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820A -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820A
KR20040077820A KR1020030081878A KR20030081878A KR20040077820A KR 20040077820 A KR20040077820 A KR 20040077820A KR 1020030081878 A KR1020030081878 A KR 1020030081878A KR 20030081878 A KR20030081878 A KR 20030081878A KR 20040077820 A KR20040077820 A KR 20040077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address
local language
internet
s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이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태 filed Critical 이성태
Priority to KR102003008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7820A/ko
Publication of KR2004007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8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1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04M3/42306Number translation services, e.g. premium-rate, freephone or vanity numbe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자 전화기에서 한글, 영어, 일본어 등 지역언어 체계로 된 전화주소로 다이얼링을 하여 수신자 전화기에 연결할 수 있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자 전화기에서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를 입력하고 그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전화주소를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상기 통신망의 일 부분에서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전화기로 접속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숫자로 표현된 전화번호 또는 영어로 표현된 인터넷주소를 암기하는 불편없이 원하는 전화기 또는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Telephone connecting method and device using telephone address of a local language}
본 발명은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자 전화기에서 한글, 영어, 일본어 등 지역언어 체계로 된 전화주소로 다이얼링을 하여 수신자 전화기에 연결할 수 있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화통신체계는 전화사용자가 극히 적은 개발 초창기에는 전화발신자와 수신자자가 직접 연결되어 접속되는 직접연결 전화통신체계, 이후 전화사용자가 증가되어 중계교환기가 등장하면서 수신자와 발신자의 전화를 수동으로 중계교환기상에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교환원이 수동형태로 전화를 접속시켜 주는 형태의 수동접속 중계교환 전화통신체계로 발전되었다.
그런데, 전화이용자 및 이용량이 확대되면서 초창기 또는 수동접속 중계교환체계에서 많은 가입자의 전화를 교환원이 기억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원활한 전화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많은 불편한 문제점들이 대두되었다.
그 후 자동중계교환기의 등장으로 인한 통신설비의 발달과 전산시스템을 이용한 전화교환체계의 도입으로 전화가입자에게 특정의 숫자로 된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자동중계교환기에 연결 접속하고, 이 특정의 전화번호의 숫자를 기억하고 있는 이용자가 이에 대응하는 전화기의 숫자를 다이얼링 함으로써 수신자와 발신자간에 자동으로 서로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전화번호 자동접속 전화통신체계로 발전되었으며, 현재까지의 전화통신체계는 이 숫자에 의한 전화번호체계로 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중국집의 가입자전화번호가 "123-4567"의 숫자로 자동중계교환기에 할당되어 접속시켜, 이 중국집에 전화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중국집의 전화번호가 "123-4567"의 숫자로 대응되어 있는 것을 기억하여 전화기에서 1, 2, 3, 4, 5, 6, 7의 숫자를 다이얼링 하면 자동중계교환기에서 이를 자동으로 접속시켜 주는 형태로 전화통신을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숫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에 대한 도면이 도1에 도시된다.
수신자 전화기(2)에는 숫자로 된 전화주소, 즉 전화번호가 할당된다. 따라서, 송신자 전화기(1)에서는 다이얼링 할 때 전화기 자판에 숫자키를 눌러 다이얼링하면 숫자키에 해당하는 코드가 기지국(6)을 통하여 송신측 교환기(3)로 전송된다. 송신측 교환기(3)는 통신망(4)을 통해 수신자 전화기(2)가 접속되어 있는 수신측 교환기(5)로 상기 숫자키에 해당하는 코드가 전송된다.
예를 들어, 수신자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123-4567"이라면 숫자 "1"에 해당되는 코드, 숫자 "2"에 해당되는 코드, 숫자 "3"에 해당되는 코드, 숫자 "4"에 해당되는 코드, 숫자 "5"에 해당되는 코드, 숫자 "6"에 해당되는 코드, 숫자 "7"에 해당되는 코드가 순차적으로 통신망으로 전송된다.
통신망의 교환기가 이 코드들을 가지고 자신의 숫자로 된 전화주소체계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수신자 전화기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전화선정보를 추출하여 송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를 접속하여 서로 통신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하나의 전화통신 권역을 넘는 경우에는 별도의 숫자로 이루어진 설정지역번호를 추가적으로 다이얼링 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의 복잡한 생활 속에서 이와 같은 복잡한 숫자들로 구성된 전화번호를 기억하는데는 아주 빈번하게 사용하는 몇 개의 전화번호 이외에는 사용자들이 기억을 하기가 쉽지 않음에 따라 자주 사용하거나 중요한 전화번호는 수첩에 기록하여 전화를 걸 때 찾아보고 전화통신을 하게 되는 등 그 전화번호들의 기억량이 소수 개로 극히 제한된다.
