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132A -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 - Google Patents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132A
KR20020020132A KR1020000053318A KR20000053318A KR20020020132A KR 20020020132 A KR20020020132 A KR 20020020132A KR 1020000053318 A KR1020000053318 A KR 1020000053318A KR 20000053318 A KR20000053318 A KR 20000053318A KR 20020020132 A KR20020020132 A KR 2002002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hotcrete
fastener
calcium alu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4184B1 (ko
Inventor
조남섭
현경훈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이 건 영
주식회사 유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건 영, 주식회사 유니온 filed Critical 이 건 영
Priority to KR10-2000-005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18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146Sprayable or pumpable mixtures
    • C04B2111/00155Sprayable, i.e. concrete-like, materials able to be shaped by spraying instead of by casting, e.g. gu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에 관한 것으로서, 칼슘알루미네이트 비정질화물 분말 50 내지 90 중량부, 탄산나트륨 4 내지 30 중량부, 무수석고 0.1 내지 20 중량부를 균일한 혼합상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알루민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 소석회 0.1 내지 20 중량부, 증점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각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결제는 상기 성분들을 패들 믹서, 리본 믹서, 드럼 믹서와 같은 분채용 믹서를 사용하거나 볼밀 또는 진동밀에 투입하여 단시간에 분쇄시켜 균일한 혼합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 숏크리트용 급결제는 저알카리성으로서 인체에 대한 독성이 적으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더 높은 강도를 제공한다. 또한 반발재료량을 대폭 감소시켜 시공비의 절감과 시공품질의 상승효과를 제공하며, 건식시공 및 습식 시공 모두 적합하며, 압축강도의 증진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지하수가 스며나오는 용수부위에도 강력한 급결력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Cement Mineral Based Set Accelerator for Shot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급결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에 관한 것이다.
터널시공, 댐공사 또는 지하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암반 또는 지반의 균열을 보강하여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숏크리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숏크리트는 시공현장의 천정 내지 벽면에 레미콘, 펌프 및 노즐 등을 통해 분사하여 속성으로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이용되며, 여기서 속성경화를 위한 급결제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급결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무기염계 급결제를 들 수 있다. 이는 알루미산 나트륨 분말과 탄산나트륨을 주재료로 하는 급결제로서, 건조 콘크리트와 급결제를 혼합한 후, 노즐에서 물과 혼련하여 분사하는 건식 시공방법에만 적용되며, 급결성은 우수하지만 강알카리성을 띠고 있어 작업자의 피부에 화상을 입히고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28일 압축강도가 원래의 콘크리트에 비해 약 20% - 30% 정도 감소하는 장기강도 저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물유리계 액상 급결제가 있다. 이는 대형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레미콘을 압축공기로 이송하여 노즐부에서 액체급결제를 혼련하여 분사하는 습식 시공방법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으나, 급결력이 약하여 레미콘에 대해 10% 이상의 과량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장기강도가 낮게 나타나고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도 물유리 성분이 침출수에 녹아 나오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가진다.
