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870A - 전화접속을 이용하여 한글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 및이러한 방법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접속을 이용하여 한글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 및이러한 방법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870A
KR20020019870A KR1020000053240A KR20000053240A KR20020019870A KR 20020019870 A KR20020019870 A KR 20020019870A KR 1020000053240 A KR1020000053240 A KR 1020000053240A KR 20000053240 A KR20000053240 A KR 20000053240A KR 20020019870 A KR20020019870 A KR 2002001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number
hangul
telephone
tnss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이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호 filed Critical 이충호
Priority to KR102000005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9870A/ko
Publication of KR2002001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숫자로 된 전화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한글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송신자단말기는 입력된 한글전화번호를 TNSS로 전송하고, TNSS는 수신한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수신자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결과를 송신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화면에 표시한 후 자동으로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준다.
이와 같은 한글전화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사람들이 전화번호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전화번호변경 및 전화연결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접속을 이용하여 한글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The calling method and system of hangul_phone_number using the phone connection}
본 발명은 전화번호 표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숫자로만 표기되어 사용되는 전화번호를 숫자, 한글자모, 한글문자, 영문자, 특수문자(이하, '의사문자'라 함)의 조합(이하, '한글전화번호'라 함)으로 나타내어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기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운용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화번호는 전화번호에 가입된 대상과 아무런 연관이 없는 숫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전화번호의 자릿수도 전화가입자가 많아지면서 함께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현재 시내전화번호가 긴 것은 8자리도 있으며 여기에 지역번호를 첨부하면 11자리의 전화번호도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화가입자는 다른 사람이 사용하지 않는 번호중에서 지역에 따라 제한적으로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할당받은 대부분의 전화번호가 해당 전화번호를 할당받은 사람 또는 사업소와는 아무런 연관관계가 없기 때문에 전화가입자들은 다른 사람들이 기억하기 용이한 번호를 할당받으려 한다. 특히, 사업용 전화를 새로 개설하는 경우에는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며, 자신의 전화번호를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안하여 홍보에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전화번호변경에 따른 불편을 줄이기 위해 한국통신에서는 평생전화번호제도를 운영하여 전화가입자가 거주지이전과 상관없이 동일한 번호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지역번호가 바뀌는 경우에는 이러한 서비스도 이용할 수가 없다.
이처럼, 일반적으로 전화번호와 그 대상은 기억하는데 별다른 연관성이 없다. 더욱이 전화번호는 단순히 숫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게다가 그 자릿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고 사용자들이 사회활동 영역을 넓혀갈수록 전화수첩을 뒤적이는 횟수도 따라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숫자로 구성된 전화번호를 일일이 그 대상과 일치시켜 기억해낸다는 것은 무척 어렵고 귀찮은 일이다.
또한, 현재의 전화번호는 가입자가, 지역번호가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거나 전화국의 사정으로 인해 국번이 바뀌는 것과 같이 부득이하게 전화번호를 바꿔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전화번호가 바뀌는 경우, 명함 및 홍보매체 등에 기록한 전화번호를 모두 바꾸어 인쇄해야 하며, 관련된 사람들에게 일일이 다시 안내해줘야 하는 불편이 있다.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의사문자로 전화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고 가입자의 숫자전화번호 즉, 실제전화번호가 바뀌더라도 이와 상관없이 계속 동일한 한글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송신자단말기를 수신자전화기와 연결시켜주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a는 상용조합형에서의 '홍' 및 아스키코드값 'A'를 16진수로 나타낸 도면.
