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560A - 외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외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560A
KR20020013560A KR1020017014973A KR20017014973A KR20020013560A KR 20020013560 A KR20020013560 A KR 20020013560A KR 1020017014973 A KR1020017014973 A KR 1020017014973A KR 20017014973 A KR20017014973 A KR 20017014973A KR 20020013560 A KR20020013560 A KR 20020013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functional component
component module
network
acces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459B1 (ko
Inventor
귀르메 비쇼
니콜라스 파네셰레
Original Assignee
브릭크만 게오르그
톰슨 멀티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릭크만 게오르그, 톰슨 멀티미디어 filed Critical 브릭크만 게오르그
Publication of KR2002001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액세스(home access) 서버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로써 홈 네트워크 안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홈 액세스 서버에, 상기 홈 네트워크 규격에 의해 한정된 각 기능성 구성품 타입 용의 복수의 일반적인(generic)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홈 액세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홈 네트워크에서 기능성 구성품 모듈에 대해 발견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기능성 구성품 모듈을 선택하자 마자, 상기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의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상기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과 대응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 페이지를 예시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또한, 본 발명은 홈 액세스 서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FROM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홈 네트워크 체계(architecture)는 접속된 어떤 디바이스라도 HAVi, AV/C CTS 또는 CAL로써 지정된 명령 언어를 사용해서 매체(예를 들면, IEEE 1394 직렬 버스)를 거쳐서 상호 동작하게 해준다. 외부의 단어(word)와 접속되어야 하는 가정 내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액세스 디바이스의 역할은 특정 프로토콜 기술, 이를테면 인터넷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부분인, 가정 내 디바이스와, 홈 네트워크의 부분이 아닌 외부 디바이스간에 통신하게 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된 PC와 같은 네트워크 외부에 있는 디바이스로부터 홈 네트워크, 구체적으로는 1998년 10월 23일자의, 홈 오디오/비디오 상호운영성 규격(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 버전 1.0 베타+에 지정된 바와 같은 HAVi 네트워크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디바이스 둘 모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홈 네트워크용 HTML 홈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 도면.
도 2는 VCR 제어용 HTML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 도면.
도 3은 VCR 프로그래밍용 HTML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 도면.
도 4는 도 1과 대응하는 홈 네트워크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HAVi 네트워크 타겟 디바이스와, 홈 네트워크 액세스 서버와 웹 브라우저 간의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
덧붙여, 본 발명의 설명 끝 부분에 다섯 개의 HTML 스크립트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홈 액세스(access) 서버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로써 홈 네트워크 안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홈 액세스 서버에, 상기 홈 네트워크 규격에 의해 한정된 각 기능성 구성품 타입을 위한 복수의 일반적인(generic)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홈 액세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홈 네트워크에서 기능성 구성품 모듈을 발견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기능성 구성품 모듈을 선택하자 마자, 상기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의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상기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과 대응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 페이지를 예시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홈 액세스 디바이스(게이트웨이)는 각 기능성 구성품 모듈에 대해 미리 정의된 페이지를 저장한다. 모듈이, 외부 디바이스, 이를테면, HTML 브라우저에 의해 액세스되면, 외부 제어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위해, 해당 페이지는 제어될 모듈의 현재 상태의 파라미터로 적응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은 HTML 또는 JavaScript 또는 Java가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홈 액세스 서버는 발견한 기능성 구성품 중 적어도 일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 페이지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홈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홈 액세스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홈 액세스 디바이스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stack)과,
기능성 구성품 모듈에 대해 미리 정의된 일반적인 사용자 제어 페이지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홈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기능성 구성품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기능성 구성품 모듈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상기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의 상기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과 대응하는 사용자 제어 페이지를 업데이트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비-한정적인 실시예 설명을 통해 나타날 것이다.
비록 다음 페이지에서 설명되는 실시예가 통신 매체로서 IEEE 1394 직렬 버스를 사용하는 HAVi 홈 네트워크에 주로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환경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된 특징은 다른 홈 버스 체계(이를테면 예컨대 CE BUS)와 이와 다른 명령/제어 패러다임, 이를테면 AV/C CTS (TA1394)나 CAL 언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설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AV/C CTS에 관한 몇 가지 예 또한 주어질 것이다.