셋째, 알루민산소다계 액상 급결제가 있다. 이는 물유리계에 비해 소량 사용하므로 장기강도 특성에 다소 유리한 편이나 강알카리성 물질로서 그 독성이 심하여 작업자의 인체에 해로우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급결제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칼슘알루미네이트를 함유하는 개선된 급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시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건식 및 습식시공 모두에 적합한 급결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칼슘알루미네이트 비정질화물 분말50 내지 90 중량부, 탄산나트륨 4 내지 30 중량부, 무수석고 0.1 내지 20 중량부를 균일한 혼합 상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물에 알루민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소석회 0.1 내지 20 중량부와 증점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증점제는 시공현장의 분진감소와 리바운드량의 감소를 위하여 0.5% 이하의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 숏크리트용 급결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구성 성분들을 혼합하여 패들 믹서, 리본 믹서, 드럼 믹서 등의 분체용 믹서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되거나, 볼밀, 진동밀에 투입하고 단시간 분쇄시켜 균일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각 구성성분의 특성 및 제조방법과 더불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칼슘알루미네이트 광물의 제조
본 발명에 의한 급결제의 주성분인 칼슘 알루미네이트 광물은 CaO와 Al2O3로 이루어진 광물이다. 이 광물은 두 성분의 몰수비에 따라 C3A-C12A7-CA-CA2에 이르는 연속 고용체를 이루고 있으며, Ca(OH)2또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혼합되면 신속히 CAH10, C2AH8, C3AH6등의 수화물을 형성하여 급속히 경화하는 특성을 가진다. 광물자체의 급결성은 CaO가 많은 조성인 C3A 로 갈수록 높아지나 포틀랜드 시멘트에 첨가할 경우 물성 조절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결정질 보다는 급냉된 비정질이 월등히 높은 급결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결성을 높이기 위해 CaO를 함유하는 원료와 Al2O3를 함유하는 원료를 혼합한 후, 전기로에 넣고 1600℃ - 1700℃의 온도로 용융한 후, 그 용융물을 물과 함께 분사되는 고압공기류로 분사하여 10mm 이하의 작은 알갱이가 되도록 하여 최대로 비정질화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칼슘알루미네이트 광물 중 가장 우수한 특성이 발현되는 것은 C12A7의 조성을 가지는 광물이다. 그러므로 급결제로서 사용 가능한 정도의 급결력을 얻기 위해서는 비표면적이 블레인치가 5000㎠/g 이상이 되도록 분쇄되어야 한다. 칼슘알루미네이트를 50 중량부미만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초기 급결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물성보완을 위해 알카리성 물질의 배합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자극성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90중량부이상 사용했을 때에는 초기 급결력을 높일 수 있는 알카리성 물질의 배합량이 극히 적어지게 되어 초기 급결력의 저하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칼슘알루미네이트는 급결제 총중량을 100으로 할 때 50 - 90 중량부를 사용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60 - 80 중량부 범위에서 가장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석회
소석회는 초기 수화반응시 Ca(OH)2의 농도를 높여 주어 칼슘알루미네이트 수화물의 생성속도를 빠르게 하는 작용을 한다. 소석회는 그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초기에 물과 접촉하여 급속한 위응결을 발생시키며 숏크리트의 응집을 방해하므로 숏크리트가 시공부위에 접착되지 못하고 탈락되는 경우를 생기게 한다.
무수석고
무수석고는 후기 경화속도와 압축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석고의 성분인 삼산화황 이온은 초기 수화시 칼슘알루미네이트 수화물과 반응하여 에트린자이트라는 침상결정을 생성시킨다. 이는 시간경과에 따라 성장하여 수화조직의 결합을 더욱 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석고에는 결정수분의 결합상태에 따라 반수석고, 이수석고, 무수석고가 있으나, 본 발명자의 경험에 의하면 무수석고를 첨가하였을 때의 물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석고는 20 중량부 이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시는 경화체의 이상팽창으로 시공부위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초기 급결력이 약화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은 후기 경화속도 및 초기강도 증진 작용을 하며, 숏크리트의 위응결을 완화시켜 숏크리트의 유동성을 어느 정도 확보해 줌으로써 숏크리트의 부착력을 증진시킨다.
알루민산나트륨
칼슘알루미네이트 광물은 수분 후에는 급속한 경화를 나타내지만, 초기 1분이내에는 반응이 극히 적게 일어나므로 초기 탈락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초기 1분 이내의 반응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소량의 알루민산나트륨을 첨가한다. 알루민산나트륨은 10 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량 첨가시에는 초기급결이 과도하여 숏크리트의 부착력이 약화되며 알카리도가 높아져서 자극성이 심해진다. 본 발명자의 경험에 의하면 5 중량부 이내로 첨가했을 때 가장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증점제
숏크리트 시공시에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은 분사된 숏크리트가 분진과 부착되지 못하고 튀어나오는 반발재료(rebound)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점들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숏크리트의 점성을 높여주는 증점제로서 고도로 카르복실화한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를 분무건조하여 제조된 분말을 급결제 총중량에 대하여 0.5 중량부 이내로 첨가한다. 0.5 중량부 이상 첨가하는 것는 급결성의 약화와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추천할만 하지 못하다.
