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7898A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7898A
KR20020017898A KR1020010005535A KR20010005535A KR20020017898A KR 20020017898 A KR20020017898 A KR 20020017898A KR 1020010005535 A KR1020010005535 A KR 1020010005535A KR 20010005535 A KR20010005535 A KR 20010005535A KR 20020017898 A KR20020017898 A KR 2002001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ootrest
instep
conn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225B1 (ko
Inventor
고조 노다
Original Assignee
고조 노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조 노다 filed Critical 고조 노다
Publication of KR2002001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내측신발체(1)와 외측신발체(2)를 상하로 포갠 구조로 되어 있고, 내측신발체(1)는 발판부(3)와 이 발판부상에 설치되어 있는 발등부를 구비하고, 발판부의 하면에 면파스너로 이루어지는 제1접속부(8)가 설치되어 있고, 발등부의 표면에 면파스너로 이루어지는 제2접속부(10)가 설치되어 있고, 외측신발체(2)는 발판 수용부(12)와 이 발판 수용부상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고정밴드(13)를 구비하고, 발판 수용부는 그 상면에 발등부(4)의 제1접속부(8)와 대향하고 또한 착탈가능한 면파스너로 이루어지는 제1접속부(15)가 설치되어 있고, 조정고정밴드(13)는 제1고정밴드부(13a)와 연결부를 통하여 제1고정밴드부와 연결가능한 제2고정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정고정밴드는 그 이면에 발등부의 제2접속부(10)와 착탈가능한 면파스너로 이루어지는 제2접속부(20)가 설치되어 있고, 조정고정밴드(13)는 발등부(4)를 그 표면측에서 고정가능함과 동시에, 제2접속부(10,20)를 통하여 접속가능하다.

Description

신발{FOOTWEAR}
본 발명은 슬리퍼, 샌들 등과 같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 레스토랑, 병원, 집회장등에서는 불특정다수의 사람이 남이 사용한 슬리퍼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건위생상의 관점에서 슬리퍼는 항상 청결하게 해둘 필요가 있다.
종래, 청결한 슬리퍼로 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슬리퍼의 발판부상에 부판(敷板)을 면파스너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하고, 이 부판이 더러워졌으면, 폐기하여 새로운것으로 교환하거나 또는 이 부판을 세탁하여 재사용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었다(일본실개소 57-186504호, 일본실개소 59-132504호, 일본실개평 1-169103호).
또 다른 고안으로서 슬리퍼의 발이 접촉되는 부분에 뒷면커버를 슬리퍼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이 뒷면커버가 더러워졌으면 교환하는 것이 있다(일본실용신안등록 제3008071호).
이와같이 고안된 슬리퍼는 그 청결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전자의 슬리퍼에서는 부판을 교환하더라도 발등부의 내측의 더러움은 그대로 남는다. 또 후자의 슬리퍼에서는 전자의 슬리퍼의 결점은 없지만, 뒷면커버의 교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내측슬리퍼체를 도시하는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7은 내측슬리퍼체를 도시하는 바닥면도이다.
