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753A -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753A
KR20020014753A KR1020010049504A KR20010049504A KR20020014753A KR 20020014753 A KR20020014753 A KR 20020014753A KR 1020010049504 A KR1020010049504 A KR 1020010049504A KR 20010049504 A KR20010049504 A KR 20010049504A KR 20020014753 A KR20020014753 A KR 20020014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hift
actuator
external force
posi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267B1 (ko
Inventor
오노데라미키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2001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1Actuators providing feel or simulating a shift gate, i.e. with active force generation for providing counter forces for feed b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고 또한 경량으로 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시프트레버(2)와, 그 시프트레버(2)에 구비된 잠금해제스위치(3)와, 시프트레버(2)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5)와, 상기 위치신호에 따라 시프트레버(2)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9)를 구비한다. 시프트레버(2)가 잠금해제스위치(3)를 조작하는 일 없이 미리 정해진 특정한 시프트위치로부터 특정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엑츄에이터(9)를 구동하여 시프트레버(2)에 상기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외력을 부하하여 시프트레버(2)의 다른 시프트위치로의 조작을 금지한다.

Description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METHOD FOR BY WIRE SHIFT LEVER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매틱 시프트레버장치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기구부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용 오토매틱 시프트레버장치에는 기계적인 링크기구를 이용한 트랜스미션 전환수단이 구비되어 있었으나, 최근 차량탑재 기기의 전자화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의 전환위치를 위치센서로 검출하고, 그 위치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의 엑츄에이터를 구동하여 트랜스미션 전환용의 포크를 구동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트랜스미션 전환수단이 제안되기에 이르고 있다.
이 바이와이어방식의 트랜스미션 전환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오토매틱 시프트레버장치에 의하면, 운전석과 엔진룸 사이에 대형으로하여 복잡한 링크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수개의 전선을 배선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차량 설계의 자유도를 각별히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차량용 오토매틱 시프트레버장치에는 시프트레버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를「파킹」으로부터「리버스」로 전환하는 경우 및「리버스」로부터 「파킹」으로 전환하는 경우 및「뉴트럴」로부터 「리버스」로 전환하는 경우에 시프트레버에 구비된 잠금해제버튼을 조작하지 않는 한 시프트레버의 조작을 금지하는 조작금지기구와, 시프트레버의 조작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를 1의 시프트위치로부터 다른 시프트위치로 조작할 때에 적당한 저항감을 시프트레버에 부여하는 저항감부여기구를 필요로 한다.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오토매틱 시프트레버장치에도 이들 각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나, 종래장치에는 기계적인 링크기구를 이용한 차량용 오토매틱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된 것과 마찬가지로 기계적 수단을 가지고 구성된 조작금지기구 및 저항감 부여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시프트레버기구부의 구성을 충분히 간소화할 수 없어 바이와이어방식의 이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이고 또한 경량으로 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되는 시프트레버와 전환위치 표시부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되는 기구부의 정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되는 기구부의 측면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되는 기구부의 시프트레버를 제거한 평면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되는 기구부의 정면도,
도 7은 제 3 실시예에 관하는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정면도,
도 8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측면방향에서 본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시프트레버
3 : 잠금해제스위치 4 : 손가락 검출센서
5 : 엔코더(위치센서)
9 : 보이스코일 모터(엑츄에이터)
21 : 베이스 22 : 레일
23 : 슬라이더 24 : 엔코더의 조작편
25, 26 : 브래킷 27 : 커넥팅로드
28 : 커버 31 : 지지축
41 : 시프트레버의 걸어맞춤수단 42 : 면판
43a, 43b, 43c, 43d : 볼 걸어맞춤구멍
44 : 볼플런저 45 : 볼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로, 시프트레버와, 그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어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에 의해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신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프트위치에 상기 시프트레버가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할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외력을 부하함으로써 상기 시프트레버를 상기 시프트위치에 잠긴다고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프트레버가 미리 정해진 시프트위치로 전환되어 있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시프트레버가 그 시프트위치에 잠기기 때문에 시프트레버에 기계식의 조작금지기구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그 구조를 각별히 간략화할 수 있어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2로 