이하는 각기 다른 구성성분비를 가지는 급결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물성치를 비교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실험예 1
블레인치가 6000㎠/g이 되도록 볼밀에서 분쇄하여 제조한 C12A7조성을 가지는 분말상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를 급결제 총량에 대해 50 중량부로 하고, 탄산나트륨, 소석회, 알루민산나트륨을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급결제를 제조하였다. 단위 %는 중량 %를 나타낸다.
관입저항의 측정실험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1종)과 FM 2.7, 수분 5%를 함유하는 강모래를 시멘트와 모래의 비가 1:3이 되도록 조합한 건조 몰탈을 10분간 방치한 후, 건조몰탈에 시멘트량에 대해 5%의 급결제를 혼합하고 시멘트 중량에 대해 40%의 물을 가하여 약 20초간 신속히 혼합한 후 형틀에 충진하였다. 응결특성은 ASTM C 403-65T(프록터 관입저항법)에 의하여 프록터 관입저항치로 응결특성을 시간대별로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에서 시멘트와 골재를 배합하여 10분간 방치하는 것은 현장조건과 근접한 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시공현장에서는 골재와 시멘트를 혼합한 후 운반하여 장비에 투입하기까지는 최소 10분 이상이 소요되며 이때 시멘트와 골재의 수분이 반응하여 시멘트 입자에 수화막을 형성하며 이로 인해 건조몰탈이 혼합된 즉시 시공할 때 보다 급결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은 혼합 후 방치시간이 길수록 심해지며 기존의 시험방법은 건조몰탈의 혼합 즉시 시험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장에서의 급결력 저하를 반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조몰탈을, 배합한 후 10분간 방치함으로서 현장에서 발휘될 수 있는 급결력을 측정하고자하였다. 시험은 23℃로 조절된 항온실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압축강도 특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표3에 따라 프록터 관입저항 실험에사용한 시멘트, 모래와 15mm 이하의 쇄석을 혼합하여 건조콘크리트를 만들고 여기에 급결제를 투입하여 잘 혼합한 후 물을 투입하고 약 20초간 신속히 혼합하여 직경 100mm, 높이 200mm인 원통형 콘크리트 몰드에 충진하여 23℃로 조절된 실내에서 24시간 양생한다. 24시간이 지나면 몰드를 해체하여 시험체를 23℃로 조절된 수조에 넣어 양생을 계속하면서 각각 재령별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표 3은 압축강도 실험용 시험체를 제작하기 위한 각 재료의 혼합비율을 나타낸다.
급결제 C12A7 탄산나트륨 무수석고 소석회 알루민산나트륨 증점제
1 50 30 15 - 5 -
2 50 30 - 15 5 -
3 50 20 15 15 - -
4 50 20 10 15 5 -
5 50 20 10 14.9 5 0.1
급결제 관입저항(kgf/cm2) 압축강도(kgf/cm2)
1분 2분 3분 4분 5분 1일 3일 7일 28일
1 20 76 120 150 192 134 220 262 289
2 32 106 120 132 164 134 199 233 270
3 18 72 160 192 240 123 230 270 302
4 36 108 120 140 170 140 238 275 292
5 24 80 172 200 240 139 230 280 289
조골재최대치수(mm) 물, 시멘트비(%) 세골재율(%) 단위량(kg/m3)
시멘트 모래 자갈 급결제
15 45 60 400 1080 730 180 20
실험예 2
표 4는 급결제의 배합비를 표시하며, 표 5는 그에 따른 관입저항치를 표시한다. 실험환경 및 방법은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하다.