HAVi에 관한 정보를 더 알려면, 가장 최근 출판된 드래프트 규격, 즉, 1998년 10월 23일자의 HAVi 1.0 베타+를 참조해야 하는데, 이는 HAVi 웹사이트(http://www.havi.org)에서 입수할 수 있다.
IEEE 1394 버스에 관한 정보를 더 알려면, IEEE가 출판한 IEEE 1394 - 1995 문서를 참조해야 한다.
홈 네트워크에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 상기 IP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투명하게(transparently) 운반될 수 있다. 그 경우, 관련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인터넷 기술 특별 조사 위원회) 규격을 따라야 한다. 상기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몇 개는 IP 프로토콜 스택을 운반할 필요가 있다. IEEE 1394 직렬 버스 시스템에 대해, 상기 IETF의 관련 업무 그룹은 IEEE 1394(인터넷 드래프트)를 통해 'IPVersion 4' 상에서 작동한다.
- 상기 IP는 홈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에서 종료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해결책이 갖는 이점 몇 가지로는,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에 IP 스택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과, 홈 네트워크가 좀 더 안전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해결책에 기초를 둔다.
인터넷을 통해 AV/C CTS, CAL 또는 HAVi 홈 네트워크 중 하나와 접속된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와 같은 기존의 오디오/비디오 홈 네트워크 체계에는 일반적으로(currently) 지원(support)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사무실 PC 상에 있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집에 깔아놓은 HAVi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자신의 VCR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인터넷에서의 사용자 제어 패러다임은 HTML이다. 인터넷에 접속된(그리하여 완전한 IP 스택을 포함하는) 홈 액세스 디바이스(홈 액세스 서버라고도 불림)는 HTML 페이지 세트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HTTP 서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는 HAVi 기반이지만, 오디오/비디오 장비와 같은 홈 장비를 제어하기 위해 명령/제어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이와 다른 임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홈 액세스 서버의 역할은 홈 네트워크 구성의 최신 뷰(view)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것은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각 장비에 링크된 참조를 지닌 HTML 홈 페이지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HAVi에서(또한, AV/C CTS 또는 CAL에서도 마찬가지로), 일단 디바이스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다른 임의의 디바이스는 새롭게 접속된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각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저장된 아이콘으로써 식별된다. HAVi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그러한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준다.
새로운 디바이스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서버가 제시한(proposed) 홈 페이지에는 새로운 타겟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새 아이콘이 업데이트될 것이다.
각 아이콘은 상기 디바이스에 전용인 적어도 하나의 HTML 페이지와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HTML 페이지는 본 실시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체계 규격(HAVi, AV/C CTS...)에 의거하여 제작된 미리 정의된 페이지이다. 이는 HTML 기재(description)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제어에 관한-가능성이, 해당 네트워크 규격에 기재된 명령 및 응답 메시지와 일치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V/C CTS에서, VCR과 같은 녹화/재생 디바이스로 향하는(destined) 명령 "PLAY"는 다수의 인수(arguments)를 지니고 전송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액세스 서버는 사용자로 하여금 PLAY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한 인수를 지정할 수 있게 할, 일반적인 AV/C CTS VCR을 위한 사전 제작된 HTML 페이지를 저장한다.
HAVi - 1.0b 드래프트 규격에 순응하는 네트워크에 대해, HAVi "홈 액세스 서버"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의 지정된 기능(상태, 전력)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메모리에 HTML 페이지를 구비하여야 하고, 다음의 기능성 구성품 인터페이스를 구비해야 한다:
튜너
VCR
시계(CLOCK)
A/V 카메라
A/V 디스크
웹 프록시(WEB PROXY)
모뎀
A/V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증폭기
A/V 변환기
AV/C CTS - 2.01 규격에 순응하는 네트워크에 대해, AV/C CTS "홈 액세스 서버"는 공통 유닛의 지정된 기능(상태, 전력)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메모리에 HTML 페이지를 구비하여야 하며, 다음의 하위 유닛을 구비해야 한다.