시프트레버와, 그 시프트레버에 구비된 잠금해제스위치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가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를 조작하는 일 없이 미리 정한 특정한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로부터 특정한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프트레버의 특정한 방향으로의 조작을 금지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프트레버가 잠금해제스위치를 조작하는 일 없이 미리 정해진 특정한 시프트위치로부터 특정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특정한 시프트위치로부터 특정한 방향으로의 시프트레버의 조작이 금지되기 때문에 기계식의 조작금지기구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그 구조를 각별하게 간략화할 수 있어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3으로 시프트레버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어 입력된 상기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프트레버가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위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위치신호에 따른 외력을 부하하여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에 따른 저항감을 부여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프트레버가 조작되었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시프트레버의 조작에 저항감이 부여되기 때문에 기계식의 저항감 부여기구를 구비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구조를 각별하게 간략화할 수 있어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4로 시프트레버와, 이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손가락이 닿은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손가락 검출센서와, 상기 위치신호와 상기 검출신호가 입력되어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와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신호의 입력이 있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프트레버에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에 따른 특유 모드의 외력을 부하하여 조작자에게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프트레버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닿았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시프트레버에 각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이 부하되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할 수 있어 시프트레버의 조작을 용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5로 시프트레버와, 그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어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신호에 의해 상기 시프트레버가 1의 시프트위치로부터 다른 시프트위치로전환되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프트레버에 상기 다른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을 부하하여 조작자에게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프트레버가 1의 시프트위치로부터 다른 시프트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시프트레버로 전환된 후의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이 부하되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전환 후의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할 수 있어 시프트레버의 조작을 용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6으로 상기 엑츄에이터로서 보이스코일 모터를 이용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엑츄에이터로서 회전모터를 이용한 경우와는 달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회전모터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7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멈춤수단을 구비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프트레버가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기간은 엑츄에이터에대한 통전을 중단할 수 있어 차량탑재 배터리의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일 실시형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되는 시프트레버와 전환위치 표시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되는 기구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되는 기구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구비되는 기구부의 시프트레버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제어부(1)와, 시프트레버(2)와, 시프트레버(2)에 구비된 잠금해제스위치(3) 및 손가락검출센서 (4)와, 시프트레버(2)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위치센서)(5)와, 트랜스미션(6)의 기어를 전환하는 솔레노이드(7) 및 솔레노이드 드라이버(8)와, 시프트레버(2)에 외력을 부하하는 보이스코일모터(엑츄에이터)(9) 및 모터드라이버(10)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1)에는 CPU(11)와, 작업 프로그램 등이 미리 기억된 ROM(12)과, 연산에 필요한 파라미터나 정수 등이 기억되는 RAM(13)과, 잠금해제스위치, 손가락검출센서(4) 및 엔코더(5)의 각 출력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입력부(14)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8) 및 모터 드라이버(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스위치(3)로서는, 푸시버튼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손가락검출센서(4)로서는, 포토인터럽터 등의 비접촉식의 센서나 정전스위치 등의 접촉식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엔코더(5)로서는, 광학식 또는 전기식의 리니어형 또는 로터리형의 엔코더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7)는 트랜스미션(6)에 구비된 기어전환용 포크(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그 포크을 조작함으로써 트랜스미션(6)의 기어를 전환한다.
