것, 상이한 색을 채색함으로써, 하우징에 각각 장착하는 패턴이다.
또,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하우징 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기에 의해 연소시키는 것으로, 각 점화기를 커넥터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하고, 각 커넥터를 상이한 하우징과의 장착구성(패턴)으로써, 하우징에 각각 장착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를 각 점화기에 접속할 때, 각 커넥터의 패턴을 식별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각 점화기에 대한 커넥터의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점화기의 작동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가스량을 조정할 수 있고,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각 점화기를 상이한 커넥터와의 접속구성(패턴)으로써, 하우징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각 커넥터의 패턴 외에 각 점화기의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의 부착 착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각 커넥터의 장착구성(패턴)은 각 커넥터를 상이한 형상, 상이한 색의 적어도 하나로써, 하우징에 각각 장착하는 패턴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각 커넥터를 일체화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하우징 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기에 의해 연소시키는 것으로, 각 점화기를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하는 커넥터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하고, 각 커넥터를 상이한 작동회로측 커넥터와의 접속구성(패턴)으로써, 이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에 각각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각 점화기와 작동회로를 각각 접속할 때, 커넥터의 패턴을 식별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끼리의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점화기의 작동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가스량을 조종할 수 있고,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각 커넥터와 어느 한쪽을 일체화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하우징 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기에 의해 연소시키므로써,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각 점화기와 각 커넥터 또는 커넥터끼리의 접속을 확실하게 해서, 에어백의 팽창전개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각 점화기를 상이한 커넥터와의 접속구성(패턴)으로써 하우징에 각각 장착한다. 또, 각 커넥터를 상이한 하우징과의 장착구성(패턴)으로써 하우징에 각각 장착한다. 또, 각 커넥터를 상이한 작동회로측 커넥터와의 접속구성(패턴)으로써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에 각각 접속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를 도 1∼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가스 발생기로서는 운전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도 1 참조)과 조수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도 14 참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D)는 각 점화기(8, 9)를 상이한 커넥터(33, 34)와의 접속구성(패턴(E))으로써, 하우징(1)에 각각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가스 발생기(D)는 운전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으로, 짧은 원통형상의 하우징(1)과, 하우징(1) 내를 상하 2개의 연소실(3, 4)에 구획형성하는간막이부재(5)와, 각 연소실(3, 4) 내에 각각 장착, 장전되는 필터(6) 및 가스 발생제(7)와, 각 연소실(3, 4) 내의 가스 발생제(7)를 각각 독립해서 연소시키는 2개의 점화기(8, 9)(스퀴브)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상(上) 용기(10)와 하(下) 용기(11)로 이중 원통구조로 되어 있다. 이 하우징(1)은 상 용기(10)와 하 용기(11)를 맞붙이기 용접(예를 들면 마찰압접)에 의해 접합하고, 외통(12) 및 내통(13)의 상하단을 2개의 덮개판(14, 15)으로 폐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으로 하우징(1)의 내부는 외통(12)과 내통(13)으로 밀폐된 환상의 밀폐공간(S)과 내통(13) 내측의 공간(S1)으로 구획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외통(12)에는 밀폐공간(S)과 외부(에어백 내부)를 연통하는 복수의 가스 방출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가스 방출구멍(12a)은 외통(12)의 상단측(상 덮개판(14) 측)으로 개구되고, 하우징(1)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각 가스 방출구멍(12a)은 외통(12)의 상단측(상 덮개판(14)측)에 개구되고, 하우징(1)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각 가스 방출구멍(12a)은 외통(12) 내주에 붙여진 버스트 플레이트(burst plate(16)) 폐쇄되어 있다. 버스트 플레이트(16)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의 방습과 내압 조정의 역할을 다한다.
또, 내통(13)에는 각 공간(S, S1)을 연통하는 복수의 도화구멍(導火孔)(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도화구멍(13a)은 내통(13)의 상단측(상 덮개판(14)측)으로 개구되고, 하우징(1)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의 하 덮개판(15)에는 밀폐공간(S)내에 돌출하는 짧은 내통(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짧은 내통(18)은 하우징(1)(내통(13))의 축심으로부터 외통(12)측으로 편심되어, 외통(12)과 내통(13)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또, 하 덮개판(15)에는 각 내통(13, 18)내와 외부를 연통하는 계단식 구멍(19, 20)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하 덮개판(15)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외통(12)의 직경 외측을 따라서 상 덮개판(14)측으로 뻗는 플랜지 통(21)이 형성되고, 이 플랜지 통(21)의 플랜지(22)에 에어백 모듈(에어백, 백커버 등으로 이루어지는)의 리테이너 등(도시 생략)이 부착된다.
또, 하우징(1) 내의 밀폐공간(S)에는 원통형상의 필터 지지부재(2)가 장착되어 있다.
필터 지지부재(2)는 예를 들면 다공 금속판(펀칭메탈)이나 강철망 등을 원통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된다. 이 필터 지지부재(2)는 외통(12)과 짧은 내통(18) 사이에 장착되고, 하 덮개판(15)으로부터 상 덮개판(14) 근방까지 뻗어 있다. 또, 필터 지지부재(2)의 상단은 내통(13)의 외주에 끼워 넣어진 덮개판 링(23)으로 폐쇄되어 있다. 이것으로, 필터 지지부재(2)는 밀폐공간(S)을 외통(12)측의 가스 통과공간(S2)(환상공간)과 내통(13)측의 연소공간(S3)(환상공간)으로 구획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 지지부재(2)에는 펀칭메탈 등에 의해 각 공간(S2, S3)을 연통하는 복수의 가스 통과구멍(2a)을 갖고 있다.
