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604A -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연신성 부직포 - Google Patents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연신성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604A
KR20020019604A KR1020027001571A KR20027001571A KR20020019604A KR 20020019604 A KR20020019604 A KR 20020019604A KR 1020027001571 A KR1020027001571 A KR 1020027001571A KR 20027001571 A KR20027001571 A KR 20027001571A KR 20020019604 A KR20020019604 A KR 20020019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olefin
ethylene
alpha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9842B1 (ko
Inventor
버가다다니엘씨.
스타시닉마이클이.
Original Assignee
간디 지오프레이 에이치.
바셀 테크놀로지 캄파니 비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디 지오프레이 에이치., 바셀 테크놀로지 캄파니 비이브이 filed Critical 간디 지오프레이 에이치.
Publication of KR20020019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42Strand or fiber material is a blend of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된 상태에서의 용융 유량이 250 내지 550g/10min인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45 내지 5중량%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을 90 내지 99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C4-10알파-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 55 내지 95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해 조성물로부터 직경이 15 내지 23마이크론인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섬유를 사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연신성 부직포 {Polyolefin composition containing low viscosity propylene homopolymer, fiber and extensible non-woven fabric prepared therefrom}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용융 유량이 높은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이루어진 섬유로부터 제조된 부직포는 허용가능한 인장강도, 우수한 횡방향 직물 신도, 양호한 가공성 및 개선된 직물 유연성과 드레이프성을 바람직하게 조합하여 나타낸다.
미국 특허 제5,460,884호에는 주성분으로서 고결정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미량 성분으로서 헤테로상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직포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부직포는 필적하는 부직포와 비교하여 강도는 매우 높지만 유연하다.
부직포는 기저귀, 1회용 의료 제품 및 개인 위생 제품을 포함한, 여러가지 제품에 허용된다. 이들 용도로 예정된 부직포에 피복 또는 스트레칭과 같은 제조후 피니슁(finishing)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인장강도가 높은 직물은 가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부적절한 유연성("드레이프성") 뿐만 아니라 감소된 직물 신도를 나타낼 수 있다.
용융 유량이 높은 폴리올레핀 섬유로부터 제조된 부직포가 제안된 바 있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5,529,850호에는 결정성 프로필렌 중합체와 다분산성 지수가 2.5 내지 3.7이고 용융 유량이 600 내지 2000g/10min인 공중합체로부터 생산된 섬유와 부직포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경이 미세한 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허용가능한 인장강도, 우수한 횡방향 직물 신도, 양호한 가공성 및 개선된 직물 유연성과 드레이프성을 포함한, 바람직한 특성이 조합되어 있는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중합된 상태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높은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C4-10알파-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직경이 15 내지 23μ인 섬유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제조되며 피크 인장 신도로 측정한 횡방향 섬유 신도가 탁월한 부직포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장점은 개선된 가공성, 유연성 및 드레이프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D-1238, 조건 L(230℃/2.16㎏)로 측정시, 중합된 상태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250 내지 550g/10min인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45 내지 5중량%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B) 55 내지 95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B)는 성분(1) 내지 성분(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성분(1)은 프로필렌을 90 내지 99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C4-10알파-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이고,
성분(2)는 프로필렌을 80 내지 98%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C4-8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a) 30 내지 65%와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10%인,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b) 또는 에틸렌 및 C4-8알파-올레핀과의 프로필렌의 삼원공중합체(공단량체의 총 함량은 2 내지 10%이다)(b) 약 35 내지 70%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이며,
성분(3)은 이소택틱 지수가 80 내지 99%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i), 프로필렌, 에틸렌 및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및 프로필렌과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중합체(a)(여기서, 공중합체(a)는 프로필렌을 85 내지 99% 함유하고, 이소택틱 지수가 80 내지 98%이다) 10 내지 50%, 에틸렌을 55% 이상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알파-올레핀을 1 내지 10% 함유하고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을 합하여 55% 이상 98% 이하로 함유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CH2=CHR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및 알파-올레핀을 55% 이상 98% 이하로 함유하는, 에틸렌과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실온 또는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이고, 시차 주사 열량법(DSC)에 의한 결정화도가 약 20 내지 60%이며, 필수적으로 선형인 반결정성 공중합체 분획(b) 5 내지 20% 및 에틸렌을 20 내지 40% 미만으로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알파-올레핀이 1 내지 10%의 양으로 존재하고, 존재하는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양이 20 내지 40% 미만인, 에틸렌, 프로필렌 및 CH2=CHR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및 알파-올레핀을 20 내지 40% 미만으로 함유하며, 임의로 디엔을 0.5 내지 10% 함유하는, 에틸렌과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며, 고유점도가 1.7 내지 3.0㎗/g인 공중합체 분획(c) 40 내지 80%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로서, 성분(3)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에틸렌 단위 또는 알파-올레핀 단위의 총량이 15 내지 35%이거나, 성분(3)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에 에틸렌 단위와 알파-올레핀 단위가 둘 다 존재할 경우,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총량이 15 내지 35%이고, 분획(b)와 분획(c)의 총량이, 성분(3)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65 내지 80%이며, (b)/(c)의 중량비가 0.1 내지 약 0.3이고, (b+c) 중의 에틸렌 또는 C4-8알파-올레핀 또는 이의 배합물의 총 함량이 50% 미만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이고,
성분(4)는 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함량이 85% 이상이고 이소택틱 지수가 85% 이상인, 에틸렌 및/또는 C4-8알파-올레핀과의 결정성 프로필렌 공중합체(a) 10 내지 60%, 소량의 디엔을 임의로 함유하며, 실온에서 크실렌 가용성이고, 에틸렌을 40 내지 70%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b) 30 내지 60% 및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반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8 내지 40%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올레핀 조성물이며,
성분(5)는 밀도가 0.88 내지 0.945g/㎤이고, 용융 지수가 0.1 내지 35g/10min이며, C4-8알파-올레핀을 20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성분(6)은 분지화 지수가 0.9 미만이거나 용융 장력이 3 내지 28cN인, 용융강도가 높은 프로필렌 중합체이며,
성분(7)은 성분(1) 내지 성분(7)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직경이 15 내지 23μ인 섬유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섬유로부터 제조되는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5 내지 4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 함유한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공지된 지글러-나타 촉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프로필렌 단량체 또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중의 이의 용액을 포함하는 액상으로 또는 기상으로 작업하거나, 액상과 기상 중합 단계를 조합한 공지된 방법에 따라 프로필렌을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또한 수개의 올레핀 조성물 B(1) 내지 B(5)중의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B를 55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중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C4-10알파-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인 B(1)이다. 상기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을 90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8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6.5 내지 99중량% 함유하며, 잔여량으로 에틸렌, C4-10알파-올레핀, 에틸렌과 C4-10알파-올레핀과의 혼합물 또는 C4-10알파-올레핀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B(1)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랜덤 공중합체의 예로는 프로필렌/에틸렌, 프로필렌/1-부텐, 프로필렌/1-펜텐, 프로필렌/1-옥텐 및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랜덤 공중합체는 각각의 단량체로부터 당해 분야의 통상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장치와 기술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공중합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부텐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랜덤 공중합체가 바셀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Basell USA, Inc.)와 같은 회사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D-1238, 조건 L(230℃/2.16㎏)에 따라 측정한 상기 랜덤 공중합체의 MFR은 10g/10min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g/10min이다. 이러한 용융 유량 수치는 중합반응에서 직접 수득하거나 비스브레이킹(visbreaking)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은
프로필렌을 80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C4-8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a) 3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65% 및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인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b), 또는 공단량체의 총 함량, 즉, 에틸렌과 C4-8알파-올레핀의 총 함량이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이고, 에틸렌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인, 에틸렌 및 C4-8알파-올레핀과의 프로필렌의 삼원공중합체(b) 약 3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55%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B(2)일 수 있다.