시프트레버(2) 및 그 주변의 기구부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1)와, 베이스(21)의 상면에 구비된 레일(22)과, 레일(22)에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3)와, 슬라이더(23)에 고정된 시프트레버(2)와, 시프트레버 (2)의 파지부(2a)에 구비된 잠금해제스위치(3) 및 손가락검출센서(4)와, 시프트레버(2)의 축부(2b)에 구비된 엔코더의 조작편(24)과, 베이스(21)상에 브래킷(25)을 거쳐 설치한 엔코더(5)와, 베이스(21)상에 브래킷(26)을 거쳐 설치된 보이스코일모터(9)와, 보이스코일모터(9)의 구동축(9a)과 시프트레버(2)의 축부(2b)를 연결하는 커넥팅로드(27)와, 표면에 시프트레버(2)의 전환위치가 표시된 커버(28)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2)의 전환위치(P)는 파킹, R은 리버스, N은 뉴트럴, D는 드라이브를 나타내고 있고, 조작자가 보아 전방측에 파킹 (P)의 전환위치가 배치되고, 앞측에 드라이브(D)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시프트레버(2)가 파킹(P) 또는 리버스(R) 또는 뉴트럴(N)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시프트레버(2)에 구비된 잠금해제스위치(3)가 조작되면 잠금해제스위치 (3)로부터 출력되는 잠금해제신호(e)가 제어부(1)에 도입된다. 이 상태로부터 시프트레버(2)에 파킹(P)으로부터 리버스(R)로의 조작력, 또는 리버스(R)로부터 파킹 (P)으로의 조작력, 또는 뉴트럴(N)로부터 리버스(R)로의 조작력이 부하되면 제어부(1)는 위치신호(a)의 변화로부터 시프트레버(2)의 조작방향을 산출함과 동시에, 위치신호(a)의 변화의 가속도로부터 시프트레버(2)에 부하된 조작력의 크기와 방향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는 조작력의 크기와 방향에 따른 모터제어신호(c)를 신호출력부(15)로부터 모터 드라이버(10)에 출력하고, 모터 드라이버(10)는 모터제어신호(c)에 따른 모터구동신호(d)를 출력한다. 보이스코일모터(9)는 이 모터구동신호(d)에 의해 구동되어 시프트레버(2)에 조작력보다도 작고, 조작력과는 반대방향의 외력을 부하한다. 이에 의하여 시프트레버(2)를 1의 시프트위치로부터 다른 시프트위치로 전환할 때에 시프트레버(2)에 적절한 저항감이 부여되어 시프트레버 (2)의 조작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시프트레버(2)는 레일(22)을 따라 베이스(21)상을 슬라이딩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시프트레버(2)가 파킹(P)으로부터 리버스(R)로, 또는 리버스(R)로부터 파킹(P)으로, 또는 뉴트럴(N)로부터 리버스(R)로 조작되면 제어부 (1)는 전환 후의 위치신호(a)로부터 전환 후의 시프트레버(2)의 시프트위치를 산출하고, 위치신호(a)에 따른 모터제어신호(c)를 출력하여 보이스코일모터(9)를 구동하여 시프트레버(2)로 전환 후의 시프트위치에 따른 모드의 외력을 부하한다. 전환 후의 각 시프트위치에 있어서의 외력의 모드는 시프트레버(2)에 현재의 전환위치에 따른 모드의 외력을 부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시프트위치마다 보이스 코일모터(9)로부터 부하되는 외력의 세기, 외력인 진동의 주파수, 외력인 진동의 진동모드 또는 이들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조작자는 이 외력을 감득함으로써 시프트레버(2)의 전환 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알 수 있다.
시프트레버(2)를 리버스(R)로부터 뉴트럴(N)로 전환하는 경우 및 뉴트럴(N)로부터 드라이브(D)로 전환하는 경우, 또는 드라이브(D)로부터 뉴트럴(N)로 전환하는 경우도 이와 동일하며 시프트레버(2)의 전환시에 있어서 적절한 저항감이 시프트레버(2)에 부여됨과 동시에, 전환 후의 시프트위치에 따른 모드의 외력이 시프트레버(2)에 부하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시프트레버(2)를 드라이브(D)의 위치로부터 뉴트럴 (N)을 통과하여 리버스(R)의 위치까지 조작하는 경우, 또는 시프트레버(2)를 드라이브(D)의 위치로부터 뉴트럴(N) 및 리버스(R)를 통과하여 파킹(P) 위치까지 조작하는 경우, 도중의 뉴트럴(N) 및 리버스(R)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각각 저항감이 부하되기 때문에 시프트레버(2)의 조작에 클릭감이 느껴져 시프트레버(2)의 조작이 확실하게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블라인드터치로 감득할 수 있다. 또 시프트레버(2)가 각 시프트위치로 전환될 때마다 각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이 부하되기 때문에 지금 어느 시프트위치를 통과하고 있는지를 블라인드터치로 감득할 수있다.
