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592A - 잭 장치 - Google Patents
잭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2592A KR20020012592A KR1020017015618A KR20017015618A KR20020012592A KR 20020012592 A KR20020012592 A KR 20020012592A KR 1020017015618 A KR1020017015618 A KR 1020017015618A KR 20017015618 A KR20017015618 A KR 20017015618A KR 20020012592 A KR20020012592 A KR 200200125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jack
- contact piece
- jack device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의 삽입 도중에 접촉편끼리의 단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잭 장치에 연결되는 기기, 장치에서의 과전류에 의한 오동작 등을 방지한다.
삽입 방향에 따라 복수의 플러그극을 가지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50)가 삽입 접속되는 잭 장치에 있어서, 플러그(50)의 선단에 배치된 제 1 플러그극(플러그극(54))에 접촉하는 접촉편(11)과 제 1 플러그극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플러그극(플러그극(52))에 접촉하는 접촉편(10)을 가지지만, 2개의 접촉편(11,10)의 플러그 삽입 방향에 따른 간격이 충분히 넓게 되도록, 양접촉편(11,10)의 플러그 접촉부(11p, 10p)끼리의 간격(D)을 제 1 플러그극(플러그극(54))의 길이(L)와 같은 정도 또는 그것 이상의 넓이로 하여, 제 1 플러그극(플러그극(54))이 내측의 접촉편(11)에 접촉할 때에는 입구측의 접촉편(10)은 제 2 플러그극(플러그극(52))에 접촉한다.
Description
최근, 여객기에는 승객에게 음악이나 영상 등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승객은 각 좌석에 설치된 헤드폰으로부터 개개인에게 좋아하는 음악이나 영상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는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이즈 저감형의 헤드폰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 노이즈 저감형 헤드폰은 잡음을 그 잡음과 반대의 위상의 음에 의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이 헤드폰에는 좌우의 음성 신호와 직류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은 헤드폰에서는 통상 복수(주로 2개)의 플러그극을 가지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가 3개 사용된다. 이들 플러그는 좌석측의 잭 장치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 접속에 의하여 승객은 원하는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도 10은 종래의 헤드폰에 대응하는 잭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잭 장치는 케이스(200)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중앙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가지는 케이블(26)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00)는상케이스(21)와 하케이스(22)로 이루어지고, 3개의 잭부(23, 24, 25)가 설치된다. 3개의 잭부(23, 24, 25)중 잭부(23)는 직류전원 공급용이고, 다른 2개의 잭부(24, 25)는 왼쪽 음성과 오른쪽 음성에 사용된다. 복수의 플러그극을 가지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는 그 플러그를 잭부의 삽입구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단일 헤드의 플러그는 잭부와 접속할 수 있다. 케이스(200)로부터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중앙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26)이 도출된다.
잭 장치의 케이스(21, 22)의 내부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잭부(23, 24, 25)마다 기판(27, 28, 29)이 설치된다. 각각의 기판(27, 28, 29)은 대응하는 잭부(23, 24, 25)에 납땜된다. 또한, 각 기판(27, 28, 29)에는 케이블(26)에 포함되는 리드선이 접속된다.
각 잭부(23, 24, 25)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 헤드의 플러그가 삽입된다. 이들 플러그는 모두 그 삽입 방향에 따라 복수의 플러그극을 가진다.
이하, 잭부(23)를 예로 하여 잭부(23)와 그것에 삽입되는 플러그부의 구조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잭부(23)의 단면을 나타낸다.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23)는
a. 플러그를 삽입하는 개구부(34a)를 가지는 마우스피스(34),
b. 플러그와의 제 1 접촉편으로서 가동 접촉편(31),
c. 플러그와의 제 2 접촉편으로서 어스 스프링(30),
d. 고정편(32), 및
e. 가동 접촉편(31), 어스 스프링(30), 고정편(32)을 설치하는 중공(中空)의 홀더(33)를 구비한다. 다른 잭부(24, 25)의 구조는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23)의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다.
예를 들면, 도 13은 잭부(23)에 단일 헤드의 플러그(50)를 도중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플러그(50)는 삽입 방향에 따라 복수(도 13에서는 2개의 플러그극)의 플러그극을 가진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50)는 플러그의 선단에 배치된 제 1 플러그극으로서 플러그극(54), 그 플러그극(54)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 2의 플러그극으로서 플러그극(52), 및 플러그극(54)과 플러그극(52) 사이에 절연칼라(56)를 가진다.