또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은
이소택틱 지수가 80 내지 99%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9%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i), 프로필렌, 에틸렌 및 CH2=CHR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및 프로필렌과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프로필렌을 85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 함유하며, 이소택틱 지수가 80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8%인 공중합체(a)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에틸렌을 55% 이상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알파-올레핀을 1 내지 10% 함유하고,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을 합하여 55% 이상 98%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 함유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CH2=CHR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및 알파-올레핀을 55% 이상 98%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 함유하는, 에틸렌과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시차 주사 열량법(DSC)에 의한 결정화도가 약 20 내지 60%이고, 실온 또는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필수적으로 선형인 반결정성 공중합체 분획(b) 5 내지 20% 및
에틸렌을 20 내지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8%,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8%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알파-올레핀이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양으로 존재하고, 존재하는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양이 20% 내지 40% 이하인, 에틸렌, 프로필렌 및 CH2=CHR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ii) 및 알파-올레핀을 20 내지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8%,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8% 함유하고, 임의로 디엔을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함유하는, 에틸렌과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고, 고유점도가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3.0㎗/g인 공중합체 분획(c) 40 내지 80%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에틸렌 단위 또는 알파-올레핀 단위의 총량이 15 내지 35%이거나,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에 에틸렌 단위와 알파-올레핀 단위가 둘 다 존재할 경우, 에틸렌과 알파-올레핀 단위의 총량이 15 내지 35%이고, 분획(b)와 분획(c)의 총량이, 전체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65 내지 80%이며, (b)/(c)의 중량비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약 0.3이고, (b+c) 중의 에틸렌 또는 C4-8알파-올레핀 또는 이의 배합물의 총 함량이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B(3)일 수 있다.
또는,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은
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또는 프로필렌 함량이 85% 이상이고 이소택틱 지수가 85% 이상인 에틸렌 및/또는 C4-8알파-올레핀과의 결정성 프로필렌 공중합체(a)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소량의 디엔을 임의로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 가용성이고, 에틸렌을 40 내지 70%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b)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및
실온에서 크실렌 불용성인, 반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8 내지 40%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올레핀 조성물 B(4)일 수 있다.
또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은 C4-8알파-올레핀을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4%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5)일 수 있다.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89 내지 0.94g/㎤, 가장 바람직하게는 0.900 내지 0.935g/㎤이다. 용융 지수[ASTM D1238, 조건 E(190℃/2.16㎏)]는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33g/10min, 가장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30g/10min이다.
또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은 용융 강도가 높은 프로필렌 중합체 B(6)일 수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554,668호에 기재된 조사 공정을 사용하거나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047,485호에 기재된 공정을 사용하여 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프로필렌 중합체로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C4-10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 헤테로상 또는 내충격성이 개질된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프로필렌 중합체는 시판되고 있다.
분지화 지수(branching index)는 용융 강도가 높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중에 존재하는 장쇄 분지도를 정량하는 것이다. 이는 수학식 1로 정의된다:
위의 수학식 1에서,
g'는 분지화 지수이고,
[IV]Br는 측쇄 프로필렌 중합체의 고유점도이며,
[IV]Lin는 실질적으로 분자량 평균 분자량이 동일한 상응하는 선형 프로필렌 중합체의 고유점도이다.
제2 성분의 용융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6cN,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4cN이다. 용융 장력은 물질의 용융 강도의 지표를 제공하며, 곳트페르트 로텐스(Gottfert Rheotens) 용융 장력 장치(제조원; Gottfert Inc.)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용융 중합체의 스트랜드의 장력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단위; centi-Newton): 시험하고자 하는 중합체를 길이가 20㎜이고 직경이 2㎜인 모세관을 통해 180℃에서 압출시키고, 이어서, 스트랜드를 0.3㎝/sec2로 일정하게 가속시키는 연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스트레칭시킨다. 상기한 연신으로부터 발생하는 장력을 측정한다(단위; centi-Newton). 용융 장력이 더 높다는 것은 용융 강도 수치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는 특정 물질의 스트레인 경화 능력(strain hardening ability)의 지표가 된다.