또한,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서 현대사회의 생활 속에서 일시적으로 전화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화번호, 예를 들면 민원사항을 문의하기 위한 공공기관의 전화번호, 특정한 음식점, 꽃가게, 배달 서비스에 의한 주문을 할 때의 특정한 전화번호 등은 직접 전화번호부를 참조하거나 114안내를 통하여 그 특정 전화번호를 문의하고 이를 기재한 후에 그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또한, 여러 개의 복잡한 숫자로 된 전화번호를 미리 전화기에 내재된 메모리에 입력하여 저장해 두고 단축키를 설정하여 다이얼링 하는 단축다이얼을 이용하는 형태도 등장하였으나, 이 역시 소수 개의 전화번호만을 할 수밖에 없는 제약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화발신자가 전화를 걸고자 하는 사람의 특정 전화번호를 기억하거나 수첩에 기록하여 전화통신을 하거나 또는 특정한 기관, 상점, 장소 등과 같은 특정한 전화번호 등은 단축키의 설정 또는 전화번호부를 보고서 다이얼링을 하는 형태가 대부분으로서, 이와 같이 복잡한 숫자들로 구성되는 전화번호체계 하에서는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필요로 하는 전화통신을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려는 시도의 예로서, 한국 특허공개 제2003-20768호에 특정서버로 전화연결을 한 후 ARS안내에 따라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지역언어(예를 들면, 한국어로 "중국집")를 숫자번호로 매칭시켜 주는 방식이 있으나, 음성인식의 인식율이 낮아 사용상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수신자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않고, 즉 숫자로 된 전화번호 대신에, 이용자의 기억을 크게 요하지 않는 특정한 보통명사·고유명사 등과, 사용자가 소재하고 있는 특정한 지명·명칭 등으로 용이하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특정한 언어·문자 또는기호, 즉 보통명사·고유명사·지명 또는 명칭 등을 이용하여 전화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긴급시 또는 일시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전화통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창안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어 사용되는 "지역언어(地域言語)"라고 하는 의미는, 이용자(발신자 및 수신자)의 자국어(自國語) 또는 그 지역의 언어를 의미하며, 해당 통신 권역내에서 이용자가 평상시 사용하면서 이해할 수 있는 문자라고도 해석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숫자로 된 전화번호 대신에 보통명사·고유명사·지명 또는 명칭 등을 이용하여 지역언어 전화주소로 상대방에 접속할 수 있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를 할당하여 상대방 전화에 지역언어 전화주소로 접속할 수 있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활 속에서 필요로 하는 전화접속을 이용자에게 숫자로 이루어진 전화번호의 기억 대신에 특정한 지역언어로 전화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숫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송신자 전화기가 폴더형 핸드폰으로서, 덮개를 열었을 때 그 전면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와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구성된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의 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6은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 따라 매칭서버에서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8은 본 발명의 제5,6실시예에 의한 교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5,6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10은 본 발명의 제7,8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7,8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12는 본 발명의 제9,10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9,10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1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인터넷 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해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해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송신자 전화기 12:교환기
13,18: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 14:수신자 전화기
15:통신망 16:기지국
17:매칭서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은 송신자 전화기에서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를 입력하고 그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전화주소를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상기 통신망의 일 부분에서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전화기로 접속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의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를 지역언어로 된 문자코드, 특수문자코드 또는 숫자코드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은 상기 송신자 전화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의 데이터베이스는 지역언어 전화주소와 전화선정보를 대응시켜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의 데이터베이스는 지역언어 전화주소와 기존의 숫자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은 상기 전화주소를 통신망으로 전송할 때 상기 전화주소를 지역언어, 숫자, 특수키의 조합으로 코드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은 상기 전화주소를 지역언어, 숫자,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코드화하여 전송할 때, 상기 송신자 전화기의 키를 누르는 순서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은 상기 전화주소를 지역언어, 숫자,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코드화하여 전송할 때,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의 사용을 나타내는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은 상기 전화주소를 지역언어, 숫자,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코드화하여 전송할 때, 상기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의 사용을 나타내는 식별번호를 앞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웹페이지 접속방법은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넷주소가 숫자로 된 인터넷주소인가 지역언어로 된 인터넷주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넷주소가 지역언어인 경우에 어느 나라 언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지역언어의 인터넷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 입력된 인터넷주소를 매칭하는 단계와; 입력된 인터넷주소를 특정 웹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웹페이지 접속방법은 전화주소 및 인터넷주소를 지역언어코드, 지역이름, 보통명사, 이름, 상호, 일련번호의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는 송신자 전화기와; 상기 송신자 전화기와 통신하는 수신자 전화기와; 상기 수신자 전화기의 지역언어 전화주소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선정보를 매칭시킨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송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를 연결하는 통신망 요소 중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상기 통신망 요소는 교환기, 매칭서버 및 지능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상기 송신자 전화기가 지역언어 다이얼링 기능을 구비하지 못한 경우, 지역언어 다이얼링을 표시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전화주소를 상기 통신망 요소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상기 송신자 전화기가 지역언어 다이얼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인터넷 단말기 접속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역언어 인터넷주소가 할당된 다수의 인터넷 단말기와; 상기 지역언어 인터넷주소가 할당된 인터넷 단말기의 그 지역언어 인터넷주소에 해당하는 인터넷주소를 매칭시킨 인터넷주소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지역언어 인터넷주소가 할당된 인터넷 단말기의 그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상기 인터넷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연결하는 인터넷주소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역언어로 다이얼링 할 수 있는 송신자 전화기(11)와; 상기 송신자 전화기 (11)에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수신하여 그 주소에 해당하는 수신자 전화기(14)의 전화번호를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에서 검색하여 연결하는 교환기(12)와; 상기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 (13)와; 상기 교환기(12)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수신자 전화기 (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자가 송신자 전화기(11)에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를 입력하고 통신망(15)의 기지국(16)을 통해 송신하면, 교환기(12)는 송신자 전화기(11)로부터 수신된 지역언어의 문자로 된 전화주소(예를 들면, "중국집")를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에서 검색한다. 검색결과 대응되는 전화선정보 또는 숫자전화번호를 읽어들이고 그 전화선정보 또는 숫자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 전화기(14)에 송신자 전화기(11)를 연결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송신자 전화기가 폴더형 핸드폰으로서, 덮개를 열었을 때 그 전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핸드폰은 전원을 인가하는 온/오프키(21)와, 0∼9의 숫자 및 지역언어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문자키와, "*" 및 "#"의 특수키로 구성된 다이얼링 키입력부(22)와, 입력된 키를 취소하는 취소키(23)와, 입력된 전화번호를 송신하는 통화키(24),기타 기능키(25)들 및 상기 다이얼링 키들을 숫자 다이얼링 키로 선택하거나 지역언어의 문자 다이얼링 키로 선택하는 숫자/문자 전환키(26)와, 송신자가 상기 다이얼링 키입력부(22)의 키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누르면 그 입력된 키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표시창(27)으로 구성된다.