도 8은 내측슬리퍼체를 도시하는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도 9는 외측슬리퍼체를 도시하는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10은 외측슬리퍼체를 도시하는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도 11은 외측슬리퍼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외측슬리퍼체에 있어서 조정고정밴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외측슬리퍼체에 있어서 조정고정밴드의 제1고정밴드부의 일부를 제2고정밴드부로부터 벗겨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내측슬리퍼체에 있어서 제2접속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내측슬리퍼체(내측신발체) 2:외측슬리퍼체(외측신발체)
3:발판부 4:발등부
4a:오목부 5:면제포(천)
6:발포체(천) 8:내측 제1접속부
10:내측 제2접속부 10A:제2접속부
11a:팽출부 11b:팽출부
12:발판 수용부 12a:오목부
13:조정고정밴드(조정고정부) 13a:제1고정밴드부
13b:제2고정밴드부 15:외측 제1접속부
19:위치어긋남방지돌출부 20:외측 제2접속부
21:연결부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내측신발체와 외측신발체를 상하로 포갠 구조로 하고 있는 것에 있다. 상기 내측신발체는 발판부와 이 발판부상에 설치되어 있는 발등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부의 하면에 내측 제1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등부의 표면에 내측 제2접속부를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신발체는 발판 수용부와이 발판 수용부상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고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발판 수용부는 그 상면에 상기 발등부의 내측 제1접속부와 대향하고 또한 이 내측 제1접속부에 착탈가능한 외측 제1접속부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조정고정부는 제1고정부와 연결부를 통하여 이 제1고정부와 연결가능한 제2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정고정부의 이면에 상기 발등부의 내측 제2접속부와 착탈가능한 외측 제2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신발체의 발판부는 상기 외측신발체의 발판 수용부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내외양측의 제1접속부를 통하여 서로 접속가능하다. 상기 외측신발체의 조정고정부는 상기 내측신발체에 있어서 발등부를 그 표면측에 고정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발등부와 상기 내외양측의 제2접속부를 통하여 접속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의 특징은 상기 제1의 특징을 구비하여 있고, 내측신발체 및 외측신발체에 있어서 각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가 면파스너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대향하는 내외양측의 제1접속부끼리 또 내외양측의 제2접속부끼리는 면파스너를 통하여 착탈이 용이하게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의 특징은 상기 제2의 특징을 구비하여 있고, 내측신발체에 있어서 면파스너가 발판부 하면의 전면에 붙여져 있고 외측신발체에 있어서 면파스너가 발판 수용부 상면의 전면에 붙여져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4의 특징은 상기 제1 내지 제3중 어느 것인가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외측신발체에 있어서 발판 수용부의 상면 전체바깥둘레에 상기 내측신발체의 발판부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어긋남 방지돌출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5의 특징은 상기 제1 내지 제4중 어느 것인가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내측신발체의 발등부는 띠형상의 천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 제1접속부에 끼워져 전후의 가장자리부에 팽출부를 형성하여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6의 특징은 상기 제5의 특징을 구비하고, 내측신발체의 발등부가, 면제포와 유연성을 갖는 발포체를 포개어 형성된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면제포는 이면인 발의 등과 접하는 측에 위치하여있고, 팽출부는 상기 천의 단부를 상기 발포체측으로 접어구부려서 발포체끼리를 포개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팽출부의 본체는 발포체끼리를 포개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풀어진 형태가 유지되고, 소정의 탄성력이 생기고, 발의 등이 반복접촉하더라도 등의 손상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7의 특징은 상기 제1 내지 제6중 어느 것인가의 특징을 구비하고, 제1고정부는 제2고정부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발판 수용부의 윗부분에 걸쳐 있고, 그 단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가능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신발은 슬리퍼, 샌들 등이 포함된다.
작용
사용시에는 내측신발체의 발판부를 외측신발체의 발판 수용부 위에 태워서 내측 양측의 제1접속부끼리를 접속하고, 조정고정부에서 내측신발체의 발등부를 그 상측에서 누른다. 누름으로써 내측신발체 및 외측신발체의 제2접속부끼리가 접속된다. 내측신발체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조정고정부의 고정을 해제하여, 내측신발체를외측신발체로부터 벗긴다.
발명의 실시형태
신발인 슬리퍼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슬리퍼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측신발체인 내측슬리퍼체(1)와 외측신발체인 외측슬리퍼체(2)로 이루어진다. 슬리퍼는 외측슬리퍼체(2) 위에 내측슬리퍼체(1)를 포갠 2중 구조로 되어있다.