도 3b는 도 3a를 전화버튼코드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한글전화번호를 코드변환하는 과정의 일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신자단말기 20 : 수신자전화기
30 : 전화교환국시스템 40 : TNSS
41 : 송수신부 42 : 제어부
43 : 데이터베이스
상술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글전화번호를 운용하는 한글전화번호시스템은, 상기한 의사문자들의 입력 및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 및통상적인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전화교환국시스템;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연결신호를 검출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자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송신자측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제어부 및 수신자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진 한글전화번호검색시스템(이하 'TNSS' - Telephone Number Search System - 라 함)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자단말기는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모든 통신수단을 지칭하며 기본적으로, 상기의사문자의 입력 및 송/수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수신자전화기는 송신자와 통화할 수 있는 통신수단으로써 상기 송신자단말기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전화번호 운용방법은, 송신자단말기가 상기 송신자단말기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한글전화번호로 인식하고 TNSS와 연결하는 단계, TNSS에서는 송신자단말기의 신호를 검출하고 송신자단말기에게 한글전화번호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 한글전화번호 요청을 수신한 송신자단말기에서는 상기 입력된 한글전화번호를 버튼패킷으로 변환하여 TNSS로 송신하는 단계, TNSS는 수신된 한글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결과를 다시 송신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검색된 결과를 수신한 송신자단말기에서는 수신자의 실제전화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신자에게 전화를 거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송신자단말기(10)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통신수단으로 특히, 전화번호 입력모드에서 숫자뿐만 아니라 의사문자도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수신자전화기(20)는 송신자와 통화할 수 있는 모든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전화교환국시스템(30)은 통상적인 전화교환기능을 수행한다.
TNSS(40)는 전화교환국시스템을 통하여 송신자단말기와 통신을 하며, 송수신부, 제어부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송수신부(41)는 송신자단말기의 연결신호를 검출하고 송신자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42)는 수신된 버튼패킷을 한글전화번호로 복원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수신자 정보를 다시 송신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43)는 수신자의 한글전화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실제전화번호를 포함한 수신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제 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송신자단말기(10)와 수신자전화기(20)가 연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송신자는 단말기(10)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자 하는 수신자의 한글전화번호를 입력한다(단계 201).
단말기(10)는 송신버튼(일반적으로'send'버튼)이 눌리면 미리 입력된 TNSS(40)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TNSS(40)와 연결한다(단계 202). TNSS(40)는 송신자단말기(10)의 연결신호를 검출하는(단계 203) 즉시, 한글전화번호를 송신자단말기(10)에게 요청한다(단계 204). 송신자단말기(10)는 TNSS(40)로부터 한글전화번호요청을 수신하고(단계 205) 상기 입력된 한글전화번호를 버튼패킷으로 변환하여(단계 206) TNSS(40)으로 송출한다(단계 207). TNSS(40)는 버튼패킷을 수신하여(단계 208) 원래의 한글전화번호로 복원하고(단계 209), 한글전화번호로부터 국가코드를 분리한다(단계 210). 상기한 버튼패킷 변환 및 복원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된다. TNSS(40)는 국가코드가 국내인지 국외인지를 구분하여(단계 211), 국내이면 국내 데이터베이스(43a)를 검색하고(단계 212), 국외이면 국외 데이터베이스(43b)를 검색하여(단계 213), 한글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정보를 구한다. 수신자정보에는 수신자의 실제전화번호가 포함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43a, 43b)는 하나로 통합되어 운영될 수도 있으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지역별, 국가별로 분산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검색된 수신자정보는 다시 해당 송신자단말기(10)로 전송(단계 214)되며, 송신자는 검색결과를 수신하여(단계 215) 이를 음성 및/또는 화면상에서 문자로 확인하게 된다(단계 216). 송신자는 검색결과를 확인 즉,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전화연결을 지속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단계 217). 송신자는 검색이 실패한 경우 다른 전화번호를 시도하거나 종료할 수 있고 검색이 성공한 경우(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수신자전화기와 연결을 할 수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송신자단말기(10)가 자동전화걸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로서 송신자가 송신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수신된 숫자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린다(단계 218). 두 번째 방법은 송신자단말기(10)가 자동전화걸기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로서, 송신자가 직접 송신버튼을 눌러서 수신자전화기(20)로 전화를 걸게된다(단계 218). 그러나, 송신자는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원하는 번호가 아닌 경우 즉, 시외전화번호, 이동통신전화번호 또는 국제전화번호인 경우 전화비의 부담을 느낄 수 있으며, 기타 다른 이유에서 전화통화를 원치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상적인 전화기 사용방법에 따라 전화를 끊으면 된다.
물론, 상기예에서 TNSS(40)는 송신자단말기(10)가 보내온 한글전화번호가 데이타베이스(43)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그에 해당하는 안내 메세지(message)를 송신자단말기(10)로 전송한다(단계 214).
