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573A - 틸팅이 가능한 캡을 구비하는 비히클 - Google Patents

틸팅이 가능한 캡을 구비하는 비히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573A
KR20020012573A KR1020017014341A KR20017014341A KR20020012573A KR 20020012573 A KR20020012573 A KR 20020012573A KR 1020017014341 A KR1020017014341 A KR 1020017014341A KR 20017014341 A KR20017014341 A KR 20017014341A KR 20020012573 A KR20020012573 A KR 20020012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vehicle
hydraulic
actuato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빈 버나두스 요하네스 다뮈스
Original Assignee
액츄언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츄언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액츄언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12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5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Actuator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섀시와, 상기 섀시를 기준으로 틸팅되는 캡, 및 캡을 틸팅시키기 위해 섀시 및 캡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 유체의 공급 및/또는 제거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압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히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틸팅 액튜에이터의 각각의 연결부는 필요한 경우 대응하는 라인을 통해 펌프를 통하지 않고 비히클상에 위치되는 제 1축결합 요소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 1축결합 요소는 틸팅 액튜에이터가 작동되는 경우 가압된 유압 유체를 틸팅 액튜에이터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제 2축결합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틸팅이 가능한 캡을 구비하는 비히클{Vehicle with a tiltable cab}
화물 자동차(lorry)의 경우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거우며 틸팅이 가능한 캡을 보면, 사실상 오늘날의 모든 화물 자동차들이 캡을 틸팅시키기 위한 유압 틸팅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틸팅 장치는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hydraulic tilting actuator) 및 비히클의 섀시(chassis)상에 설치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틸팅 액튜에이터는 두 개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복동식 선형 액튜에이터(linear-actuator of the double- acting type)로써, 상기 각각의 연결부는 대응하는 액튜에이터의 작동 챔버(working chamber)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 챔버 및 대응하는 하나의 연결부를 가지는 단동식 액튜에이터(single-acting actuator)를 구비하고 있는 비히클도 있다.
캡을 틸팅하기 위한 유압 틸팅 장치는 US 3 985 194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틸팅 장치는 비히클의 섀시 및 캡 사이에 위치한 복동식 유압 틸팅 튜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 경우에 틸팅 액튜에이터로 가압된 유압 유체를 공급해 주기 위한 수동식 펌프(hand pump) 및 공압 펌프(air-driven pump)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펌프가 섀시상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펌프는 유압 유체를 위한 저장소(reservoir)에 연결된다.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를 원하는 만큼 확장시키거나 수축시키기 위해서 펌프 및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의 연결부 사이의 유체 라인(fluid line)에 작동 가능한 유압 밸브가 제공되어 있다.
종래의 비히클에 있어서, 펌프는 섀시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므로 펌프가 영구적으로 기후와 비의 영향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캡을 틸팅하고자 하는 순간에는 펌프가 신뢰성있게 작동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펌프의 제작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들게 되는데, 상기 펌프의 사용 빈도수가 낮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다. 게다가, 캡을 틸팅하고자 하는 요구는 꾸준히 하락하고 있고, 비히클의 성능이 개량되어 수리를 필요로 하는 간격이 길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비히클(vehicle)의 캡(cab)의 틸팅(tilting)에 관한 것으로, 상기 캡은 보통 비히클을 운전하고 있을 때의 운전 위치 및 캡의 하부에 위치한 엔진을 관리하는 경우와 같이 운전대가 전방으로 틸팅된(tilted) 위치 사이에서 틸팅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방으로 틸팅되는 운전석의 캡 및 유압 틸팅 장치를 구비하는 비히클의 전단부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에 따른 비히클을 도 1과 동일한 관점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특징에 따른 비히클의 캡을 틸팅하기 위한 유압 틸팅 수단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 및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유압 틸팅 수단의 제 2실시예로, 도 3a 및 도 3b와 동일한 관점으로 도시한 유압 회로도 및 개략도, 및
도 5는 발명의 여섯번째 특징에 따른 펌프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유압 캡 틸팅 장치(hydraulic cab tilting device)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있어서,캡 및 섀시 사이에 결합되는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의 각각의 연결부는 비히클상에 설치되는 펌프를 통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 대응하는 유압 라인들을 통해 상기 비히클에 위치되어 대응하는 제 1축결합 요소에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 1축결합 요소는 틸팅 액튜에이터가 작동되면 틸팅 장치에 가압된 유압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유닛(pump unit)에 포함되어 있는 제 2축결합 요소와 축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은 종래의 비히클에서 본질적으로 캡을 틸팅시키기 위해 비히클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유압 펌프가 없어도 되고, 캡을 틸팅하려고 할 경우에만 틸팅 액튜에이터에 분리식 펌프(seperate pump)를 연결시킨다는 것이다. 상기 분리식 펌프는 일예로 정비소나 출장정비사가 구비하고 있을만한 펌프이다. 틸팅이 가능한 캡을 구비하는 특정 비히클상에서 바람직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특히 휴대 가능한 펌프가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비히클은 펌프 유닛을 위한 저장 구획(storage compartment)을 구비한다.
