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153B1 -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153B1
KR100419153B1 KR10-1999-0046463A KR19990046463A KR100419153B1 KR 100419153 B1 KR100419153 B1 KR 100419153B1 KR 19990046463 A KR19990046463 A KR 19990046463A KR 100419153 B1 KR100419153 B1 KR 10041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indow
name
speed dialing
called part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488A (ko
Inventor
박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6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1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286Direct inward dialling [PB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공동 단축 다이얼링 서비스를 착신측 가입자 이름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발신 정보의 확인을 통해 수행되도록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출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 단축 다이얼링 모드를 선택받은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되는 디지털 단말기에서 상기 공동 단축 다이얼링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메시지에 따라 단축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착신자의 이름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받은 착신자의 이름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발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여 주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발신 정보의 확인 후 통화 버튼을 입력에 따라, 사설 교환 시스템으로 상기 검색된 발신 정보를 전달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Method For Common Abbreviated Dialing In Private Automativ Branch Exchange}
본 발명은 사설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공동 단축 다이얼링 서비스를 착신측 가입자 이름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발신 정보의 확인을 통해 수행하도록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 시스템은 특정의 단체나 회사, 숙박업소 등의 구내에 설치되어 한정된 국선을 여래개의 단말기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와 단말기 상호간의 내선 통화로를 형성하여 주는 것으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국선 처리블록(10)과 제어블록(20), 가입자 처리블록(30), 디지트 분석블록(40), 메모리 블록(50) 및 호 처리블록(60)으로 이루어진다.
국선 처리블록(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선을 정합하여 국설 교환 시스템과 내선 단말기 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및 데이터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준다.
제어블록(20)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가입자 처리블록(30)은 복수개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를 접속하여 교환 시스템과 내선 단말기 간의 통화 루프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주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디지트 분석블록(40)은 내선 단말기로부터 상대방 호출을 위해 입력되는 전화번호의 디지트나 단축 다이얼링 데이터 베이스를 설정하기 위해 입력되는 디지트 및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되는 디지트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제어블록(20)에 인가한다.
메모리 블록(50)은 사설 교환 시스템의 운용을 위한 전반적인 알고리즘과 내선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공동 또는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위해 설정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된다.
호 처리블록(60)는 국선 또는 내선으로부터의 착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번호를 갖는 내선 가입자 단말기로의 통화 링크 스위칭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종래에 공동 및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블록(50)에 첨부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덱스 코드와 발신 정보 데이터가 수록되는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인덱스 코드로는 임의의 상대방을 호출할 시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2자리 또는 3자리의 단축 디지트, '10(100)', '11(101)', 12(102)', …'99(999)'가 설정되고, 발신정보 데이터로는 상기 각각의 단축 디지트에 해당 착신측 전화번호인 발신정보가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공동 및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인덱스 코드와 착신측 전화번호인 발신정보가 데이터 베이스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축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임의의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도 2와 같이 구성한 데이터 베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거나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고자 공동 단축 다이얼링 또는 개별 단축 다이얼 기능 서비스의 코드와 키 워드에 해당하는 단축 인덱스의 번호를 입력하면 디지트 분석블록(40)는 입력되는 디지트를 분석한 다음 제어블록(20)측에 인가한다.
이때, 제어블록(20)는 메모리블럭(50)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분석된 디지트의 인덱스 코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공동 또는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위해 데이터 베이스로 설정된 인덱스 코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인덱스 코드에 해당하는 착신측 전화번호인 발신 정보를 엑세스하여 국선 처리블록(10)을 통해 트렁크를 점유한 다음 호 연결을 실행한다.