숫자/문자 전환키(26)는 숫자 다이얼링 모드와, 지역언어의 문자 다이얼링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숫자가 표시되는 보통모드, 한번 누르면 한글모드, 한글모드에서 다른 특수 기능키와 조합하여 누르면 영문모드로 전환되어 3가지의 모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키입력부(22)의 키들은 숫자와 "*", "#"로 다이얼링 되지만, 숫자/문자 전환키(26)를 누르면 문자모드로 전환되어 각 키에 할당되어 있는 지역언어의 문자가 선택되어 표시창(27)에 표시되고, 이어서 통화키(24)를 누르면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가 다이얼링 된다.
예를 들어, 숫자키 "1"에는 한글 모음 "ㅣ"와 영문 "Q", "Z"가 할당되어 있다. 보통모드에서 숫자키 "1"을 누르면 숫자 "l"이 표시창에 표시된다. 송신자가 숫자/문자 전환키(26)를 눌러 한글모드로 선택할 경우, 숫자키 "1"을 누르면 한글 모음 "ㅣ"가 표시창(27)에 표시된다.
이때, 한글 다이얼링의 경우 "중국집"을 다이얼링 하면 "ㅈ"에 해당되는 KS-5601코드 "11000", "ㅜ"에 해당되는 KS-5601코드 "10011", "ㅇ"에 해당되는 KS-5601코드 "10111"의 순서대로 표시창에 구비되고, 송신자 전화기의 메모리에 코드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다가 통화키를 누르면 저장되어 있던 코드들이 순서대로 다이얼링 되어 통신망으로 전송된다.
영문모드로 하기 위해서는 숫자/문자 전환키(26)를 눌러 한글모드로 선택한 상태에서 다시 다른 특수 기능키(예를 들어, 기타 기능키(25)들 중 "M"키 등)를 누르면 "한글/영문"이 표시창(27)에 표시되고, 커서를 "한글" 또는 "영문"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OK"키를 누르면 커서가 위치한 문자모드로 전환된다.
즉, "영문"에 커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OK"키를 누르면 영문으로 전환되고, 이때 숫자키 "1"을 한번 누르면 "Q"가 표시창(27)에 표시되고, 2번 누르면 "Z"가 표시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나머지 키에 대해서도 보통모드에서 숫자키에 해당하는 숫자가 표시창(27)에 표시되고, 한글모드일 경우 누른 횟수에 따라 해당 한글의 문자가 표시창(27)에 표시되고, 영문모드일 경우 누른 횟수에 따라 해당 영문의 문자가 표시창(27)에 표시된다.
이외에 각 나라 또는 지역에 따라 그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체계에 맞는 지역언어 주소를 다이얼링 할 수 있도록 전화기의 키에 자음, 모음 및 기타 해당 지역언어에 특수한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송신자 전화기(11)가 표시창(27)을 구비하는 핸드폰인 경우, 그 표시창(27)을 통해 사용자가 다이얼링 하는 지역언어 체계의 전화주소를 표시해 줄 수 있으나, 일반 유선전화기의 경우 표시창(27)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교환기에서다이얼링 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되돌려 발음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일반 유선전화기도 표시창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다이얼링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표시해 줄 수 있다.
도4a 및 도4b에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와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선정보로 구성된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기(12)가 사용되는 지역의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예를 들면, 보통명사, 고유명사, 추상명사 등)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주소영역(36)과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되는 전화선정보영역(37)으로 구성된다.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의 1번째 형태로서 도4a에 도시된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설명하면, 교환기(12)가 송신자 전화기(11)로부터 "중국집"이라는 전화주소에 해당하는 키 입력값을 수신한 경우, 상기 키 입력값을 전화주소영역(36)에서 검색하여 그것에 대응되는 전화선정보를 전화선정보영역(37)에서 읽어 "123 교환기, 45 배전반(MDF) xxx"에 접속한다.
또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주소영역(36)을 전화번호영역(38)과 매칭시킨 후, 상기 전화주소를 전화선정보에 대응시킬 수 있다.
도4b의 경우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는 사전에 사용자가 신청한 전화번호에 대해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할당해 줄 것을 신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예를 들면, 123국에 가입하여 "4567"이라는 전화번호를 할당받은 전화가입자가 "중국집"이라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연결시켜 줄 것을 신청하는 경우,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의 전화주소영역(36)에 "중국집"을 등록하고, 상기 전화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중국집"에 대응하도록 저장한다.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의 2번째 형태로서 도4b에 도시된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설명하면, 기존의 교환기는 자체적으로 숫자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영역(38)과 그 숫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선정보영역(39)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화주소를 저장하는 전화주소영역(36)을 새로이 구축하여 그 각각의 전화주소를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전화번호와 대응시킨다.
예를 들면, 새로이 구축한 전화주소영역(36)의 "중국집"이라는 전화주소에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전화번호영역(38)의 "123-4567"을 대응시키고, "중국집"이라는 전화주소가 입력되면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전화선정보영역(39)에서 읽어들여 "123 교환기, 45 배전반 (MDF) xxx"에 접속한다.
도5에 본 발명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의 제1,2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송신자가 송신자 전화기(11)의 폴더를 열거나 뚜껑을 열면 키입력 준비 상태로 되고(단계 S1), 송신자가 숫자/문자 전환키(26)를 입력했는지를 판단하여 지역언어 모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
지역언어 모드가 아닌 경우 숫자 다이얼링 모드로 점프하고, 지역언어 모드인 경우, 입력된 전화주소를 표시창(27)에 표시하고(단계 S3), 통화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단계 S4),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화주소를 기지국(16)을 통하여 교환기(12)로 송신한다(단계 S5).
교환기(12)는 송신자 전화기(11)로부터 상기 전화주소를 수신하고(단계 S6),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선정보를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에서 검색한다(단계 S7).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기(12)는 전화주소와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가지고 있으며, 송신자 전화기(11)로부터 수신되는 전화주소에 대해서는 그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주소와 그것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하고,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에서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전화번호를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시 검색하여 전화선정보를 읽어들여 수신자 전화기(14)에 연결한다(단계 S8).