펌프는 틸팅이 가능한 캡을 구비하는 비히클에 포함되며 또한 타이어가 바람이 빠진 경우와 같이, 비히클을 들어 올리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압 잭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 이외에도 잭은 비히클의 축(axle)과 같은 비히클의 일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유압 리프팅 액튜에이터(hydraulic lifting actuator)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후자의 해결책은 청구항 4에 별도로 명시되어 있다. 실제 상황에서 유용한 실시예에 따른 잭은 수동식 펌프 및 단동식 또는 복동식 유압 리프팅 액튜에이터를 구비하는 유압 바틀 잭(hydraulic bottle jack)으로 제작된다.
상기 발명의 첫 번째 특징은 또한 청구항 1에 따른 비히클 및 펌프의 조합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게다가, 바람직하게, 제 1축결합 요소 및 제 2축결합 요소는 각각 클로져 부재(closure member)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클로져 부재들은 축결합 부재가 열결되지 않았을 때 대응하는 축결합 요소를 폐쇄하고, 제 1축결합 요소 및 제 2축결합 요소가 서로 축결합할 경우에만 유압 유체를 위한 통로를 개방한다. 이로써, 유압 액튜에이터 및 그것에 연결된 모든 유압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유압 시스템의 일부는 유압 유체로 채워지면 펌프 및 그것에 연결된 모든 유압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시스템의 다른 나머지 또한 유압 유체로 채워진다. 상기 클로져 부재는 유압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람직하지 못하게 공기가 유압 시스템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두 번째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청구항 7 에 따른 잭을 제공한다.
세 번째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청구항 10 에 따른 비히클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유압식으로 틸팅 가능한 캡을 구비하는 많은 비히클들은 유압 펌프, 상기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 및 유압 유체를 위한 저장소로 이루어지는 펌프 유닛을 구비한다. 따라서, 전기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캡을 틸팅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펌프 유닛에 부가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시킬 전압이 없어서 전기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캡을 틸팅할 수 있도록 수동식 펌프를 구비하고 있는 비히클들도 있다. 비록 캡을 틸팅하는 빈도는 그다지 높지 않지만 정비소의 기계공이나 출장 정비사들은 육체적인 수고는 없지만, 캡을 틸팅시키는일이 발생될 가능성에 주의한다. 그러나, 특히 상기 언급한 기후의 영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됨에 의해 상기 전기 모터는 틸팅 장치에서 값비싼 부분을 차지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은 종래의 비히클들에서처럼 펌프에 영구적으로 결합되지 않는 전기 모터를 제공하며, 외부에서 액세스(access)가 가능하며 캡을 틸팅하고자 할 때 분리되는, 바람직하게는 휴대 가능한 모터에 축결합되는 구동 부재(drive member)를 구비한 펌프가 제공된다. 상기 모터는 일예로 대부분의 정비소나 출장 정비사들이 구비하고 있는 공압 렌치일 수도 있다. 비히클에 캡을 틸팅하기 위한 여분의 수동식 펌프가 구비된다면, 근방에 분리되는 모터가 없더라도 캡의 틸팅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정 변형에 있어서, 분리되는 휴대 가능한 모터는 스크류 드라이버나 드릴링 툴 등과 같은 무선 전기식 구동 툴(cordless electric power tool)의 일부이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툴은 충전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비히클은 상기 구동 툴을 위한 특정 저장 설비(dedicated storage facility)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 툴은 배터리 충전기에 적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휴대용 스크류 드라이버나 드릴링 툴은 표준 상품으로 일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고, 유압 틸팅 장치의 펌프를 구동시키기에도 충분하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의 변형에 있어서, 실제로 펌프는 상기 펌프에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전기 모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경우 회전식 구동 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모터를 사용하여 구동된다. 그 결과, 일예로, 전기가 흐르지 않거나,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전기 모터의 고장 등으로 전기 모터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펌프가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들은 서로 다른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음이 분명할 것이다.