이하 한글전화번호의 버튼패킷 구현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한글전화번호는 상술된 의사문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개념의 전화번호이다. 한글전화번호는 기본적으로 가입자와 연관성이 있는 문자 및/또는 단어를 이용하여, 기억하고 사용하기 쉽게 구성하며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한글전화번호는 예를 들면 '홍길동.kr', '특허청.kr'과 같이 2개 이상의 문자가 하나의 구분자(예컨대, 예시된 '.')로 구분된 구조(이하, '2계층구조'라 함)를 취할 수 있다. 사람의 이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이름을 가진 사람이 있을 수 있고 업체의 경우에는 내부에 여러 하부조직이 구성되므로 그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구분자로 구분된 계층구조 즉, 3계층구조 이상의 계층구조를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구분자'.'는 계층구조를 이루는 예약된 제어문자로서 쌍으로 표기(예컨대, '..')될 수 없으며 반드시 앞뒤로 의사문자가 최소 1개이상 위치해야 한다. 예컨대, 대전에 사는 홍길동의 경우는 '대전.홍길동.kr'로, 서울에 사는 홍길동은 '서울.홍길동.kr'로 표시한다. 상기 언급한 특허청의 예를 들면, 등록과와 열람실을 구분하기 위해 '특허청.등록과.kr'과 '특허청.열람실.kr'로 표시할 수 있다.
한글전화번호의 계층구조는 상술된 바와 같이 3계층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한 만큼 계층수를 늘려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kr'은 국가를 지정하는 국가코드예약어로써 한글전화번호를 검색할 데이터베이스의 위치를 나타내며 한글전화번호의 마지막 부분을 이룬다. 국가코드는 사용자가 입력을 생략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기(10)내의 코드변환기(미도시)에 의해서 미리 지정된 국가코드가 붙여진다. 국가코드의 위치는 한글전화번호의 제일 마지막에 오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말기(10)와 TNSS(40)와의 통신규정에 따라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국가코드는 한글전화번호 구성의 예약어로서 'kr'뿐만 아니라 국가의 이미지와 맞는 다른 문자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명함이나 홍보매체등에는 국가코드를 생략하고 표기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한글전화번호는 구분자'.'가 포함되지 않는 제 1계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송신자단말기(10)의 코드변환기(미도시)는 송신자가 입력한 한글전화번호의 각 문자를 송신자단말기(10)의 버튼에 대응하는 코드로 변환하고 여기에 문자의 종류를 나타내는 버튼코드를 덧붙여서 TNSS(40)로 최종 송출되는 코드집합(이하, '버튼패킷'이라 함)을 만든다(단계 206).
상기 버튼패킷을 만드는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존 일반전화기의 통화모드에서 나타낼 수 있는 디지털신호는 0 ~ 9까지의 숫자와 #, *의 특수기호에 해당하는 12가지의 톤(tone)신호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문자를 버튼신호로 표현하는데 있어서, 임의의 12개 특정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에 대해서는 하나의 버튼신호로는 표현이 불가능하며 두 개이상의 버튼코드를 조합한 형태로 변환하여야 한다. 버튼코드란 각 버튼신호에 숫자를 붙여서 논리적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이러한 변환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인 문자코드체계를 기준으로 할 때, 하나의 한글 및 영문자는 도 3a에서와 같이 각각 2바이트(16비트) 및 1바이트(8비트)의 크기를 갖는다. 도 3a는 상용조합형에서의 '홍' 및 아스키코드값 'A'를 16진수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12개의 전화버튼코드를 조합하여 나타내려면 각 문자코드값을 3비트 단위로 구분해야 한다. 코드값을 3비트 단위로 구분하는 이유는, 3비트로 표현될 수 있는 숫자는 0 ∼ 7까지로 어떤 값을 취하던지 한 개의 전화버튼코드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4비트의 경우에는 0 ∼ 15까지의 숫자를 갖는데 0 ∼ 11까지는 12개의 전화기 버튼코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지만 12 ∼ 15까지는 두 개의 버튼코드를 요구하므로, 4비트가 아닌 최대 3비트 단위로 구분하는 것이다.