필터 지지부재(2) 내의 연소공간(S3)은 간막이부재(5)에 의해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되어 있다. 간막이부재(5)는 각 덮개판(14, 15)과 대략 평행하게 하여 필터 지지부재(2)내로 압입되고, 연소공간(S3) 내를 소정의 용적비율로 각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있다. 또, 간막이부재(5)는 내통(13) 외주에 끼워 넣어져서 짧은 내통(18) 상측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소실(3, 4) 내에는 필터(6)를 장착하고, 가스 발생제(7)를 장전하고 있다. 각 필터(6)는 예를 들면 메리야스 편물철망이나 크림프 직조 금속선재의 집합체를 원통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염가로 제작된다. 각 필터(6)는 필터 지지부재(2)와 짧은 내통(18) 사이에 장착되고, 연소실(3) 내에서 간막이부재(5)로부터 덮개판 링(23)까지 뻗어 있고, 또 연소실(4)내에서 하 덮개판(15)으로부터 간막이부재(5)까지 뻗어 있다. 또 각 연소실(3, 4)의 필터(6) 내에는 연소에 의해 고온가스를 발생하는 가스 발생제(7)가 장전되고, 그 장전량은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양으로 조정되어 있다.
하우징(1)의 내통(13), 짧은 내통(18)에는, 각 점화기(8, 9)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점화기(8, 9)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전극 핀(24, 25)(전극)으로의 통전에 의해 착화약(27)을 발화시키는 핀형 스퀴브를 사용한다.
이들 각 점화기(8, 9)는 컵형상의 관체(28)와, 관체(28)내에 수납되는 착화약(27)과, 각 전극핀(24, 25)으로의 통전에 의해 발열되는 브리지선(26)과, 축형상의 폐색마게(29)를 구비하고, 폐색마게(29)를 관체(28)내에 끼워삽입함으로써 브리지선(26)과 착화약(27)을 접압상태로 봉입하고 있다. 각 전극핀(24, 25)은관체(28)내로부터 폐색마게(29)를 관통하여 관체(28)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브리지선(26)은 관체(28)내에서 각 전극핀(24, 25)에 각각 접속되고, 이 각 전극핀(24, 25)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점화기(8, 9)는 각 전극핀(24, 25)의 돌출측으로부터 각 내통(13, 18) 내로 각각 장착되고, 관체(28)를 내통(13)내 또는 연소실(4)내에 돌출하고 있다. 이것으로, 각 점화기(8, 9)는 계단식 구멍(19, 20)의 단부(段部) 위에 있는 실링재(30)에 탄성접속되어, 각 전극핀(24, 25)을 각 계단식 구멍(19, 20)내의 개구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 각 점화기(8, 9)의 하우징(1)에의 장착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점화기(8, 9)에 있어, 각 전극핀(24, 25)을 연결하는 직선(a, b)을 상정하여, 이 각 직선(a, b)을 상호 교차시키므로써, 하우징(1)(각 내통(13, 18))에 각각 장착한다.
계속해서, 각 점화기(8, 9)는 내통(13)내에 돌출하는 코킹 돌기(31)와 연소실(4)내에 돌출하는 코킹 돌기(32)를 직경내방으로 접어 구부리므로써, 각 내통(13, 18)에 코킹 고정된다.
이것으로, 각 점화기(8, 9)는 각 직선(a, b)을 교차시키므로써 상이한 패턴(E)을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커넥터(33, 34)를 각 점화기(8, 9)에 접속할 때, 각 점화기(8, 9)의 전극핀(24, 25)의 배열방향의 상이에 의하여,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점화기(8, 9)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점화기(8, 9)는 각 전극핀(24, 25)으로의 통전에 의하여 브리지선(26)을 발열시켜, 이 발열에 의해 착화약(27)을 발화시킨다. 이 착화약(27)의화염은 관체(28)의 취약부(28a)를 파열해서 내통(13)내, 연소실(4)내로 분사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 발생기(D)는 작동회로(도시생략)에 접속되고, 스티어링 휠 내에 장착된 에어백 모듈에 편입된다. 또, 가스 발생기(D)와 작동회로와의 접속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커넥터(33, 34)를 각 점화기(8, 9)에 각각 접속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상기 작동회로는 컨트롤 유닛(도시생략)을 구성하고, 자동차의 충돌시에 각 점화기(8, 9)를 통전하는 것이다. 또한 각 커넥터(33, 34)를, 각 계단식 구멍(19, 20)에 장입 가능하게 하여 일체화해도 좋고, 이 일체화에 의해 가스 발생기(D) 등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각 커넥터(33, 34)는 하우징(1)의 외부로부터 각 계단식 구멍(19, 20)내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각 커넥터(33, 34)에는 전극핀(24, 25)과 동일한 간격(P)으로 형성된 2개의 터미널 구멍(35, 36)을 갖고, 이 각 터미널 구멍(35, 36) 내에 단자(37, 38)(터미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각 단자(37, 38)는 리드선(3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각 리드선(39)으로 상기 작동회로에 접속된다.
그리고, 각 커넥터(33, 34)의 접속은 각 커넥터(33, 34)를 각 계단식 구멍(19, 20)내에 각각 장착하여, 각 점화기(8, 9)의 전극핀(24, 25)을 각 단자(37, 38)내에 끼워 넣으므로써 행해진다.