상기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들과 그것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이하 청구항 및 도면과 관련된 기재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섀시(2) 및 상기 섀시(2)를 기준으로 선회 수단(3)에 대하여 틸팅이 가능한 운전석 캡(driver's cap; 4)을 구비하고 있는 비히클(1)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캡(4)이 전방으로 틸팅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캡(4)은 비히클(1)의 엔진(5)에 접근하도록 틸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섀시(2) 및 캡(4) 사이에 설치되며 캡(4)을 틸팅하는 데 사용되는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6)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서 틸팅 액튜에이터(6)는 확장 및 수축 가능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는 복동식 선형 액튜에이터로, 상기 피스톤은 가변 용적(variable volume)의 두 개의 작동 챔버(working chamber)의 범위를 정해 준다. 틸팅 액튜에이터(6)는 유압 유체를 공급 및/또는 제거하도록 각각 하나의 작동 챔버와 대응하는 두 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들은 각각 하나의 작동 챔버에 대응된다.
섀시(2)상에 설치되는 두 유압 라인(hydraulic lines; 7, 8)은 틸팅 액튜에이터(6)의 연결부들에 연결된다.
또한, 도 1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유압 펌프 및 유압 유체를 위한 저장소(reservoir)를 구비하며, 비히클의 섀시(2)상에 설치되는 펌프 유닛(9)을 도시한다. 상기 펌프 유닛(9)은 유압 라인(7, 8)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연결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작동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요구되어지는 틸팅 액튜에이터(6)의 하나 또는 다른 작동 챔버로 가압된 유압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 1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참조 부호에 프라임(prime symbol)을 부가하여 기재한다. 상기 도면들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섀시상에 설치되는 펌프 유닛(9)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제 1축결합 요소(coupling element; 10, 11)는 라인(7', 8')의 각각의 끝단부에 위치되며, 틸팅 액튜에이터(6)가 작동될 경우 상기 틸팅 액튜에이터(6)로 가압된 유압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 및 유압 유체의 저장소로 이루어진 펌프 유닛(도 2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는 제 2축결합 요소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틸팅 액튜에이터(6)의 각각의 연결부는 펌프를 통하지 않고 대응하는 라인에 의해 비히클에 위치되어 있는 제 1축결합 요소에 직접 축결합된다.
펌프 유닛은 일예로, 바퀴가 구비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휴대 가능한 펌프 유닛이지만, 비히클에 포함되어 바람직하게는 분리가 가능한 펌프 유닛이다. 펌프 유닛은 수동으로 작동되는 펌프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편리한 변형에서는 펌프가 전기로 작동된다. 적절하게는 펌프가 수동 및 전기로 작동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유닛은 또한 비히클에 포함되는 유압 잭(hydraulic jack)의 일부를 형성하여 타이어에 바람이 빠진 경우에서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비히클의 일부를 들어올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 요소(10, 11)는 또한 액튜에이터(6)에 직접 구비될 수 있으므로, 라인(7', 8')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제 1축결합 요소 및 제 2축결합 요소는 바람직하게 신속하게 축결합 작동하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 1축결합 요소 및 제 2축결합 요소는 각각 클로져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클로져 부재는 대응하는 축결합 요소를 폐쇄하고 있다가 제 1축결합 요소 및 제 2축결합 요소가 서로 축결합될 때 그것을 개방한다. 상기 축결합 요소들의 설계는 종래 기술을 따르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비히클의 캡을 틸팅시키기 위한 유압 틸팅 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들은 도 2의 액튜에이터(6') 및 라인들(7', 8'), 그리고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라인들의 제 1축결합 요소들(10, 11)을 도시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틸팅 액튜에이터(6')는 유압으로 열리는 역지 밸브(non-return valve; 12)를 구비함으로써 피스톤 로드가 의도적으로 수축되도록 유압 유체가 라인(7')을 통하여 액튜에이터(6')에 공급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피스톤 로드가 수축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역지 밸브(12)는 또한 라인(8')에 누출이 있는 경우 피스톤 로드가 수축하는 것도 방지한다.