우선, 내측슬리퍼체(1)에 대하여 주로 도 4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측슬리퍼체(1)는 발판부(3)와 발등부(4)를 구비하고 있다. 발판부(3)는 파일천과 같은 면제포(5), 우레탄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발포체(6), 판상의 심재(芯材)(7) 및 내측 제1접속부(8)로 구성되어 있다. 면제천(5)은 심재(7)의 상측을 덮고 있다. 발포체(6)는 면제포(5)와 심재(7)사이에 배치되고, 이 심재의 상면을 덮고 있다. 발판부(3)의 하면에는 내측 제1접속부(8)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제1접속부(8)는 예를들면 면파스너로 이루어지고 도시된 예에 의하면 발판부(3)의 하면 전체면에 설치되어 있다. 면파스너로서는 매직테이프 또는 Velcro(어느것이나 상품명)가 사용되고 있다. 발판부(3)의 외주는 선두르기부(9)에 의하여 선이 둘려 있다. 또 발등부(4)는 면제포(5)와 유연성을 갖는 발포체(6)를 포개어서 형성된 띠형상의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면제포는 안쪽에 있는 발의 등과 접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발등부(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발판부(3)를 폭 방향으로 걸터앉는 방향으로 상기 천이 아치형(반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등부(4)는 그 내부에 사용자의 발등이 삽입가능하다. 발등부(4)의 상부에 있어서발포체(6)의 상면에는 내측 제2접속부(10)가 고정되어 있다. 내측 제2접속부(10)는 내측 제1접속부(8)에 있어서 면파스너와 동일한 면파스너로 이루어지고, 발등부(4)의 둘레방향의 한쪽 끝(도 6하단)에서 다른쪽 끝까지 전체면에 설치되어 있다. 발등부(4)의 전후양측(도 6좌우양측)의 가장자리부에 내측 제2접속부(10)를 끼워져 있고 팽출부(11a,11b)가 설치되어 있다. 발등부(4)의 상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팽출부(11a,11b)의 존재에 의하여 오목부(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후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오목부(4a)내에 위치하는 조정고정밴드(13)는 그 위치어긋남이 방지된다. 팽출부(11a,11b)는 상기 천의 단부를 발포체(6)측으로 접어구려서 발포체끼리 포개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4부분 확대 도참조). 다시말하면 양 팽출부(11a,11b)는 발등부(4)의 전후 양 가장자리부를 내측으로 접어구부려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발포체(6)를 상하로 포갬으로서 부푼곳이 형성된다. 이때문에 팽출부(11a,11b)의 형체가 장기간 사용해도 허물어지지도 않고, 또 팽출부의 탄력에 의하여 발의 등이 팽출부에 유연하게 접촉됨으로 신는 기분이 좋다.
다음에 외측슬리퍼체(2)를 주로 도 4, 도 5 및 도 9∼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외측슬리퍼체(2)는 발판 수용부(12)와 조정고정부인 조정고정밴드(13)를 구비하고 있다. 발판 수용부(1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판상의 심재(14)와, 외측 제1접속부(15), 우레탄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발포체(16) 및 저판(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제1접속부(15)는 예를들면 면파스너로 이루어지고, 도시된 예에 의하면 심재(14)의 상면 전체면을 덮고 있다. 이 면파스너는 내측제1접속부(8)에 있어서 면파스너와 마찬가지로 매직테이프 또는 Velcro(어느것이나 상품명)가 사용되고 있다. 저판(17)은 심재(1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발포체(16)는 심재(14)와 저판(1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발포체(16)는 심재(14)의 하면 전체면을, 저판(17)은 발포체(16)의 하면 전체면을 각각 덮고 있다. 그리고 발판 수용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선두르기부(18)에 의하여 선이 둘려 있다. 발판 수용부(12)에 있어서 선두르기부(18) 위에는 전체길이에 걸쳐서 위치어긋남 방지돌출부(19)가 고정되어 있다. 위치어긋남 방지돌출부(19)는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합성수지제의 선재(線材)(19a)와 이것을 덮고 있는 피복부(19b)로 구성되어 있다. 발판 수용부(12)의 상부는 위치어긋남 방지돌출부(19)의 존재에 의하여 오목부(12a)(도5)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고정밴드(13)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기다란 제1고정밴드부(13a)와 짧은 제2고정밴드부(13b)로 이루어진다. 제1고정밴드부(13a)의 한쪽 끝(도 12하단)은 발판 수용부(12)에 고정되어 있다. 제2고정밴드부(13b)의 한쪽 끝(도 12상단)은 발판 수용부(12)에 고정되어 있다. 제1고정밴드부(13a)는 그 하면 전체면에 외측 제2접속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제2접속부(20)는 예를들면 면파스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면파스너는 외측 제1접속부(15)의 면파스너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제2고정밴드부(13b)의 상면에 연결부(21)를 설치하고 있고, 이 연결부는 예를들면 면파스너로 구성되어 있다. 제1고정밴드부(13a)의 자유단의 하면을 제2고정밴드부(13b)의 연결부(21)에 강하게 누름으로써 양고정밴드부는 연결된다.