그리고 시프트레버(2)가 소요의 시프트위치에 도달한 것을 감득할 수 있었을 때, 조작자가 시프트레버(2)의 조작을 종료하면 제어부(1)는 보이스코일모터(9)를 제어하여 시프트레버(2)에 소요의 외력을 부하하여 시프트레버(2)를 해당 소요의 시프트위치에 잠근다.
또 시프트레버(2)가 조작되면 제어부(1)는 위치신호(a)에 따른 모드의 솔레노이드제어신호(f)를 신호출력부(15)로부터 솔레노이드 드라이버(8)에 출력하고,솔레노이드 드라이버(8)는 솔레노이드 제어신호(f)에 따른 모드의 솔레노이드 구동신호(g)를 출력한다. 솔레노이드(7)는 이 솔레노이드 구동신호(g)에 의해 구동되고, 트랜스미션(6)에 구비된 기어전환용 포크(도시 생략)를 구동하고, 시프트레버 (2)의 시프트위치에 따른 전환위치로 트랜스미션(6)의 기어를 전환한다.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가 잠금해제스위치(3)를 조작하는 일 없이 파킹(P)으로부터 리버스(R)로, 또는 리버스(R)로부터 파킹(P)으로, 또는 뉴트럴(N)로부터 리버스(R)로 조작되었을 때, 보이스코일모터(9)를 구동하여 시프트레버(2)의 다른 시프트위치로의 조작을 금지하기 때문에 기계식의 조작금지기구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그 구조를 각별하게 간략화할 수 있어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가 1의 시프트위치로부터다른 시프트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보이스코일모터(9)를 구동하여 시프트레버(2)에 적당한 저항감을 부여하므로 기계식의 저항감 부여기구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그 구조를 각별하게 간략화할 수 있어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에 손가락검출센서(4)를 구비하고, 시프트레버(2)에 손가락이 닿았을 때, 손가락검출센서(4)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보이스코일모터(9)를 구동하여 시프트레버(2)에 각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을 부하하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할 수 있어 시프트레버(2)의 조작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가 1의 시프트위치로부터다른 시프트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엔코더(5)로부터의 출력신호(a)의 변화에 따라 보이스코일모터(9)를 구동하고, 시프트레버(2)로 전환 후의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을 부하하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전환 후의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할 수 있어 시프트레버(2)의 조작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에 외력을 부하하기 위한 엑츄에이터로서 보이스코일모터(9)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구가 불필요하고, 회전모터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의 하단부를 베이스(21)상에 설정된 지지축(31)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엔코더(5)의 조작편(24)을 보이스코일모터(9)의 구동축(9a)과 시프트레버 (2)의 축부(2b)를 연결하는 커넥팅로드(27)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가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 7 및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측면방향에서 본 요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 41은 시프트레버(2)의 걸어맞춤수단, 부호 42는 베이스(21)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된 면판, 부호 43a, 43b, 43c, 43d는 면판(42)에 뚫어 설치된 볼 걸어맞춤구멍, 부호 44는 시프트레버(2)에 설정된 볼 플런저, 부호 45는 볼 플런저(44)내에 설정된 볼, 부호 46은 볼(45)을 바깥쪽으로 가세하는 스프링, 부호 47은 잠금해제스위치(3) 및 손가락검출센서(4)에 접속된 리드선을 나타내며, 기타 도 6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의 각 전환위치, 즉 파킹(P), 리버스(R), 뉴트럴(N) 및 드라이브(D)에 시프트레버(2)를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4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어맞춤수단(41)은 면판(42)에 뚫어 설치된 4개의 볼 걸어맞춤구멍(43a, 43b, 43c, 43d)과, 볼 플런저(44)내에 설정되고, 스프링(46)에 의해 바깥쪽으로 가세된 볼(45)로 구성되어 있고, 각 볼 걸어맞춤구멍(43a, 43b, 43c, 43d)의 개설위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31)의 중심으로부터 볼(45)의 설정위치까지의 거리(r)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상으로서, 볼(45)을 걸어맞췄을 때에 시프트레버가 파킹(P), 리버스(R), 뉴트럴(N) 및 드라이브(D)의 각 시프트위치에 유지되는 위치로 조정되어 있다.