연결 후 통화종료를 판단하여(단계 S9)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계속 연결을 유지하고, 통화가 종료된 경우 연결을 해제한다(단계 S10).
도6에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 따라 매칭서버에서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지역언어로 다이얼링 할 수 있는 송신자 전화기(11)와; 상기 송신자 전화기 (11)에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수신하여 매칭서버(또는 지능망)(17)로 송신하고 그것에 해당하는 수신자 전화기(14)의 전화번호를 회신받아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전화선정보를 따라 수신자 전화기를 연결하는 교환기(12)와; 상기 교환기(12)로부터 전화주소를 수신하여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8)에서 검색하고,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상기 교환기(12)로 회신하는 전화주소 매칭서버(또는 지능망)(17)와;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8)와; 상기 교환기(12)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수신자 전화기(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자가 송신자 전화기(11)에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를 입력하고 교환기(12)를 거쳐 통신망(15)과 기지국(16)을 통해 송신하면, 교환기(12)는 송신자 전화기(11)로부터 수신된 지역언어의 문자로 된 전화주소(예를 들면, "중국집")를 매칭서버(또는 지능망)(17)로 송신한다. 전화주소를 수신한 매칭서버(또는 지능망) (17)는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8)에서 대응되는 숫자전화번호를 읽어들이고 그 숫자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전화선정보를 따라 수신자 전화기(14)에 송신자 전화기(11)를 연결한다.
도7에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제3,4실시예를 수행하는 단계는 도5에 도시된 단계와 거의 동일하며, 단계 S6∼S8에 대응하는 단계 S16∼S19가 차이점이 있는데, 그 단계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환기(12)는 송신자 전화기(11)로부터 수신한 전화주소를 매칭서버(또는 지능망)(17)로 전송하고(단계 S16), 매칭서버(또는 지능망)(17)는 상기 교환기(12)로부터 전화주소를 수신하여 그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8)에서 검색한다(단계 S17). 매칭서버(또는 지능망)(17)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다시 교환기(12)로 회신하고(단계 S18), 교환기(12)는 매칭서버(또는 지능망)(17)로부터 전화번호를 회신받아 수신자 전화기(14)를 연결한다(단계 S19).
한편, 상기의 실시예들은 지역언어로 접속하기 위해 송신자 전화기(11)가 숫자/문자 전환키(26)를 구비하고 문자 다이얼링 기능도 구비하는 경우였으나, 송신자 전화기(11)가 숫자/문자 전환키(26)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특수키를 이용하여 문자 다이얼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기 제5실시예 내지 제10실시예에서는 송신자 전화기(11)가 숫자/문자 전환키(26)를 구비하되, 문자코드 전송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송신자가 송신자 단말기에서 지역언어로 다이얼링을 하고. 입력된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가 송신자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나, 기지국이나 통신망에 전송되는 정보는 숫자코드가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는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가 지역언어로 구성된 경우(제5,6실시예), 매칭서버를 사용하고 매칭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지역언어로 된 경우(제7,8실시예), 그리고 매칭서버를 사용하고 매칭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숫자로 된 경우(제 9,10실시예)가 있다. 이들의 경우를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5,6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구성은 송신자 전화기(11)가 문자 다이얼링 기능을 구비하여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가 표시창에 표시되나 송신자 단말기의 메모리에는 입력된 키의 숫자코드가 기억되었다가 이 숫자코드가 전송되는 것외에 도2에 도시된 전화접속 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도면은 생략하고, 다음의 도8에 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그 구성을 설명한다.
도8에 본 발명의 제5,6실시예에 의한 교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5,6실시예에 의한 교환기(12)는 가입자회선 연결부, 스위치부, 국간 중계부로 이루어지는 통화로부(31)와; 상기 송신자 전화기(11)에서 수신되는 전화주소의 문자에 따라 2진수 코드를 할당하는 코드변환부(32) 및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송신자 전화기(11)에서 수신된 전화주소를 상기 코드변환부(32)에 의해 코드로 변환한 후 상기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에서 대응하는 전화번호(또는 전화선정보)를 검색하여 수신자 전화기(14)에 접속하는 제어부(3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6실시예에서도, 송신자 전화기(11)가 숫자/문자 전환키(26)가구비되어 있다.
다만, "중국집"이라는 지역언어로 다이얼링을 한 것은, 핸드폰에서 "중국집"의 문자표시로 표시창에 나타나기만 하며, 메모리에는 눌러진 키의 숫자코드가 기억된다. 통화키를 누르면, "중국집"을 구성하는 키의 숫자가 교환기(12)로 송신되는데, 이때, 숫자가 송신되므로 이 숫자만으로 숫자 전화번호인지 또는 문자로 표현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인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특수키 "#", "*" 또는 서비스식별번호 등을 이용하여 지역언어 전화주소가 송신됨을 표시할 수 있다.
먼저, 전화주소를 다이얼링 하기 전에 지역언어 전화주소로 다이얼링 하는 것을 알리는 숫자/문자 전환키, 특수키 "#", "*" 또는 서비스식별번호 등을 누르고, 이어서 해당 지역언어 전화주소에 대응되는 자모와 동일한 키의 숫자들을 누른 다음, 끝 부분에 지역언어 전화주소의 송신이 완료됨을 표시하는 특수키 "#", "*" 또는 서비스식별번호 등을 누른다. 그러나, 끝 부분에 지역언어 전화주소의 송신이 완료됨을 표시하는 것은 안 할 수도 있다.