이 때, 각 전극핀(24, 25)의 배열방향의 상이에 의해,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각 점화기(8, 9)에 각각 접속할 수 있고,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작동회로에 접속된 가스 발생기(D)는 충돌센서(도시생략)가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함으로써, 작동회로에 의해 점화기(8)만을 작동(통전 발화)하여, 내통(13)내의 전화제(傳火劑)(17)를 착화한다. 이 전화제(17)의 화염은 각 도화구멍(13a)으로부터 연소실(3)(상측 연소실)내로 분출되고, 가스 발생제(7)를 연소시키므로써,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연소실(3)내에서 발생된 고온가스는 필터(6)내로 유입되고, 여기서 슬래그 포집과 냉각을 거쳐 각 가스 통과구멍(2a)으로부터 가스 통과공간(S2)내로 유입한다. 그리고, 연소실(3)내에서의 연소가 진행되고, 하우징(1)내가 소정 압력에 이르면, 버스트 플레이트(16)가 파열되고, 가스통과공간(S2)내에서 균일하게 된 청정한 가스가 각 가스방출구멍(12a)으로부터 에어백내로 방출된다(도 1, 도 3 참조).
이것으로, 에어백은 연소실(3)에서만 발생된 소량의 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게 팽창전개를 개시한다.
계속해서, 연소실(3)의 연소개시 후, 미소시간차로써 점화기(9)를 작동(통전 발화)하면, 그 화염은 연소실(4)(하측 연소실)내로 분출되어, 가스 발생제(7)를 연소시키므로써,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연소실(4)내에서 발생된 고온가스는 필터(6)내로 유입되고, 여기서 슬래그 포집과 냉각을 거쳐서 가스 통과공간(S2)내로 유출된다. 그리고, 가스 통과공간(S2)으로 유출된 가스는 각 가스 방출구멍(12a)으로부터 에어백 내로 방출되므로, 에어백은 각 연소실(3, 4)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청정한 가스에 의해 급속한 팽창전개로 이행된다(도 1 참조).
이 결과, 에어백은 전개초기에 연소실(3)에서만 발생한 소량의 가스에 의해 완만하게 팽창전개를 개시하고, 미소시간 이후, 각 연소실(3, 4)에서 발생된 다량의 가스에 의해 급속하게 팽창전개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각 점화기(8, 9)의 작동은 미소시간차로써 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자동차의 충돌형태에 의해 적당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고속도에서의 정면충돌이나 전방충돌과 같은 위험도가 높은 충돌에서는 각 점화기(8, 9)를 동시에 작동(통전 발화)하여, 에어백을 각 연소실(3, 4)에서 발생된 다량의 가스로 급속하게 팽창전개시킨다.
또, 위험도의 중간 정도의 충돌에서는, 각 점화기(8, 9)를 미소 시간차로써 작동(통전 발화)하여, 에어백을 전개초기에 있어 소량의 가스로 원만히 팽창 전개하고, 미소시간차 후에 다량의 가스로 급속하게 팽창전개시킨다.
더욱, 위험도가 경한 정도의 충돌에서는, 예를 들면 점화기(8)만을 작동(통전 발화)하여, 에어백을 소량의 가스로 완만하게 팽창전개시킨다.
이와 같이 가스 발생기(D)에서는, 각 커넥터(33, 34)를 각 점화기(8, 9)에 접속할 때, 각 점화기(8, 9)의 패턴(E)을 식별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각 점화기(8, 9)에 대한 커넥터(33, 34)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운전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가스 발생기(D)에서는 각 점화기(8, 9)를 동일면인 하 덮개판(15)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커넥터(33, 34)의 부착 착오를 일으키기 쉬우나, 각 점화기(8, 9)의 상이한 패턴(E)에 의해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 각 점화기(8, 9)의 작동(통전 발화)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가스량을 조정할 수 있고,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 가능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각 점화기(8, 9)에 접속함으로써, 각 점화기(8, 9)와 작동회로를 접속할 수 있고,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하는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작동회로에 의한 각 점화기(8, 9)의 작동(통전 발화)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승무원이 계기판 근방에 착석하고 있어도, 에어백 전개초기에 있어서, 급속한 팽창전개에 의한 충격을 받는 일 없이, 에어백 본래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1 및 도 2의 가스 발생기(D)에 있어서 점화기(8, 9)의 접속구성(패턴)으로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각 점화기(8, 9) 사이에 있어, 전극핀(24, 25)을 상이한 외경으로 함으로써, 패턴(F)을 구성한 것이다. 도 4에서, 점화기(8)의 전극핀(24, 25)의 외경을 D1, 점화기(9)의 전극핀(24, 25)의 외경을 D0으로 하고, 예를 들면 D0>D1(또는 D0<D1)의 관계로 한다. 또 각 커넥터(33, 34)는 각 터미널 구멍(35, 36)의 내경(d1, d0)(d0>d1 또는 d0<d1)을 각 점화기(8, 9)의 전극핀(24, 25)의 외경(D1, D0)에 대응하여 상이하게 한다.
그리고, 각 커넥터(33, 34)를 접속할 때, 각 점화기(8, 9)의 전극핀(24, 25)의 외경(D1, D0)과 각 커넥터(33, 34)의 터미널 구멍(35, 36)의 내경(d1, d0)의 상이에 의해, 점화기(9)의 전극핀(24, 25)(D0)이 커넥터(33)의 터미널 구멍(35, 36)(d1<D0)에 장입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점화기(8, 9)의 패턴(F)을 인식하면서,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각 점화기(8, 9)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각 커넥터(33, 34)를 각 계단식 구멍(19, 20)에 장입 가능하게 하여 일체화해도 좋고, 이 일체화에 의해 가스 발생기(D) 등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각 점화기(8, 9) 사이에 있어, 전극핀(24, 25)을 상이한 간격(P, P1)(예를 들면, P<P1)으로 함으로써, 패턴(G)을 구성한 것이다. 또, 각 커넥터(33, 34)에 있어, 각 터미널 구멍(35, 36)의 간격(P, P1)을 각 점화기(8, 9)의 간격(P, P1)에 대응하여 상이하게 한다.