튜너
VCR
도 4는 전형적인 홈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의 네트워크는 인터넷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단자(통상 PC임)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자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는데, 사용자로 하여금 HTML을 사용하여 "홈 액세스 디바이스"를 통해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해준다. 웹 브라우저가 포함하여야 하는 기능성에 대한 레벨은 본 문서의 범위를 벗어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웹 브라우저는 적어도HTML 순응형이다. 상기 웹 브라우저는 Javascript나 Java와 같은 언어를 더 지원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오직 HTML에만 기초를 둔다. 그러나, Javascript나 Java 지원은 어떤 특정의 디바이스를 제어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VCR이 발생시킨 "테이프 종료" 이벤트와 같은 비동기성(asynchronous) 이벤트를 다루는 일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네트워크는 "홈 액세스 서버"(본 실시예에 따라 HTTP 서버)를 포함하는 타겟 디바이스(1) 또한 포함한다. 상기 홈 액세스 디바이스는 또한 디지털 TV이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구성품과 튜너 구성품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두 개의 다른 엔드 디바이스로, 타겟 디바이스 (3) VCR과 타겟 디바이스 (2) 캠코더 또한 포함한다.
모든 디바이스는 HAVi 순응형이다.
상기 "홈 액세스 디바이스"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스택과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장비를 포함한다. 상기 "홈 액세스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연결된 케이블 셋톱 박스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홈 액세스 디바이스의 IP 스택은 전형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케이블 모뎀
- IP
- TCP/UDP
- HTTP
HTTP(1.1 - RFC 2068)는 간단한 명령/응답 기반 프로토콜이다. 두 객체가HTTP 안에 포함되는데, 즉: 명령을 전송하는 고객(client), 그 명령을 수신하여 다시 응답을 보내는 원점(origin) 서버가 그것이다. 확대 해석하면, HTTP 서버는 웹 서버로 불린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은 GET <URL>인데, 여기서, 상기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웹주소}는 획득될 객체(object)를 가리킨다. 이러한 참조는 두 부분을 포함하는데, 처음 부분은 서버 장비를 가리키고, 두 번째 부분은 명령이 관여할 객체를 가리킨다. 이러한 타겟 객체는 HTML 스크립트 또는 비트맵(bitmap) 또는 이와 다른 타입의 객체와 같은 기존의 객체가 될 수 있다. 상기 객체 참조는 웹 서버에 대한 의미를 가지나 임의의 '실제(real)' 객체를 나타내지는 않는 어떤 것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HTML 스크립트에서, 사용자가 아이콘을 막 선택했다는 것을 웹 서버에게 신호를 보내는데 사용되는데,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선택/활성시키면, 상기 HTML 스크립트는 상기 아이콘을 웹 서버에 전송할(GET 명령을 통해) URL과 결합시킨다.
URL 참조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upper layer protocols)에서 온 명령으로서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액세스 서버"는 최신 홈 페이지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그러한 홈 페이지의 예가 도 1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홈 페이지는 도 4의 네트워크와 대응한다.
상기 대응하는 HTML 페이지는 스크립트 1로 정의된다(하단 참조). 매번 새로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추가될 때마다, 상기 "홈 액세스 서버"는 적당한 라인(들)을 추가함으로써 이러한 홈 페이지 스크립트를 업데이트시킨다.
VCR 3에 해당하는 라인은:
"<A href="havivcr"><IMG src="tvicons/photovr911hf_sm.gif" width="150" height="44" alt="Thomson hz2 VCR"></A>"이다.
- "tvicons/photovr911hf_sm.gif"는 새로운 디바이스 타입을 나타내는 그림(아이콘)과의 (관련) 참조이다. 내부적으로, "홈 액세스 디바이스"는 이러한 아이콘과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주소 간의 결합(HAVi에 대한 SEID/GUID 식별자)을 생성한다. 이러한 아이콘은 적당한 HAVi 메커니즘을 통해서 타겟 VCR 디바이스 자체로부터 "홈 액세스 서버"에 의해 이전에 획득되었다. HAVi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발견 과정 중에, 어떠한 디바이스라도 새로운 디바이스의 1394-1995 ROM 메모리로부터 명칭을 획득할 수가 있다.
- "havivcr"는 사용자가 VCR 아이콘을 선택할 때, "홈 액세스 서버"로 보내지게 될 (관련) 참조이다. 이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의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는 첫 번째 HTML 페이지에 해당한다. 이러한 참조는 상기 페이지에서 고유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만약 네트워크에 제 2 VCR이 접속된다면, "홈 액세스 서버"는 새로운 라인을 추가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 href="havivcr2"><IMG src="tvicons/photovr911hf_sm.gif" width="150" height="44" alt="RCA YY VCR"></A>".