이후 통화키를 누르면 교환기에서 특수키 "#", "*" 또는 서비스식별번호 등의 확인에 의해 지역언어 전화주소가 송신되었음을 확인하고 교환기에서 수신된 숫자에 대응되는 지역언어로 변환하며 이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사용하여 이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설정한 수신자에게 송신함으로써 전화를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숫자/문자 전환키가 구비되지 않은 전화기(예를 들면, 특수키로 숫자/문자를 전환하는 유선전화기 등)를 사용하는 송신자가 먼저 "#"의 특수키를 눌러 지역언어 입력모드임을 인식시키고, 도3의 휴대전화기의 키입력부에 도시된숫자/문자키에서 표시된 "중국집"의 문자로 조합되어 나타나는 숫자들의 숫자키 "9, 3, 2, 0, 4, 3, 2, 4, 9, 1, 7"을 누르고, 이후 종료됨을 표시하는 "#"(삼성휴대폰인 경우)를 누르면 송신자 전화기(11)의 표시창에 상기 눌러진 키들에 대응되는 문자로 한글의 자모 "#중국집#"으로 표시한다.
이렇게 표시창에 "#중국집#"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키(24)를 눌러 교환기 (12)로 송신하면 이 유선전화기는 표시는 "중국집"으로 표시하였으나, 전송은 "#93204324917#"로 전송하게 되며, 교환기(12)는 처음의 "#"키를 한글모드 전화주소가 입력된다는 표시로 읽고, 2번째 "#"키가 입력되면 전화주소의 끝으로 판단하여 입력된 "93204324917"을 "중국집"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교환기(12)는 특수키 "#", "*" 또는 서비스식별번호 등을 첫 번째로 누르면 다음부터 입력되는 코드값을 지역언어의 문자로서 변환신하고, 수신자 전화기(14)와 연결시켜 전화접속을 하게 된다.
여기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표시하는 키 값을 "*"와 "#" 뿐만 아니라, 0∼9의 숫자키 값의 어느 하나가 일정 자릿수 연속되거나 그 중 몇 개의 숫자가 임의로 조합되는 키 값으로도 할 수 있다.
도9에 본 발명의 제5,6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송신자가 송신자 전화기(11)의 폴더를 열거나 뚜껑을 열면 키입력 준비상태로 되고(단계 S31), 송신자가 특수키(예를 들면, *, # 등)를 입력했는지를 판단하여 지역언어 모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32).
지역언어 모드가 아닌 경우 숫자 다이얼링 모드로 점프하고, 지역언어 모드인 경우, 입력된 전화주소(예를 들면, "#중국집#")를 코드변환부에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코드를 표시창(27)에 표시한다(단계 S33).
통화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34), 통화키가 입력되면 송신자 전화기(11)는 문자로 다이얼링 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상기 입력된 전화주소(예를 들면, "#중국집#")를 "#, 9, 3, 2, 0, 4, 3, 2, 4, 9, 1, 7, #"의 숫자코드를 기지국(16)을 통하여 교환기(12)로 송신한다(단계 S35).
교환기(12)는 송신자 전화기(11)로부터 전화주소의 숫자코드를 수신하여 그 숫자키 값에 할당된 지역언어의 문자를 코드변환부(32)에서 코드로 변환하고(단계 S36), 상기 문자로 변환된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에서 검색한다(단계 S37).
상기 검색된 전화선정보를 읽어들여 수신자 전화기(14)에 연결한다(단계 S38).
연결 후 통화종료를 판단하여(단계 S39)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계속 연결을 유지하고, 통화가 종료된 경우 연결을 해제한다(단계 S40).
본 발명의 제7,8실시예로서 송신자 전화기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문자 전환키(26)를 갖고, 또한 문자로 다이얼링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으나 전송을 숫자로 하는 경우이며, 동시에 교환기(12)가 코드변환수단을 구비하지 못하여송신자 전화기에서 수신한 전화주소의 숫자코드를 매칭서버(또는 기능망)에서 지역언어코드로 변환하고 이 지역언어의 전화주소를 사용하여 수신자 전화기와 연결한다.
도10에 본 발명의 제7,8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7,8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는 송신자 전화기(41)와; 상기 송신자 전화기(11)에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나타내기 위해 입력된 숫자코드를 수신하여 매칭서버(또는 지능망)(47)로 송신하고, 상기 매칭서버(또는 지능망)(47)로부터 상기 숫자코드로 표현된 전화주소를 수신하여 지역언어 전화주소로 변환하며, 그 전화주소에 해당하는 수신자의 전화선정보를 따라 송수신자를 서로 연결하는 교환기(42)와; 상기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에 해당하는 전화주소를 저장하는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43)와; 상기 교환기(42)로부터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나타내는 코드를 수신하여 지역언어 문자로 변환하여 상기 교환기(42)로 회신하는 매칭서버(또는 지능망)(47)와; 상기 교환기(43)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수신자 전화기(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자는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를 다이얼링 키입력부(22)에 의해 다이얼링 하여 표시창(27)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전화주소 "#중국집#"를 "#, 9, 3, 2, 0, 4, 3, 2, 4, 9, 1, 7, #"의 숫자키에 의해 입력하여 표시한다. 이때, 송신자 전화기(41)가 코드변환수단을 구비한 경우, 표시창(27)에 "#중국집#"이 표시되나,코드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유선전화기 등), "#, 9, 3, 2, 0, 4, 3, 2, 4, 9, 1, 7, #"의 숫자키가 그대로 표시된다.
송신자가 통화키(24)를 누르면, 송신자 전화기(41)는 문자코드 전송을 하지 않고, 송신자 전화기(41)는 "#, 9, 3, 2, 0, 4, 3, 2, 4, 9, 1, 7, #"의 숫자키 값(예를 들면, KSC-5601 등, 유선전화기의 경우 DTMF 신호)을 교환기(42)로 송신한다.
교환기(42)는 코드변환수단을 구비하지 못하므로 상기 숫자코드를 수신하여 매칭서버(또는 지능망)(47)로 송신한다. 매칭서버(또는 지능망)(47)는 상기 숫자코드를 수신하여 2진수 코드(예를 들면, KSC-5601 등)로 변환한 후 다시 교환기(42)로 회신한다.
교환기(42)는 회신받은 전화주소의 코드를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43)에서 검색하여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따라 수신자 전화기(44)와 연결한다.
