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274A -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274A
KR20020021274A KR1020000054042A KR20000054042A KR20020021274A KR 20020021274 A KR20020021274 A KR 20020021274A KR 1020000054042 A KR1020000054042 A KR 1020000054042A KR 20000054042 A KR20000054042 A KR 20000054042A KR 20020021274 A KR20020021274 A KR 2002002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packaging material
unit
cutting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6190B1 (ko
Inventor
김병용
이점판
Original Assignee
권오훈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이점판
주식회사 이호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훈,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이점판, 주식회사 이호정밀 filed Critical 권오훈
Priority to KR102000005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1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2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3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제품과 같은 원형제품의 포장시 그 내,외주면 모서리부분에 감싸지는 롤포장재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질의 플라스틱 포장재료를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부분에 굴곡없이 감싸져 포장작업을 용이토록 하는 감김부를 갖도록 자동적으로 제조하고, 상기 원형제품의 포장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높이도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부분에 굴곡없이 감싸지는 삼각형 형상의 감김부(2)를 구비하는 연질의 플라스틱판 (1b)이 롤형태로 제조된 원형제품용 롤포장재(1)를 제공하고,
이와 같은 롤포장재(1)를 제조토록, 롤 형태의 박판 포장재료(1a)가 투입되는 언코일러 유니트(20)와, 상기 롤포장재료(1a)를 이송시키는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20)의 전방으로 위치되는 피딩롤(42)을 갖는 피딩유니트(40)와, 상기 피닝유니트(40)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포장재료(1a)가 통과하면서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에 굴곡없이 감싸지는 감김부(2)를 2열로 절단 형성토록 설치되는 로터리 컷팅롤(62)을 구비하는 컷팅유니트(60) 및, 상기 2열의 감김부(2)가 분리되어 일체로 형성된 포장재(1b)를 와인딩하여 롤포장재(1)를 제조토록 하는 와인딩 유니트 (80)로서 구성되는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및 그 제조장치{A ROLL TYPE PACKING SHEET FOR RING TYPE PRODUCT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연공장에서 생산되는 전기강판, 자동차용 강판등과 같은 냉연 코일제품등과 같은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부부분을 감싸서 극히 간단하게 포장하기 위한 롤포장재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여러공정을 거쳐 냉연공정에서 생산되는 전기강판, 자동차용 강판 또는 도금강판등과 같은 냉연 코일제품은 표면처리를 거쳐서 생산되므로 완제품의 운반 및 보관시 코일제품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장을 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는 종래의 코일제품 포장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코일제품의 외부를 포장지(110)로서 감싼후에, 상기 코일제품(100)의 내주면 및 외주면 모서리부분에 밀착되는 판지(미도시)를 씌우고 그 위에 성형된 ㄱ자형상의 스틸 내,외주링(120)(130)을 감싼후, 상기 내,외주링(120)(130)과 포장지(110)를 스틸밴드(미도시)로서 결속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코일제품 포장시 사용되는 내,외주링(120)(130)은스틸재를 프레스 작업한후 근형절단하여 생산하게 되어 그 생산비용이 비쌀뿐만 아니라, 코일제품 포장시 작업자가 대충 맞추어 포장하게 되면서 절단폐기되는 부분이 상당하여 상기 내,외부링(120)(130)의 낭비가 심하며, 이와 같은 스틸 내,외주링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일제품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판지를 사용하는 번거로운 포장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스틸로 된 내,외주링의 제조시 및 실제 코일제품(100)의 포장작업시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으며, 코일제품(100)의 수요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여 제조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제품 대응성도 취약한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시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일제품 등과 같은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부분에 굴곡없이 감싸지도록 삼각형상의 감김부를 갖도록 한 롤포장재로서 종래 별도의 판지 및 스틸 내,외주링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하나의 롤포장재를 간단하게 제품에 맞추어 절단 포장할 수 있어 코일제품의 포장 