또한, 도 3a는 액튜에이터(6')와 결합될 수 있는 펌프 유닛을 도시한다. 상기 펌프 유닛은 휴대 가능하며 상기 경우에서는 비히클을 들어올리기 위한 유압 잭으로 설계된다. 펌프 유닛은 틸팅 액튜에이터(6')의 제 1축결합 요소들(10, 11)에 축결합될 수 있는 제 2축결합 요소들(24, 25)뿐 아니라, 수동식 작동 펌프(20), 유압 유체의 저장소(21), 리프팅 액튜에이터(lifting actuator; 22) 및 작동 밸브(23)로 구성된다. 상기 축결합 요소들(10, 11, 24, 25)은 서로 쌍으로 각각의 연결 요소들에 클로져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신속하게 해체되는 축결합 장치로 형성된다. 상기 부재는 축결합 요소들이 서로 축결합될 때 통로를 개방하고 연결이 해체될 때 통로를 폐쇄한다.
펌프(20)는 역지 밸브(27)를 통해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흡입하고, 상기 가압되는 유체는 역지 밸브(28)를 통해 펌프(20)로부터 송출된다.
밸브(23)는 수동식 작동 조절 밸브로, 제 1위치에서, 펌프(20)의 송출 측(delivery side)을 리프팅 액튜에이터에 연결시키고, 축결합 요소들(24, 25)을 저장소(21)에 연결시킨다. 제 2위치에서 밸브(23)는 펌프의 송출 측을 축결합 요소(25)에 연결시키고, 제 3위치에서는 축결합 요소들(24)에 연결시킨다. 각각의 경우, 나머지 다른 측 축결합 요소는 라인(35)을 통해 저장소(21)에 연결된다.
리프팅 액튜에이터(22)는 단동식 액튜에이터로 제작된다. 라인(29)은 작동 챔버(30)를 밸브(23)에 연결시킨다. 라인(32)은 저장소(21)에 연결되어 액튜에이터의 초과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유압 유체가 상기 챔버(30)에 공급될 때 리프팅 액튜에이터(22)가 확장한다. 상기 확장된 액튜에이터(22)를 수축시키기 위해서 제 1위치의 밸브(23)와 함께 수동식 작동 백브(33)가 개방된다. 과도한 압력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34)가 압력을 해제 밸브(pressure-release valve)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3b는 펌프 유닛의 펌프(20)가 레버(lever) 작동에 따른 수동식 작동 플런저 펌프(manually actuable plunger pump)임을 도시한다. 상기 펌프(20)는 핸들(36) 및 리프팅 액튜에이터(22)와 함께 제공되며 종래의 바틀 잭과 유사한 휴대 가능한 유닛을 형성한다. 상기 바틀 잭의 외주의 윤곽선은 상단부만 굵은 실선 및 실제 스케일로 도시되어 있고, 하단부는 전적으로 점선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어느 구성요소들이 펌프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해준다. 부차적으로, 축결합 요소들(10, 11, 24, 25)은 도 3b에서 생략되었다.