여기서 지역언어 전화주소의 표시를 특수키 "#", "*"로 했지만, 서비스식별번호(예를 들면, 999, 007 등)로 할 수도 있다.
도11에 본 발명의 제7,8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송신자가 송신자 전화기(41)의 폴더를 열거나 뚜껑을 열면 키입력 준비상태로 되고(단계 S41), 송신자가 첫 번째로 입력한 키가 숫자/문자 전환키, 특수키(예를 들면, *, # 또는 서비스식별번호 등)인지를 판단하여 지역언어 모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42).
지역언어 모드가 아닌 경우 숫자 다이얼링 모드로 점프하고, 지역언어 모드인 경우, 입력된 전화주소(예를 들면, "#중국집#", "999중국집" 등)를 표시창(27)에 표시한다(단계 S43).
통화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44), 통화키가 입력되면 송신자 전화기(41)는 문자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상기 입력된 전화주소(예를 들면, "#중국집#" 또는 "999중국집" 등)를 숫자코드(예를 들면, "#, 9, 3, 2, 0, 4, 3, 2, 4, 9, 1, 7, #" 또는 "9, 9, 9, 9, 3, 2, 0, 4, 3, 2, 4, 9, 1, 7" 등) 상태로 기지국(46)을 통하여 교환기(42)로 송신한다(단계 S45).
교환기(42)는 송신자 전화기(41)로부터 전화주소의 숫자코드를 수신하여 매칭서버(또는 지능망)(47)로 송신하고(단계 S46), 매칭서버(또는 기능망)(47)는 상기 교환기(42)로부터 전화주소의 숫자코드를 수신하여 2진수 코드(예를 들면, KSC-5601, 유니코드 등)로 변환하고(단계 S47), 그 변환된 전화주소의 2진수 코드를 교환기(43)로 회신한다(단계 S48).
교환기(42)는 매칭서버(또는 지능망)(47)로부터 상기 전화주소의 2진수 코드를 수신하여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43)에서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검색하고(단계 S49), 상기 검색된 전화선정보를 따라 수신자 전화기(14)에 연결한다(단계 S50).
연결 후 통화종료를 판단하여(단계 S51)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계속 연결을 유지하고, 통화가 종료된 경우 연결을 해제한다(단계 S52).
한편, 본 발명의 제9,10실시예들은 송신자 단말기가 숫자코드를 전송하고, 교환기가 숫자로 된 전화선정보를 사용하고 있으며, 매칭서버가 수신한 숫자코드를 지역언어로 변환한 후, 이 지역언어에 대응되는 숫자 전화주소, 즉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서 그 전화번호에 맞는 전화선정보를 따라 수신자 전화기와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수신한 숫자코드는 송신자 단말기에서 눌러진 키의 코드값을 순서대로 코드화하여 받은 것이며, 매칭서버는 이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지역언어를 획득한다.
지역언어를 획득한 후 다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이 지역언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화번호의 전화선정보를 따라 수신자 전화기와 연결한다.
도12에 본 발명의 제9,10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지역언어로 다이얼링하고 표시하나, 눌러지는 키의 숫자 코드값을 순서대로 전송하는 송신자 전화기(51)와; 상기 송신자 전화기(51)에서 지역언어 전화주소에 해당되는 숫자코드를 수신하여 매칭서버(또는 지능망)(53)로 송신하고 그것에 해당하는 수신자 전화기(54)의 전화번호(또는 전화선정보)를 회신받아 연결하는 교환기 (52)와; 상기 교환기(52)로부터 전화주소를 숫자코드로 수신하여 1차로 지역언어로 변환하고, 2차로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57)에서 지역언어와 매칭되는 전화번호를검색하고,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또는 전화선정보)를 상기 교환기 (52)로 회신하는 전화주소 매칭서버(또는 지능망)(53)와;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또는 전화선정보)를 저장하는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57)와; 상기 교환기(52)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수신자 전화기(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자 전화기(51)가 문자 다이얼링 기능과 숫자/문자 전환키(26)를 갖고 있으므로, 송신자는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를 다이얼링 키입력부(22)에 의해 다이얼링 하여 표시창(27)에 표시한다. 이때 송신자 전화기의 메모리에는 눌러진 키의 숫자코드가 순서대로 기억된다.
송신자가 통화키(24)를 누르면, 송신자 전화기(51)는 문자 다이얼링 하지 못하므로, 송신자 전화기(51)는 눌러진 키들의 숫자코드(예를 들면, KSC-5601 등, 유선전화기의 경우 DTMF 신호)를 교환기(52)로 송신한다.
교환기(52)는 상기 숫자코드를 수신하여 매칭서버(또는 지능망)(53)로 송신한다. 매칭서버(또는 지능망)(53)는 상기 숫자코드를 수신하여 그 코드들의 조합에 의해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를 획득한다. 그 후 다시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를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57)에서 검색하여 대응하는 전화번호(또는 전화선정보)를 읽어들여 수신자 전화기(54)와 연결한다.
그런데, 제9실시예에서는 지역언어 전화주소의 표시를 특수키 "#", "*"로 했으나, 제10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비스식별번호(예를 들면, 999, 007 등)로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도13에 본 발명의 제9,10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9,10실시예들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은 단계 S61∼S67까지는 도11의 단계 S41∼S47까지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매칭서버(또는 지능망)(53)는 순서대로 눌러진 키들의 숫자코드를 지역언어로 변환하고 이것을 다시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57)를 사용하여 지역언어로 변환된 전화주소의 코드와 대응하는 전화번호(전화선정보)를 검색하여 그것을 교환기 (52)로 송신한다(단계 S68).
교환기(52)는 상기 매칭서버(또는 지능망)(53)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또는 전화선정보)를 수신하여 수신자 전화기(14)에 연결한다(단계 S69).
연결 후 통화종료를 판단하여(단계 S70)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계속 연결을 유지하고, 통화가 종료된 경우 연결을 해제한다(단계 S71).