작업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한편, 롤 형태로 제조되어 포장재의 이동, 보관 및 포장시의 취급이 보다 간편하여 실용성이 뛰어난 롤포장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형태의 연질 플라스틱 포장재료를 투입하여 상기 포장재의 감김부를 컷팅하면서 하나의 롤포장재료로서 2열의 롤포장재로 연속적으로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어 롤포장재의 제조 생산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코일제품의 내,외부링이 스틸재로 제조되는 것에 비하여 연질 플라스틱으로서 롤포장재를 제조함으로서, 포장재의 제조시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또는 충돌에 의한 설비파손 및 포장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코일제품과 같은 원형제품의 포장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제품 롤포장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롤포장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b)는 롤포장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제품 포장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원형제품 포장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에서 언코일러 유니트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원형제품 포장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에서 피딩 유니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측면 구조도
b)는 개략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원형제품 포장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에서 컷팅 유니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측면 구조도
b)는 개략 정면도
c)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d)는 상부 컷팅롤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원형제품 포장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에서 와인딩 유니트를 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요부 측면도
c)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롤포장재 1a,1b.... 포장재료 및 컷팅된 포장재
2.... 롤포장재의 감김부 10.... 롤포장재 제조장치
20.... 언코일러 유니트 22.... 회전축
24,84,86.... 실린더 26,50,85.... 베이스
30,90.... 투입 및 배출 대차 40.... 피딩 유니트
42a,42b.... 상,하부 피딩롤 54,56.... 고정블록
60.... 컷팅 유니트 62a.... 상,하부 컷팅롤
64.... 파형 컷팅날 64a.... 누름링부
80.... 와인딩 유니트 82.... 구동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코일등과 같은 원형제품 내,외주면 모서리부분에 감싸지는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부분에 굴곡없이 감싸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감김부를 구비하는 연질 플라스틱판이 롤형태로 권선된 원형제품용 롤포장재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롤 형태의 박판 포장재료가 대차로서 이송 안착되는 중앙의 회전축과, 그 상측으로 포장재료를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롤를 갖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언코일러 유니트와
상기 롤 형태의 포장재료가 끼워져 일정하게 전진토록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하측 피딩롤을 갖는 피딩유니트와,
상기 피닝유니트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포장재료가 통과하면서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에 굴곡없이 감싸지는 감김부를 2열로 절단 형성토록 설치되는 로터리 컷팅롤을 구비하는 컷팅유니트 및,
상기 컷팅롤을 통과하면서 포장재료의 중앙에 2열의 감김부가 대향하여 서로 분리 형성된 2열의 포장재가 일정하게 와인딩되어 롤포장재를 제조토록 설치되는 구동축과, 그 상측으로 와인딩되는 롤포장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을 갖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컷팅 유니트의 전방으로 2열 설치되는 와인딩 유니트로서 구성되는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제품용 롤포장재(1)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롤포장재(1)는 일정두께를 갖고 원활한 제조작업을 가능토록 연질의 플라스틱판(1b)이 롤형태로 권선되는데, 이때 상기 롤포장재(1)는 일측으로 연이어 일정하게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감김부(2)를 구비하고, 이와 같은 롤포장재(1)의 감김부(2)는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어 코일제품등과 같은 원형면을 따라 굴곡없이 감싸지게 되어 포장재(1)의 원형제품 포장작업을 가일층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롤포장재(1)는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제품 즉, 코일제품(1')에 먼저 수용가의 요구에 따라 종이포장지 또는 비닐(1")로서 1차 포장을한후에, 상기 롤포장재(1)를 코일제품 모서리에 삼각형상의 포장재 감김부(2)가 내,외주면 모서리부분에 굴곡없이 긴밀하게 감싼진후, 스틸밴드로서 결속하면 코일제품의 포장작업이 극히 간편하게 수행되는 데, 이와 같은 롤포장재(1)의 두께는 사용환경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지만 