여기서, 내측 슬리퍼체(1)와 외측 슬리퍼체(2)의 관계를 설명한다.
내측 슬리퍼체(1)의 발판부(3)의 하면과 외측 슬리퍼체(2)의 발판 수용부(12)의 상면과를 맞추어서, 이 내측 슬리퍼체(1)측을 하방으로 누르면, 내측 제1접속부(8)와 외측 제1접속부(15)가 포개어 맞추어진 상태에서 서로 면파스너를 통하여 접속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외측 슬리퍼체(2)의 조정고정밴드(13)는 내측 슬리퍼체(1)의 발등부(4)를 그 상측에 고정가능하게 된다. 고정시에는 조정고정밴드(13)는 오목부(4a)내로 배치된다. 제1고정밴드부(13a)의 선단부를 제2고정밴드부(13b)의 연결부(21)에 꽉누름으로서 발등부(4)는 고정된다. 고정시에 제1고정밴드부(13a)의 제2접속부(20)는 발등부(4)의 제2접속부(10)와 고착가능해진다. 또 제2고정밴드부(13b)에 대한 제1고정밴드부(13a)의 선단부가 연결되는 위치에 의하여 발등부(4)의 내부형상이 조정된다. 예를들면 발등부(4)의 내부공간을 좁게하려면, 제1고정밴드부(13a)의 선단부의 연결위치를 연결부(21)의 도 1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위치어긋남 방지돌출부(19)가 발판 수용부(12)상에 오목부(12a)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오목부내에 위치하고 있는 내측 슬리퍼체(1)의 전후(도 1좌우), 좌우(도 1상하)의 어긋남이 억제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시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외측 슬리퍼체(2)에 있어서 조정고정밴드(13)를 미리 좌우로 열어둔다. 우선 외측슬리퍼체(2)의 발판 수용부(12) 위에 내측슬리퍼체(1)의 발판부(3)를 포개어맞추고, 하방으로 강하게 꽉누른다. 이로서 제1접속부(8)와 제1접속부(15)가 서로 접속되므로, 발판부(3)와 발판 수용부(12)는고정된다. 뒤이어, 사용자는 내측 슬리퍼체(1)의 발판부(3)위에 발을 실으면서 발등부(4)내로 발끝을 넣는다. 그후, 발등부(4)의 상측으로부터 제1, 제2고정밴드부(13a,13b)로 덮는다. 제1, 제2고정밴드부(13a,13b)는 어느것이나 발등부(4)의 오목부(4a)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고정밴드부(13b)의 연결부(21)에 대한 제1고정밴드부(13a)의 선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를 조정하면서 발등부(4)의 내부공간을 조정한다. 그리고, 발의 등에 발등부(4)의 내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제1고정밴드부(13a)의 선단을 제2고정밴드부(13b)의 연결부(2)로 고정한다. 제1, 제2고정밴드부(13a,13b)는 하측의 발등부(4)에 내측 제2접속부(10)와 외측 제2접속부(20)가 서로 접속됨으로써 고정된다(도 4).