또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은 B(1) 내지 B(6)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B(2) 내지 B(4)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508,318호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B(5)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455,303호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촉매는 특허 문헌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339,054호, 제5,539,067호 및 제5,618,771호에 기재되어 있는 촉매가 특히 적합하다. 촉매의 다른 예가 미국 특허 제4,472,524호 및 제4,473,660호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반응에 사용되는 상기 언급한 촉매는
a) 염화마그네슘에 지지되어 있는 티탄 화합물과 전자-공여체 화합물(내부 전자 공여체)를 활성 형태로 함유하는 고체 성분,
b)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조촉매) 및
c) 전자-공여체 화합물(외부 전자-공여체) 간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이들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고체 촉매 성분(a)는 에테르, 케톤, 락톤, N, P 및/또는 S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모노카복실산 에스테르 및 디카복실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전자-공여체로서 함유한다.
고체 촉매 성분(a)용으로 적합한 전자 공여체로는 모노벤질 모노부틸 프탈레이트; 말론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디이소부틸 및 디에틸 말로네이트; 알킬 및 아릴 피발레이트;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아릴 말레에이트; 알킬 및 아릴 카보네이트, 예를 들면, 디이소부틸 카보네이트, 모노에틸 모노페닐 카보네이트 및 디페닐 카보네이트; 숙신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모노- 및 디에틸 숙시네이트가 포함된다. 특히 적합한 것은 프탈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필, 디-n-부틸, 디이소부틸, 디-n-펜틸, 디이소펜틸, 디헥실, 디헵틸 및 디옥틸 프탈레이트이다. 특히 적합한 그외의 전자-공여체로는 화학식 I의 1,3-디에테르가 있다:
위의 화학식 I에서,
R, RI, RII, RIII, RIV및 RV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H, C1-18직쇄 또는 측쇄 알킬, C5-18사이클로알킬, C6-18아릴, C7-18알킬아릴 또는 C7-18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단 R이 H 또는 알킬인 경우에는 RI은 H 또는 알킬이 아니며, RI이 H 또는 알킬인 경우에는 R은 H 또는 알킬이 아니고,
RVI및 RVII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C1-18직쇄 또는 측쇄 알킬, C5-18사이클로알킬, C6-18아릴 또는 C7-18아릴알킬 라디칼이고,
R 내지 RV중의 2개 이상은 결합되어 탄소수 5 내지 18의 사이클릭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I과 일치하는 구조를 갖는 에테르의 예시적인 예로는 2,2-디페닐-1,3-디메톡시프로판, 2,2-디벤질-1,3-디메톡시프로판, 2,2-비스(사이클로헥실메틸) 1,3-디메톡시프로판, 1,3-비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산 및 2,2'-비스(메톡시메틸)노보난, 2-메틸-2-이소프로필-1,3-디메톡시프로판, 2,2-디이소부틸-1,3-디메톡시프로판 및 2-이소프로필-2-사이클로펜틸-1,3-디메톡시프로판이 포함된다. 상기 유형의 디에테르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095,153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촉매 성분은 각종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이들 중의 하나는 마그네슘 디할라이드(수분 함량이 1% 미만인 무수 상태로 사용함)를 마그네슘 디할라이드가 활성화되는 조건하에서 분쇄시키거나, 티탄 화합물 및 전자-공여체 화합물과 함께 동시-분쇄시키고, 이어서, 분쇄된 생성물을 80 내지 135℃의 온도에서 과량의 TiCl4로 1회 이상 처리한 다음, 염소 이온이 세척수로부터 사라질 때까지 탄화수소(예를 들면, 헥산)로 반복해서 세척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자-공여체 화합물은 또한 분쇄 공정 동안 또는 과량의 TiCl4로 처리하는 동안에 첨가할 수도 있다. 과량의 TiCl4를 사용한 처리 단계를 1회 이상 사용할 경우에는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제1 처리 동안 가한다.
다른 방법에 따라, 무수 마그네슘 할라이드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비활성화시키고, 이어서, 용액 중에 전자-공여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TiCl4로 1회 이상 처리한다. 이 경우에도, 공정을 80 내지 135℃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임의로, TiCl4처리를 반복한다. 이어서, 고체를 헥산 또는 다른 용매로 세척하여 모든 미량의 미반응 TiCl4를 제거한다. 전자-공여체 화합물은 또한 과량의 TiCl4로 처리하는 동안에 과량의 TiCl4를 사용한 처리 단계를 1회 이상 사용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제1 처리 동안에 가할 수 있다.
다른 방법에 따라, MgCl2nROH 부가물(특히, 구형 입자의 형태)(여기서, n은 일반적으로 1 내지 3이고, ROH는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소부탄올이다)을 용액 중에 전자-공여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과량의 TiCl4로 1회 이상 처리한다. 전자-공여체 화합물은 또한 과량의 TiCl4로 처리하는 동안에, 과량의 TiCl4를 사용한 처리 단계를 1회 이상 사용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제1 처리 동안에 가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범위는 일반적으로 80 내지 120℃이다. 반응 후, 고체를 단리시키고 TiCl4로 1회 이상 처리한 다음, 모든 미량의 미반응 TiCl4가 제거될 때까지 탄화수소 용매로 세척한다.
또다른 방법에 따르면, 마그네슘 알콜레이트 및 클로로알콜레이트(클로로알콜레이트는 미국 특허 제4,220,554호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를 상기한 바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액 중에 전자-공여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과량의 TiCl4로 1회 이상 처리한다. 전자-공여체 화합물은 또한 과량의 TiCl4로 처리하는 동안에, 과량의 TiCl4를 사용한 처리 단계를 1회 이상 사용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제1 처리 동안에 가할 수 있다.
Ti 함량으로서 표시되는, 고체 촉매 성분 중의 티탄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고체 마그네슘 디할라이드상에 고정된 상태로 남아있는 전자-공여체 화합물의 양은 통상적으로, 마그네슘 디할라이드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20몰% 범위이다.