이 플러그(50)가 잭부(23) 내부에 삽입되면, 최초에 플러그극(54)은 어스 스프링(30)에 접촉된다. 더욱이, 플러그(50)를 삽입하면 플러그극(54)은 가동 접촉편(31)에 접촉되도록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잭 장치에서는 가동 접촉편(31)과 입구측의 어스 스프링(30)의 간격(도 12에 나타낸 DB)은 비교적 좁다. 이 때문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50)의 삽입 도중(플러그(50)가 반정도 들어간 상태)에 플러그 선단의 플러그극(54)은 가동 접촉편(31)과 어스 스프링(30)에 동시에 접촉되는 경우가 있다. 이 동시 접촉이 발생되면, 가동 접촉편(31)과 어스 스프링(30)이 플러그극(54)를 통하여 단락된다.
이 경우, 그 잭부가 음성 전류와 같은 비교적 약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면, 다음과 같은 지장이발생된다.
즉, 잭 장치의 내부에서 직류전원용 접촉편이 단락됨으로써,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중앙 기기의 직류전원 공급부에 과전류가 흐른다. 이것에 의하여, 중앙 기기에서 보호 회로가 가동되어 시스템의 동작이 정지되거나, 오동작, 고장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여객기의 각 좌석에서 사용되는 헤드폰 접속용 잭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플러그 등의 접촉 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잭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잭 장치의 전체의 평면도이고, 케이스의 상부를 제거하여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기 잭 장치의 일부인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플러그 삽입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보여준 잭 장치의 4-4에서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플러그 삽입 도중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잭 장치의 플러그 삽입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보여준 잭 장치의 7-7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 2의 다른 예의 잭 장치의 플러그 삽입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보여준 잭 장치의 9-9에서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잭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11은 상기 종래의 잭 장치의 평면도이고, 상부의 케이스를 제거하여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상기 종래의 잭 장치의 일부인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플러그 삽입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상기 종래의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플러그 삽입 도중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처리한 것으로, 플러그의 삽입 도중에 복수의 접촉편이 단락되지 않는 구조로 한다. 본 발명은 과전류가 흐름으로써, 잭 장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기기가 동작을 정지하거나,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삽입 방향에 따라 복수의 플러그극을 가지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잭 장치로서,
플러그를 삽입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마우스피스;
상기 플러그의 선단에 배치된 제 1 플러그극에 접촉되는 제 1 접촉편;
상기 제 1 플러그극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플러그극에 접촉되는 제 2 접촉편으로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접촉편을 플러그 삽입 방향에 따라 설치하고,
제 1 접촉편의 플러그 접촉부와 제 2 접촉편의 플러그 접촉부의 간격이 상기 플러그의 제 1 플러그극의 플러그 삽입 방향의 길이와 같은 정도 또는 그것 이상의 길이로 설정한다.
또한, 제 1 접촉편과 제 2 접촉편을 설치하는 중공의 홀더는 노치부를 형성한다. 플러그가 삽입되면, 제 2 접촉편은 이 노치부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 노치부에 의하여, 상기 구성의 잭 장치의 외형 치수는 종래의 잭 장치의 외형 치수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접촉편의 간격은 상기 제 1 플러그극과 비교하여 길다. 이 때문에, 이들 2개의 접촉편이 동시에 플러그 선단에 설치된 제 1 플러그극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러그의 삽입 도중에 제 1 플러그극을 통하여 2개의 접촉편이 단락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2개의 접촉편의 단락을 방지하면서, 상기 구성의 잭 장치의 외형 치수는 종래의 잭 장치의 외형 치수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잭 장치는 종래의 플러그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잭 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도 2, 도 3, 도 5와 도 5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잭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잭 장치의 외관도이다.