이결과, 내측 슬리퍼체(1)는 발등부(4)의 위치에서 발끝이 고정되고, 그리고 발의 등이 팽출부(11a,11b)에 의하여 직접 제1고정밴드부(13a)에 닿지 않으므로 신는 기분이 좋다. 또 사용시에는 위치어긋남 방지돌출부(19)의 존재에 의하여 내측슬리퍼체(1)의 전후, 좌우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리퍼를 벗을때에는 발을 그대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좋다. 내측 슬리퍼체(1)가 더러워졌을 경우에는 조정고정밴드(13)에 의한 발등부(4)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새로운 내측 슬리퍼체를 또는, 내측슬리퍼체를 세탁한 것을 재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슬리퍼는 사용목적, 사용장소, 제조비용 등에 따라 그 자체의 디자인 등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 예에 의하면, 외측 슬리퍼체(2)에 대하여 내측슬리퍼체(1)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부분적인 변경에 의하여, 그 요망에 대응할 수있다. 일 예로서, 외측슬리퍼체(2)를 표준으로 하여 둔다음, 내측슬리퍼(1)를 예를들면 호텔용과 병원용으로 구별한 디자인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반대로, 내측슬리퍼체(1)를 표준으로 하여, 외측 슬리퍼체(2)를 사용장소등에 따른것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신발은 슬리퍼에 한정되지 않고 샌들 등일자도 좋다.
발등부(4)의 전후의 가장자리에 팽출부(11a,11b)를 설치함으로서, 조정고정밴드(13)의 위치어긋남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물론, 발등부(4)에 팽출부(11a,11b)을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내외양측의 제1접속부(8,15) 및 내외양측의 제2접속부(10,20)는 예시하는 바와같이, 면파스너를 사용하면, 착탈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대향하는 접속부끼리의 접속이 확실히 행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면파스너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발판부(3), 발등부(4), 발판 수용부(12) 및 조정고정밴드(13)에 전면적으로 설치하여도 좋지만, 부분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도 14에 도시하는 내측슬리퍼체(1)에 있어서, 발판부(3)에 설치한 발등부(4)의 상부에는 면파스너로 이루어진 제2접속부(10A)가 3분할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른 접속부(8,15,20)에 있어서도, 부분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 조정고정밴드(13)에 있어서, 제1, 제2고정밴드부(13a,13b)는 각각 같은 길이로서, 중앙에서 상호 연결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연결부(21)는 면파스너에 대신하여, 스냅핀 일지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측신발체에 대하여 내측신발체가 착탈가능하므로, 내측신발체가 더러워졌을 경우에는 새로운것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신발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더러워진 내측신발체를 폐기하는 일없이 세탁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또 조정고정부에서 내측신발체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내측신발체의 설치, 해체가 간단히 행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장소 등에 적합한 내측신발체 또는 외측신발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내측신발체와 외측신발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신발체가 발판부와 이 발판부상에 설치되어 있는 발등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발판부의 하면에 내측 제1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등부의 표면에 내측 제2접속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신발체가 발판 수용부와 이 발판 수용부상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고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발판 수용부는 그 상면에 상기 발등부의 내측 제1접속부와 대향하고 또한 이 내측 제1접속부에 착탈가능한 외측 제1접속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고정부는 제1고정부와 연결부를 통하여 이 제1고정부와 연결가능한 제2고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정고정부의 이면에 상기 발등부의 내측 제2접속부와 착탈가능한 외측 제2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신발체의 발판부가 상기 외측신발체의 발판 수용부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내외양측의 제1접속부를 통하여 서로 접속가능하고, 상기 외측신발체의 조정고정부가 상기 내측신발체의 발등부를 그 표면측에 고정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발등부와 상기 내외양측의 제2접속부를 통하여 접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내측신발체 