그 밖의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와 동일하기때문에 대응하는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를 파킹(P), 리버스(R), 뉴트럴(N) 또는 드라이브(D)의 각 시프트위치로 전환하였을 때, 볼 걸어맞춤구멍(43a, 43b, 43c, 43d)의 어느 하나에 볼(45)이 선택적으로 걸어맞춰진다. 볼 걸어맞춤구멍(43a, 43b, 43c, 43d)에 볼(45)이 걸어 맞춰지면 볼(45)을 거쳐 면판(42)에 시프트레버(2)가 걸어멈춰지기 때문에 시프트레버(2)로부터 손을 뗀 후에 있어서도 보이스코일모터(9)를 구동하는 일 없이 시프트레버(2)를 소요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볼 걸어맞춤구멍(43a, 43b, 43c, 43d)의 어느 하나의 볼(45)이 선택적으로 걸어맞춰져 있는 기간은 보이스코일모터(9)에 대한 통전을 중단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탑재 배터리의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다른 시프트위치로의 시프트레버(2)의 전환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및 제 2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와 마찬가지로 조작자가 시프트레버(2)를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조작자가 시프트레버(2)에 조작력을 부하하면 볼(45)이 스프링(4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볼플런저(44)내로 이동하기 때문에 볼(45)과 볼 걸어맞춤구멍(43a, 43b, 43c, 43d)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시프트레버(2)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는 시프트레버(2)의 걸어멈춤수단(41)으로서 볼 플런저(44)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조작자가 시프트레버(2)에 조작방향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어 시프트레버(2)의 조작성이 저해되는 일도 없다.
또한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있어서는 각 시프트위치마다 시프트레버(2)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각 시프트위치로부터 선택된 1 내지 복수개의 시프트위치에만 시프트레버(2)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시프트레버(2)의 각 시프트위치 중, 파킹(P)의 위치와 대응하는 부분에만 볼 걸어맞춤구멍(43a)을 뚫어 설치하여 시프트레버(2)를 파킹(P)위치에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시프트레버(2)가 파킹(P)의 위치로 전환되었을 경우는 통상 엔진이 꺼지기 때문에 보이스코일모터(9)에 항상 통전하는 구성이면 차량탑재 배터리의 소비가 문제가 되나,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와 같이 시프트레버(2)를 기계적인 걸어맞춤수단(41)으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면,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본예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에 있어서는 면판(42)에 볼 걸어맞춤구멍 (43a, 43b, 43c, 43d)을 뚫어 설치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면판(42)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 외, 상기 각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시프트레버(2)에 외력을 부하하기 위한 엑츄에이터로서 보이스코일모터(9)를 이용하였으나, 그 외의 리니어모터 또는 회전모터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 중 시프트레버와, 그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에 의해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신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프트위치에 상기 시프트레버가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할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외력을 부하함으로써 상기 시프트레버를 상기 시프트위치에 잠근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은 시프트레버가 미리 정해진 시프트위치로 전환되어 있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시프트레버가 그 시프트위치에 잠기기 때문에 시프트레버에 기계식의 조작금지기구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그 구조를 각별하게 간략화할 수 있어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 중 시프트레버와, 그 시프트레버에 구비된 잠금해제스위치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가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를 조작하는 일 없이 미리 정한 특정한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로부터 특정한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시프트레버의 특정한 방향으로의 조작을 금지한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은, 시프트레버가 잠금해제스위치를 조작하는 일 없이 미리 정해진 특정한 시프트위치로부터 특정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특정한 시프트위치로부터 특정한 방향으로의 시프트레버의 조작이 금지되기 때문에 기계식의 조작금지기구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그 구조를 각별하게 간략화할 수 있어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 중 시프트레버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어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프트레버가 조작된 것을 나타낸는 위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위치신호에 따른 외력을 부하하여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에 따른 저항감을 부여한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은 시프트레버가 조작되었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시프트레버의 조작에 저항감이 부여되기 때문에 기계식의 저항감부여기구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그 구조를 각별하게 간략화할 수 있어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 중 시프트레버와, 그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손가락이 닿은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손가락검출센서와, 상기 위치신호와 상기 검출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와 상기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신호의 입력이 있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프트레버에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에 따른 특유 모드의 외력을 부하하여 조작자에게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한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은 시프트레버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닿았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시프트레버에 각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이 부하되기 때문에조작자에게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할 수 있어 시프트레버의 조작을 용이화할 수 있다.