-"Thomson hz2 VCR"은 기능성 구성품의 디바이스 명칭이다. 상기 명칭은 HAVi 또는 하위 계층 메커니즘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 자체로부터 "홈 액세스 서버"에 의해 이전에 획득되었다. HAVi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발견 과정 중, 어떠한 장치라도 상기 새로운 디바이스의 1394-1995 ROM 메모리로부터 이들 명칭을 얻어낼 수 있다. 또한, 모든 네트워크 구성품(디바이스, 기능성 구성품,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는 등록 서비스를 통해 -HAVi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정보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홈 네트워크로부터 매번 디바이스가 제거될 때마다, "홈 액세스 서버"는 해당 라인을 없애서 홈 페이지 스크립트를 업데이트시킨다.
변형 실시예에 따라, "홈 액세스 서버"는 홈 페이지를 통해 그 자신의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홈 액세스 디바이스"는 다수의, 미리 정의된 일반적인 HTML 페이지 세트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홈 액세스 디바이스는 상세히 지정된(well-specified) 구성품 (HAVi에 대해, 이들 구성품은 튜너, VCR, 카메라, 디스크 등이 될 것이다) 각 타입에 대해 한 세트를 저장한다. 스크립트 2는 VCR 타입의 구성품의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는 일반적인 세트의 첫 번째 HTML 스크립트를 보여준다. 상기 페이지는 일단 사용자가 상기 장비(도 1)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인터넷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웹 브라우저에 의해 다운로드된다. 물론, 상기 VCR 페이지 세트는 규격(HAVi 1.0 베타+ - 6.2장)에 설명된 바와 같이 HAVi VCR의 지정된 모든 기능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의 하위세트(subset)(테이프를 빼내는 "매체방출" 성능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은 이 문맥에서 VCR에 대해 의미가 없을 것이다)로만의 액세스, 또는 모든 기능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홈 액세스 서버" 디자이너 마음이다.
"홈 액세스 서버"는 홈 네트워크 상에 동일한 타입의 두 개(또는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상황을 다루어야 한다. 동일한 타입의 디바이스 수 개에 대해 전송될 HTML 스크립트(스크립트 2)는 동일하므로, "홈 액세스 서버"는 HTTP 명령과 서로 다른 타겟 디바이스 간의 결합을 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합은 사용자가 홈 페이지로부터 디바이스를 선택할 때 이루어진다.
"홈 액세스 디바이스"는,
-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IP 주소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것이고,
-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과 그 관련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주소 간의 결합으로 인해 제어될 타겟 디바이스를 식별할 것이다.
일 예로, 우리는 사용자가 사무실의 PC에서 자신의 VCR을 프로그래밍하기를 원하는 앞서 언급한 경우를 고려할 것이다. 도 5는 사용자 에이전트(agent)(웹 브라우저), "홈 액세스 서버" 및 타겟 디바이스(VCR) 간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 상호 작용을 추적하게 해주는 단계별(step-by-step) 과정을 상세히 보여준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자신의 집과 교신해야 한다. 도 1의 주소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홈 페이지 참조로 들어간다. 그러면,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홈 액세스 서버"로 HTTP 명령을 보낸다. 상기 명령은 상술한 바와 같이 HTTP GET 명령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 액세스 서버"는 그것이 접속된 홈 네트워크의 체계에 따라서 홈 페이지를 유지한다. 따라서, 일단 홈 액세스 서버가 HTTP GET 명령을 수신하면, 최신 홈 페이지의 HTML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GET 응답을 다시 보낼 수 있다(도 5에서, 단계 1의 끝 부분 참조).
이어서, 사용자는 VCR 아이콘(또는 비트맵)을 선택한다. 첨부된 URL('havivcr')은 HTTP GET 명령을 통해 "홈 액세스 서버"로 보내진다. VCR 제어를 허용하도록 HTML 스크립트를 다시 보내기 전에, "홈 액세스 서버"는 VCR의 상태를 결정해야 한다(예컨대, VCR은 PLAY 모드나 REC 모드 또는 다른 모드에 있을 수 있다). HAVi 명령 "GetMedia Transport"는 이러한 상태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명령의 결과에 따라, "홈 액세스 서버"는 대응하는 VCR 제어 HTML 스크립트를 다시 보낼 것이다.