1.0 - 2.0mm 적당하기는 1.5mm 정도가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너무 얇거나 두꺼우면 포장재(1)의 강도가 취약하거나 취급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코일제품의 포장시 판지를 댄후 그 위에 스틸 내,외주링을 감싸서 포장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인 롤포장재(1)에 의하면 코일제품 포장작업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조장치(10)로서 롤형태로 제조된 롤포장재(1)는 연질 플라스틱 즉, 약간 딱딱하지만 휘어져 감기는 것은 용이한 강화수지(HDPE, HARD POLYE THYLENE)로 형성되어 있어 코일제품(1')의 포장은 물론, 그 길이를 적절하게 절단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작업자가 작업중에 종래의 스틸 외주링(120)(130)에서와 같은 부상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것이고, 특히 종래와 같이 판지 및 내,외주링을 절단할 필요없이 연속적으로 한번에 코일제품의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코일제품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 제품 대응성도 뛰어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원형제품용 롤포장재(1)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1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c)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제품 포장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인 원형제품 포장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에서 언코일러 유니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의 (a)-(b)는 본 발명인 원형제품 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에서 피딩유니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a)-(d)는 본 발명인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에서 포장재료 컷팅유니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의 (a)-(c)는 본 발명인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에서 포장재 와인딩 유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 에서는 본 발명인 원형제품 제조장치(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10)는, 크게 롤포장재료(1a)를 투입토록 하는 언코일러 유니트(20)와, 투입된 포장재료(1a)를 피딩시키는 피딩 유니트(40)와, 피딩되는 연질 플라스틱의 포장재료(1a)의 상기 감김부(2)를 형성토록 부분적으로 포장재료(1a)를 컷팅하는 컷팅 유니트(60) 및, 컷팅된 포장재(1b)를 롤 형태로 와인딩하여 포장장소까지 운반토록 하는 포장재(1b) 와인딩 유니트(80)로서 이루어 지는데, 상기 각 구성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20)를 도시하고 있는데, 롤형태의 박판 포장재료(1a)가 대차(30)로서 이송 안착되는 중앙의 회전축(22)과, 그 상측으로 포장재료(1a)를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롤(24a)를 갖는 실린더 (2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20)의 회전축(22)은, 장치의 일측으로 바닥에 착설된 제 1 베이스(26)의 상부에 수직 장착된 브라켓(26a)의 전방으로 대차 이동방향으로 돌출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대차(30)는, 그 하부에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구동휠(30a)이 바닥의 레일(30b)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대차(30)의 상부에 수직 결합된 브라켓(32) 전후방에는 상기 포장재료(1a)가 다열 장착되는 고정축(34)과 포장재료(1a)를 언코일러 유니트(20)의 회전축(22)방향으로 밀도록 하는 2열의 실린더(36)가 각각 수평하게 설치된다.
다음, 도 3 및 도 5에서는 상기 피딩 유니트(4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피딩 유니트(40)는 상기 롤 형태의 포장재료(1a)가 끼워져 일정하게 전진토록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하부 피딩롤(42a)(42b)을 갖춘다.
또한, 도 3 및 도 6에서는 상기 컷팅 유니트(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컷팅 유니트(60)는, 상기 피닝유니트(40)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포장재료(1a)가 통과하면서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에 굴곡없이 감싸지는 감김부(2)를 2열로 절단 형성토록 설치되는 로터리 컷팅롤(6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피딩 유니트(40)와 컷팅 유니트(60)는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 (20)의 전방으로 설치된 제 2 베이스(50) 상에 일렬로 설치되고, 그 양측에는 포장재료(1a)와 컷팅된 포장재(1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52)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피딩 유니트(40)의 피딩롤(42)과 컷팅 유니트(60)의 컷팅롤(62)은 제 2 베이스(5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고정블록(54)(56)의 상,하측으로 모터 (58a)와 기어(58b) 구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피딩롤(42)과 컷팅롤(62)은 상기 고정블록(54)(56)에 양측으로 수직 설치된 조정핸들(59)로서 간격 조정토록 설치된다.