촉매 성분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티탄 화합물은 할라이드 또는 할로겐 알콜레이트이다. 티탄 테트라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티탄 트리할라이드, 특히 TiCl3HR(여기서, HR은 환원된 수소이다), TiCl4ARA(여기서, ARA는 환원되고 활성화된 알루미늄이다) 및 티탄 할라이드 알콜레이트, 예를 들면, TiCl3OR(여기서, R은 페닐 라디칼이다)을 사용해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수득된다.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활성화된 마그네슘 디할라이드가 형성된다. 이미 언급한 것들 외에, 마그네슘 할라이드와는 상이한 마그네슘 화합물, 예를 들면, 마그네슘 카복실레이트로부터 출발하여 활성화된 마그네슘 디할라이드를 형성시키는 다른 반응들도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고체 촉매 성분 중의 활성 형태의 마그네슘 할라이드는, 촉매 성분의 X-선 스펙트럼에서 주 강도 반사가 비활성화 마그네슘 디할라이드의 스펙트럼에서 출현하는 주 강도 반사에 비해 적어도 30% 이상 하프-피크가 큰 폭을 나타낸다는 사실 또는 주 강도 반사(표면적이 3㎡/g보다 작은 비활성화 마그네슘 할라이드의 스펙트럼에서 출현함)가 부재하고 이의 위치에 비활성화 마그네슘 할라이드의 최대 강도 반사 위치에 비해 이동한 최대 강도를 갖는 할로가 있다는 사실로 확인할 수 있다. 마그네슘 할라이드의 최대 활성 형태는 X-선 스펙트럼이 할로를 나타내는 것들이다.
마그네슘 디할라이드 중에서, 염화마그네슘이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최대 활성 형태의 염화마그네슘의 경우, 촉매 성분의 X-선 스펙트럼은 반사 대신 할로를 나타내며, 이는 비활성화 염화마그네슘의 스펙트럼에서 2.56Å의 거리에 위치한다.
조촉매(b)로서,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 예를 들면, Al-트리에틸, Al-트리이소부틸 및 Al-트리-n-부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촉매(b)의 다른 예로는 O 또는 N원자에 의해 또는 SO2, SO3, 또는 SO4그룹에 의해 결합된 2개 이상의 Al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사이클릭 Al-알킬 화합물이 있다. 이들 화합물의 몇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하기 화합물에서, n은 1 내지 20이다):
(C2H5)2--Al--O-Al(C2H5)2
(C2H5)2--Al--N(C6H5)-Al(C2H5)2
(C2H5)2--Al--SO2-Al(C2H5)2
CH3--[(CH3)Al--O-]n--Al(CH3)2
--[(CH3)Al--O]n--
일반적으로, Al-알킬 화합물은 Al/Ti 비가 1 내지 1000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외부 전자-공여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공여체 화합물(c)은 방향족 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알킬산 벤조에이트),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예를 들면,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2,6-디이소프로필피페리딘), 특히, 하나 이상의 S0--OR 결합(여기서, R은 탄화수소 라디칼이다)을 갖는 규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규소 화합물의 몇가지 예로는 (3급-C4H9)2Si(OCH3)2및(C6H5)2Si(OCH3)2가 있다. 적합한 규소 화합물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539,067호, 제5,618,771호 및 미국 특허 제08/469,735호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I의 1,3-디에테르 화합물은 또한 외부 공여체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내부 공여체가 화학식 I의 1,3-디에테르 중의 하나일 경우, 외부 공여체를 생략할 수 있다.
탄화수소 용매 중의 현탁액으로 촉매를 유지하고 주위 온도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중합시키면서, 촉매를 소량의 올레핀과 미리 접촉시킬 수 있다(예비중합). 생성되는 중합체의 양은 촉매 중량의 0.5 내지 3배이다.
예비중합은 또한 앞서 제시한 온도 조건하에서 액상 프로필렌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촉매 성분 g당 1000g까지 달할 수 있는 양의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MFR은 ASTM D-1238, 조건 L(230℃/2.16㎏)로 측정하여 250 내지 550g/10min,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50g/10min, 가장 바람직하게는 380 내지 420g/10min이다. 이러한 MFR 수치는 당해 분야의 통상의 숙련가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후-중합(비스브레이킹)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중합반응 중에("중합된 상태에서의 MFR") 직접 수득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바셀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과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당해 분야의 통상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기술과 장치를 사용하여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2가지 성분을 혼합기에서 함께 혼합하고, 통상의 온도와 혼합 속도에서 작동되는 통상의 일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으로 압출시킨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MFR은 ASTM D-1238, 조건 L(230℃/2.16㎏)로 측정하여 20 내지 70g/10min,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g/10min이다.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D)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수평균 분자량(Mn)으로 나눈 값으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다분산성 지수는 전형적으로 3.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3.7,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7이다. 다분산성 지수(P.E.)는 레올로지 측정법으로 수득되는 매개변수이며, 이는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와 상관성이 있다. 특히, P.I.가 낮을수록 MWD가 더 좁아진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유기 포스파이트 및/또는 포스포나이트, 하나 이상의 HALS(장애된 아민 광안정화제) 및 하나 이상의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파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시바 스페셜티 케마칼스 코포레이션(Ciba Specialty Chemicals Corp.)에 의해 이르가포스(Irgafos) 168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GE 스페셜티 케미칼스(GE Specialty Chemicals)에 의해 웨스톤(Weston) 618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아사시 덴카(Ashasi Denka)에 의해 ADK 스탑(Stab) P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4,4'-부틸리덴비스(3-메틸-6-3급-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모노노닐페닐)포스파이트; GE 스페셜티 케미칼스에 의해 울트라녹스(Ultranox) 626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비스(2,4-디-3급-부틸)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가 있다.