도 3b는 이러한 도 3a의 코드값을 각각 3비트단위로 나누어 표현한 것이다.
한글의 경우 최상위 비트(MSB)는 불필요하고 나머지 비트를 3비트씩 나누어 총 5개의 버튼코드값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영문자의 경우 8비트를 상위비트부터 3비트씩 나누고 나머지 하위 2비트는 2비트로서 하나의 값을 표현한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영문자의 경우 하위비트부터 3비트씩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되는 비트수를 3비트가 아닌 2비트나 1비트 단위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비트구분을 2비트나 1비트 단위로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또한,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 및 1바이트로 표시되는 코드체계를 갖는 문자(이하, '1바이트문자'라 함)의 경우에는 기존 코드체계를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정의한 코드체계를 이용하면 필요한 전체비트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상기한 1바이트문자들 중에서 사용문자수를 64개 이하로 하면 전화기버튼 2개로 한 개의 1바이트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즉, 1바이트문자들 중에서 총 64개를 선택하여 0 부터 63까지 코드값을 부여하면 한 문자의 코드최대값이 Ox3F가 되어 6개의 비트만으로 각 문자가 모두 표현되므로 3비트씩 구분하여 2개의 전화버튼코드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한글의 경우에도 사용자정의 코드체계를 쓸 수 있지만, 변환되는 전화버튼코드의 갯수가 줄어들지 않으므로 권장사항이 아니다.
이렇게 구성된 전화버튼코드는 계속해서 '#' 또는 '*'의 제어버튼코드가 추가되어 버튼패킷(button packet)으로 변환된다. 이는 TNSS(40)가 수신된 한글전화번호를 문자종류에 맞게 복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한글전화번호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송신자단말기(10)에 입력된 한글전화번호를 도 4에서와 같이 '서울.ABC.홍길동'이라 할 경우, '서'에 해당하는 16진수 Ox2CE1(0010110011100001)를 상위비트(MSB)를 제외하고 3비트씩 나누어서 전화버튼코드로 나타내면 ' 2 (010) 6 (110) 3 (011) 4 (100) 1 (001)'이 된다. 그리고 '울'에 해당하는 16진수 Ox3689(0011011010001001)을 역시 3비트씩 나누어 전화버튼코드로 나타내면 ' 3 (011) 3 (011) 2 (010) 1 (001) 1 (001)'이 된다. 영문자의 경우 표준아스키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전화버튼코드만으로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6비트만으로 표현될 수 있는 자체정의한 코드체계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자체정의코드체계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문자 A에서 Z까지 코드값을 8부터 순차적으로 대입하였다. 그러므로, 영문자 'A'는 전화버튼코드 '10'(도 3b의 경우와 비교하여 버튼코드의 갯수가 2개로 줄었음), 'B'는 '11' 및 'C'는 '12'로 각각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홍길동'의 전화버튼코드는 각각 '50667', '05651' 및 '12667'이 된다.
이렇게 변환된 전화버튼코드를 버튼패킷으로 바꾸려면, 우선 첫 글자가 한글 '서'로 시작하므로 선두에 한글을 의미하는 '#'버튼코드를 붙이고, 다음에 '서울'의 전화버튼코드 '2634133211'을 붙인다. 계층구분자 '.'는 '*'로 대체된다. 다음에 한글이 영문자로 전환되므로 문자의 전환을 의미하는 '#'버튼코드를 추가한 후에 'ABC'의 전화버튼코드 '101112'를 붙인다. 이어서 두번째 '*'버튼코드를 붙이고, 문자가 다시 한글로 전환되므로 '#'버튼코드를 추가한 다음에 '홍길동'의 전화버튼코드 '506670565112667'를 붙인다. 또한 상기 입력된 한글전화번호 '서울.ABC.홍길동'은 국가코드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예약어로 예시한 'kr'이 구분자와 함께 추가된다. 'kr'의 전화버튼코드는 상기예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2231'이 되어 완성된 버튼패킷은 '#2634133211*#101112*#506670565112667*#2231'로 송신자단말기(10)는 이러한 최종코드를 각 코드값에 해당하는 버튼신호를 발생시켜 TNSS(40)으로 송출한다(단계 207).