한편, 도 6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컷팅롤(62)은, 내측으로 포장재료 (1a)가 통과하면서 삼각형상의 감김부(2)를 절단토록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파형의 컷팅날(64)을 구비하는 상부 컷팅롤(62a)과 포장재료(1a)의 저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롤(62b)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컷팅날(64)의 양측으로 상부 컷팅롤(62a)에는 포장재(1)의 감김부(2)가 원형제품 포장시 용이하게 절곡토록 포장재료(1a)를 압착하는 누름링부 (64a)가 롤의 원주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팅롤(62a)의 내부에는 포장재료(la)의 절단면을 깨끗하게 하도록 컷팅날(64)을 가열하는 히터(6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 컷팅롤(62a) 및 컷팅날(64)은 도 6c 및 도 6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컷팅롤(62a)의 제조시 롤몸체와 일체로 돌턱부분(62a')이 가공된후, 상기 돌턱부분(62a')의 원주를 따라 컷팅날(64)이 가공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컷팅롤(62a)의 몸체부분에 컷팅날(64)이 가공된 돌턱부분(62a')이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컷팅날(64) 양측의 돌턱부분(62a') 양단 모서리상에 형성되는 누름링부(64a)는 링형상으로 컷팅롤 돌턱부분(62a')에 끼워져 조립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컷팅날(64)은 그 두께가 삼각형상의 감김부(2)가 절단되는 포장재료(1a)의 두께보다는 커야 하는데, 포장재료(1a) 즉, 가공된 포장재(1)의 두께가 1.5 mm 라면 상기 것팅날(64)의 두께는 2.0mm 정도로 형성되어야 하며, 동시에 포장재(1)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는 누름링부(64a)는 1.5mm 보다는 작아야 한다.
다음, 도 3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0)의 와인딩 유니트(8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와인딩 유니트(80)는, 상기 컷팅롤(62)을 통과하면서 포장재료(1a)의 중앙에 2열의 감김부(2)가 대향하여 서로 분리 형성된 2열의 포장재(1a)가 일정하게 와인딩되어 롤포장재(1)를제조토록 설치되는 구동축(82)과, 그 상측으로 와인딩되는 롤포장재(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84a)를 갖는 실린더 (84)를 구비하여 컷팅 유니트(60)의 전방으로 2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 유니트(80)의 구동축(82)은 장치의 타측으로 바닥에 착설된 제 3 베이스(85))의 상부에 수직 장착된 브라켓(85a)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 (82a)로서 구동토록 배출대차(90)의 이동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모터(82a)의 양측에는 와인딩 완료된 롤포장재(1)를 대차(90)측으로 밀도록 하는 2열의 실린더(8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대차(90)는 그 하부에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구동휠(90a)이 바닥의 레일(90b)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대차(90)의 상부에 수직 결합된 브라켓(92)의 전방에는 와인딩 된 롤포장재(1)를 다열 장착하여 배출토록 하는 고정축(94)이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니트(80)에는 와인딩되는 삼각형상의 감김부(2)를 갖는 포장재(1b)를 안내하는 가이드롤(83)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인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10)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연질플라스틱판 즉, 강화수지(HDPE)판이 롤형태롤 감긴 포장재료(1a)를 공장 바닥에 설치된 레일(30b)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30)의 브라켓(32)에 수평 설치된 고정축(34)에 대략 2개정도 끼운후, 상기 대차(30)를 모터로서 구동하는 구동휠(30a)로서 전진시킨다.
이때, 도 3b 및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30)의 진행은 레일 (30b)에 설치된 스토퍼(S)로서 조정되면서 대차(30)의 고정축(34)은 그 전방에 설치된 제 1 베이스(26)상의 브라켓(26a)에 수평하게 돌출된 회전축(22)과 맞닿게 되면서 상기 대차(30)에 설치된 실린더(36)가 전진하여 1개의 롤포장재료(1a)가 대차 전방의 언코일러 유니트(20)의 회전축에 자동적으로 안착된다.