급결제 C12A7 탄산나트륨 무수석고 소석회 알루민산나트륨 증점제
6 70 20 5 - 5 -
7 70 20 - 5 5 -
8 70 20 5 5 - -
9 70 15 5 5 5 -
10 70 15 4.9 5 5 0.1
11 90 5 2 - 3 -
12 90 5 - 2 3 -
13 90 5 2 3 - -
14 90 5 1 2 2 -
15 90 4.9 1 2 2 0.1
급결제 관입저항(kgf/cm2) 압축강도(kgf/cm2)
1분 2분 3분 4분 5분 1일 3일 7일 28일
6 48 112 172 194 260 156 225 251 276
7 56 100 140 148 180 113 197 243 265
8 36 152 248 284 320 137 207 250 290
9 56 120 180 232 260 149 210 252 271
10 44 120 160 188 200 146 210 247 272
11 36 140 260 344 368 29 189 245 309
12 28 120 180 220 260 54 197 222 258
13 10 120 238 280 320 39 202 265 321
14 20 120 188 220 240 50 187 280 302
15 20 92 160 208 240 46 183 268 306
실험예 3
이하 실험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급결제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급결제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관입저항을 측정 비교한 것이다. 여기서 '급결제 A'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무기염계 제품이며, '급결제 B'는 광물계급결제로서 전기화학공업주식회사(일본)에서 제조 판매하고 있는 'Denka-T5'이다. '급결제 C'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급결제를 나타낸다.
실험은 급결제의 시공방법에 따른 물성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건식 및 습식실험에 걸쳐 시행되었다. 건식실험에 있어 실험환경 및 방법은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하며 급결제는 시멘트에 대하여 5%를 배합하였고,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습식실험에 있어서는 측정대상을 확장하여 습식시공에 널리 사용되는 액상 실리케이트 및 액상 알루미네이트계를 비교대상에 추가하였으며, 실험조건 및 배합은 실험예 1에 따르며 재료의 혼합순서는 습식시공조건을 반영하여 배합된 건조몰탈에 물을 넣고 혼합하여 10분간 방치한 후 급결제를 투입하였다. 급결제량은 시공현장의 표준사용량으로서 액상 실리케이트 12%, 액상 알루미네이트는 6%를 배합하여 실험하였고, 광물계 급결제인 '급결제 B'와 '급결제 C'에 대해서는 급결제의 투입량을 5%, 7%로 달리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압축강도 실험은 실험예 1에 사용된 시멘트, 모래, 쇄석자갈, 물과 유동화제를 표 8에 따라 배합하여 3분간 혼합하고 급결제를 투입하여 약 20초간 신속히 혼합한 후 직경 100mm, 높이 200mm인 원통형 콘크리트 몰드에 넣고 실험예 1에 따라 양생 및 압축강도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급결제 관입저항(kgf/cm2) 압축강도(kgf/cm2)
1분 2분 3분 4분 5분 1일 3일 7일 28일
급결제 A 20 48 60 88 128 118 169 210 226
급결제B 16 44 80 116 154 120 189 216 254
급결제C 40 120 168 200 228 137 216 274 310
급결제 관입저항(kgf/cm2) 압축강도(kgf/cm2)
1분 2분 3분 4분 5분 1일 3일 7일 28일
액상실리케이트 10 32 36 54 76 111 135 167 224
액상알루미네이트 0 8 64 100 160 104 173 202 240
급결제 A 6 24 56 80 100 127 164 208 254
급결제B (5%) 6 28 68 84 100 139 230 265 312
급결제C (5%) 8 68 100 124 160 156 258 311 368
급결제B (7%) 14 40 76 100 134 146 229 268 308
급결제C (7%) 20 92 126 150 180 168 264 309 362
조골재최대치수(mm) 물, 시멘트비(%) 세골재율(%) 슬럼프(cm) 단위량 (kg/m3)
시멘트 모래 자갈 유동화제 급결제
15 42 60 12 460 1030 683 4.6 207 23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급결제 C를 배합한 숏크리트의 관입저항치는 건식 및 습식 모두에서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급결제는 시멘트계 광물인 칼슘 알루미네이트를 주재료로 하고 알루민산나트륨 등의 강알칼리성 물질의 첨가량을 극히 적게 하여 저알카리성으로 함으로써,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유사한 정도의 자극성을 보이므로 인체에 대한 독성이 적으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에트린자이트라는 수화광물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경화체의 수화조직을 더욱 치밀하게 하므로 원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더 높은 강도를 발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칼슘 알루미네이트계 급결제는 무기염계 분말급결제 보다 급결력이 약하여 혼합량이 10% - 15%로서 약 2배의 급결제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무기염계 급결제와 유사한 수준인 5% - 7%의 첨가량으로도 우수한 물성을 발휘하며 터널 시공시 재료손실의 주원인인 반발재료량을 대폭 감소시켜 시공비의 절감과 시공품질의 상승효과가 제공된다.