및 외측신발체에서 각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가 면파스너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내측신발체에서 내측 제1접속부인 면파스너가 발판부 하면의 전체면에 붙여져 있고, 외측신발체에서 외측 제1접속부인 면파스너가 발판 수용부 상면의 전체면에 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신발체에서 발판 수용부의 상면 전체바깥둘레에 내측신발체의 발판부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어긋남 방지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내측신발체의 발등부가 띠형상의 천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 제1접속부가 끼워져 있어 전후의 가장자리부에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 5 항에 있어서, 내측신발체의 발등부가 면제포와 유연성을 갖는 발포체를 포개어 형성된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면제포는 이면인 발의 등과 접하는 측에 위치하여 있고, 팽출부는 상기 천의 단부를 상기 발포체측으로 접어구부려서 발포체끼리를 포개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고정부는 제2고정부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발판 수용부의 윗부분에 걸쳐 있고, 그 단부에서 상기 제2고정부와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내측신발체는 내측슬리퍼체이고, 외측신발체는 외측슬리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01-0005535A 2000-08-30 2001-02-06 신발 KR100434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0458 2000-08-30
JP2000260458A JP3393116B2 (ja) 2000-08-30 2000-08-30 履 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898A true KR20020017898A (ko) 2002-03-07
KR100434225B1 KR100434225B1 (ko) 2004-06-04

Family

ID=1874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535A KR100434225B1 (ko) 2000-08-30 2001-02-06 신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30845B1 (ko)
JP (1) JP3393116B2 (ko)
KR (1) KR100434225B1 (ko)
CN (1) CN1149025C (ko)
HK (1) HK1043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4488B2 (en) * 2001-04-24 2008-12-16 U Turn Sports, Co Llc. Reversible footwear strap
US6651359B1 (en) * 2001-09-07 2003-11-25 Cheryl D. Bricker Interchangeable shoe strap system
KR100464673B1 (ko) * 2002-09-12 2005-01-03 이경훈 물세탁이 가능한 실내용 슬리퍼
US20040093765A1 (en) * 2002-11-15 2004-05-20 Baldwin Sam L. Shoe with interchangeable upper
DE10315435A1 (de) * 2003-04-04 2004-10-21 Genima Innovations Marketing Gmbh Hotel- und Badehaus-Sandale
US7331128B1 (en) * 2004-05-10 2008-02-19 Edward Navasky Decorative vamp system
US7340852B1 (en) 2004-08-12 2008-03-11 Jen-Lung David Tai Shoe
US20080155860A1 (en) * 2004-08-12 2008-07-03 Jen-Lung David Tai Shoe
US20060059712A1 (en) * 2004-08-13 2006-03-23 Arnold Asham Hygienic sandal
US20060096128A1 (en) * 2004-11-05 2006-05-11 Peggy Ting Burns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Top Strap
US20060143951A1 (en) * 2005-01-04 2006-07-06 Wu-Bin Yang Shoe with changeable upper design
US20060248753A1 (en) * 2005-05-03 2006-11-09 Welsh Jeannine M Shoe with attachable upper
AT502952B1 (de) * 2005-12-07 2008-05-15 Hermann Lueger Waschmaschinenfester hausschuh mit mikrofaservlies bestehend aus polyestermikrofasern und porösem polyurethan
US7661206B2 (en) * 2006-01-13 2010-02-16 Holly H. Osbor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hion adaptable footwear
JP4218038B1 (ja) * 2008-03-10 2009-02-04 義政 樋口 靴下装着補助具
US20110040264A1 (en) * 2008-06-10 2011-02-17 Cuban Element, Inc. Medicated footwear
US20100050474A1 (en) * 2008-08-27 2010-03-04 Magaret Shittu Interchangeable footwear (velppers)
US20100313445A1 (en) * 2009-06-11 2010-12-16 Nike, Inc. Securing mechanisms for articles