다음,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포장재료(1a)의 선단부분을 폴면서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20)의 일측으로 설치된 제 2 베이스(50)상의 가이드롤(52)을 통하여 그 일측의 피딩유니트(40) 상,하부 피딩롤(42a)(42b)사이에 상기 롤포장재료(1a)의 일부분을 끼운후, 상기 피딩롤(42)의 하측으로 설치된 모터 (58a)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58a)의 구동력은 각 롤(42)에 설치된 기어 (58b)로서 상기 상,하부 피딩롤(42a)(42b)은 구동되어 언코일러 유니트(20)에 안착된 롤포장재료(1a)를 피딩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베이스(50)상의 피딩 유니트(40)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블록(56)에는 상부 컷팅롤(62a)과 하부컷팅롤 (62b)로 된 한쌍의 컷팅롤(62)이 설치되어 있고, 특히 도 6c 및 도 6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컷팅롤(62a)의 중앙부분으로 외주면에는 파형을 이루어 상기 포장재(1)의 감김부(2)를 형성시키는 컷팅날(6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양측으로 킷팅롤(62a)의 외주연에는 누름링부(6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딩롤(42)로서 피딩되는 포장재료(1a)는 상기 피딩롤(42)과 마찬가지로 하측으로 설치된 모터(58a)와 상기 각롤(62a)(62b)의 네크부분에 설치된 기어(58b)로서 모터의 구동력이 롤에 전달되어 상,하부 컷팅롤(62a)(62b)이 회전하면, 상기 포장재료 즉, 연질의 플라스틱판(1a)은 그 중앙부분에서 서로 분리되는 삼각형상의 절단부가 형성되고, 결국 하나의 플라스틱판(1a)의 중앙에는 서로 분리되는 삼각형상의 감김부(2)가 양측으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고, 결국 상기 하나의 포장재료(1a)는 2열의 감김부(2)를 갖는 2열의 컷팅된 포장재(1b)로 형성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다음,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컷팅롤(62)의 일측으로 제 2 베이스(50)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가이드롤(52)을 통하여 상기 컷팅 유니트(60)의 일측으로 설치된 와인딩 유니트(80) 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결국, 도 6c 및 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컷팅 유니트(60)의 일측으로 공장바닥에 설치된 제 3 베이스(85)의 상부에는 좌,우측으로 브라켓(85a)을 통하여 수평 설치되고 후방의 모터(82a)로서 구동되는 구동축(82)에는 상기 2열의 포장재(1b)가 와인딩되는데, 유니트(80)에 설치된 가이드롤(83)이 감김부(2)가 형성된 포장재(1b)를 2열로 안내하면서 롤형태의 롤포장재(1)로 와인딩되도록 한다.
다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2열의 컷팅된 포장재(1b)의 와인딩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20)의 대차(30)와 마찬가지로, 바닥의 레일(90b)을 따라 이동하는 배출대차(90)가 모터 구동하는 구동휠(90a)로서 상기 와인딩 유니트(80) 측으로 전진하면 상기 와인딩 유니트(80)의 브라켓(85a)상에2열로 설치된 실린더(86)가 전진하여 와인딩된 본 발명인 롤포장재(1)를 배출대차 (90)의 고정축(94)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대차(90)는 후진하여 롤포장재(1)의 제조를 완료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20)와 와인딩 유니트(80)의 브라켓에는 수직하게 실린더(24)(84)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가이드롤(24a)(84a)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초기 투입되는 롤형태의 포장재료(1a)와 와인딩되는 포장재(1b)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고, 동시에 도 6a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팅롤(62a)의 내부에는 히터(66)가 설치되어 있어 컷팅롤(62a)의 포장재료 (1a) 컷팅시 연질 플라스틱의 포장재료(1a)의 절단부위를 보다 깨끗하게 컷팅할 수 있게 하는 데, 이와 같은 히터(66)는 컷팅날(64)의 가공정도에 따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상부 컷팅롤(62a)의 컷팅날(64) 외곽으로 일자형의 누름링부 (64a)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롤포장재(1)의 포장작업시 상기 누름링부(64a)에 의하여 감각형의 감김부(2) 단변부분을 누르면서 감김부(2)가 보다 손쉽게 절곡되게 하고, 따라서 포장재(1)의 코일제품 결속작업을 가일층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하면, 종래 별도의 판지 및 스틸 내,외주링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하나의 롤포장재를 간단하게 제품에 맞추어 절단 포장할 수 있어 코일제품의 포장 작업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한편, 롤 형태로 제조되어 포장재의 이동, 보관 및 포장시의 취급이 보다 간편하고 코일제픔의 크기에 따라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어 실용성이 뛰어난 잇점이 있다.