실시예 1의 잭 장치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3개의 잭부를 가진다. 삽입되는 단일 헤드 플러그는 삽입 방향에 따라 복수의 플러그극을 구비한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에는 각 잭부(3, 4, 5)마다 기판(7, 8, 9)이 설치된다. 각각의 기판(7, 8, 9)은 대응되는 잭부(3, 4, 5)에 납땝된다. 각 기판(7, 8, 9)에는 접속용 케이블(6)에 포함되는 리드선이 접속된다. 이들 구조는 도 10이나 도 11에 나타낸 종래의 이와 같은 잭 장치와 특별히 다르지 않다. 또한, 3개의 잭부(3, 4, 5)중 잭부(3)가 직류전원 공급용이다. 다른 2개의 잭부(4, 5)는 좌우의 음성 신호를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잭 장치에 대하여,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3)를 예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은 플러그 삽입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잭 장치의 4-4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3)에 플러그와의 제 1 접촉편으로서 가동 접촉편(3), 플러그와의 제 2 접촉편으로서 어스 스프링(10), 및 고정편(12)의 3개의 접촉편이 있다. 이들 3개의 접촉편은 중공의 홀더(13)에 설치된다. 또한, 잭부(3)의 입구에 잭부(3)의 입구를 보강하는 개구부(14a)를 가지는 마우스피스(14)를 구비한다. 상기 중공 홀더(13)의 개구부(14a)에 근접한 부분에 폭(도 4 참조:WA)의 노치부(13a)를 형성한다.
삽입되는 단일 헤드 플러그(50)는 삽입 방향에 따라 플러그극(52, 54)을 가진다. 또한, 플러그극(52)과 플러그극(54) 사이에 양쪽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 칼라(56)가 구성된다.
플러그(50)가 잭부(3)의 마우스피스(14)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어스 스프링(10)은 플러그(50)의 플러그극(제 2 플러그극:52)에 접촉되고, 가동 접촉편(11)은 플러그 선단의 플러그극(제 1 플러그극:54)에 접촉된다.
이 상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잭 장치의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와 다르지 않다.
본 실시예의 잭 장치(3)에 있어서, 어스 스프링(10)의 접촉부(플러그 접촉부(10p))와 가동 접촉편(11)의 접촉부(플러그 접촉부(11p))의 간격을 D(도 3에 도시)로 한다. 또한, 플러그 선단의 플러그극(제 1 플러그극:54)의 길이를 L(도 5에 도시)로 한다.
본 실시예의 잭 장치(3)에 있어서, 간격(D)와 길이(L)의 관계는
D ≥L
로 한다.
더욱이, 종래의 것과 상이한 점은 중공 홀더(13)의 개구부(14a)에 근접한 부분에 노치부(13a)를 형성하는 점에 있다. 이 노치부(13a)에 의하여, 어스 스프링(10)이 잭부(3)의 입구 근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어스 스프링(10)의 접촉부(10a)와 가동 접촉편(11)의 접촉부(11a)의 플러그 삽입 방향에 따른 간격(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D)은 종래의 간격(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DB)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잭 장치의 외형 치수(도 1에 나타낸 LA)는 종래의 잭 장치(도 10에 나타낸 LB)의 외형 치수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 의하면 종래의 플러그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어스 스프링(10)이나 가동 접촉편(11)은 삽입된 플러그(5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변형한다. 접촉부(10p)와 접촉부(11p)의 간격(D)은 이 변형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한쪽의 접촉편인 어스 스프링(10)은 플러그(50)의 삽입에 의하여 가동 접촉편(11)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플러그(50)가 삽입되지 않을 때의 접촉부(10p, 11p)의 간격(D)은 플러그(50)의 플러그극(54)의 길이(L)보다 약간 좁아도 무방하다.
잭부(3)에 단일 헤드의 플러그(50)가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는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복수(예를 들어, 2개)의 플러그극을 가지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50)를 삽입한 경우,
1. 우선, 플러그(50)의 선단에 배치된 제 1 플러그극인 플러그극(54)은 어스 스프링(10)과 접촉한다.
2. 더 삽입하면, 어스 스프링(10)은 플러그극(54)에 의하여 노치부(13a)의 방향으로 눌러져 밑으로 내려간다.
3. 더 삽입하면, 플러그극(54)과 어스 스프링(10)의 접촉이 떨어지고, 어스 스프링(10)은 플러그(50)의 절연 칼라(56)와 접촉한다.
4. 더 삽입하면, 어스 스프링(10)과 플러그(50)의 절연 칼라(56)의 접촉이 떨어지고, 어스 스프링(10)은 제 2 플러그극인 플러그극(52)과 접촉한다.