HALS는 분자 중에 하나 이상의 치환된 아민, 바람직하게는 피페리딘 그룹을갖는 단량체성 또는 올리고머성 화합물이다. 치환된 피페리딘 그룹을 갖는 HALS의 구체적인 예로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코포레이션에 의해 키마소브(Chimassorb) 944, 티누빈(Tinuvin) 770, 티누빈 765, 티누빈 622, 티누빈 144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화합물 및 사이텍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Cytec Industries Inc.)에 의해 사이아소브(Cyasorb) UV 3346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예시적인 예로는 트리스-(4-3급-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s-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칼슘 비스[모노에틸(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1,3,5-트리스(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s-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1,3,5-트리-메틸-2,4,6-트리스 (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2,6-디메틸-3-하이드록시-4-3급-부틸벤질 아비에테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안정화제 패키지는 이르가포스 168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200 내지 400ppm; 티누빈 622 폴리(N-베타-하이드록시메틸-2,2,6,6-테트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딜 숙시네이트) 장애된 아민 광안정화제 200 내지 400ppm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200 내지 400ppm을 포함한다. 이들 안정화제를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가한 다음 펠릿화시키거나 표면 피복시킬 수 있으며, 또는, 이들을 폴리올레핀과 기계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연속 중합체 필라멘트를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 예를들면, UV 안정화제, 안료, 광택제거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발수제 및 알코올 반발제(alcohol repellent) 등을 통상적인 양, 전형적으로 약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폴리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기술과 장치를 사용하여 섬유 및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을 방사구금을 통하여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 압출시킨 다음, 이를 보빈(bobbin)에 권취시키기 전에 연신시키고 급냉시킬 수 있다. 또는, 압출시킨 섬유를 공지된 기술, 예를 들면, 스펀본딩법, 용융취입법, 니들펀칭법, 에어-레잉법 등을 사용하여 즉시 부직포로 성형시킬 수 있다. 용어 "부직포"는 각각의 섬유 또는 트레드가 사이에 끼워져 있기는 하지만 편직물에서와 같이 규칙적인 반복 방식을 취하고 있지는 않는 구조를 갖는 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섬유는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출발 물질로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섬유는 전형적으로 섬유 직경이 14 내지 23마이크론,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7.5마이크론, 가장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7마이크론이다.
스펀본딩 공정은 일반적으로 중합체를 가열된 압출기로 공급하는 호퍼를 사용하며, 이는 중합체를 방사구금의 홀에 통과시킴으로써 중합체를 다수의 필라멘트로 성형시키는 방사구금으로 용융된 중합체를 공급한다. 상기 필라멘트는 통상적으로 저압에서 공기로 급냉시키고, 통상적으로 공기의 작용에 의해 연신시켜, 움직이는 다공성 매트, 벨트 또는 "성형 와이어"상에 부착시켜 부직포를 형성한다. 스펀본딩 가공 온도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약 175 내지 320℃이다.
"횡방향 피크 신도"는 직물 강도가 피크에 있을 때의 직물의 신도이다. "횡방향 신도"는 직물이 파단되는 최대 신도이다. 횡방향 신도는 횡방향 피크 신도보다 높다.
소정의 섬유 직경에서, 직물 신도는 일반적으로 직물을 최적 접착 온도에서 접착시킬 경우 최대로 된다. 직물 신도는 직물 중량이 감소됨에 따라 낮아진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피크 인장 신도로 측정시 우수한 횡방향 직물 신도와, 비교적 낮은 인장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직포는 21 내지 26g/㎠의 직물 중량에서 ASTM D-5035로 측정한 피크 인장 신도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상기와 같은 부직포는 부직포 제품 또는 기저귀, 1회용 의료 제품(예를 들면, 병원용 가운) 및 개인용 위생 제품(예를 들면, 생리대)과 같은 제품의 부직포 성분으로 제조시 가공성(예를 들면, 220℃의 용융 온도에서 4000m/min 이상의 높은 용융 방사 속도)과 개선된 "드레이프성"의 바람직한 조합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부직포는 ASTM D-5035로 측정한 인장강도가 750g/㎝ 미만으로 비교적 낮은 인장강도를 갖는다. 부직포의 인장강도는 바람직하게는 700g/㎝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g/㎝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50g/㎝이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정 양태를 설명하고자 함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허용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I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리펜하우저(Reifenhauser) II 스펀본딩기를 사용하여 직물 중량이 25g/㎡인 스펀본딩 직물 샘플로 전환시킨다. 단독중합체는 450℉에서 압출시키고, 반면에,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415℉에서 압출시킨다. 상기 단독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직물은 270℉에서 접착시키고, 반면에,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직물은 250℉에서 접착시킨다. ASTM D-5035, 스트립 인장(Strip Tensile)에 따라 1x6inch 샘플과 12inch/min의 크로스헤드 속도를 사용하여 직물 시험을 수행한다. 샘플당 5개의 표본을 시험하여 직물 신도과 인장강도의 평균치를 구한다.
샘플 조성 MFR 비스브레이킹 P.I. 섬유직경 횡방향인장강도 횡방향 신도
I-1 100% PP 35 실행 2.3 17.3 750 77%
I-2 100% PP 35 불실행 3.6 17.9 688 98%
I-3 80% I-1 65 블렌드 3.7 17.5 623 80%
I-4 100% 35 실행 2.1 17.8 596 54%
I-5 100% 38 불실행 3.4 22.4 615 80%
I-6 100% 53 불실행 3.3 21.5 604 77%
I-7 80% I-5; 53 불실행 3.6 16.9 583 157%
*중합된 상태에서의 MFR이 400인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로서, 바셀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시판됨
상기 표 1로부터 다음의 몇가지 관찰사항을 입수할 수 있다:
1. 샘플 I-4(MFR이 35g/10min인 비스브레이킹된 랜덤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샘플 I-1(MFR이 35g/10min인 비스브레이킹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로부터제조된 부직포보다 피크 신도가 낮은 부직포를 생산하였다.
2. 샘플 I-5(중합된 상태에서의 MFR이 38g/10min인 랜덤 공중합체)는 MFR이 35g/10min인 비스브레이킹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샘플 I-1)에 필적하는 조악한 조작성과 피크 신도를 갖는 불량하게 형성된 부직포를 생산하였다.
3. 샘플 I-2(중합된 상태에서의 MFR이 35g/10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샘플 I-1(MFR이 35g/10min이 되도록 비스브레이킹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보다 우수한 피크 신도를 갖는 부직포를 생산하였다.
4. 샘플 I-7(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피크 신도가 명백히 탁월한 부직포를 생산하였다.
실시예 II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하여, 실시예 I의 일반적인 과정을 사용하지만 다른 장치를 사용하여 부직포로 성형시킨다. 제조된 직물의 직물 중량은 22g/㎡이었다. 샘플에 관한 설명은 표 2에 기재되어 있으며, 샘플 특성은 표 3에 기재되어 있고, 샘플 신도와 인장강도는 표 4에 보고되어 있다.