그리고, 각 커넥터(33, 34)를 접속할 때, 각 점화기(8, 9)의 간격(P, P1)과 각 커넥터(33, 34)의 간격(P, P1)의 상이에 의해, 예를 들면 점화기(9)의 전극핀(24, 25)(P)이 커넥터(33)의 터미널 구멍(35, 36)(P1>P)에 장입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점화기(8, 9)의 패턴(G)을 식별하면서,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각 점화기(8, 9)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각 커넥터(33, 34)를 각 계단식 구멍(19, 20)에 장입 가능하게 하여 일체화해도 좋고, 이 일체화에 의하여 가스 발생기(D) 등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다.
또, 각 점화기(8, 9)를 상이한 형상으로 하는 것, 상이한 색으로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패턴(H)을 채용함으로써, 각 점화기(8, 9)를 식별하면서, 각 커넥터(33, 34)를 대응시켜서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각 커넥터(33, 34)를 각 계단식 구멍(19, 20)에 장입 가능하게 하여 일체화해도 좋고, 이 일체화에 의하여 가스 발생기(D) 등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다. 더욱, 각 점화기(8, 9)는 각 패턴(E∼H)의 적어도 1개로써, 하우징(1)에 각각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D)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가스 발생기(D)는 장착부의 형상이 상이한 각 커넥터(33, 34)를 상이한 장착형상을 갖는 하우징(1)과의 장착구성(패턴(I))으로써, 하우징(1)에 각각 장착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가스 발생기(D)는 운전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가스 발생기(D)와 동일한 구성부재(하우징(1), 가스 발생제(7) 및 점화기(8, 9) 등)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에 있어, 도 1∼도 3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부재를 도시한다.
도 6에 있어, 하우징(1)의 계단식 구멍(19)에는 개구측으로부터 내통(13)(공간(S1))내로 뻗는 장착홈(19a)이 형성되고, 계단식 구멍(20)에는 개구측으로부터 짧은 내통(18)내로 뻗는 2개의 장착홈(20a, 20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33)의 외주에는 장착홈(19a)에 끼워 넣어지는 돌기(33a)가 형성되고, 커넥터(34)의 외주에는 각 장착홈(20a, 20b)의 각각에 끼워 넣어지는 돌기(34a, 34b)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으로, 각 커넥터(33, 34)는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하우징(1)에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패턴(I)을 구성한다. 그리고, 커넥터(33)는 돌기(33a)를 장착홈(19a)내에 장입하면서 계단식 구멍(19)내에 장착되고, 또 커넥터(34)는 각 돌기(34a, 34b)를 각 장착홈(20a, 20b)내에 장입하면서 계단식 구멍(20)내에 장착함으로써 각 점화기(8, 9)에 각각 접속된다.
또한, 각 커넥터(33, 34)를 각 계단식 구멍(19, 20)에 장입 가능하게 하여 일체화해도 좋고, 이 일체화에 의해 가스 발생기(D) 등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다.
각 커넥터(33, 34)를 장착할 때, 각 커넥터(33, 34)의 돌기수와 각 계단식 구멍(19, 20)의 장착홈수와의 상이에 의해, 커넥터(34)(2개의 돌기(34a, 34b))가 계단식 구멍(19)(1개의 장착홈(19a)) 내에 장입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커넥터(33, 34)(각 계단식 구멍(19, 20))의 패턴(I)을 식별하면서,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각 계단식 구멍(19, 20)내에 장입하여, 각 점화기(8, 9)에 대응하게 하여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패턴(I)의 변형패턴(I')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패턴(I')은 하우징(1)의 계단식 구멍(19)에 개구측으로부터 내통(13)(공간(S1))내로 뻗는 돌기(19a')와, 이 돌기(19a')와 90°의 위치에 돌기(19b')가 형성되고, 계단식 구멍(20)에는 개구측으로부터 짧은 내통(18)내로 뻗는 돌기(20a')와, 이 돌기(20a')에 대향하는 180°의 위치에 돌기(20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33)의 외주에는 각 돌기(19a', 19b')에 끼워맞춤되는 장착홈(33a', 33b')이 형성되고, 커넥터(34)의 외주에는 각 돌기(20a', 20b')의 각각에 끼워맞춤되는 장착홈(34a' 34b')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으로, 각 커넥터(33, 34)는 상이한 형상과 동일하게 하여, 하우징(1)에 각각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패턴(I')을 구성한다.