5. 더 삽입하면, 가동 접촉편(11)은 플러그극(54)과 접촉한다.
상기의 잭부(3)에 단일 헤드의 플러그(50)가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는 동작에 있어서, 4.의 동작과 5.의 동작은 순서가 역으로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플러그극(54)이 가동 접촉편(11)에 접속할 때에는 이 플러그극(54)은 이미 어스 스프링(10)의 접촉부(10p)를 통과한다. 따라서, 플러그극(54)는 어스 스프링(10)과 가동 접촉편(11)에 동시에 접촉하지 않는다. 즉, 플러그극(54)을 통하여 어스 스프링(10)과 가동 접촉편(11)이 단락되지 않는다. 이 결과, 케이블(6)을 통하여 연결되는 기기, 장치의 직류전원 공극부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잭 장치에 접속되는 기기나 장치에 과전류에 의한 불량 상태는 발생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편의 한쪽인 어스 스프링(10)이 삽입된 플러그(50)에 의하여 그 접촉부(10p)가 다른쪽의 가동 접촉편(11)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변형한다. 그 결과, 어스 스프링(10)의 접촉부(10p)와 가동 접촉편(11)의 접촉부(11p)의 간격(D)이 삽입전보다 더 넓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잭 장치는 단락을 방지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 도 12에 나타낸 종래의 잭 장치에서 접촉부(10p, 11p)의 간격(DB)을 넓히면, 잭 장치의 LB 치수(도 10 참조)는 길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의 길이도 LB 치수의 증가에 따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접촉편 사이의 간격(D)은 상기 제 1 플러그극과 비교하여 길다. 이 때문에, 이들 2개의 접촉편이 동시에 플러그 선단에 설치된 제 1 플러그극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러그의 삽입 도중에 제 1 플러그극을 통하여 2개의 접촉편이 단락되지는 않는다. 또한, 2개의 접촉편의 단락을 방지하면서, 상기 구성의 잭 장치의 외형 치수(LA)는 종래의 잭 장치의 외형 치수(LB)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잭 장치는 종래의 플러그를 길게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잭부(3, 4, 5)중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3)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하여 그 내부 구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잭부(4, 5)도 동일 구조이어도 무방하다. 이 구조에 의하여, 다른 잭부(4, 5)에 있어서도 플러그 선단의 플러그극(54)을 통한 어스 스프링(10)과 가동 접촉편(11)의 단락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삽입 방향에 따라 2개의 플러그극을 가지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를 예로서 기재하였다. 그러나, 삽입 접속되는 잭 장치에 있어서, 삽입 방향에 따라 3개 이상(예를 들어, 3개)의 플러그극을 가지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잭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잭 장치에 대하여, 직류전원 공급용 잭부를 예로서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 2의 잭 장치의 플러그 삽입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잭 장치의 7-7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2의 잭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1의 잭 장치와 기본적으로는 동일 구성이다.
실시예 1의 잭 장치와 다른 점은 도 6에 나타낸 어스 스프링(10)의선단(10b)의 위치가 노치부(13a)에 위치하는 점에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노치부(13a)의 양측면의 높이를 HA로 하고, 어스 스프링(10)의 선단(10b)의 높이를 HB로 하면
HA ≥HB
로 형성한다.
이 노치부(13a)의 양측 측면은 플러그가 삽입되어 아래 방향으로 어스 스프링(10)이 구부러졌을 때의 가이드로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플러그의 삽입에 의한 어스 스프링(10)의 아래쪽으로의 구부러짐이 유연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 2의 잭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잭 장치의 9-9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 도 9에 나타낸 잭 장치는 도 6, 도 7에 나타낸 잭 장치와 기본적으로는 동일 구성이다. 도 6, 도 7에 나타낸 잭 장치와 다른 점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어스 스프링(10)은 평판 형상이지만, 도 8, 도 9에 나타낸 잭 장치의 어스 스프링(10)은 선 형상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점에 있다. 도 8, 도 9에 나타낸 잭 장치는 선 형상의 용수철이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낸 노치폭(WB)이 도 6, 도 7에 나타낸 잭 장치에 나타낸 노치폭(WA)과 비교하여 좁게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플러그의 삽입에 의한 어스 스프링(10)의 아래쪽으로의 구부러짐이 유연하게 행해질 수 있다. 더욱이, 도 8, 도 9에 나타낸 잭 장치는 노치폭이 좁기 때문에, 플러그와 잭 장치 사이의 덜거덕거림이 적게 된다.