상기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의 실시예들을 종합하여 나타내면 표 1의 기재와 같다.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의 실시예
구분 송신자전화기 표시 Ⅰ구간 교환기 Ⅱ구간 매칭서버 Ⅲ구간 교환기 실시예
한글*1)전송 한글 한글 - - - - 한글→전화선정보 1
특수키,한글 특수키,한글 - - - - 한글→전화선정보 2
특수키,한글 특수키,한글 매칭서버로한글전송 한글 한글→숫자전화번호 숫자전화번호 숫자전화번호→전화선정보 3
서비스식별번호, 한글 서비스식별번호, 한글 4
특수키,숫자전송 특수키,한글 특수키,숫자 숫자→한글 - - - 한글→전화선정보 5
서비스식별번호, 한글 서비스식별번호, 숫자 숫자→한글 - - - 한글→전화선정보 6
특수키,한글 특수키,숫자 매칭서버로숫자전송 숫자 숫자→한글 한글 한글→전화선정보 7
서비스식별번호, 한글 서비스식별번호, 숫자 8
특수키,한글 특수키,숫자 매칭서버로숫자전송 숫자 숫자→한글→숫자전화번호 숫자전화번호 숫자전화번호→전화선정보 9
서비스식별번호, 한글 서비스식별번호, 숫자 10
* 1) 한글의 언어 대신에 영어, 일본어 등의 언어가 가능함.
이상의 설명은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에 대한 것이며, 이 방법을 인터넷 전화에 적용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데이터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송신하고, 또한 인터넷을 통해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재생한다.
도14에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인터넷 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장치는 VoIP(Voice Internet Protocol)에 의해 인터넷(62)을 통하여 전화통화하고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로 다이얼링 하는 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인터넷 전화기(61-1, 61-2, ..., 61-n)와; 인터넷(62)을 통해 전화주소를 수신하여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64)에서 대응하는 인터넷주소를 검색하여 연결하는 인터넷 전화서버(63)와;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인터넷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64)와; 인터넷(62)을 통해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VoIP장치(65)와; 상기 VoIP 장치(65)를 통해 통신하는 유선전화기(66)로 구성된다.
다수의 인터넷 전화기(61-1,61-2,...,61-n)는 VoIP(Voice Internet Protocol )에 의해 인터넷(62)을 통하여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이며, 사운드 카드, 마이크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통화자의 음성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넷(62)을 통해 통신한다.
송신자가 인터넷 전화기(예를 들면, 61-1)에 지역언어로 표현되는 전화주소를 입력하고 통화신호를 입력하면 인터넷 전화기(예를 들면, 61-1)는 상기 전화주소를 인터넷(62)을 통해 인터넷 전화서버(63)로 송신한다.
상기 전화주소를 수신한 인터넷 전화서버(63)는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64)에서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인터넷주소를 검색하여 상대 전화기(예를 들면, 66)에 연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지역언어로 표현된 웹페이지 주소와 인터넷주소를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지역언어로 표현된 웹페이지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대응되는 인터넷주소를 읽어들여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넷주소를 알지 못하더라도 지역언어로 표현되는 명칭만 알고 있으면 그 명칭을 입력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원하는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15에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해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된다.
지역언어로 표현된 웹페이지 주소를 송신하는 브라우저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71)와; 지역언어로 표현된 웹페이지 주소를 송신하는 브라우저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72)와; 상기 휴대 전화기(72)로부터 기지국(73)을 통하여 지역언어로 표현된 웹페이지 주소를 수신하여 지역언어 주소서버(76)로 송신하는 교환기(74)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71) 또는 교환기(74)로부터 지역언어로 표현된 웹페이지 주소를 수신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역언어로 표현된 웹페이지 주소에 해당하는 인터넷주소를 검색하여 연결해 주는 지역언어 주소서버(76)로 구성된다.
기존의 인터넷주소체계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에서는 4개의 숫자 "xxxx.xxxx.xxxx.xxxx."로 되어 있으며, 그 기본개념은 숫자로 웹페이지의 주소를 할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숫자체계로 된 인터넷주소는 기억하기가 어려워 도메인 네임(예를 들면, "daum.net")이라는 것을 숫자주소와 웹페이지 사이에 두게 되는데, 상기 도메인 네임을 지역언어로 표시하려는 시도가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키워드(예를 들면, "다음")방식이다.
그러나 도메인 네임을 지역언어로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숫자로 된 인터넷주소 자체를 지역언어로 사용한다면 더 편리한 인터넷주소체계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역언어 주소서버(76)는 지역언어로 된 인터넷주소와 대응하는 인터넷주소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 (71)로부터 수신되는 지역언어 인터넷주소에 대응하는 인터넷주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연결해 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컴퓨터(71)에서 인터넷주소창에 "중국집"을 입력하고, 브라우저를 통해 지역언어 주소서버(76)에 송신한다. 지역언어 주소서버 (76)는 수신된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대응하는 인터넷주소를 읽어들여 해당 웹페이지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71)를 연결한다.
한편, 휴대 전화기(72)는 지역언어로 표현된 웹페이지 주소를 송신하는 브라우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주소창에 지역언어로 표현된 웹페이지 주소(예를 들면, "중국집")를 입력한 후, 상기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기지국(73)으로 송신하면 상기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는 기지국(73)을 통해 교환기(74)로 송신된다.
교환기(74)는 상기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지역언어 주소서버(76)로 송신하고, 지역언어 주소서버(76)는 자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역언어 인터넷주소에 해당하는 인터넷주소를 검색하여 해당 웹페이지와 상기 휴대전화기(72)를 연결한다.
도16에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해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71) 또는 휴대전화기(72)로부터 인터넷주소를 수신하고(단계 S81), 상기 수신된 인터넷주소가 지역언어 인터넷주소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82).
상기 수신된 인터넷주소가 지역언어 인터넷주소가 아닌 경우 상기 인터넷주소를 도메인 네임 서버로 송신한다(단계 S86). 지역언어 인터넷주소인 경우, 어느 나라 언어로 표현된 인터넷주소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83).