상기 펌프 유닛은 밸브(23)를 제 1위치로 이동시켜 펌프(20)의 송출 측이 리프팅 액튜에이터(22)의 챔버(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히클을 들어올리는 데 이용되는 독립식 바틀 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비히클의 캡(4')을 틸팅시키려면, 펌프 유닛은 라인(7') 및 (8')에 연결된다. 전방으로 캡을 틸팅시키기 위해서는 밸브(23)를 제 2위치로 이동시켜 펌프(20)의 송출 측이 액튜에이터(6')의 하부 측 챔버에 연결시킴으로써, 액튜에이터를 확장시킨다. 캡을 운전 위치로 되돌리도록 틸팅시키기 위해서는 밸브(23)를 제 3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후, 가압된 유압 유체가 펌프(20)를 통해 라인(7')으로 공급되고, 상기 라인을 통해 액튜에이터(6')의 피스톤 로드 측 챔버로 공급되며, 밸브(12)는 라인 (7')의 압력으로 인해 개방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동일한 관련 부호로 기재하며, 도 3a 및 도 3b에 제시되어 있는 해결책의 변형을 도시한다.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틸팅 액튜에이터(40)가 복동식이 아니라 단동식이라는 것이며, 하나의 작동 챔버(11) 및 상기 작동 챔버로 이어지는 라인에 대응하는 제 1축결합 요소(42)를 가진다. 특히, 캡이 지나치게 전방으로 틸팅되어 무게 중심이 캡의 틸팅축 상부를 지나가야만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단동식 틸팅 액튜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몇 가지 경우에 있어서 특히 캡의 용수철 현가 수단(spring suspension means)이 캡의 전방으로 틸팅된 위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이것까지 가능할 것이다.
펌프 유닛은 오직 하나의 제 2축결합 요소(43)가 제공되며 단순 밸브(simple valve; 44)에 의해서 단동식 액튜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틸팅 액튜에이터(40)가 수축하기 위해서는 밸브(33)를 열어야만 한다.
상기 단순 펌프 유닛은 또한 잭으로 사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틀 잭과 상당히 유사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념은 예로, 틸팅 액튜에이터가 부가되는 틸팅 장치, 또는 운전 위치의 캡을 록킹(locking)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압 작동 로크(lock)를 포함하는 틸팅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도 5은 유압식으로 틸팅되는 캡을 구비한 비히클(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상에 설치되는 펌프(6)의 단면도이다. 상기 펌프(60)는 가압된 유압 유체를 틸팅 액튜에이터에 공급시키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경우에서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레이디얼 플런저 펌프(radial plunger pump)가 사용된다. 상기 펌프(60)는 펌프(60)의 하우징(housing)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 축(drive shaft;61) 및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끝단부(62)로 구성된다. 상기 끝단부(62)는 열쇠구멍, 육각형 및 육각 소켓 등과 같은 스패너 형태(spanner formation)가 제공되어 상기 구동 축(61)이 비히클상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모터와 연결되도록 한다.
미도시된 변형에 있어서, 전기 모터가 펌프의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 축은 펌프 축(6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거기에 연결된다. 상기 경우에서 모터 축은 펌프로부터 떨어진 끝단부에서 외부 액세스(access)가 가능하여, 상기 펌프에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전기 모터가 구동되지 않을 때, 무선 전기식 스크류 드라이버, 드릴링 툴 또는 공압 렌치(pneunatic wrench)와 같은 별도의 모터에 의해 펌프가 구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장치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캡을 구비하는 모든 비히클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섀시와,
    상기 섀시를 기준으로 틸팅될 수 있는 캡, 및
    캡을 틸팅하도록 섀시 및 캡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 유체의 공급 및/또는 제거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에 있어서;
    상기 틸팅 액튜에이터의 각각의 연결부는 필요한 경우 대응하는 유압 라인에 의해 펌프를 통하지 않고 비히클상에 위치되는 제 1축결합 요소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 1축결합 요소는 틸팅 액튜에이터가 작동하는 경우 가압된 유압 유체를 틸팅 액튜에이터로 공급시키는 펌프 유닛과 대응하는 제 2축결합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 및 펌프 유닛의 조합.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축결합 요소들 및 제 2축결합 요소들이 각각 클로져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클로져 부재들은 각각 상기 축결합 요소들이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대응되는 축결합 요소를 폐쇄하고, 제 1축결합 요소 및 제 2축결합 요소가 서로 축결합되었을 경우에는 유체 통로를 개방하도록 적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4. 섀시와,