샘플에 대한 설명
샘플 번호 설명 MFR
II-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35
II-2 랜덤 공중합체1 38
II-3 랜덤 공중합체2 52
II-4 80% II-2+20% 프로필렌 단독중합체3 60
II-5 80% II-2+10% 프로필렌 단독중합체2 44
II-6 63% 랜덤 공중합체437% 프로필렌 단독중합체2 39
1에틸렌을 3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
2에틸렌을 3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
3중합된 상태에서의 MFR이 400g/10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로서 바셀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시판됨.
4에틸렌을 3중량% 함유하며 MFR이 10g/10min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로서 바셀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시판됨.
샘플 특성
샘플 번호 최대 방사 속도(m/min) P.I.
II-1 4950 2.24
II-2 4580 3.39
II-3 5780 3.31
II-4 4340 3.53
II-5 4420 3.46
II-6 3420 3.89
최대 신도 및 상응하는 인장의 비교
샘플 번호 횡방향 신도 최대 신도 횡방향 인장 최대 인장
(1) 섬유 크기 16.5 마이크론
II-1 60 60 1.7 3
II-2 85 90 1.3 2.2
II-3 85 90 1.7 2.3
II-4 120 90 2.3 2.5
II-5 100 90 1.7 2.5
II-6 105 90 1.9 2.7
(2) 섬유 크기 19마이크론
II-1 60 60 1.4 2.5
II-2 100 75 1.4 1.8
II-3 110 90 1.4 1.8
II-4 90 90 1.8 1.8
II-5 85 85 1.4 2
II-6 110 90 1.6 2.3
상기 데이타로부터 다음과 같은 관찰사항을 이끌어낼 수 있다:
1. 샘플 II-4[중합된 상태에서의 MFR이 400g/10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0중량%와 중합된 상태에서의 MFR이 38g/10min인 랜덤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3% 에틸렌) 80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시험한 샘플중에서 직물 신도가 가장 높은 부직포를 생산하였다.
2. 샘플 II-6[중합된 상태에서의 MFR이 400g/10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37중량%와 중합된 상태에서의 MFR이 10g/10min인 랜덤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3% 에틸렌) 63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샘플 II-4에 필적하는 피크 신도를 갖는 부직포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샘플 II-6은 샘플 II-4보다 16.5마이크론 직경에서 방사시키기가 더 어려웠다.

Claims (20)

  1. 중합된 상태에서의 용융 유량이 250 내지 550g/10min인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45 내지 5중량%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B) 55 내지 95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B)는 성분(1) 내지 성분(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성분(1)은 프로필렌을 90 내지 99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C4-10알파-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이고,
    성분(2)는 프로필렌을 80 내지 98%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C4-8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a) 30 내지 65%와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10%인,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b) 또는 에틸렌 및 C4-8알파-올레핀과의 프로필렌의 삼원공중합체(공단량체의 총 함량은 2 내지 10%이다)(b) 약 35 내지 70%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이며,
    성분(3)은 이소택틱 지수가 80 내지 99%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i), 프로필렌, 에틸렌 및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및 프로필렌과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중합체(a)(여기서, 공중합체(a)는 프로필렌을 85 내지 99% 함유하고, 이소택틱 지수가 80 내지 98%이다) 10 내지 50%, 에틸렌을 55% 이상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알파-올레핀을 1 내지 10% 함유하고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을 합하여 55% 이상 98% 이하로 함유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CH2=CHR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및 알파-올레핀을 55% 이상 98% 이하로 함유하는, 에틸렌과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실온 또는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이고, 시차 주사 열량법(DSC)에 의한 결정화도가 약 20 내지 60%이며, 필수적으로 선형인 반결정성 공중합체 분획(b) 5 내지 20% 및 에틸렌을 20 내지 40% 미만으로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알파-올레핀이 1 내지 10%의 양으로 존재하고, 존재하는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양이 20 내지 40% 미만인, 에틸렌, 프로필렌 및 CH2=CHR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및 알파-올레핀을 20 내지 40% 미만으로 함유하며, 임의로 디엔을 0.5 내지 10% 함유하는, 에틸렌과 CH2=CHR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며, 고유점도가 1.7 내지 3.0㎗/g인 공중합체 분획(c) 40 내지 80%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로서, 성분(3)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에틸렌 단위 또는 알파-올레핀 단위의 총량이 15 내지 35%이거나, 성분(3)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에 에틸렌 단위와 알파-올레핀 단위가 둘 다 존재할 경우,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총량이 15 내지 35%이고, 분획(b)와 분획(c)의 총량이, 성분(3)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65 내지 80%이며, (b)/(c)의 중량비가 0.1 내지 약 0.3이고, (b+c) 중의 에틸렌 또는 C4-8알파-올레핀 또는 이의 배합물의 총 함량이 50% 미만인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이고,
    성분(4)는 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함량이 85% 이상이고 이소택틱 지수가 85% 이상인, 에틸렌 및/또는 C4-8알파-올레핀과의 결정성 프로필렌 공중합체(a) 10 내지 60%, 소량의 디엔을 임의로 함유하며, 실온에서 크실렌 가용성이고, 에틸렌을 40 내지 70%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b) 30 내지 60% 및 실온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반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8 내지 40%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올레핀 조성물이며,
    성분(5)는 밀도가 0.88 내지 0.945g/㎤이고, 용융 지수가 0.1 내지 35g/10min이며, C4-8알파-올레핀을 20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성분(6)은 분지화 지수가 0.9 미만이거나 용융 장력이 3 내지 28cN인, 용융 강도가 높은 프로필렌 중합체이며,
    성분(7)은 성분(1) 내지 성분(7)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이 성분 B(1)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성분(A) 40 내지 5중량%와 성분(B) 60 내지 95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성분 B(1)의 용융 유량이 10g/10min 이상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유량이 350 내지 450g/10min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용융 유량이 20 내지 70g/10min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다분산성 지수가 3.0 내지 4.5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이 성분 B(2)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이 성분 B(3)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이 성분 B(4)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이 성분 B(5)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2. 제1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섬유 직경이 15 내지 23마이크론인 섬유.
  13. 제12항에 있어서, 섬유 직경이 16 내지 20마이크론인 섬유.