상기에서 분석되는 디지트의 인덱스 코드가 설정된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착신측 전화번호인 발신 정보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공동 또는 개별 단축 다이얼링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공동/개별 단축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가입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설정된 모든 인덱스 코드와 그에 해당하는 발신 정보, 시스템 별로 차이가 있으나 1000-2000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데이터 베이스와 10개 내외의 개별 단축 다이얼링 데이터 베이스를 숙지하고 있어야만 하며, 그렇지 못한 경우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메모한 다음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메모의 내용으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인덱스 번호를 찾아 단축 다이얼링을 시도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내선 가입자 단말기 사용자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제공되고 있는 단축 다이얼링의 기능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에 착신측 가입자의 이름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되어 있는 디지털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착신측 가입자 이름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해당 가입자의 발신정보 확인으로 통해 단축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설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공동 단축 다이얼링과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공동 단축 다이얼링과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디지털 단말기에 구비되는 플렉스 버튼에 대응되는 알파벳과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테이블.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국선 처리블록 20 : 제어블록
30 : 가입자 처리블록 40 : 디지트 분석블록
50 : 메모리블럭 60 : 호 처리블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되는 디지털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동 단축 다이얼링 모드를 선택한 다음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따라 단축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착신자의 이름을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착신자의 이름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발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여 주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발신 정보의 확인 후 통화 버튼을 입력에 따라 트렁크를 점유하여 해당 발신 정보의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데이터 베이스는 2자리 내지 3자리의 디지트로 구성되는 인덱스 코드와, 상기 인덱스 코드에 대응되는 착신자의 이름과, 상기 인덱스 코드와 착신자의 이름에 대응되는 발신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디지털 단말기의 메모리 블럭에 공동 단축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2자리 또는 3자리의 디지트로 인덱스 코드를 설정하고, 16바이트의 필드를 두어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착신자의 이름을 알파벳으로 설정하며, 16바이트의 필드를 두어 인덱스 코드와 착신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인 발신정보가 설정되도록 한다.
또한, 개별 단축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2자리 또는 3자리의 디지트로 인덱스 코드를 설정하고, 4바이트의 필드를 두어 통화횟수에 따라 부여되는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인덱스 코드와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인 발신정보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우선 순위의 부여는 해당 디지털 단말기 사용자가 자주 연결하는 번호의 통화횟수에 따라 부여하여 준다.
상기에서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착신자측 이름의 설정은 디지털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플렉스 버튼(Flex Button)으로 하며, 각 버튼별 알파벳과 저장되는 비트값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블록에 공동 단축 다이얼링과 개별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가 설정된 상태에서 착신측 이름의 확인을 통해 공동 단축 다이얼링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설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처리블록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되는 디지털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동 단축 기능을 선택하는 플렉스 버튼이나 인텍스 코드를 입력하게 되면(S101), 해당 디지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는 이름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02).
이때, 해당 디지털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축 인덱스 코드를 입력하게 되면(S103), 통상적인 공동 단축 다이얼링 모드로 진입하여 입력된 인덱스 코드에 설정된 전화번호를 메모리 블럭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인덱스 코드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설 교환 시스템으로 발신 정보를 송출하여 검색된 발신 정보로 발신을 시도하고, 인덱스 코드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초기화 되어 통상적인 모드로 진입한다(S104).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따라 도 6과 같이 알파벳으로 정의되어 있는 플렉스 버튼의 반복적인 입력으로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임의의 착신자에 대한 이름을 영문으로 입력하게 되면 입력되는 영문 이름은 사용자 디지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다(S105)(S106).
상기에서 입력되는 영문 이름의 철자(Spelling)가 잘못되는 경우 정정키와 삭제키의 입력을 통해 정확한 이름의 철자가 표기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영문 이름의 철자가 정상적으로 표기되었는지를 확인한 다음 정상적인 표기로 판단되어 키 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 버튼을 구동하게 되면(S107), 사설 교환 시스템의 제어 블록은 디지트 분석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메모리 블록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영문 이름과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 후 일치하는 해당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해당 영문 이름에 해당하는 발신 정보를 해당 디지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표시하여(S108) 해당 디지털 단말기 사용자에게 원하는 발신 정보인가를 판단하도록 하여 준다(S109).