UA84225U (en) * 2013-04-30 2013-10-10 Александр Григорьевич Званский House slippers
US10702017B2 (en) 2015-01-29 2020-07-07 Nike, Inc. Articles of footwear that include one or more concealable display areas
USD817607S1 (en) * 2017-02-28 2018-05-15 River Light V, L.P. Bubble slide
USD1000052S1 (en) * 2019-03-19 2023-10-03 Rothy's, Inc. Sandal
US20210059452A1 (en) * 2019-09-03 2021-03-04 Steven Gold Standing mat
USD927148S1 (en) * 2019-10-29 2021-08-10 The Gap, Inc. Shoe
USD932749S1 (en) * 2019-12-30 2021-10-12 Chantel L. Anderson Sandal
USD970861S1 (en) * 2020-07-10 2022-11-29 Valentino S.P.A. Shoe
USD963999S1 (en) * 2020-11-25 2022-09-20 Benjamin Kaiser Slipper
USD1010303S1 (en) * 2020-12-08 2024-01-09 J. Choo Limited Fashion ornament
KR102462321B1 (ko) * 2021-11-18 2022-11-01 재 식 정 신발용 대다리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90148B (it) 1972-09-21 1975-06-20 Olivier Guille Et Fils Sa Ets Capo di vestiario e relativo proce dimento di produzione
JPS49121744U (ko) * 1973-02-19 1974-10-18
US3902259A (en) * 1974-12-09 1975-09-02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Sandal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US4439935A (en) * 1982-06-17 1984-04-03 Celeste Kelly Convertible high style footwear
JPS5931901U (ja) * 1982-08-25 1984-02-28 株式会社フア−シ−ル三幸 サンダル用甲皮
FR2617685A1 (fr) * 1987-07-09 1989-01-13 Lemenn Corine Article chaussant comprenant deux elements distincts
US4887369A (en) * 1988-08-12 1989-12-19 Angileen Bailey Changeable shoe tops/heels
JPH0365739A (ja) * 1989-08-02 1991-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制御装置
US4974344A (en) 1989-08-09 1990-12-04 Ching Peng J Shoe with interchangeable vamp and sole
US5339543A (en) * 1993-10-12 1994-08-23 Lin Nan Sun Shoe
US5822888A (en) * 1996-01-11 1998-10-20 Terry; Michael R. Reversable shoe with removable midsole
US5992058A (en) * 1998-04-02 1999-11-30 Jneid; Hudson Detachable shoe strap system
JP2000157301A (ja) * 1998-11-25 2000-06-13 Yoshida Shokai Tachikawa:Kk スリッパ
US6212797B1 (en) * 1999-06-15 2001-04-10 David Merry Footwear with detachable spat
KR200164905Y1 (ko) * 1999-07-26 2000-02-15 김명희 밑창이 분리되는 신발
JP3071628U (ja) 2000-03-09 2000-09-14 博昭 佐藤 ソフトスリッ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225B1 (ko) 2004-06-04
HK1043286A1 (en) 2002-09-13
JP2002065305A (ja) 2002-03-05
US6430845B1 (en) 2002-08-13
US20020023372A1 (en) 2002-02-28
JP3393116B2 (ja) 2003-04-07
CN1149025C (zh) 2004-05-12
CN1340318A (zh)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225B1 (ko) 신발
KR100720653B1 (ko) 신축성을 보유한 신발
US4598485A (en) Slip-resistant disposable shoe cover
US20070227037A1 (en) Shoe
JP2000157301A (ja) スリッパ
JP3101362U (ja) スリッパ
JPH11276203A (ja) サンダル
JP3230984U (ja) スリッパ
WO2005102092A1 (ja) 靴構造の履物
JP3227962U (ja) 滑り止めを施したシートを装着したスリッパ
JP3227963U (ja) シートの切り抜き部から滑り止めを露出したスリッパ
JP3071628U (ja) ソフトスリッパ
JP2007105072A (ja)
JPH0427372Y2 (ko)
JPH0833502A (ja) スリッパ
JP3021312U (ja) スリッパ
JP3985236B2 (ja) 無縫製のスリッパ及びその製造方法
JP2603599Y2 (ja) 使い捨てスリッパ
JP3082243U (ja) スリッパ
JP2021186325A (ja) スリッパ着脱式清掃履物底カバー
KR200325356Y1 (ko) 내/외피 분해결합형 매트
JP3077288U (ja) スリッパ
KR20230063580A (ko) 청소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KR200229757Y1 (ko) 탈착식 양말 대용 안창 신발
JP2001104001A (ja) ベットシ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