  14. 제12항의 섬유를 포함하며 21 내지 26g/㎡의 직물 중량에서 피크 인장 신도가 80% 이상인 부직포.
  15. 제14항에 있어서, 피크 인장 신도가 100% 이상인 부직포.
  16. 제15항에 있어서, 피크 인장 신도가 120% 이상인 부직포.
  17. 제14항에 있어서, 직물의 인장강도가 750g/㎝ 미만인 부직포.
  18. 제14항에 있어서, 직물의 인장강도가 700g/㎝ 미만인 부직포.
  19.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이 성분 B(6)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이 성분 B(7)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20027001571A 2000-06-07 2001-05-23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연신성 부직포 KR100769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89,472 US6476135B1 (en) 2000-06-07 2000-06-07 Polyolefin composition containing low viscosity propylene homopolymer, fiber and extensible non-woven fabric prepared therefrom
US09/589,472 2000-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604A true KR20020019604A (ko) 2002-03-12
KR100769842B1 KR100769842B1 (ko) 2007-10-24

Family

ID=2435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571A KR100769842B1 (ko) 2000-06-07 2001-05-23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연신성 부직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6476135B1 (ko)
EP (1) EP1222227B1 (ko)
JP (1) JP2003535944A (ko)
KR (1) KR100769842B1 (ko)
CN (1) CN1205261C (ko)
AR (1) AR028130A1 (ko)
AT (1) ATE465213T1 (ko)
AU (1) AU779850B2 (ko)
BR (1) BR0106727A (ko)
CA (1) CA2381333A1 (ko)
DE (1) DE60141881D1 (ko)
RU (1) RU2274648C2 (ko)
WO (1) WO2001094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0713B2 (en) * 2000-03-23 2004-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atbilizer and modifier for poly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polyolefins
US6642317B1 (en) * 2000-11-15 2003-11-04 Polypropylene Belgium Naamlose Vennootschap Composition based on propylene polymers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US20030131889A1 (en) * 2002-01-11 2003-07-17 Kim Jin Wook Pilot poppet type pressure control valve
US6846450B2 (en) * 2002-06-20 2005-0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a nonwoven web
US7271209B2 (en) 2002-08-12 2007-09-1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ibers and nonwovens from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CA2492839C (en) 2002-08-12 2011-02-0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US8003725B2 (en) 2002-08-12 2011-08-2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hetero-phase polyolefin blends
US7531594B2 (en) 2002-08-12 2009-05-1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rticles from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US7998579B2 (en) 2002-08-12 2011-08-1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based fibers and nonwovens
US8466235B2 (en) * 2002-08-27 2013-06-18 Braskem America, Inc. Polypropylene blends for non-woven production
US7700707B2 (en) 2002-10-15 2010-04-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WO2004046214A2 (en) 2002-10-15 2004-06-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US8192813B2 (en) 2003-08-12 2012-06-0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rosslinked polyethylene articles and processes to produce same
MXPA06008387A (es) 2004-01-26 2006-09-04 Procter & Gamble Fibras y telas no tejidas que comprenden mezclas y combinaciones de polipropileno.
JP4599366B2 (ja) * 2004-01-27 2010-12-1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メルトフローレートの高い繊維を含有する柔軟で伸張性のある不織布ウェブ
CN1918228B (zh) * 2004-02-12 2010-12-01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适合纤维和无纺布的聚丙烯树脂
WO2005102682A2 (en) 2004-04-16 2005-11-03 First Quality Nonwovens, Inc. Plastically deformable nonwoven web
BRPI0509812A (pt) * 2004-04-30 2007-10-0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ano não tecido, fibra e artigo feito da fibra
EP1609890A1 (en) * 2004-06-24 2005-12-28 Borealis Technology OY Polypropylene fibres
US20060003154A1 (en) * 2004-06-30 2006-01-05 Snowden Hue S Extruded thermoplastic articles with enhanced surface segregation of internal melt additive
US7585796B2 (en) 2004-11-26 2009-09-08 Mitsui Chemicals, Inc.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and use thereof
ES2328611T3 (es) * 2004-12-17 2009-11-1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eliculas de mezclas de polimeros.
WO2006065649A1 (en) * 2004-12-17 2006-06-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eterogeneous polymer blends and molded articles therefrom
CN104963085A (zh) * 2004-12-17 2015-10-07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聚合物共混物和由其获得的无纺制品
US8389615B2 (en) 2004-12-17 2013-03-0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lasto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vinylaromatic block copolymer, polypropylene, plastomer, and low molecular weight polyolefin
ATE467658T1 (de) * 2004-12-17 2010-05-15 Exxonmobil Chem Patents Inc Homogenes polymerblend und artikel daraus
JP4638256B2 (ja) * 2005-03-02 2011-02-23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8513347B2 (en) 2005-07-15 2013-08-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lastomeric compositions
US8696888B2 (en) 2005-10-20 2014-04-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ydrocarbon resid processing
US8168550B2 (en) * 2006-11-30 2012-05-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ensible nonwoven webs containing monocomponent nanocomposite fibers
US8173559B2 (en) * 2006-11-30 2012-05-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ensible nonwoven webs containing multicomponent nanocomposite fibers
EP1964948A1 (en) * 2007-02-28 2008-09-03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Polypropylene fibers and spunbond nonwoven with improved properties.