해당 언어의 인터넷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역언어 인터넷주소에 대응하는 인터넷주소를 검색하고(단계 S84), 검색된 인터넷주소와 클라이언트 컴퓨터 (71) 또는 휴대전화기(72)를 연결하고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단계 S85).
이상에서 설명한 전화주소 및 인터넷주소는 공통적으로 지역언어 이외에 지역이름, 보통명사, 이름, 상호 일련번호 등과 함께 사용하여 특정지역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주소를 구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들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의 목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실시예들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형태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주소를 사용자가 기억하기 용이하고 사용하기 간단한 지역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숫자로 표현된 전화번호 또는 영어로 표현된 인터넷주소를 암기하는 불편 없이 원하는 전화기 또는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접속 방법에 의하면 필요시에 언제 어느 곳에서나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주문할 수 있게 되어 복잡한 현대생활에서 전화번호를 기억하거나 전화번호부를 참조하지 않고도 전화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긴급시 또는 일시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수신자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않고서도 전화통신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송신자 전화기에서 지역언어로 표현된 전화주소를 입력하고 그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전화주소를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상기 통신망의 일 부분에서 상기 전화주소에 대응하는 전화선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전화기로 접속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전화기를 인터넷 전화기로 대치하고 통신망을 인터넷으로 대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역언어 전화주소와 전화선정보를 대응시켜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역언어 전화주소와 기존의 숫자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전화기에서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를 통신망으로 전송할 때 상기 전화주소를 지역언어, 숫자,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코드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전화기의 키를 누르는 순서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의 사용을 나타내는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언어로 된 전화주소의 사용을 나타내는 식별번호를 앞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방법.
  9. 웹페이지 접속방법에 있어서,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넷주소가 숫자로 된 인터넷주소인가 지역언어로 된 인터넷주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넷주소가 지역언어인 경우에 어느 나라 언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지역언어의 인터넷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 입력된인터넷주소를 매칭하는 단계와;
    입력된 인터넷주소를 특정 웹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페이지 접속방법.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전화주소 및 인터넷주소를 지역언어코드, 지역이름, 보통명사, 이름, 상호, 일련번호, 특수문자의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 접속방법.
  11. 지역언어를 이용한 전화주소를 다이얼링 후 전송하는 송신자 전화기(11)와;
    상기 송신자 전화기(11)와 통신하는 수신자 전화기(14)와;
    상기 수신자 전화기(14)의 지역언어 전화주소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선정보를 매칭시킨 전화주소 데이터베이스(13)를 상기 송신자 전화기(11)와 수신자 전화기(14)를 연결하는 통신망 요소 중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요소는 교환기, 매칭서버 및 지능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전화기(11)가 지역언어 다이얼링 기능을 구비하지 못한 경우, 지역언어 다이얼링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전화주소를 상기 통신망 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전화기(11)가 지역언어 다이얼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숫자/문자 전환키(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장치.
  15. 적어도 하나 이상에 지역언어 인터넷주소가 할당된 다수의 인터넷 단말기와;
    상기 지역언어 인터넷주소가 할당된 인터넷 단말기의 그 지역언어 인터넷주소에 해당하는 인터넷주소를 매칭시킨 인터넷주소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지역언어 인터넷주소가 할당된 인터넷 단말기의 그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상기 인터넷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연결하는 인터넷주소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언어 인터넷주소를 이용한 인터넷 단말기접속장치.
KR1020030081878A 2003-11-18 2003-11-18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77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878A KR20040077820A (ko) 2003-11-18 2003-11-18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878A KR20040077820A (ko) 2003-11-18 2003-11-18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820A true KR20040077820A (ko) 2004-09-07

Family

ID=3736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878A KR20040077820A (ko) 2003-11-18 2003-11-18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78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380A (ko) * 2005-12-14 2007-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문자열 입력을 이용한 선택형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54986B1 (ko) * 2005-10-14 2007-09-04 조관현 전화번호 자동검색에 의한 자동다이얼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86B1 (ko) * 2005-10-14 2007-09-04 조관현 전화번호 자동검색에 의한 자동다이얼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63380A (ko) * 2005-12-14 2007-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문자열 입력을 이용한 선택형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240B1 (ko)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들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는 사전을 지니는 통신 장치
KR20060045938A (ko) 휴대전화 및 휴대정보단말
KR2010008434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국제 전화 오토 다이얼링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04137B1 (ko) 인터넷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인터넷 교환 서비스 시스템
US20020091754A1 (en) Wireless internet shortcut connection method using numerical combination and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method using shortcut buttons
KR20020019374A (ko) 수의 조합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70064919A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placing phone calls by using a fixed dial plan
EP1690412A1 (e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s
KR2002007912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과 그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검색방법
KR20040077820A (ko) 지역언어 전화주소를 이용한 전화접속 방법 및 그 장치
WO2005053295A1 (e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s
KR20020018523A (ko) 무선 인터넷 단축 접속 방법
KR100387065B1 (ko) 전화기의 발신 호 처리 및 디지트 코드 송출방법
KR100696095B1 (ko) 전화번호들 선택 개선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KR100763306B1 (ko) 통합통신 id의 통신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19153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공동 단축 다이얼링 방법
CN101310510A (zh) 用于在连接建立的范围内显示分配给呼叫号码的显示名的方法、通信终端设备和通信系统
CN1984163A (zh) 手机拨打“电话名字”的方法
KR100379408B1 (ko) 문자입력에의한자동다이얼링방법
KR100469810B1 (ko) 문자를 기준으로 한 전화 다이얼링 방법
KR20010025230A (ko) 음성도메인에 의한 인터넷접속 매개장치와 매개방법 및음성도메인의 데이터 베이스 생성방법
KR20090097667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무선인터넷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 방법.
CN1984164A (zh) 电话机拨打“电话名字”的方法
JP2951275B2 (ja) 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