만약 VCR이 PLAY 모드에 있다면, 보내질 HTML 스크립트는 상기 상태를 반영해야 한다. 예를 들어, 'STOP 아이콘'은(도 2 참조) 그것이 작동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 특정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우리의 시나리오를 위해, 우리는 VCR이 대기 모드(stand-by mode)에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되돌아온 HTML 스크립트는 스크립트 2와 대응하고, 대응하는 HTML 페이지는 도 2의 HTML 페이지이다.
상기 예에서, VCR 일반적인 홈 페이지는 다섯 개의 기본 기능: 재생, 고속 전진, 되감기, 정지 및 녹화에 대한 액세스 뿐만 아니라, 녹화될 텔레비전 이벤트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툴(tool) 역시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결정한 첫 번째 행동은 테이프를 되감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되감기 아이콘을 선택한다. 그러면, 웹 브라우저는 (HTML 스크립트 2에 상술한 바와 같이) "vcrrw" 참조와 링크된 HTTP GET 명령을 URL로서 보낸다.
그리고 나서, "홈 액세스 서버"는 상기 타겟에 VCR 고속 리버스 HAVi 명령을 보낸다. 일단 명령 전달이 완료되면, "홈 액세스 서버"는 HTTP 응답으로서 "vcrrw"로 참조된 HTML 페이지(스크립트 3 참조)를 다시 보낼 것이다. HAVi 응답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홈 액세스 서버"는 되감기 작동의 결과로(예컨대, '성공'이나 '실패') 상기 페이지를 먼저 업데이트시킬 것이다.
다음의 사용자 행동은 오늘 저녁 6시에 하는 영화를 녹화하도록 VCR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으로 구성되는데, 프로그램 소스는 디지털 TV이다. 웹 브라우저는 (HTML 스크립트 2에 설명된 바와 같이)"vcrprogram" 참조와 링크된 HTTP GET 명령을 URL로 보낸다. "홈 액세스 서버"는 사용자로 하여금 VCR을 프로그래밍 하게 해주는 해당 HTML 스크립트를 다시 보낸다. 관련 스크립트는 스크립트 4로서, 해당 디스플레이는 도 3에 도시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제시한 바와 같이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Confirm)'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확실히 한다. 정보는 도 5의 차트에 설명된 바와 같이 GET URL 명령을 통해 "홈 액세스 서버"로 보내진다(단계 5). 이어서, "홈 액세스 서버"는 HAVi 자원 관리자를 호출하여, 행동에 대해 계획을 세운다. HAVi 규격에 지정된 바와 같이, 자원 관리자는 계획된 시간, 요구되는 대역폭 등에 대한 타겟의 유용성을 체크할 것이다.
일단, HAVi 계획된 행동이 승인 받으면, "홈 액세스 서버"는 HAVi 응답에 삽입된 상태에 따라, VCR 프로그래밍의 결과를 담은 HTML 페이지를 고객(웹 브라우저)에게 다시 보낼 것이다(스크립트 5 참조).
본 발명의 장점은:
- 인터넷으로 "비 IP" 가정내(in-home)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해준다는 점이다.
- 오직 "홈 액세스 디바이스"만이 IP(인터넷 + HTTP + HTML)를 알고 있다는 점이다. HTTP, HTML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은 자주 업데이트 된다. 상기 장점의 결과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변화에 관여되지 않게 된다. "홈 액세스 디바이스", 즉 "홈 액세스 서버"는 인터넷 프로토콜 업데이트에 의해서만 관여된다. 상기 디바이스 스스로는 IP 스택이나 HTML 페이지 구성 요소 중 어느 것도 저장하지 않는다.
- 본 발명은 AV/C CTS, CAL 및 HAVi와 같이 잘-알려진 모든 오디오 비디오명령 언어에 대해 매우 유익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된 PC와 같은 네트워크 외부에 있는 디바이스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어에 이용된다.

Claims (4)

  1. 홈 액세스(access) 서버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홈 네트워크 안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홈 액세스 서버에, 상기 홈 네트워크 규격(specification)에 의해 정의된 각 기능성 구성품 타입을 위한 복수의 일반적인(generic)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홈 액세스 서버에 의해, 상기 홈 네트워크에서 기능성 구성품 모듈을 발견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기능성 구성품 모듈을 선택하자 마자, 상기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의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상기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과 대응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 페이지를 예시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은 HTML이나 JavaScript 또는 Jav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액세스 서버는 발견한 기능성 구성품 중 적어도 일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프로토콜 페이지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홈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홈 액세스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스택(stack)과,
    기능성 구성품 모듈을 위해 미리 정의된 일반적인 사용자 제어 페이지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홈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기능성 구성품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기능성 구성품 모듈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상기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의 상기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선택된 기능성 구성품 모듈과 대응하는 사용자 제어 페이지를 업데이트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액세스 디바이스.