또한, 롤형태의 연질 플라스틱 포장재료를 투입하여 상기 포장재의 감김부를 컷팅하면서 하나의 롤포장재료로서 2열의 롤포장재로 연속적으로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어 롤포장재의 제조 생산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 코일제품의 내,외부링이 스틸재로 제조되는 것에 비하여 연질 플라스틱으로서 롤포장재를 제조하므로서, 포장재의 제조시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또는 충돌에 의한 설비파손 및 포장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코일제품등과 같은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부분을 감싸는 포장재(1)에 있어서,
    상기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부분에 굴곡없이 감싸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감김부(2)를 구비하는 연질 플라스틱판(1b)이 롤형태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2. 코일제품등과 같은 원형제품의 내,외부면 모서리부분에 감싸지는 포장재(1)의 제조장치(10)에 있어서,
    롤 형태의 박판 포장재료(1a)가 대차(30)로서 이송 안착되는 중앙의 회전축 (22)과, 그 상측으로 포장재료(1a)를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롤(24a)를 갖는 실린더(24)를 구비하는 언코일러 유니트(20);와
    상기 롤 형태의 포장재료(1a)가 끼워져 일정하게 전진토록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하측 피딩롤(42a)(42b)을 갖는 피딩유니트(40);와,
    상기 피닝유니트(40)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포장재료(1a)가 통과하면서 원형제품의 내,외주면 모서리에 굴곡없이 감싸지는 감김부(2)를 2열로 절단 형성토록 설치되는 로터리 컷팅롤(62)을 구비하는 컷팅유니트(60); 및,
    상기 컷팅롤(62)을 통과하면서 포장재료(1a)의 중앙에 2열의 감김부(2)가 대향하여 서로 분리 형성된 2열의 포장재(1a)가 일정하게 와인딩되어 롤포장재(1)를제조토록 설치되는 구동축(82)과, 그 상측으로 와인딩되는 롤포장재(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84a)를 갖는 실린더(84)를 구비하여 컷팅유니트(60)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와인딩 유니트(8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러 유니트(20)의 회전축(22)은 제 1 베이스 (26)의 상부에 장착된 브라켓(26a)의 전방으로 대차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모터 구동하는 상기 대차(30)의 상부에 수직 결합된 브라켓(32) 전후방에는 상기 포장재료(1a)가 다열 장착되는 고정축(34)과 포장재료(1a)를 언코일러 유니트의 회전축(22)으로 밀도록 하는 2열의 실린더(36)가 각각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유니트(40)와 컷팅 유니트(60)는 언코일러 유니트(20)의 전방 제 2 베이스(50)상에 일렬로 설치되고, 그 양측에는 포장재료(1a)와 컷팅된 포장재(1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52)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피딩 유니트 (40)의 피딩롤(42)과 컷팅 유니트(60)의 컷팅롤(62)은 제 2 베이스(5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고정블록(54)(56)의 상,하측으로 모터(58a)와 기어(58b) 구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피딩롤(42)과 컷팅롤(62)은 고정블록에 설치된 조정핸들(59)로서 간격 조정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제품용 포장재 제조장치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 유니트(60)의 컷팅롤(62)은, 내측으로 포장재료(1a)가 통과하면서 삼각형상의 감김부(2)를 절단토록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파형의 컷팅날(64)을 구비하는 상부 컷팅롤(62a)과 포장재료(1a)의 저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롤(62b)로서 구성되고, 상기 컷팅날(64)의 양측으로 상부 컷팅롤(62a)에는 포장재료(1a)를 압착하는 누름링부(64a)가 원주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팅롤(62a)의 내부에는 컷팅날(64)을 가열하는 히터(6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유니트(80)의 구동축(82)은 제 3 베이스(85)상에 장착된 브라켓(85a)의 후방에 배출대차(90)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85a)에는 와인딩된 롤포장재(1)를 대차(90)측으로 밀는 2열의 실린더(86)가 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모터 구동되는 상기 대차(90)의 상부에 결합된 