    상기 섀시를 기준으로 틸팅될 수 있는 캡과,
    캡을 틸팅하도록 섀시 및 캡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 유체의 공급 및/또는 제거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 및
    타이어에 구멍이 난 경우에서와 같이 비히클의 일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유압 리프팅 액튜에이터 및 상기 리프팅 액튜에이터에 가압된 유압 유체를 공급시키기 위한 펌프로 구성되는 분리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휴대 가능하거나 바퀴가 구비되는 유압 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히클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의 연결부는 비히클상에 위치하는 대응하는 제 1축결합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잭은 각각 제 1축결합 요소에 연결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제 2축결합 요소들을 구비하여 상기 잭의 펌프가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에 연결되며 잭의 펌프의 작동에 의해 캡이 틸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5. 제 4항에 있어서,
    잭이 제 1위치에서 펌프를 리프팅 액튜에이터에 연결시키고, 제 2위치에서 펌프를 제 2축결합 요소 또는 제 2축결합 요소들에 연결시키는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작동하는 역지 밸브가 제 1축결합 요소 및 유압 유체가 공급되었을 때 캡이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틸팅 액튜에이터의 연결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7. 유압 리프팅 액튜에이터와,
    상기 리프팅 액튜에이터에 가압된 유압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유압 유체를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프팅 액튜에이터, 펌프 및 리저버는 강건하게 서로 연결되며, 휴대용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유닛은 특히 비히클에서 대상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그라운드상에 위치되도록 제작되는 유압 잭, 바람직하게는 바틀 잭에 있어서;
    상기 잭은 하나 또는 그 이상 부가되는 연결 포트가 구비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압 액튜에이터를 잭에 연결시키기 위한 축결합 요소가 각각 구비되며, 또한 상기 잭은 제 1위치에서 펌프를 리프팅 액튜에이터에 연결하며 제 2위치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 포트에 연결하는 작동 밸브가 구비됨으로써, 제 1위치에서 리프팅 액튜에이터가 작동될 수 있고, 제 2위치에서 잭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압 액튜에이터가 잭의 펌프의 작동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잭.
  8. 선행 항들 중 다수에 있어서,
    비히클.
  9. 선행 항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비히클, 틸팅 유닛 및/또는 잭의 조합.
  10. 섀시와,
    상기 섀시를 기준으로 틸팅될 수 있는 캡과,
    캡을 틸팅하도록 섀시 및 캡 사이에 위치하여 유압 유체의 공급 및/또는 제거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압 틸팅 액튜에이터 및 유체의 저장소, 및
    틸팅 액튜에이터로 가압된 유압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또한 비히클에 장착되며, 모터를 사용하여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할 수 있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히클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구동 부재를 비히클에 장착되지 않은 모터와 축결합시키기 위해 펌프의 외부상에서 액세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펌프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휴대 가능하며 비히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대응하는 배터리와 함께 전기식으로 작동되며, 휴대용 유닛,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스크류 드라이버 및/또는 드릴링 툴과 같은 무선 전기식 구동 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구동 부재를 모터에 축결합시키기 위하여 스패너 형태, 바람직하게는 육각 너트 형태 또는 소켓 헤드 렌치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16.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로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구동 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가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17. 제 10항 내지 제 16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가압된 유체를 액튜에이터로 공급하기 위한 수동식으로 구동 가능한 펌프가 비히클상에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KR1020017014341A 1999-05-10 2000-05-09 틸팅이 가능한 캡을 구비하는 비히클 KR20020012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2014A NL1012014C2 (nl) 1999-05-10 1999-05-10 Voertuig met kantelbare kabine.