본 발명 중 시프트레버와, 그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어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신호에 의해 상기 시프트레버가 1의 시프트위치로부터다른 시프트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프트레버에 상기 다른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을 부하하여 조작자에게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한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은 시프트레버가 1의 시프트위치로부터 다른 시프트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엑츄에이터로부터 시프트레버에 외력이 부하되어 시프트레버로 전환된 후의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이 부하되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전환 후의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할 수 있어 시프트레버의 조작을 용이화할 수 있다.

Claims (20)

  1. 시프트레버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에 의해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신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프트위치에 상기 시프트레버가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할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외력을 부하함으로써 상기 시프트레버를 상기 시프트위치에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2. 시프트레버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구비된 잠금해제스위치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가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를 조작하는 일 없이 미리 정한 특정한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로부터 특정한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시프트레버의 특정한 방향으로의 조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3. 시프트레버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프트레버가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위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위치신호에 따른 외력을 부하하고,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에 따른 저항감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4. 시프트레버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손가락이 닿은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손가락검출센서와;
    상기 위치신호와 상기 검출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와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신호의 입력이 있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프트레버에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에 따른 특유 모드의 외력을 부하하여 조작자에게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5. 시프트레버와;
    상기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시프트레버에 외력을 부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위치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상기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신호에 의해 상기 시프트레버가 1의 시프트위치로부터 다른 시프트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프트레버에 상기 다른 시프트위치에 특유 모드의 외력을 부하하여 조작자에게 상기 시프트레버의 시프트위치를 블라인드터치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보이스코일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보이스코일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보이스코일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보이스코일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보이스코일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1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2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소정의 시프트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KR10-2001-0049504A 2000-08-18 2001-08-17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KR100502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48780A JP3970507B2 (ja) 2000-08-18 2000-08-18 バイワイヤ方式の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JP-P-2000-00248780 2000-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753A true KR20020014753A (ko) 2002-02-25
KR100502267B1 KR100502267B1 (ko) 2005-07-20

Family

ID=1873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504A KR100502267B1 (ko) 2000-08-18 2001-08-17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08139B2 (ko)
EP (1) EP1182381B1 (ko)
JP (1) JP3970507B2 (ko)
KR (1) KR100502267B1 (ko)
DE (1) DE6012566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5167C2 (de) * 2000-02-08 2002-02-14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Shift by Wire"-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JP3582498B2 (ja) * 2001-04-10 2004-10-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装置の制御装置
JP4217393B2 (ja) * 2001-08-10 2009-01-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バイワイヤ方式のギアシフト装置
JP2003301942A (ja) * 2002-02-08 2003-10-24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自動変速装置