KR1020017014973A 1999-06-02 2000-05-31 외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KR100682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401328 1999-06-02
EP99401328.2 1999-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560A true KR20020013560A (ko) 2002-02-20
KR100682459B1 KR100682459B1 (ko) 2007-02-15

Family

ID=824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973A KR100682459B1 (ko) 1999-06-02 2000-05-31 외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183823B1 (ko)
JP (3) JP2003501764A (ko)
KR (1) KR100682459B1 (ko)
CN (1) CN1161928C (ko)
AU (1) AU5219000A (ko)
DE (1) DE60029321T2 (ko)
ES (1) ES2267543T3 (ko)
MX (1) MXPA01012397A (ko)
WO (1) WO20000761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868B1 (ko) * 2006-11-21 2008-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상태 기반의 홈네트워크 서비스 검색/실행관리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2298B1 (en) 1998-05-06 2007-09-18 Burst.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time-shifted program viewing
US6233389B1 (en) 1998-07-30 2001-05-15 Tivo, Inc. Multimedia time warping system
US7558472B2 (en) 2000-08-22 2009-07-07 Tivo Inc.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system
US8577205B2 (en) 1998-07-30 2013-11-05 Tivo Inc.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US8380041B2 (en) 1998-07-30 2013-02-19 Tivo Inc. Transportable digital video recorder system
US8689265B2 (en) 1999-03-30 2014-04-01 Tivo Inc. Multimedia mobile personalization system
US6757906B1 (en) 1999-03-30 2004-06-29 Tivo, Inc. Television viewer interface system
US7543325B2 (en) 1999-03-30 2009-06-02 Tivo Inc.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lient recording and storage behavior
US20020118954A1 (en) 2001-12-07 2002-08-29 Barton James M. Data storage management and scheduling system
US7665111B1 (en) 1999-10-20 2010-02-16 Tivo Inc. Data storage management and scheduling system
US20030182567A1 (en) 1999-10-20 2003-09-25 Tivo Inc. Client-side multimedia content targeting system
US7035270B2 (en) 1999-12-30 2006-04-25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Home networking gateway
US7111079B2 (en) * 2000-02-23 2006-09-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rchitecture of a bridge between a non-IP network and the web
KR100667742B1 (ko) 2000-08-2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기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기기 제어 방법
KR100750735B1 (ko) 2001-02-03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적용한홈네트워크 시스템
EP1241827B1 (en) 2001-03-15 2009-12-23 Sony Deutschland GmbH Control of home network devices
EP1382157A1 (en) * 2001-04-26 2004-01-2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Home networking gateway
EP1283632B1 (de) * 2001-08-10 2007-12-05 iniNet Solutions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tragung von Daten
EP1286260A1 (en) * 2001-08-22 2003-02-26 Thomson Licensing S.A. Method for translating a HAVi DDI user interface to the HTML world and vice-versa
DE60230479D1 (de) * 2001-11-29 2009-02-05 Panasonic Corp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Haushaltgerätes, mit einem Kommunikationsmobilendgerätes und einer Übergangseinheit für ein Haus
KR100467579B1 (ko) 2001-12-24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HAVi 네트워크 시스템의 피제어 장치를non-IEEE1394망을 통해 제어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US20030158927A1 (en) * 2002-02-21 2003-08-21 Gateway, Inc. Connected home network console
EP1345357A1 (en) * 2002-03-12 2003-09-17 Thomson Licensing S.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n http server and a client
DE10214501A1 (de) * 2002-04-02 2003-10-30 Siemens Ag Webserver mit integrierter Automatisierungsfunkionalität und direktem Zugriff auf die Echtzeit-Kommunikationsebene des Realtime-Ethernets
DE10214538A1 (de) * 2002-04-02 2003-10-30 Siemens Ag Webserver mit integrierter Automatisierungsfunktionalität und direktem Zugriff auf eine Transportschicht
US7516203B2 (en) 2002-10-11 2009-04-07 Sony Corporation Network control verification system, control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apparatus, and network control verification method
EP1575230B1 (en) 2002-11-29 2011-01-12 Freebit Co., Ltd. Server for routing connection to client device
GB0313800D0 (en) * 2003-06-14 2003-07-23 Bashir Anwar Improved access, information and control of equipment and facilities