국내의 급결제 사용 실태를 보면 분말 급결제는 건식시공 전용으로, 액상 급결제는 습식 시공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두가지 시공에 모두 적합하여 기존의 건식시공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식시공장치에 분말공급시스템을 부착하여 습식시공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액상급결제를 사용하고 있는 습식시공에서는 액상급결제의 수분함량이 약 50%로서 액상급결제를 많이 투입할수록 레미콘의 물비가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숏크리트의 탈락이 심해지거나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되기 쉬우며 레미콘의 물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동화제를 사용하고 슬럼프의 세심한 관리를 해야 하므로 항상 시공품질의 불안정을 겪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급결제는분말상이며 시멘트광물이므로 적정범위 이상 투입되어도 물비 과다로 인한 품질불안정 문제가 없으며 투입된 급결제 자체가 경화되어 수화물을 형성하므로 압축강도의 증진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수경성 물질이므로 지하수가 스며나오는 용수부위에도 강력한 급결력을 나타낸다.

Claims (13)

  1. 칼슘알루미네이트 비정질화물 분말 50 내지 90 중량부, 탄산나트륨 4 내지 30 중량부, 무수석고 0.1 내지 20 중량부를 균질한 혼합상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2. 제 1항에 있어서, 알루민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소석회 0.1 내지 2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4. 제 3항에 있어서, 증점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0.5 중량% 이하의 카르복실화 스티렌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 비정질화물이 CaO와 Al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 비정질화물의 CaO와 Al2O3의 조성비가 C12A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8. CaO와 Al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칼슘알루미네이트 비정질화물 분말 50 내지 90 중량부, 탄산나트륨 4 내지 30 중량부, 알루민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 무수석고 0.1 내지 20 중량부, 소석회 0.1 내지 20 중량부 및 증점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 또는 분쇄하여 균일한 혼합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9. 칼슘알루미네이트 비정질화물 분말 50 내지 90 중량부, 탄산나트륨 4 내지30 중량부, 무수석고 0.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패들 믹서, 리본 믹서, 드럼 믹서와 같은 분채용 믹서를 사용하거나 볼밀 또는 진동밀에 투입하여 단시간에 분쇄시켜 균질한 혼합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알루민산나트륨알루민산나트륨량부를 추가로 혼합 분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제조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소석회 0.1 내지 20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 분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증점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 분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제조 방법.
  13. CaO를 함유하는 원료와 Al2O3를 함유하는 원료를 혼합시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전기로에 넣고 1600℃ 내지 1700℃의 온도로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물과 함께 분사되는 고압공기류로 분사하여 10mm 이하의 작은 알갱이가 되도록 하여 비정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에 사용하기 위한 칼슘알루미네이트 비정질화물의 제조 방법.
KR10-2000-0053318A 2000-09-08 2000-09-08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318A KR100464184B1 (ko) 2000-09-08 2000-09-08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318A KR100464184B1 (ko) 2000-09-08 2000-09-08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132A true KR20020020132A (ko) 2002-03-14
KR100464184B1 KR100464184B1 (ko) 2004-12-31

Family

ID=1968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318A KR100464184B1 (ko) 2000-09-08 2000-09-08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1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718A (ko) * 2002-08-10 2004-02-18 한국토지공사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무기질계 표면처리재료 조성물
KR100656744B1 (ko) * 2000-11-04 2006-12-12 주식회사 인트켐 시멘트계 급결 첨가제
KR100704869B1 (ko) * 2005-09-27 2007-04-09 삼성물산 주식회사 메타카올린과 실리카흄이 혼합배합된 고성능 숏크리트조성물
KR101460628B1 (ko) * 2014-02-28 2014-11-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냉 제강환원슬래그 분말을 포함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조성물
KR20200090398A (ko) 2019-01-21 2020-07-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급결용 조성물
