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7238A -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7238A
KR20020017238A KR1020000050443A KR20000050443A KR20020017238A KR 20020017238 A KR20020017238 A KR 20020017238A KR 1020000050443 A KR1020000050443 A KR 1020000050443A KR 20000050443 A KR20000050443 A KR 20000050443A KR 20020017238 A KR20020017238 A KR 20020017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interior
sheet
exterior materials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윤흠
Original Assignee
연윤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윤흠 filed Critical 연윤흠
Priority to KR102000005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7238A/ko
Publication of KR20020017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23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을 처리할 목적으로 부착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에 관한 것으로 소요자재의 규격화, 정형화와 시공기간의 단축 그리고 소요인원의 최소화로 공사비의 극소화가 가능한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벽체구조물에 부착하는데 있어서 구조적으로 간소화 되면서 설치기간이 최소화 된 건축물의 내·외장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뿐만아니라, 생산원가를 최소화시키고 방수성 및 방습성과 단열성을 개선할 수 있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또한 그 목적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A execution methode of wallboard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을 처리할 목적으로 부착되는 내·외장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요자재의 규격화와 산업화 및 시공기간의 단축 그리고 소요인원의 최소화로 시공에 들어가는 총공사비의 극소화가 가능한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반적인 사회경제의 급속한 성장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일반건축 및 주택건축에서 질적·양적으로 많은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대상으로 생각될 수 있는 것이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시공방법이다. 현재에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시공시에 시멘트몰탈을 이용하여 벽체구조물에 고정하는 습식공법을 적용하거나 내·외장재의 내면측이나 벽면에 후레임을 설치하고 피스, 앵커볼트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고정하는 건식공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의 습식공법은 시공의 정밀도가 낮으며 특히,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시공시에는 초기접착력의 부족으로 인한 내·외장재의 박리나 투습에 따른 동파 등의 문제점이 많아 근래에 와서는 그 사용이 기피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후자의 건식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나 이러한 건식공법에 있어 종래에 다수 주지되고 있는 기술로서 벽체구조물에 내·외장재를 부착할 수 있는 수직·수평의 프레임을 설치하는 방법은 벽면 구조물에 앙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후레임을 제작, 고정해야 하며 내·외장재를 피스 등의 연결철물로 치부시킴으로써 내·외장재의 시공방법이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길어 공사비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박판 양면에 우레탄발포제시트 또는 고무발포제시트를 적층적합한 뒤 내한·내열이 우수한 접착제를 그양면에 도포하여 제작한 양면접착시트를 벽체구조물에 소정의 간격으로 실란트접착제와 번갈아 가면서 시공하여 건축용 내·외장재를 부착하고 이 때 생기는 줄눈을 줄눈용 실란트로 처리하여 마감공사시의 그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벽체마감의 방수와 단열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내·외장재는 현장에서 가공하여 제작 및 시공하는 것이 아니며 완성된 제품을 부착하여 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양면시트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재 시공이 완료된 벽면의 사시도.
도 2는 시공에 사용하는 양면접착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양면접착시트를 반턱으로 제작하여 시공한 벽면의 단면도.
도 4는 벽면에 양면접착시트와 실란트접착제를 시공한 사시도.
도 5는 벽면에 양면접착시트와 실란트접착제를 시공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알루미늄박판, 2 : 우레탄발포시트 또는 고무발포시트
3 : 실란트접착제, 4 : 벽체, 5 : 양면접착시트
6 : 줄눈(줄눈용 실란트), 7 : 내·외장재
이러한 특징을 갖는 건축용 내·외장재 시공방법에 대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가 같이 시공될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은 알루미늄박판(1)의 양면에 우레탄발포시트 또는 고무발포시트(2)를 부착한 양면패드에 내한·내열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양면접착시트(5)를 제조하는 제 1단계와 벽체(4) 표면에 양면접착시트(5)를 부착하고 소정의 내·외장재(7)를 부착시공하는 제 2단계와 부착시공되어진 마감재의 줄눈부분에 줄눈용 실란트로 줄눈(6)을 넣는 제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에 있어 양면접착시트(5)의 구체적 구조와 기능을 도 2에서 살펴보면 열을 반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알루미늄박판(1)의 양면에 우레탄발포제시트 또는 고무발포제시트(2)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 구조인데 알루미늄박판의 양면에 우레탄발포제시트 또는 고무발포제시트를 부착함으로서 알루미늄박판이 가진 인장강도 부족으로 인한 파열이라는 단점을 보완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렇게 합성된 부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턱으로 제작하여서 반턱으로 제작된 양면 접착시트(5)의 알루미늄박판으로 이루어진 반턱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시공하게되면 방수와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벽면구조물의 표면이 고루지 못하거나 작은 돌기부분이 있다하여도 우레탄발포층(2)에서 이를 흡수하게되어 표면이 평탄한 시공을 할 수 있으며 몰탈마감등의 시공방식에서 시공의 부정확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마감재표면이 고르지 못하게되는 현상을 양면접착시트(5)가 벽면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줌으로서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그리고 벽체(4)에 양면 접착시트(5)를 부착하고 그 표면에 내·외장재를 부착시공하는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외장재(7)로는 박판의 화강석, 강화시멘트보드, 타일, 알루미늄 복합패널, 유리, 미장합판 등으로 다양하며, 이때 무거운 내·외장재(7)의 벽면취부시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접착시트(5)와 실란트접착제(3)를 소정의 간격으로 번갈아 사용해 줌으로서 접착성능을 향상시켜 내·외장재의 자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양면접착시트(5)는 초기 접착강도 및 마감재 표면의 평활도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게되며 실란트 접착제(3)는 중·장기적인 접착강도를 발휘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면접착시트(5)와 실란트접착제(3)를 동시에 사용할 때는 양면접착시트의 단절부에서 방수와 단열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란트접착제를 시공할때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단절부분을 메울수 있도록 충분히 시공한다.
양면접착시트와 실란트접착제를 시공한 후에 내·외장용 마감재를 부착하고, 부착 시공되어진 마감재의 줄눈(6) 부분에 줄눈용 실란트로 줄눈을 넣어서 벽체의 방수와 단열성능을 향상시켜준다.
양면접착시트를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에 관한 본 발명에 따라 벽체의 마감공사가 이루어지게 되면 P.C.패널공법, ALC패널공법, 경량철골 및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복합패널공법 등으로 건축된 표면이 평탄한 조립식 건물 등의 벽면구조물에 다양한 건축용 내·외장재료를 후레임이나 연결철물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벽체구조물에 양면 접착시트를 이용하여 접착시공할 수 있게 됨으로서 시공의 용이성이 향상되고 방수, 단열 등의 효과 또한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제작이나 미장면의 건조시간 등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 또한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4)