본 발명의 잭 장치는 잭 장치의 2개의 접촉편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플러그극과 비교하여 길다. 이 때문에, 이들 2개의 접촉편이 동시에 플러그 선단에 설치된 제 1 플러그극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러그의 삽입 도중에 제 1 플러그극을 통하여 2개의 접촉편이 단락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2개의 접촉편의 단락을 방지하면서, 상기 구성의 잭 장치의 외형 치수는 종래의 잭 장치의 외형 치수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잭 장치는 종래의 플러그를 길게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잭 장치에 연결되는 기기, 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한 동작 정지, 오동작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 삽입 방향에 따라 복수의 플러그극을 가지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잭부를 가지는 잭 장치로서, 상기 잭부는상기 플러그의 선단에 배치된 제 1 플러그극에 접촉하는 제 1 접촉편;상기 제 1 플러그극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플러그극에 접촉하는 제 2 접촉편; 및상기 제 1 접촉편과 제 2 접촉편을 플러그 삽입 방향에 따라 설치하는 중공의 홀더를 포함하고, 더욱이 상기 중공 홀더에 노치부를 형성하는 잭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잭부의 제 1 접촉편과 제 2 접촉편의 간격을 상기 제 1 플러그극의 플러그 삽입 방향의 길이와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잭부의 제 1 접촉편은 삽입된 플러그에 의하여 그 접촉부가 제 2 접촉편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 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잭부의 상기 노치부의 양측면의 높이를 HA로 하고, 상기 제 2 접촉편의 선단의 위치의 높이를 HB로 하면HA ≥HB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잭부의 상기 제 2 접촉편은 선 형상의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 1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잭부를 복수개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잭부는 삽입 방향에 따라 복수의 플러그극을 가지는 단일 헤드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잭부의 하나는 직류전원 공급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삽입 방향에 따라 복수의 플러그극을 배치한 단일 헤드의 플러그를 통하여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하나의 잭부 및 좌우의 음성 채널용의 2개의 잭부를 구비한 헤드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178316A JP2001006830A (ja) | 1999-06-24 | 1999-06-24 | ジャック装置 |
JPJP-P-1999-00178316 | 1999-06-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2592A true KR20020012592A (ko) | 2002-02-16 |
KR100485323B1 KR100485323B1 (ko) | 2005-04-27 |
Family
ID=1604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5618A KR100485323B1 (ko) | 1999-06-24 | 2000-06-21 | 잭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672906B1 (ko) |
EP (1) | EP1198036B1 (ko) |
JP (1) | JP2001006830A (ko) |
KR (1) | KR100485323B1 (ko) |
CN (1) | CN1191663C (ko) |
DE (1) | DE60030725T2 (ko) |
WO (1) | WO200007965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573139B (en) * | 2000-04-14 | 2004-01-21 | Hosiden Corp | Ultra-small single-head optical plu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plug |
JP5151100B2 (ja) * | 2006-09-08 | 2013-02-27 | ソニー株式会社 | プラグ、音声入出力装置及びノイズキャンセルシステム |
US7912501B2 (en) | 2007-01-05 | 2011-03-22 | Apple Inc. | Audio I/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
US8070503B2 (en) * | 2009-05-26 | 2011-12-06 | Spin Master Ltd. | Charging interface for rechargeable devices |
EP2469663B1 (en) | 2010-12-24 | 2020-06-17 | Phitek Systems Limited | Magnetic connector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08843A (en) * | 1960-12-30 | 1963-10-29 | Carter Parts Company | Electrical jack |
US3166649A (en) * | 1961-02-02 | 1965-01-19 | Carter Parts Company | Electrical device having a hollow housing with one or more contact elements mounted thereon |
JPS5412990A (en) | 1977-06-29 | 1979-01-31 | Kawasaki Heavy Ind Ltd | Method of carrying article into box-like vessel |