이때,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발신 정보의 내용이 해당 디지털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발신 정보가 아닌 경우 사용자의 탐색 버튼 입력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를 다시 검색하여 같은 이름에 해당하는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 후 일치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해당 디지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여 준다(S110)(S111).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해당 디지털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에 따라 원하는 발신정보가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경우 해당 디지털 단말기의 사용자가 키 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 버튼을 구동하게 되면(S112),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 발신 정보가 사설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사설 교환 시스템내의 제어블록은 국선 처리블록을 제어하여 트렁크를 점유한 다음 디지털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정보의 전화번호를 호출하며(S113), 착신측의 응답이 검출되는 경우 통화로를 연결하여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요구한 해당 디지털 단말기와 착신자간의 호를 설정하여 준다(S114).
상기에서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이름의 입력을 영문 알파벳으로 설명하였으나, 한글이 폰트가 지원되는 사설 교환 시스템 및 디지털 교환 단말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한 한글 폰트의 입력으로 공동 단축 다이얼링 하기 위한 발신 정보를 검색하여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동작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공동 다이얼링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인덱스 코드와 착신자의 이름 및 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인 발신 정보를 등록하여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되는 디지털 전화기를 통한 이름의 입력으로 공동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발신 정보의 검색에 신뢰성과 신속성을 제공하여 단축 다이얼링의 수행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Claims (7)

  1.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공동 단축 다이얼링 모드를 선택받은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되는 디지털 단말기에서 상기 공동 단축 다이얼링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메시지에 따라 단축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착신자의 이름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받은 착신자의 이름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발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여 주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발신 정보의 확인 후 통화 버튼을 입력에 따라, 사설 교환 시스템으로 상기 검색된 발신 정보를 전달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2자리 내지 3자리의 디지트로 구성되는 인덱스 코드와, 상기 인덱스 코드에 대응되는 착신자의 이름과, 상기 인덱스 코드와 착신자의 이름에 대응되는 발신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발신 정보가 디지털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아닌 경우 탐색 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착신자의 이름에 대한 다른 발신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1999-0046463A 1999-10-25 1999-10-25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0041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463A KR100419153B1 (ko) 1999-10-25 1999-10-25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463A KR100419153B1 (ko) 1999-10-25 1999-10-25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488A KR20010038488A (ko) 2001-05-15
KR100419153B1 true KR100419153B1 (ko) 2004-02-14

Family

ID=1961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463A KR100419153B1 (ko) 1999-10-25 1999-10-25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11A (ko) * 2001-07-14 2001-09-15 장태관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KR100438422B1 (ko) * 2001-08-23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저장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246B1 (ko) * 1986-11-28 1992-03-20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전화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명령 입력 방법
KR0168785B1 (ko) * 1993-05-31 1999-02-01 김광호 한글코드 키입력에 의한 무인교환 안내 시스템 구현방법
KR19990056146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사설교환기에서 디사를 통한 단축다이얼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246B1 (ko) * 1986-11-28 1992-03-20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전화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명령 입력 방법
KR0168785B1 (ko) * 1993-05-31 1999-02-01 김광호 한글코드 키입력에 의한 무인교환 안내 시스템 구현방법
KR19990056146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사설교환기에서 디사를 통한 단축다이얼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488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51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a directory entr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hone book
US60350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umber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55090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d dialing via one-touch and two-touch operation
US20020187815A1 (en) Contact lookup by partial string entry in a communication device
US6597785B1 (en) Automatic caller ID call log dial back
KR100419153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JPS60254956A (ja) 短縮ダイヤル機能付電子電話機
JPH07162497A (ja) 間違い電話防止装置
JPS63250950A (ja) 登録番号サ−チ方式
JPH05244243A (ja) 電話機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US582874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number plan for use with a general telephone and a key telephone in a key telephone system
JPH1024307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KR100379408B1 (ko) 문자입력에의한자동다이얼링방법
KR100629206B1 (ko) 이니셜 입력에 의한 자동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4000830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이얼링 방법
JP2951275B2 (ja) 交換システム
JP2000078265A (ja) 無線電話端末の着信通知方式
JPH053507A (ja) 簡易ダイヤル発信装置
JPH11341139A (ja) 通信端末装置
KR200500504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와일드 카드를 이용한 발신자 검색방법
KR20000040554A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이름을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JPH0758819A (ja) 番号入力装置およびデータ変更方法
KR20040077820A (ko)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678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