EP1661302A4 (en) 2003-08-07 201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 VIDEO DEVIC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DIO / VIDEO DEVICE
JP2005094683A (ja) 2003-09-19 2005-04-07 Funai Electric Co Ltd ゲートウェイ
DE102004018980A1 (de) * 2004-04-20 2005-12-0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Gerätes in einem Netzwerk verteilter Stationen sowie Netzwerkstation
JP4033187B2 (ja) * 2004-10-08 2008-0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設定管理プログラム,管理デバイスおよび設定管理システム
CA2588630C (en) 2004-11-19 2013-08-20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ansfer of previously broadcasted content
JP4207900B2 (ja) 2004-12-22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コン・システム、リモート・コマンダ、並びにリモコン・サーバ
DE102005034972A1 (de) * 2005-07-22 2007-01-25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zum Fernzugriff auf ein lokales Netzwerk sowie Vermittlungsknoten für die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7010803B4 (de) * 2007-03-02 2009-06-04 Viessmann Werke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und Überwachen von Haustechnikeinrichtungen
CN101505251B (zh) * 2008-02-04 2011-07-20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家用网络系统及其允入控制方法
US11856592B2 (en) * 2021-10-27 2023-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mapping and user cognitive profile based device control and channel assign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617A (ko) * 1996-09-30 1998-07-06 김광호 웹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H10224875A (ja) * 1997-02-06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能制御方法
US5990884A (en) * 1997-05-02 1999-11-23 Sony Corporation Control of multimedia information with interface specification stored on multimedia component
EP1013047A1 (en) * 1997-05-19 2000-06-28 Coactive Networks, Inc.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control networks and direct input/output devices with the world wide web
JP2000512472A (ja) * 1997-06-25 2000-09-19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プログラミングツール
JP3677153B2 (ja) * 1997-07-11 2005-07-27 株式会社東芝 蓄積装置
JP3601950B2 (ja) * 1997-09-16 2004-12-15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情報提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868B1 (ko) * 2006-11-21 2008-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상태 기반의 홈네트워크 서비스 검색/실행관리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9321T2 (de) 2007-08-02
JP5675739B2 (ja) 2015-02-25
KR100682459B1 (ko) 2007-02-15
CN1353899A (zh) 2002-06-12
AU5219000A (en) 2000-12-28
CN1161928C (zh) 2004-08-11
JP2003501764A (ja) 2003-01-14
ES2267543T3 (es) 2007-03-16
EP1183823A1 (en) 2002-03-06
JP2013008394A (ja) 2013-01-10
EP1183823B1 (en) 2006-07-12
JP2011054206A (ja) 2011-03-17
JP5591673B2 (ja) 2014-09-17
MXPA01012397A (es) 2003-06-24
DE60029321D1 (de) 2006-08-24
WO2000076130A1 (en) 200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459B1 (ko) 외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KR100846800B1 (ko)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에서의 검색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US831614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in a network of distributed stations, and network station
US90943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storing state information of remote user interface
US82196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storing state information of remote user interface
EP1722568B1 (en) Content handling
US201001150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tate information of remote user interface
US7428574B2 (en) Device cooperation service system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ed in the system
JP2012095354A (ja) 遠隔装置の接続確立方法及び接続確立装置
US9372839B2 (en) Rendering system
EP1394986B1 (en) Service gateway for controlling audio/video devices in a local network
JPWO2006077935A1 (ja) Avサーバ機器
CN102763373A (zh) 基于远程访问使用本地网络装置的服务的方法和设备
US20030009597A1 (en) Home network conn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71166B1 (ko) 홈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endorft et al. Remote execution of HAVi applications on Internet-enabled devices
US9948748B2 (en) Method of receiving/transmitting event message, controlled device, and control point
US20070189733A1 (en) Method of restoring AV session and a control point for the same
JP4900169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中継デバイス及び中継プログラム
JP2006099380A (ja) 更新版ソフトウェア配布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