또, 도 6의 가스 발생기(D)에 있어서 커넥터(33, 34)의 장착구성(패턴)으로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각 커넥터(33, 34) 사이에서, 각 커넥터(33, 34)를 상이한 외경으로 함으로써, 패턴(J)을 구성한 것이다. 도 8에서, 커넥터(33)의 외경을 D2, 커넥터(34)의 외경을 D3으로 하고, 예를 들면 D2<D3(또는 D2>D3)의 관계로 한다. 또 하우징(1)의 각 계단식 구멍(19, 20)을 각 커넥터(33, 34)의 외경에 대응한 내경(d2<d3)(또는 d2>d3)으로 한다. 그리고, 각 커넥터(33, 34)를 장착할 때, 각 커넥터(33, 34)의 외경(D2, D3)과 각 계단식 구멍(19, 20)의 내경(d2, d3)과의 상이에 의하여, 커넥터(34)(D3)가 계단식 구멍(19)(d2<D3)으로 장입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커넥터(33, 34)의 패턴(J)을 식별하면서,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각 계단식 구멍(19, 20)내로 장입하여, 각 점화기(8, 9)에 대응시켜서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각 커넥터(33, 34)를 각 계단식 구멍(19, 20)에 장입 가능하게 하여 일체화해도 좋고, 이 일체화에 의해 가스 발생기(D) 등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각 커넥터(33, 34)를 상이한 색으로 하는 패턴(K)을 채용함으로써, 각 커넥터(33, 34)를 식별하면서, 각 점화기(8, 9)에 대응시켜서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더욱, 각 커넥터(33, 34)는 각 패턴(I∼K)의 적어도 1개를 가지고, 하우징(1)에 각각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계단식 구멍(19, 20)에 걸음부재(119, 120)를 각각 끼워맞춤함으로써, 패턴(I), 패턴(I') 혹은 패턴(J)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음부재(119, 120)에 돌기(119a, 119b, 120a, 120b)를 설치하여 패턴(I')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다. 또, 걸음부재(119, 120)에 장착홈(119a,119b, 120a, 120b)(도시 생략)을 설치하여 패턴(I)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음부재(119, 120)의 내경(d2', d3')이 d2'<d3'(또는 d2'>d3')로서 패턴(J)을 구성할 수도 있다. 통상, 하우징(1)은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단식 구멍(19, 20)에 장착홈이나 돌기등을 설치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런데, 걸음부재(119, 120)를 별도부재, 예를 들면, 가공하기 쉬운 수지 등으로 형성하고, 이 걸음부재(119, 120)에 돌기나 장착홈을 가공하여, 이 수지제의 걸음부재(119, 120)를 계단식 구멍(19, 20)에 끼워맞춤함으로써, 계단식 구멍(19, 20)에 간편하게 돌기나 장착홈을 설치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별도부재의 걸음부재(119, 120)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착색도 할 수 있기 때문에, 패턴(K)에 있어서도, 계단식 구멍(19)(걸음부재(119))과 커넥터(33), 계단식 구멍(20)(걸음부재(120))과 커넥터(34)를 각각 동일 색으로 해두므로써, 커넥터(33, 34)와의 접속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6의 가스 발생기(D)에서는 각 커넥터(33, 34)를 각 점화기(8, 9)에 접속할 때, 각 커넥터(33, 34)의 패턴(I∼K)을 식별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각 점화기(8, 9)에 대한 커넥터(33, 34)의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점화기(8, 9)의 작동(발화)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 발생기(D)에서는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점화기(8, 9)를 상이한 커넥터(33, 34)와의 접속구성(패턴(E∼H))을 채용함으로써, 각 커넥터(33, 34)의 패턴(I∼J) 외에, 각 점화기(8, 9)의 패턴(E∼H)을 식별함으로써, 커넥터(33, 34)의 부착 착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D)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가스 발생기(D)는 하우징(1)의 외부에 배치하는 커넥터(43, 44)를 상이한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와의 접속구성(패턴(L))으로써,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에 각각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가스 발생기(D)는 운전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가스 발생기(D)와 동일한 구성부재(하우징(1), 가스 발생제(7) 및 점화기(8, 9) 등)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11에서, 도 1∼도 3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각 점화기(8, 9)는 전극선(45, 46)으로의 통전에 의해 착화약(27)을 발화하는 피그테일형 스퀴브로 이루어지고 있다. 각 점화기(8, 9)의 전극선(45, 46)은 하우징(1)의 외부까지 뻗어서, 각 커넥터(43, 4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피그테일형(pig tail型) 스퀴브도, 도 1 등에 도시하는 핀형 스퀴브와 동일하게 하여, 브리지선(26), 착화약(27), 관체(28) 및 폐색마게(2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 하우징(1)의 각 내통(13, 18) 내에는 금속제 컵재(48)가 장착되어 있다. 각 컵재(48)에는 각 점화기(8, 9)의 발화시에 내통(13)(공간(S1))내 또는 연소실(4)내에 개구되는 발화구멍(48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점화기(8, 9)는 관체(28)측으로부터 각 컵재(48)내로 각각 장입되어서, 각 커넥터(43, 44)를 하우징(1)의 외부에 배치한다. 계속해서, 각 점화기(8, 9)의 하측에 스토퍼 링(67)을 장착한 후, 하 덮개판(15) 하측에 돌출하는 코킹 돌기(68)를 직경 내방으로 접어 구부리므로써, 하우징(1)에 코킹 고정한다.
각 점화기(8, 9)의 커넥터(43, 44)는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2개의 접속핀(65, 66)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접속핀(65, 66)은 각 전극선(45, 46)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들 각 커넥터(43, 44)는 커넥터(43)의 접속핀(65)의 외경을 D4, 커넥터(44)의 접속핀(65)의 외경을 D5로 하여, 예를 들면 D4<D5(또는 D4>D5)의 관계로 함으로써 상이한 패턴(L)을 구성한다.
또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는 도 3의 각 커넥터(33, 34)와 동일한 구성부재(터미널구멍(35, 36), 단자(37, 38) 등)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는 각 터미널구멍(35)의 내경(d4, d5)(d4<d5, 또는 d4>d5)을 각 커넥터(43, 44)의 접속핀(65)의 외경(D4, D5)에 대응하여 상이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각 커넥터(43, 44)의 접속핀(65, 66)을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의 터미널구멍(35, 36)에 장입함으로써, 접속핀(65, 66)과 단자(37, 38)를 각각 접속한다.