NL1012014 1999-05-10
PCT/NL2000/000300 WO2000068063A1 (en) 1999-05-10 2000-05-09 Vehicle with a tiltable ca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573A true KR20020012573A (ko) 2002-02-16

Family

ID=1976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341A KR20020012573A (ko) 1999-05-10 2000-05-09 틸팅이 가능한 캡을 구비하는 비히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2) EP1293418A3 (ko)
KR (1) KR20020012573A (ko)
AT (1) ATE237491T1 (ko)
AU (1) AU4626300A (ko)
BR (1) BR0010394A (ko)
DE (1) DE60002192T2 (ko)
NL (1) NL1012014C2 (ko)
TR (1) TR200103223T2 (ko)
WO (1) WO2000068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0182B1 (fr) * 2004-05-13 2007-11-23 Belt Sarl Vehicule de transport du beton equipe d'un convoyeur de transport
SE531335C2 (sv) * 2007-07-02 2009-02-24 Scania Cv Abp Drivanordning för en hyttippump
ITUA20161928A1 (it) * 2016-03-23 2017-09-23 Pigo Luca Dispositivo di pompaggio idraulico ad uso saltuario
KR102621915B1 (ko) * 2019-02-25 2024-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누름 조작식 틸팅 펌프 장치 및 캡 틸팅 시스템
DE102021101988A1 (de) 2021-01-28 2022-07-28 Feucht GmbH Antriebseinheit für eine pump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16063A (de) * 1971-02-12 1971-11-30 Kistler Laurenz Fahrbares Schalgerät zum Ein- und Ausschalen von Schalungen für Betondecken
US3985194A (en) * 1974-08-30 1976-10-12 Applied Power Inc. Tilt cab power stream and valve control therefor
NL8601475A (nl) * 1986-06-06 1988-01-04 Applied Power Inc Aandrijfeenheid voor een dubbelwerkende hydraulische zuiger-cilinderinrichting.
FR2743047B1 (fr) * 1995-12-27 1998-02-20 Renault Vehicules Ind Dispositif de basculement d'une cabine supportee par un chassis
DE19620789A1 (de) * 1996-05-23 1997-11-27 Fritz Acksteiner Vorrichtung zur Radpflege
NL1004341C2 (nl) * 1996-10-23 1998-04-24 Applied Power Inc Hydraulische kantelinrichting voor een kabine.
JP3387781B2 (ja) * 1997-06-24 2003-03-17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油圧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626300A (en) 2000-11-21
DE60002192T2 (de) 2003-12-04
ATE237491T1 (de) 2003-05-15
BR0010394A (pt) 2002-02-13
WO2000068063A1 (en) 2000-11-16
EP1293418A3 (en) 2003-04-02
EP1177125A1 (en) 2002-02-06
EP1293418A2 (en) 2003-03-19
DE60002192D1 (de) 2003-05-22
EP1177125B1 (en) 2003-04-16
TR200103223T2 (tr) 2002-04-22
NL1012014C2 (nl) 200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2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tire repair or replacement
US6895648B1 (en) Motor vehicle pneumatic jacklift system
US5911437A (en) Trailer apparatus and method
US20090008917A1 (en) Landing gear jack and methods of use
US6773132B2 (en) Emergency kit having an air compressor in combination with an impact wrench and a tire jack for changing a tire
US5876526A (en) Automotive flat tire repair system improvement
US20060163551A1 (en) Hydraulic vehicle jack system
CA2998629C (en) Vehicle jack and adapter therefor
WO2004069596A2 (en) Motor driven scissor jack with limit switches
KR20020012573A (ko) 틸팅이 가능한 캡을 구비하는 비히클
US20110012333A1 (en) System and device for mechanically extending and retracting landing gear of a semitrailer or chassis
US20180170323A1 (en) Vehicle self lifting device
US6843487B1 (en) Mobile lift assembly for a vehicle
US20210370717A1 (en) Electrically actu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replacement
JPS60102400A (ja) 自動車用ジヤツキ操作装置
CN2255973Y (zh) 装有旋转盘的液压擎车器
JP4167527B2 (ja) オイルポンプ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キャブチルト装置
JP3143218U (ja) レンチ付ジャッキハンドル
US20070120102A1 (en) Air jack
KR19980044295A (ko) 차량 장착용 잭(Jack)
CN219769834U (zh) 一种多功能随车工具
KR200269221Y1 (ko) 차량용 리프트
GB2333502A (en) Vehicle jacking system
JP4508561B2 (ja) 車輪駆動部構造
KR100410858B1 (ko) 차량 일체형 리프팅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