EP2207917A1 (en) 2007-10-31 2010-07-2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spunbond fibers
US8986432B2 (en) 2007-11-09 2015-03-24 Hollingsworth & Vose Company Meltblown filter medium, related applications and uses
EP2096197A1 (en) * 2008-02-27 2009-09-0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spunbond fibers
EP2113541A1 (en) * 2008-04-28 2009-11-04 Borealis AG Adhesive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suitable for extrusion coating of paper substrates
US10161063B2 (en) 2008-09-30 2018-12-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based elastic meltblown fabrics
US9168718B2 (en) 2009-04-21 2015-10-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for producing temperature resistant nonwovens
US8664129B2 (en) 2008-11-14 2014-03-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xtensible nonwoven facing layer for elastic multilayer fabrics
US9498932B2 (en) 2008-09-30 2016-11-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layered meltblown composit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8945460B2 (en) * 2008-10-27 2015-02-03 Borealis Ag Extrusion blown molded bottles with high stiffness and transparency
EP2401144A1 (en) 2009-02-27 2012-01-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layer nonwoven in situ laminat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8950587B2 (en) 2009-04-03 2015-02-10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suitable for hydraulic applications
US9018310B2 (en) * 2009-04-06 2015-04-28 Polyone Designed Structures And Solutions Llc Polymer blend composition for automotive flooring applications
US8668975B2 (en) 2009-11-24 2014-03-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abric with discrete elastic and plastic reg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679218B2 (en) 2010-04-27 2014-03-25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with a multi-layer structure
WO2011159400A1 (en) * 2010-06-15 2011-12-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Nonwoven fabrics made from polymer blend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120123374A1 (en) * 2010-11-09 2012-05-17 Richeson Galen C Meltblown Nonwov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EP2452975A1 (en) * 2010-11-12 2012-05-16 Borealis AG Soft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s
US10155186B2 (en) 2010-12-17 2018-12-18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ne fiber filter media and processes
DK2631269T3 (en) * 2012-02-24 2017-07-24 Borealis Ag Fiber quality with improved spinning perform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US9322114B2 (en) * 2012-12-03 2016-04-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fibers and fabrics
WO2014088857A1 (en) 2012-12-03 2014-06-1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 polymers
BR112015022743B1 (pt) 2013-03-12 2022-08-23 Fitesa Nonwoven, Inc. Tecido não tecido, tecido não tecido extensível,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tecido não tecido, material compósito laminado e artigo absorvente
US9694306B2 (en) 2013-05-24 2017-07-04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polymer compositions and blends
WO2014204780A1 (en) * 2013-06-18 2014-12-2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ibers and nonwoven materials prepared therefrom
US9587329B2 (en) * 2013-12-11 2017-03-07 Kyung-Ju Choi Process for making a polymeric fibrous material having increased beta content
WO2015085390A2 (pt) * 2013-12-13 2015-06-18 Braskem S.A. Método de preparação de polipropileno de reologia controlada, polipropileno e seu uso, e artigos de manufatura
ES2698255T3 (es) * 2015-01-23 2019-02-01 Total Res & Technology Feluy Polipropileno bimodal y proceso para la preparación del mismo
CN110234804A (zh) * 2017-01-27 2019-09-13 东丽株式会社 纺粘无纺布
CN107141584B (zh) * 2017-04-27 2019-10-18 华南理工大学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在制备亲水柔韧无纺布中的应用
ES2967217T3 (es) 2017-07-07 2024-04-2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Composición de poliolefina para fibras
CN112020578B (zh) 2018-10-30 2022-10-18 喜恩吉股份有限公司 立体网状结构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5693A3 (en) * 1992-01-23 1993-10-13 Himont Inc Elastic yarn of polypropylene polymer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2875425B2 (ja) * 1992-02-28 1999-03-31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成形材料
US5346756A (en) * 1992-10-30 1994-09-13 Himont Incorporated Nonwoven textile material from blends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 and olefin polymer compositions
CA2121721C (en) * 1993-04-29 2004-11-23 Giampiero Morini Crystalline propylene polymers having high melt flow rate values and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US5622772A (en) * 1994-06-03 1997-04-22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ly crimpable spunbond conjugate fibers and nonwoven webs made therefrom
US5529845A (en) 1994-06-13 1996-06-25 Montell North America Inc. Fiber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fabrics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softness characteristics
US5529850A (en) 1994-07-05 1996-06-25 Montell North America Inc. Fibers produced from crystalline propylene polymers having high melt flow rate values and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US5460884A (en) 1994-08-25 1995-10-24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and strong thermoplastic polymer fibers and nonwoven fabric made therefrom
US5549867A (en) * 1994-11-03 1996-08-27 Fiberweb North America, Inc. Distribution enhanced polyolefin meltspinning process and product
DE19654921A1 (de) * 1996-08-29 1998-03-05 Hoechst Ag Polyolfin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Vliesen
US5834541A (en) * 1997-05-02 1998-11-10 Montell North America Inc. Olefin polymer composition having low smoke generation and fiber and film prepared therefrom
JPH1180298A (ja) 1997-08-29 1999-03-26 Toyota Motor Corp ポリプロピレン/プロピレン・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6197887B1 (en) 1997-09-12 2001-03-06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s having particular utility as stretch wrap cling film
EP1059332A1 (en) 1999-06-10 2000-12-13 Fina Research S.A. Polypropylene with high melt strength and draw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2227B1 (en) 2010-04-21
AR028130A1 (es) 2003-04-23
KR100769842B1 (ko) 2007-10-24
CN1205261C (zh) 2005-06-08
RU2274648C2 (ru) 2006-04-20
DE60141881D1 (de) 2010-06-02
US6476135B1 (en) 2002-11-05
CA2381333A1 (en) 2001-12-13
ATE465213T1 (de) 2010-05-15
US20030083437A1 (en) 2003-05-01
JP2003535944A (ja) 2003-12-02
AU779850B2 (en) 2005-02-17
BR0106727A (pt) 2002-04-16
EP1222227A1 (en) 2002-07-17
CN1383442A (zh) 2002-12-04
AU6415201A (en) 2001-12-17
US6569945B2 (en) 2003-05-27
WO2001094462A1 (en) 200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842B1 (ko) 저점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연신성 부직포
US7319077B2 (en) Polymer blends and nonwoven articles therefrom
US10519570B2 (en) Fiber grade with improved spinning perform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RU2322535C2 (ru) Полипропиленовые волокна для нетка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з расплава
US20190301065A1 (en) Spunbonded nonwoven fabrics made of phthalate-free PP homopolymers
EP1834015B1 (en) Fibres having elastic properties
KR100649376B1 (ko)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 결합성폴리올레핀 섬유
KR20050057511A (ko) 스펀본드 부직포 용으로 적당한 폴리프로필렌 섬유
EP1694889B1 (en) Fibres made from copolymers of propylene and hexene-1
EP1543186B1 (en) Polypropylene fibres suitable for thermally bonded non-woven fabrics
US20060154064A1 (en) Polypropylene fibres suitable for thermally bonded non-woven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