각 커넥터(43, 44)를 접속할 때, 각 커넥터(33, 34)의 접속핀(65)의 외경(D4, D5)과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의 터미널구멍(35)의 내경(d4, d5)과의 상이에 의해, 커넥터(44)의 접속핀(65)(D4)이 작동회로측 커넥터(63)의 터미널 구멍(35)(d5>D4)에 장입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커넥터(33, 34)의 패턴(L)을 식별하면서,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또, 도 11의 가스 발생기(D)에 있어서 커넥터(43, 44)의 접속구성(패턴)으로서는, 도 12와 같이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각 커넥터(43, 44) 사이에서, 각 접속핀(65, 66)을 상이한 간격(P2, P3)으로 함으로써, 패턴(M)을 구성한 것이다. 또,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에 있어, 각 터미널구멍(35, 36)의 간격(P2, P3)을 각 커넥터(43, 44)의 간격(P2, P3)에 대응하여 상이하게 한다.
그리고, 각 커넥터(43, 44)를 접속할 때, 각 커넥터(43, 44)의 간격(P2, P3)과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의 간격(P2, P3)과의 상이에 의해, 커넥터(44)의 접속핀(65, 66)(P3)이 작동회로측 커넥터(63)의 터미널구멍(35, 36)(P3>P2)에 장입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커넥터(33, 34)의 패턴(L)을 식별하면서,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또 각 커넥터(33, 34)를 상이한 색으로 하는 패턴(N)을 채용함으로써, 각 커넥터(33, 34)를 식별하면서, 각 점화기(8, 9)에 대응시켜서 각각 접속할 수 있다. 더욱, 각 커넥터(33, 34)는 각 패턴(I∼K)의 적어도 1개로써, 하우징(1)에 각각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커넥터(33, 34)를 각 계단식 구멍(19, 20)에 장입 가능하게 하여 일체화해도 좋고, 또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를 일체화해도 좋고, 이들의 일체화에 의해 가스 발생기(D) 등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1의 가스 발생기(D)는 각 커넥터(43, 44)와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를 접속할 때, 각 커넥터(43, 44)의 패턴(L∼N)을 식별해서 행할 수있으므로, 각 커넥터(43, 44, 63, 64)끼리의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점화기(8, 9)의 작동(발화)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에어백 팽창전개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11의 가스 발생기(D)에서는 각 커넥터(43, 44)를 각 터미널구멍(35, 36) 등을 갖는 것으로 하고,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를 각 접속핀(65, 66)을 갖는 것으로 하여, 상기 각 패턴(L∼N)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도 11의 가스 발생기(D)에 있어, 도 13과 같이, 핀형 스퀴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3에 있어, 각 점화기(8, 9)는 가스 발생기측 커넥터(73, 74)와 각각 접속되고, 이 각 커넥터(73, 74)로부터 하우징(1)의 외부로 끌어내게 되는 리드선(75) 선단에 각 커넥터(43, 44)를 각각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 각 가스 발생기측 커넥터(73, 74)는 도 3의 각 커넥터(33, 34)와 동일한 구성부재(터미널구멍 (35, 36), 단자(37, 38) 등)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가스 발생측 커넥터(73, 74)를 하우징(1)의 각 계단식 구멍(19, 20)내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각 커넥터(73, 74)의 단자(37, 38)와 각 점화기(8, 9)의 전극핀(24, 25)을 각각 접속하는 것이다.
도 13에 있어서도, 각 커넥터(43, 44)를 상이한 접속구성(패턴(L∼N))으로 함으로써, 각 커넥터(43, 44, 63, 64)끼리의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점화기(8, 9)와 각 가스 발생기측 커넥터(73, 74)에 있어, 각 점화기(8, 9)를,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접속구성(패턴(E∼H))으로 하고, 각 커넥터(73, 74)를, 도 6∼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장착구성(패턴(I∼K))으로 함으로써, 각 커넥터(73, 74)의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스 발생기측 커넥터(73, 74)를 각 계단식 구멍(19, 20)에 장입 가능하게 하여 일체화해도 좋고, 또 각 커넥터(43, 44)를 일체화해도 좋고, 이 일체화에 의하여 가스 발생기(D) 등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P)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가스 발생기(P)는 조수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으로, 긴 원통형상의 하우징(51)과, 하우징(51)내에 장착되는 필터 지지부재(2)와, 필터 지지부재(2)내를 좌우(2)개의 연소실(53, 54)로 구획 형성하는 간막이부재(55)와, 각 연소실(53, 54)내에 각각 장착, 장전되는 필터(6) 및 가스 발생제(7)와, 각 연소실(53, 54)내의 가스 발생제(7)를 각각 독립해서 연소시키는 2개의 점화기(8, 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 있어, 도 1과 동일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51)은 외통(52)과 이 외통(52)의 양단측에 끼워 넣어지는 2개의 덮개부재(56)가 하나의 원통구조로 되어 있다. 이 하우징(51)은 외통(52)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코킹 돌기(52b)를 직경내방으로 접어 구부리므로써, 내부에 밀폐공간(S)을 구획형성하고 있다.
하우징(51)의 외통(52)에는 밀폐공간(S)과 외부(에어백내)를 연통하는 복수의 가스 방출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가스 방출구멍(52a)은 하우징(51)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각 가스 방출구멍(52a)은 외통(52) 내주에 점착된 버스트 플레이트(16)(알루미늄 등의 금속박)로 폐쇄되어 있다.