JPS5412990U (ko) * | 1977-06-30 | 1979-01-27 | ||
US4368941A (en) * | 1980-03-06 | 1983-01-18 | Magnetic Controls Company | Electrical jack frame |
US4659167A (en) * | 1983-09-30 | 1987-04-21 | Hosiden Electronics Co., Ltd. | Jack with recessed contacts |
JPS6279377A (ja) | 1985-10-01 | 1987-04-11 | Yokogawa Electric Corp | タイミング発生回路自己診断装置 |
JPH0132306Y2 (ko) * | 1985-11-08 | 1989-10-03 | ||
JP2609590B2 (ja) | 1986-09-04 | 1997-05-14 | 株式会社東芝 | 二次元放射線検出器 |
DE3611654A1 (de) | 1986-04-07 | 1987-10-15 | Steuler Industriewerke Gmbh | Doppelwandiger behaelter, insbesondere fuer sondermuelldeponien |
JPS636500U (ko) * | 1986-06-30 | 1988-01-16 | ||
JPS6363985U (ko) * | 1986-10-15 | 1988-04-27 | ||
JPH0569877A (ja) | 1991-09-12 | 1993-03-23 | Suzuki Motor Corp | スクータの伝導ケース |
JP2536896Y2 (ja) * | 1992-02-27 | 1997-05-28 | アイワ株式会社 | 接続装置 |
JP3001750B2 (ja) * | 1992-09-09 | 2000-01-24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プラグ・ジャック式光電共用伝送装置 |
US5522738A (en) * | 1994-09-18 | 1996-06-04 | Thomas E. Dorn | Electrical connector jack |
-
1999
- 1999-06-24 JP JP11178316A patent/JP2001006830A/ja active Pending
-
2000
- 2000-06-21 CN CNB008093687A patent/CN1191663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6-21 WO PCT/JP2000/004041 patent/WO2000079653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00-06-21 US US10/018,135 patent/US667290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6-21 KR KR10-2001-7015618A patent/KR1004853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0-06-21 EP EP00939106A patent/EP119803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6-21 DE DE60030725T patent/DE60030725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672906B1 (en) | 2004-01-06 |
WO2000079653A1 (fr) | 2000-12-28 |
EP1198036A1 (en) | 2002-04-17 |
EP1198036A4 (en) | 2002-09-11 |
DE60030725D1 (de) | 2006-10-26 |
KR100485323B1 (ko) | 2005-04-27 |
DE60030725T2 (de) | 2007-09-06 |
CN1191663C (zh) | 2005-03-02 |
JP2001006830A (ja) | 2001-01-12 |
CN1358344A (zh) | 2002-07-10 |
EP1198036B1 (en) | 2006-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053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wires in a highspeed serial data connector | |
TWI520446B (zh) | 插頭連接器 | |
US7553195B2 (en) | Plug | |
US6554651B2 (en) | High-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 |
US11095056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 distance between electrical terminals | |
JP2001176615A (ja) | 漏話の低い電気コネクタシステム | |
US8992247B2 (en) | Multi-surface contact plu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 |
KR20020012592A (ko) | 잭 장치 | |
JP2004207247A (ja) | 電気導体用接続端子 | |
JP2002272050A (ja) | レゾルバステータ構造 | |
JP3238895B2 (ja) | モジュラージャック | |
US6345991B1 (en) | Printed wiring board for connecting to pins | |
US11056816B2 (en) |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 |
KR101257806B1 (ko) | 커넥터 조립체 | |
CA2089461C (en) | Circuit board connector | |
JP2008041408A (ja) | 放電ギャップ装置及び放電ギャップ形成方法− | |
JP2532026B2 (ja) | 電子部品搭載用基板 | |
KR200276126Y1 (ko) | 이어폰 잭 | |
EP1079468B1 (en) | Connector having improved high-voltage surge performance | |
KR200348640Y1 (ko) | 이어폰 잭용 단자 | |
KR200276125Y1 (ko) | 이어폰의 플러그 고정홀더 | |
JPH09327083A (ja) | スピーカ取付装置 | |
JPH0322495A (ja) | 回路基板 | |
KR200231158Y1 (ko) | 초고속 통신용 피뢰기 단자체 | |
KR200345634Y1 (ko) | 개선된 접지구조를 갖는 보호기 베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