JP4199951B2 (ja) * 2002-03-06 2008-12-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バイワイヤ方式の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DE10212777B4 (de) * 2002-03-22 2010-07-22 Audi Ag Kraftfahrzeug mit einem über ein shift-by-wire-System geschalteten Automatikgetriebe
US6904823B2 (en) * 2002-04-03 2005-06-1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shifting devices
DE10243286A1 (de) * 2002-09-18 2004-04-01 Volkswagen Ag Schaltkonsole eines automatisiert steuerbaren Kraftfahrzeuggetriebe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Schalt-/Wählhebels einer Schaltkonsole
AU2003285886A1 (en) * 2002-10-15 2004-05-04 Immersion Corporation Products and processes for providing force sensations in a user interface
JP4057900B2 (ja) * 2002-12-09 2008-03-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力覚付与型入力装置
DE10315644B4 (de) * 2003-04-04 2005-04-21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Monostabile Schaltung mit P-Position
JP4177698B2 (ja) * 2003-04-09 2008-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フ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シフト制御方法
KR100507489B1 (ko) * 2003-06-05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시스템
JP2005030451A (ja) * 2003-07-08 2005-02-03 Alps Electric Co Ltd 力覚付与型入力装置
JP2005170247A (ja) * 2003-12-11 2005-06-30 Alps Electric Co Ltd ギアシフト装置
DE202004009307U1 (de) * 2004-06-11 2004-12-02 Gaslock Gmbh Vorrichtung zum Anzeigen des eingelegten Gangs
US7231846B2 (en) * 2004-08-25 2007-06-19 Mack Trucks, Inc. Magnetic fluid shifter damper mechanism
SE530257C2 (sv) * 2005-03-22 2008-04-15 Kongsberg Automotive Ab En växelspak med extra detektering
US7211971B2 (en) * 2005-03-31 2007-05-01 Hitachi Automotive Products (Usa), Inc. Linear actuator
DE102005033510B4 (de) 2005-07-14 2012-03-22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Schaltsperre
US7469610B2 (en) * 2005-08-26 2008-12-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everse and park inhibitor apparatus in a transmission control mechanism
WO2007034195A1 (en) * 2005-09-21 2007-03-29 Ricardo Uk Ltd. Linear actuator
DE102005047891A1 (de) * 2005-10-06 2007-04-12 Zf Friedrichshafen Ag Hybridantrieb und Betätigungs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7019470A1 (de) * 2007-04-25 2008-04-30 Audi Ag Schalteinheit für ein insbesondere elektronisch geschaltetes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7024030B4 (de) 2007-05-22 2011-01-05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Sperrvorrichtung
JP4986742B2 (ja) * 2007-06-28 2012-07-25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車両用変速操作装置
GB2452054B (en) 2007-08-23 2012-04-18 Jaguar Cars A shift-by-wire selector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JP4968178B2 (ja) * 2008-05-21 2012-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レンジ切換機構の制御装置
DE102009000640A1 (de) 2009-02-05 2010-08-12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Force Feedback
JP4837754B2 (ja) * 2009-02-17 2011-12-14 ジヤトコ株式会社 シフトバイワイヤ式車両の制御装置
JP5169930B2 (ja) * 2009-03-23 2013-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制御装置
JP2011152826A (ja) * 2010-01-26 2011-08-11 Toyota Motor Corp 変速段変更操作装置
US20110309920A1 (en) * 2010-06-21 2011-12-22 Brooks James D Tactile prompting system and method for tactually prompting an operator of a rail vehicle
KR101180956B1 (ko) * 2010-12-02 2012-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기 도난 방지 장치
DE102011004388B4 (de) * 2011-02-18 2018-11-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m Getriebe und einer von Hand zu betätigenden Wähleinrichtung
JP5510402B2 (ja) * 2011-06-28 2014-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フトバイワイヤシステム
KR101673623B1 (ko) * 2011-07-29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US9435425B2 (en) * 2012-07-19 2016-09-06 Sl Corporation Haptic feedback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JP2014052885A (ja) * 2012-09-07 2014-03-20 Nisshin Jidosha Kogyo:Kk 運転用ジョイスティック非常用装置
JP6092393B2 (ja) * 2013-08-02 2017-03-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9249877B2 (en) * 2013-09-20 2016-0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sition diagnostic test for a shift-by-wir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2260938B1 (ko) * 2015-06-30 2021-06-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US10619732B2 (en) * 2014-12-26 2020-04-14 Sl Corporation Automotive transmission