만약, 한글전화번호가 영문자로 시작하면, 버튼패킷 선두에는 '#' 대신 '*'가 붙어지게 된다. 버튼코드'*'은 두가지 의미를 갖는데, 제일 선두에 오면 이는 계층구분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이어지는 문자가 영문자임을 나타낸다. '#'버튼코드도 2가지 의미를 갖는데, 제일 선두에 오면 이어지는 문자가 한글임을 나타내고 중간에 위치하면 문자종류의 전환을 의미한다. 버튼패킷 제일 앞부분에 붙이는 '#'버튼코드와 '*'버튼코드를 구분하는 기준은 첫 문자가 1바이트문자인 경우 영문자의 경우와 동일하게 '*'버튼코드를 붙이고, 첫 문자가 2바이트문자인 경우는 한글의 경우와 동일하게 '#'버튼코드를 붙인다. 버튼패킷을 수신하여 이를 의사문자로 복원하는 방법은 상기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한다. 즉, 읽어들인 코드가 '#'/'*'이면 이후의 버튼코드를 한꺼번에 5/2개 읽어들여 이들의 비트배열(도3b)을 구하고, 이들 비트배열로 이루어지는 16진수 코드값(도 3a)에 대응하는 각각의 의사문자를 찾아낸다. 읽어들인 코드가 예약문자인 제어문자를 나타내면 대응하는 제어문자로 표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송신자단말기는 입력된 문자중에서 국가코드를 제외한 문자가 모두 숫자이면 이를 실제전화번호로 취급하여 TNSS와 연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즉시 해당 전화번호의 수신자에게 전화를 건다(단계 218).
또한 상기예에서 단말기내의 코드변환기(미도시)가 자동으로 국가코드를 추가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TNSS는 국가코드가 없는 한글전화번호를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국가코드를 구분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국내 데이터베이스(43a)만을 검색한다(단계 212).
또한, 송신자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화를 걸지 않고 송신자가 선택한 번호로 전화를 건다. 즉, 송신자가 한글전화번호의 일부를 알지 못할 때, 특정된 예약문자(예컨대, '?')를 모르는 문자위치에 대체입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TNSS는 상기 예약문자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의사문자를 가지고 수신자정보를 검색하여, 이와 일치하는 수신자정보들을 송신자단말기(10)로 전송하여 준다. 송신자단말기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2개 이상일 경우에는 송신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고, 수신된 전화번호가 1개뿐일 때에는 상기예와 같이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준다.
TNSS(40)의 데이터베이스(43a, 43b)에는 수신자의 실제전화번호뿐만 아니라 내선(구내)번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선번호는 예컨대 실제전화번호 다음에 '.' 또는 '_′ 등의 구분자를 두어 연속표기한다. TNSS(40)는 검색된 숫자전화번호에 이러한 내선번호가 포함된 경우, 이들 전체를 송신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며, 송신자단말기는 이러한 내선번호가 포함된 숫자전화번호를 수신한 경우 숫자전화번호에서 내선번호를 분리하고, 내선번호가 분리된 수신자의 실제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내선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버튼코드를 순차적으로 시간간격을 두어 발생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내선번호에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한글전화번호시스템은 기존의 전화교환국시스템을 변형하지 않고 독립된 TNSS를 설치하여 운용함으로써, 기존의 전화교환국시스템에 자체적인 한글전화번호 저장, 검색 및 처리기능을 추가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 및 비용이 훨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은 기존의 숫자로 된 전화번호의 관리 및 변경등과 관련한 불편사항들을 개선하여 사회, 경제적인 총부가가치 창출기회의 증대 및 국가의 대외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5)

  1.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수신자전화기로 전화를 걸기 위한 한글전화번호시스템은,
    전화교환국시스템의 중계로 한글전화번호검색시스템(TNSS)과 수신자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신자단말기; 및 상기 송신자단말기로부터 전화교환국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수신자정보를 검색하고, 다시 전화교환국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송신자단말기로 검색된 수신자정보를 전송하여 주는 TNSS 및 상기 송신자단말기와 TNSS 및 수신자단말기사이의 중계기능을 담당하는 전화교환국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단말기는 전화번호입력모드에서 의사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NSS는 상기 검색된 수신자정보를 상기 송신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단말기는 상기 TNSS으로부터 수신한 수신자정보를 음성 및/또는 문자로 현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단말기는 입력된 한글전화번호의 국가코드를 검색하고 국가코드가 생략된 경우 자동으로 미리 지정된 국가코드를 붙여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시스템.