KR102199929B1 (ko) * 2019-11-14 2021-01-07 아세아시멘트(주) 내구성 증진을 위한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숏크리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258B1 (ko) * 2011-07-05 2011-10-17 주식회사 유니온 수냉법으로 제조한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광물을 이용한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653932B1 (ko) * 2021-12-30 2024-04-03 (주)골든리버 폐촉매 슬래그를 활용한 고순도 c12a7 슬래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2561A (en) * 1973-06-15 1978-04-04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execution of quick hardening cement
JPH01226756A (ja) * 1988-03-05 1989-09-11 Showa Denko Kk 吹付け用急結剤
JPH01226765A (ja) * 1988-03-07 1989-09-11 Tokai Konetsu Kogyo Co Ltd 遠赤外線放射部材
JP3205672B2 (ja) * 1994-09-19 2001-09-04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高水和活性物質、セメント用急結材及びコンクリートまたはモルタルの凝結、硬化を促進する方法
JPH10218646A (ja) * 1997-02-04 1998-08-18 Chichibu Onoda Cement Corp 急結材
JP3979696B2 (ja) * 1997-03-27 2007-09-19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急結性吹付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
JP4651134B2 (ja) * 1998-07-29 2011-03-16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高流動吹付けコンクリ−ト用急結剤
JP4244080B2 (ja) * 1998-10-07 2009-03-2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急結性吹付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JP2000219555A (ja) * 1999-01-28 2000-08-08 Taiheiyo Cement Corp 高流動吹付けコンクリ−ト用急結剤
JP2000233959A (ja) * 1999-02-10 2000-08-29 Taiheiyo Cement Corp クリンカ粉砕物、およびこれを含む早強性セメント組成物、コンクリート並びにコンクリート製品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744B1 (ko) * 2000-11-04 2006-12-12 주식회사 인트켐 시멘트계 급결 첨가제
KR20040014718A (ko) * 2002-08-10 2004-02-18 한국토지공사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무기질계 표면처리재료 조성물
KR100704869B1 (ko) * 2005-09-27 2007-04-09 삼성물산 주식회사 메타카올린과 실리카흄이 혼합배합된 고성능 숏크리트조성물
KR101460628B1 (ko) * 2014-02-28 2014-11-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냉 제강환원슬래그 분말을 포함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조성물
WO2015129946A1 (ko) * 2014-02-28 2015-09-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냉 제강환원슬래그 분말을 포함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 조성물
CN106061917A (zh) * 2014-02-28 2016-10-26 公州大学校产学协力团 包含急冷制钢还原渣粉末的喷射混凝土用加速剂组合物
KR20200090398A (ko) 2019-01-21 2020-07-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급결용 조성물
KR102199929B1 (ko) * 2019-11-14 2021-01-07 아세아시멘트(주) 내구성 증진을 위한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숏크리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4184B1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203B1 (ko) 속경성 모르타르 조성물
KR100777940B1 (ko) 시멘트 무기질계 지반 주입재 조성물 및 사용방법
KR101149342B1 (ko) 시멘트 급결 조성물
US112248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nd applying a non-Portland cement-based material
CN114671644B (zh) 一种高早强低回弹的高性能喷射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0464184B1 (ko) 숏크리트용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 및 그 제조방법
EP1377532B1 (en) Cementitious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their use
KR101149343B1 (ko) 시멘트 완결 조성물
JP2019210167A (ja) 急結混和材
EP3535226B1 (en) Method for applying a non-portland cement-based material
JP7351660B2 (ja) 吹付用高強度コンクリート
KR100859776B1 (ko) 점성증가 숏크리트용 급결제 조성물
JP4878752B2 (ja) 急硬材及び急硬性セメント組成物
JP2018104982A (ja) 吹付け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WO2005042432A1 (ja) セメント用急硬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145378B2 (ja) 湿式吹付工法
JP4086969B2 (ja) 超速硬性無収縮グラウトモルタル
JPH0229617B2 (ko)
JP7403918B2 (ja) 急結混和材及び吹付コンクリート
JP7437206B2 (ja) 急結混和材及び吹付コンクリート
JPH0215506B2 (ko)
JP4093622B2 (ja) 急結性吹付コンクリ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JP2666445B2 (ja) コンクリート補修用注入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35902B1 (ko) 시멘트용 급경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23149567A (ja) 吹付コンクリ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