브라켓(92)의 전방에는 와인딩된 롤포장재(1)를 다열 장착하는 고정축(94)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KR1020000054042A 2000-09-14 2000-09-14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KR100366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042A KR100366190B1 (ko) 2000-09-14 2000-09-14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042A KR100366190B1 (ko) 2000-09-14 2000-09-14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274A true KR20020021274A (ko) 2002-03-20
KR100366190B1 KR100366190B1 (ko) 2002-12-31

Family

ID=1968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042A KR100366190B1 (ko) 2000-09-14 2000-09-14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1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962B1 (ko) * 2006-05-23 2006-12-11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보호용 외주링 제조장치
KR100846694B1 (ko) * 2008-02-05 2008-07-17 주식회사 폴리쉘 포장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534047A (zh) * 2018-11-08 2019-03-29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自动化卷绕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79B1 (ko) 2005-12-19 2007-05-10 한솔제지주식회사 종이 재단용 장도 가열장치 및 방법
KR100860795B1 (ko) 2007-06-07 2008-09-29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링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962B1 (ko) * 2006-05-23 2006-12-11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보호용 외주링 제조장치
KR100846694B1 (ko) * 2008-02-05 2008-07-17 주식회사 폴리쉘 포장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534047A (zh) * 2018-11-08 2019-03-29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自动化卷绕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6190B1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2979B2 (en) Apparatus for increased efficiency in cutting and sealing film edges
US46041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lastic labels to a label-wrapping station
KR101966348B1 (ko) 롤-타입 코일보호용 포장 링의 제조장치
EP0662387A2 (en) Wrapping pipe for a bundle of hollow fibers, method and device for production thereof
KR100366190B1 (ko) 원형제품용 롤포장재 제조장치
US3526163A (en) Rotary die cutter
US4884385A (en) Interleaved spiral wrapping of foam product and stretch film for packaging carbonless paper rolls
HU211354B (en) Method for folding an edge on a continous material web
KR200247284Y1 (ko) 비닐 포장대 제조 장치
US4171080A (en) Steel metal web handling method
CN216735114U (zh) 一种铝带自动成卷包装设备
CN211167666U (zh) 可视化包装设备
CN217892067U (zh) 一种环保型塑料包装袋定型设备
KR101249724B1 (ko) 포장재의 제조장치
GB2253810A (en) A process and cross-cutter for the product of sandwich elements with overlapping strips
JP2981209B1 (ja) 積層コア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KR200173984Y1 (ko) 코일 절단장치
KR100566782B1 (ko) 형상 블랭크의 자동 절단 및 적재 장치 및 제조방법
JPH09505259A (ja) 物品包装装置
JPH06278099A (ja) 包装袋裁断装置及び該装置のロータリーダイロール
JPS6228734B2 (ko)
KR102027481B1 (ko) 코일 포장 방법
JPH082086Y2 (ja) ロール巻包装製品の端面処理装置
CN110697163A (zh) 可视化包装设备
JP2516661Y2 (ja) シートカッターにおけるsmcシートの巻き癖矯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