  6. 한글전화번호 운용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송신자단말기가 단말기에 입력된 한글전화번호를 코드변환처리하여 TNSS으로 송출하는 단계;
    (2) 상기 TNSS가 상기 송신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버튼패킷을 원래의 한글전화번호로 복원한 후, 이와 일치하는 수신자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3) 상기 송신자단말기가 검색된 결과에 따라 상기 한글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전화기로 전화를 거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전화번호는 숫자, 한글자모, 한글문자, 영문자 및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전화번호는 적어도 1계층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한글전화번호의 버튼패킷으로의 변환은 상기 의사문자코드의 데이터비트를 3비트 이하의 비트수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TNSS는 검색된 수신자정보를 상기 송신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송신자단말기는 TNSS로부터 수신한 수신자정보를 음성 및/또는 문자로 현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에서 송신자단말기는 전화번호입력모드에서 입력된 전화번호가 한글전화번호인 경우 미리 지정된 TNSS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3에서 송신자단말기는 수신된 숫자전화번호에 내선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숫자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전화기로 전화를 걸어 연결된 다음, 일정시간 이후 자동으로 내선번호를 연결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에서 HTNS는 수신된 한글전화번호에 국가코드가 없는 경우에는 국내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시스템.
  15.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3에서 상기 송신자단말기에 수신된 숫자전화번호가 1개일 경우, 송신자가 송신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수신된 숫자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KR1020000053240A 2000-09-07 2000-09-07 전화접속을 이용하여 한글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 및이러한 방법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KR20020019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240A KR20020019870A (ko) 2000-09-07 2000-09-07 전화접속을 이용하여 한글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 및이러한 방법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240A KR20020019870A (ko) 2000-09-07 2000-09-07 전화접속을 이용하여 한글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 및이러한 방법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870A true KR20020019870A (ko) 2002-03-13

Family

ID=1968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240A KR20020019870A (ko) 2000-09-07 2000-09-07 전화접속을 이용하여 한글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 및이러한 방법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98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065B1 (ko) * 2001-06-09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기의 발신 호 처리 및 디지트 코드 송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065B1 (ko) * 2001-06-09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기의 발신 호 처리 및 디지트 코드 송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6500B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19130B1 (ko) 인공지능 셀룰러폰에 있어서의 국제전화를 하는 다이어링방법
JP3098442B2 (ja) 電話システム
US55286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and maintaining a caller-ID based telephone directory
JP2004536499A (ja) 通信装置における部分文字列入力による交信参照
WO1991011875A1 (en) Autodial from database in an electronic wristwatch
JP3162270B2 (ja) 電話番号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353736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harging management function
KR20020017062A (ko) 전화도메인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방법 및 이러한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KR20020019870A (ko) 전화접속을 이용하여 한글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 및이러한 방법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JP3433481B2 (ja) 電子機器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419153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JPH11331426A (ja) 電話番号取り込み機能付き通信装置
KR20020019869A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한글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및 이러한 방법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KR20020093466A (ko) 전화기의 발신 호 처리 및 디지트 코드 송출방법
JPS62168450A (ja) デイジタル電話機とその電子電話帳の登録方式
KR100629206B1 (ko) 이니셜 입력에 의한 자동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40010897A (ko) 문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통화 연결방법
JP2006128990A (ja) 電話番号置換言葉伝達システム及び伝達方法
KR100771587B1 (ko)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전송시스템 및 전송방법
JPS62245846A (ja) 構内交換装置
JP2951275B2 (ja) 交換システム
KR100504386B1 (ko) 다중 검색어를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77820A (ko)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JPH0993329A (ja) 電子電話帳発呼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