또, 하우징(51)내의 밀폐공간(S)에는 필터 지지부재(2)가 장착되어 있다. 필터 지지부재(2)는 각 덮개부재(56) 사이에 걸쳐서 장착되고, 밀폐공간(S)을 외통(52)측의 가스 통과공간(S2)(환상 공간)과 내측의 연소공간(S3)으로 구획형성하고 있다.
필터 지지부재(2)내의 연소공간(S3)은 간막이부재(55)에 의해 좌우 2개의 연소실(53, 54)에 구획형성되어 있다. 간막이부재(55)는 각 덮개부재(56)와 대략 평행으로 필터 지지부재(2) 내로 압입되고, 연소공간(S3)을 소정의 용적비율로 각 연소실(53, 54)로 구획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연소실(53, 54)에는 필터(6)를 장착하고, 가스 발생제(7)를 장전하고 있다. 각 필터(6)는 필터 지지부재(2)내에 장입되고, 각 연소실(53, 54)내에서 덮개부재(56)로부터 간막이부재(55)까지 뻗어 있다. 또 각 연소실(53, 54)의 필터(6)내에는 연소에 의해 고온가스를 발생하는 가스 발생제(7)가 장전되어 있다. 그 장전량은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양으로 조정되어 있다.
하우징(51)의 각 덮개부재(56)에는 각 점화기(8, 9)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점화기(8, 9)는 도 1 및 도 2의 가스 발생기(D)와 동일한 핀형 스퀴브로서, 각 점화기(8, 9)의 상이한 접속구성(패턴(E∼H))의 적어도 1개에 의해, 하우징(1)(각 덮개부재(56))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점화기(8, 9)는 관체(28)측으로부터 각 덮개부재(56)의 장착 구멍(57)내로 장입되고, 각 필터(6)내에 있는 전화제(58)에 각각 대치되어 있다.또 각 점화기(8, 9)는 각 덮개부재(56)의 코킹 돌기(56a)를 직경내방으로 접어 구부리므로써, 각 덮개부재(56)에 코킹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 발생기(P)는 작동회로에 접속되고, 계기판내에 장착된 에어백 모듈에 편입된다. 그리고, 각 커넥터(33, 34)를 접속할 때, 각 점화기(8, 9)의 패턴(E∼H)을 식별하여,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한 각 점화기(8, 9)에 각각 접속함으로써, 각 커넥터(33, 34)의 부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스 발생기(P)에서는 각 점화기(8, 9)의 작동(통전 발화)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도 1 및 도 2의 가스 발생기(D)와 동일한 에어백의 팽창전개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커넥터(33, 34)를 대응하는 각 점화기(8, 9)에 접속함으로써, 각 점화기(8, 9)와 작동회로와의 접속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하는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작동회로에 의한 각 점화기(8, 9)의 작동(통전 발화)을 적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승무원의 착석자세에 대응시킨 에어백의 팽창전개가 가능하게 된다.
또, 가스 발생기(P)에서는 도 6∼도 10과 동일하게 하여, 각 커넥터(33, 34)를 상이한 장착구성(패턴(I∼K))으로 할 수도 있다. 더욱, 가스 발생기(P)의 각 점화기(8, 9)를, 도 11의 가스 발생기(D)와 동일한 피그테일형 스퀴브로 하고, 각 커넥터(43, 44)를 상이한 접속구성(패턴(L∼N))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D, P)는 2개의 연소실(3, 4, 53, 54)내의 가스발생제(7)를 2개의 점화기(8, 9)에 의해 각각 독립해서 연소시키는 것에 관하여 설명했는데, 하우징(1, 51)내를 3개 이상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각 연소실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기로 각각 연소시키는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또, 가스 발생기(D, P)에서, 복수의 연소실(3, 4, 53, 54)로 구획형성하는 구조인데, 간막이부재(5, 55)로 밀폐공간(S)을 구획형성하지 않고, 하우징(1, 51)을 1개의 연소실로 하고, 이 연소실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기에 의해 연소시키는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하우징내의 가스 발생제를 복수의 점화에 의해 연소시키는 것으로, 각 점화기를 상이한 커넥터와의 접속구성(패턴)으로써, 하우징에 각각 장착하여, 각 점화기의 작동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가스량을 조정할 수 있고,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제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2)

  1. 원통형상의 하우징(1, 51)과, 이 하우징(1, 51)내에 장전되어 연소에 의해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 발생제(7)와, 이 가스 발생제(7)를 연소시키는 복수의 점화기(8, 9)를 포함하여 이루는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각 점화기(8, 9)는 상이한 커넥터(33, 34)와의 접속구성(패턴(E∼H))으로써, 상기 하우징(1, 51)에 각각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2. 원통형상의 하우징(1, 51)과, 이 하우징(1, 51)내를 복수의 연소실(3, 4, 53, 54)로 구획형성하는 간막이부재(5, 55)와, 상기 각 연소실(3, 4, 53, 54)내에 각각 장전되어 연소에 의해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 발생제(7)와, 이 각 연소실(3, 4, 53, 54)내의 이 가스 발생제(7)를 각각 독립해서 연소시키는 복수의 점화기(8, 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각 점화기(8, 9)는 2개의 전극(24, 25)으로의 통전으로 발화되는 전기식으로 하고, 상이한 커넥터(33, 34)와의 접속구성(패턴(E∼H))으로써, 상기 하우징(1, 51)에 각각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점화기(8, 9)는 이 각 점화기(8, 9)에 있어, 각 전극(24, 25)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a, b)을 상정하고, 이 각직선(a, b)을 상호 교차해서, 상기 하우징(1, 51)에 각각 장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점화기(8, 9)는 이 각 점화기(8, 9) 사이에 있어, 각 전극(24, 25)의 형상을 상이하게 하여, 상기 하우징(1, 51)에 각각 장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점화기(8, 9)는 이 점화기(8, 9) 사이에 있어, 각 전극(24, 25)의 간격(P, P1)을 상이하게 하여, 상기 하우징(1, 51)에 각각 장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점화기(8, 9)는 상이한 형상으로 하는 것, 또는 상이한 색을 채색하는 것중 적어도 하나로써, 상기 하우징(1, 51)에 각각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7. 