KR102238730B1 (ko) * 2014-12-30 2021-04-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238729B1 (ko) * 2014-12-30 2021-04-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DE102016200083A1 (de) * 2016-01-07 2017-07-13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steuern eines Sperrmagneten und Wählhebe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KR102508814B1 (ko) * 2016-04-06 2023-03-10 시그마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레버용 노브
JP6695002B2 (ja) * 2017-04-06 2020-05-2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シフト装置
DE102017114593A1 (de) * 2017-06-29 2019-01-03 Küster Hold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wählen von Fahrstufen bei Kraftfahrzeugen
DE102017114591A1 (de) * 2017-06-29 2019-01-03 Küster Hold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wählen von Fahrstufen bei Kraftfahrzeugen
US11073205B2 (en) * 2019-03-29 2021-07-27 Dus Operating Inc. Shift lever assembly with position sensing
KR20220142636A (ko) * 2021-04-15 2022-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6582A (en) * 1983-06-27 1987-03-03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Operating device for transmission
DE3333346A1 (de) * 1983-09-15 1985-03-28 Kienzle Apparate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Vorrichtung zur fernsteuerung eines schaltgetriebes fuer kraftfahrzeuge mit eingebautem druckluftnetz
US4800721A (en) * 1987-02-13 1989-01-31 Caterpillar Inc. Force feedback lever
US5035113A (en) * 1988-05-19 1991-07-30 Csepel Autogyar Electropneumatic remote control for shifting the mechanical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US4949119A (en) * 1989-01-12 1990-08-14 Atari Games Corporation Gearshift for a vehicle simulator using computer controlled realistic real world forces
JPH0376170A (ja) 1989-08-17 1991-04-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ダイヤモンドを用いた電子装置の作製方法
US5179867A (en) * 1989-12-28 1993-01-19 Aisin Aw Co., Ltd.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US5197003A (en) * 1990-08-01 1993-03-23 Atari Games Corporation Gearshift for a vehicle simulator having a solenoid for imposing a resistance force
JPH05185857A (ja) * 1992-01-10 1993-07-27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US5537885A (en) * 1994-08-04 1996-07-23 Thomas; Gerald A. Electronically controlled gear shift mechanism particularly suited for racing cars
KR200199618Y1 (ko) * 1996-12-31 2000-12-01 정몽규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WO1999003696A2 (en) * 1997-07-16 1999-01-28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A Division Of Jsj Corporation Vehicle shifter responsive to shifting behaviors
US6088019A (en) * 1998-06-23 2000-07-11 Immersion Corporation Low cost force feedback device with actuator for non-primary axis
SE511070C2 (sv) * 1997-12-04 1999-08-02 Sem Drive Ab Sätt och anordning för manuell växling
JP4163293B2 (ja) * 1998-07-15 2008-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6361473B1 (en) * 2000-04-27 2002-03-26 Eaton Corporation System/method for synchronized shifting of a manually shifted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20236A1 (en) 2002-02-21
DE60125663D1 (de) 2007-02-15
EP1182381B1 (en) 2007-01-03
DE60125663T2 (de) 2007-10-04
JP2002059756A (ja) 2002-02-26
EP1182381A3 (en) 2004-06-30
JP3970507B2 (ja) 2007-09-05
US6508139B2 (en) 2003-01-21
KR100502267B1 (ko) 2005-07-20
EP1182381A2 (en)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267B1 (ko) 바이와이어방식의 차량용 시프트레버장치
JP4846913B2 (ja) シフト装置
US6848331B2 (en) Shift lock device
US7421923B2 (en) Electronic gearshift structure for vehicle
US8387478B2 (en) Electronic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US6948582B2 (en) Shift device for vehicle
US6848332B2 (en) Shift device and switch device thereof for vehicle
JP4068393B2 (ja) シフト装置
US6859198B2 (en) Force feedback functioning manual input device and onboard instrument control system having it
CN103269893A (zh) 用于自动变速器的变速操作设备
JP4681482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操作装置
KR20070005054A (ko) 차량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레버장치
JP4787417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US20020170800A1 (en) Parking lock releasing device
JPH0389075A (ja) 自動変速機用変速装置
JP2011230771A (ja) シフト装置
JP2011230770A (ja) シフト装置
JP2004074927A (ja) シフト装置
JP4633948B2 (ja) シフト装置
JP2007064432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2006256411A (ja) 変速機用シフトスイッチ、シフト装置および自動車
JP2008064171A (ja) シフトバイワイヤ式変速装置
KR20010028339A (ko) 자동 변속기 차량용 변속 레버의 시프트 록킹장치
JPH07280183A (ja) 建設機械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