  1. P.C.패널, ALC패널, 경량철골 및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복합패널 등과 같이 표면이 평탄한 벽체구조물의 표면에 방수, 단열 등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양면접착시트를 이용하여 내·외장재를 부착시공함으로서, 시공후 마감면의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건축구조물의 벽면에 내·외장재를 부착시공시 내·외장재가 무거울 경우, 양면 접착시트와 실란트 접착제를 소정의 간격으로 번갈아서 시공함으로서 부착강도를 증진시켜 건축용 내·외장재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서,
    알루미늄박판의 양면에 우레탄발포제시트 또는 고무발포제시트를 부착한 양면접착시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양 가장자리부분에서 알루미늄박판을 기준으로 그 방향을 달리하여 한 면씩만 소정의 폭만큼 알루미늄박판면이 노출되게 절개하여 반턱으로 생산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양면접착시트를 이용하여 시공시, 양 끝단이 반턱으로 제작된 양면접착시트를 이용하여 반턱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알루미늄박판을 서로 붙여 시공하는 방법
KR1020000050443A 2000-08-29 2000-08-29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KR20020017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443A KR20020017238A (ko) 2000-08-29 2000-08-29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443A KR20020017238A (ko) 2000-08-29 2000-08-29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238A true KR20020017238A (ko) 2002-03-07

Family

ID=1968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443A KR20020017238A (ko) 2000-08-29 2000-08-29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723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657A (ja) * 1988-01-09 1989-07-14 Natl House Ind Co Ltd 壁構造
JPH0280756A (ja) * 1988-09-14 1990-03-20 Tanaka Sekkei:Kk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内装下地用パネル及び内装工法
KR950032942A (ko) * 1994-05-27 1995-12-22 김태진 건축물 내, 외장재용 알루미늄 샌드위치패널
KR960001913U (ko) * 1994-06-17 1996-01-19 심춘섭 건축용 외장재
KR200210975Y1 (ko) * 2000-08-28 2001-01-15 문사홍 건축용 내,외장 마감판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657A (ja) * 1988-01-09 1989-07-14 Natl House Ind Co Ltd 壁構造
JPH0280756A (ja) * 1988-09-14 1990-03-20 Tanaka Sekkei:Kk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内装下地用パネル及び内装工法
KR950032942A (ko) * 1994-05-27 1995-12-22 김태진 건축물 내, 외장재용 알루미늄 샌드위치패널
KR960001913U (ko) * 1994-06-17 1996-01-19 심춘섭 건축용 외장재
KR200210975Y1 (ko) * 2000-08-28 2001-01-15 문사홍 건축용 내,외장 마감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388A (en) Composite insulating drainage wall system
US3775916A (en) Prefabricated wall panel
US6029418A (en) Wire clip mounting system for structural panels
WO2019239435A1 (en) Prefabricated polyethylene sandwich block and panel
CN108331173A (zh) 一种可快速拆装的装配式房屋
CN110714532A (zh) 墙板与钢梁的装配结构及安装方法
KR20020017238A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시공방법
RU90813U1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и 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RU2544181C2 (ru) Система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изоляции и способ изоляции фасада
GB2303862A (en) A ceiling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180062064A (ko) 건축 태양광 복합 단열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EP2840195A1 (en) Thermal insulation modular panels for external coating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01098665A (ja) 化粧パネル打込み外断熱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KR20010035110A (ko) 타일형 알루미늄복합패널의 제작방법
CN220978469U (zh) 一种新型金属复合饰面装配式隔墙底部支撑固定龙骨结构
RU216058U1 (ru) Формованная плита для систем фасадных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с наружными штукатурными слоями
JP3238213U (ja) 内窓枠の周囲に四周板が付設された外断熱建築物の壁構造
JP3541065B2 (ja) 鋼材の耐火被覆方法と耐火被覆構造
JP2840111B2 (ja) 積層パネル構造
JP2004019179A (ja) けい酸カルシウム板を用いた外断熱工法
US11773586B2 (en) Non-wicking underlayment board
JPH0436356Y2 (ko)
JP2813963B2 (ja) 建築用下地パネル材
CN113982182A (zh) 一种复合保温墙板、复合保温墙体及其施工方法
JP2003246001A (ja) 内外装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