원통형상의 하우징(1, 51)과, 이 하우징(1, 51)내에 장전되어 연소에 의해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 발생제(7)와, 상기 하우징(1, 51)에 장착되어 상기 가스 발생제(7)를 연소시키는 복수의 점화기(8, 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각 점화기(8, 9)는 복수의 커넥터(33, 34)와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각 커넥터(33, 34)는 상이한 상기 하우징(1, 51)과의 장착구성(패턴(I∼K))으로써, 상기 하우징(1, 51)에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점화기(8, 9)는 상이한 상기 커넥터(33, 34)와의 접속구성(패턴(E∼H))으로써, 상기 하우징(1, 51)에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커넥터(33, 34)는 상이한 형상으로 하는 것, 또는 상이한 색을 채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써, 상기 하우징(1, 51)에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커넥터(33, 34)는 일체화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11. 원통형상의 하우징(1, 51)과, 이 하우징(1, 51)내에 장전되어 연소에 의해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 발생제(7)와, 상기 하우징(1, 51)에 장착되어 상기 가스 발생제(7)를 연소시키는 복수의 점화기(8, 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각 점화기(8, 9)는 상기 하우징(1, 51)의 외부에 배치되는 커넥터(43,44)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각 커넥터(43, 44)는 상이한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와의 접속구성(패턴(L∼N))으로써, 이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에 각각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커넥터(43, 44)와 상기 각 작동회로측 커넥터(63, 64)는 적어도 일방을 일체화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KR1020027000355A 1999-07-12 2000-07-11 가스 발생기 KR200200227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751699 1999-07-12
JPJP-P-1999-00197516 1999-07-12
PCT/JP2000/004624 WO2001003979A1 (fr) 1999-07-12 2000-07-11 Generateur de ga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769A true KR20020022769A (ko) 2002-03-27

Family

ID=1637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355A KR20020022769A (ko) 1999-07-12 2000-07-11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201512A1 (ko)
KR (1) KR20020022769A (ko)
CZ (1) CZ2002120A3 (ko)
WO (1) WO2001003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4234B2 (ja) 2000-06-22 2012-02-01 株式会社ダイセル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DE102004023973B3 (de) * 2004-05-14 2005-09-2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ückhaltesystem
FR2905096B1 (fr) * 2006-08-25 2008-10-17 Ncs Pyrotechnie & Tech Piece de connexion d'un microgenerateur de gaz a des moyens d'initi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418U (de) * 1967-06-19 1967-11-09 Licentia Gmbh Lasttragender schwimmkoerper.
US5649720A (en) * 1995-11-30 1997-07-22 Morton International, Inc. Inflators which store premixed fluid fuel and oxidizer in a porous matrix
US5853192A (en) * 1996-10-10 1998-12-29 Alliedsignal Inc. Variable vented housing
US5806884A (en) * 1997-02-18 1998-09-15 Autoliv Asp, Inc. Adaptive regenerative inflator
US6095561A (en) * 1997-03-07 2000-08-0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ulti-chamber inflator
FR2761942B1 (fr) * 1997-04-11 1999-05-07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a debit et volume de gaz adaptables pour coussin de protection
JPH10297416A (ja) * 1997-04-25 1998-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ガス発生装置及びエアバッグ膨張方法
DE19725476A1 (de) * 1997-06-17 1998-12-24 Dynamit Nobel Ag Gasgenerator
JPH1111245A (ja) * 1997-06-24 1999-01-19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03979A1 (fr) 2001-01-18
CZ2002120A3 (cs) 2002-05-15
EP1201512A1 (en)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1120B1 (ko) 가스 발생기에서 점화기와 차량측 커넥터 사이의 오접속을 판단하는 방법
US7152874B2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EP0836563B1 (en) Dual chamber nonazide gas generator
US5241910A (en) Universal squib connector for a gas generator
US6722694B1 (en) Gas generator for multi-stage air bag and air bag device
KR100268144B1 (ko) 관형 연소실을 가진 에어백용 적응성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US6598901B2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KR100417766B1 (ko) 가스발생기
KR20030074681A (ko) 가스 발생기
EP1454803A1 (en) Gas generator
CN108367727B (zh) 气体发生器
WO2001096153A1 (fr) Generateur de gaz pour airbag a plusieurs etages
US7404573B2 (en) Gas generator
WO2004094188A2 (en) Belt and side impact inflator
KR20020022769A (ko) 가스 발생기
JP4912942B2 (ja) ガス発生器
JP4127280B2 (ja) インフレータ
JP2001080447A (ja) ガス発生器
JP2004196116A (ja) ガス発生器
JP2001097178A (ja) ガス発生器
JP2002234416A (ja) ガス発生装置
JP2002326553A (ja) 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