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999A - 쿠민 알코올을 함유하는 화장용 피부 관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쿠민 알코올을 함유하는 화장용 피부 관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999A
KR20020011999A KR1020017016000A KR20017016000A KR20020011999A KR 20020011999 A KR20020011999 A KR 20020011999A KR 1020017016000 A KR1020017016000 A KR 1020017016000A KR 20017016000 A KR20017016000 A KR 20017016000A KR 20020011999 A KR20020011999 A KR 20020011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glucose
cumin alcoho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6512B1 (ko
Inventor
로버트 조지 카슨
크루파 파텔
스리쿠마 필라이
스튜어트 패톤 그랜저
베스 앤 레인지
Original Assignee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Publication of KR2002001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트랜스글루타미나제-1 및 세라마이드 발현을 개선시키고, 글루코즈 및 아스코르브산의 세포 흡수를 증진시킨다.

Description

쿠민 알코올을 함유하는 화장용 피부 관리 조성물 {Cosmetic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Cumic Alcohol}
인간의 피부는 2가지 주요 층, 즉 진피로서 알려진 저부의 두꺼운 층 및 표피로서 알려진 상부의 얇은 층으로 이루어진다.
진피는 피부에 강도, 탄력 및 두께를 제공하는 층이다. 노화됨에 따라, 진피층의 두께가 줄어들며, 이것이 노화 피부에서 주름 형성의 부분적인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 피부의 상부 층, 또는 표피는 많은 상이한 세포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피부의 탄력 및 차단벽 특성을 제공한다. 각질세포는 표피의 주요 세포 유형이다 (인간 표피의 총 세포수의 75 내지 80 %). 표피내에서 각질세포는 4가지의 뚜렷한 분화 단계로 존재한다. 표피 분화는 피부의 본질적인 기능을 제공하는데, 즉 외부 환경에 대한 보호적 차단벽을 제공하고 신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각화 외막(cornified envelope)의 형성은 각질세포 분화의 최종 단계이다. 각화 외막 형성의 원인이 되는 효소인 트랜스글루타미나제는 표피 분화의 표지자이다.
피부 두께 이외에, 다른 인자들이 피부에 차단벽 기능을 부여한다. 피부내의 지질 층은 노화되거나 건성이거나 또는 주름진 피부의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피부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수분 차단벽"을 형성한다. 이들 지질은 주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다. 정상 피부에서, 차단벽 기능이 교란되면, 표피는 부족한 지질을 재합성한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 재합성 능력의 감소가 일어날 수 있는데, 특히 피부 지질 수준이 정상 미만인 노화 또는 건성 피부에서 그러하다. 또한, 노화/건성 피부에서는 세포 대사도 손상된다. 글루코즈의 감소된 흡수 및 이용에 의해 감소된 대사 및 피부 세포 교체가 일어나 노화되고, 건성이며 벗겨지기 쉬운 피부의 외관이 된다.
자외선 및 다른 환경적으로 해로운 물질에 대한 노출은 피부 세포에 자유 라디칼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베이트는 자유 라디칼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이러한 손상의 감소에 도움이 된다. 그 결과, 세포내로의 산화방지제의 수송을 촉진하는 물질은 자유 라디칼 손상으로부터의 보호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배양된 각질세포를 쿠민 알코올에 노출시키면 몇 가지 바람직한 효과, 즉 분화의 증진, 차단벽 기능에 필수적인 지질의 발현, 및 글루코즈 및 아스코르베이트 흡수의 증가가 일어난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쿠민 알코올 (p-이소프로필벤질 알코올로도 알려짐)은 감초 뿌리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정유이다 (4 ppm, 미국 농업 연구소, 식물화학 및 민속식물학 데이터베이스). 머크 인덱스(Merck Index)에는 또한 쿠민 알코올의 공급원으로서 캐러웨이(caraway) 씨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농업 연구소 데이터베이스에는 캐러웨이의 중요한 화학물질의 목록에서 쿠민 알코올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감초 및 감초 추출물은 피부 관리 조성물에서의 용도가 기술된 바 있다. 미국 특허 제5,716,800호 (메이벡(Meybeck) 등)에는 피지 조절제로서 감초 추출물이 언급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565,199호 (페이지(Page) 등)에는 에스트로젠 활성을 갖는 외부 도포 물질로서 감초 추출 물질의 용도가 언급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080,901호 (행게이(Hangay) 등)에는 화장용 및 준의약용 항염증성 제품에서의 감초의 용도가 언급되어 있다.
다른 공개 문헌에는 다양한 피부 이점, 예를 들어 햇볕타기 방지제 (J010182416호), 산화방지제 (J02204495호), 미백제 (J06256150호), 접촉 피부염의 감소 (J04356423호, J04356424호), 항균성 화장품 보존제 (J62181202호, J09202712호), 건성 피부용 목욕 조성물 (J09002939호), 여드름 크림 (CN1136431호) 및 발모제 (WO9522957호)를 위한 감초 또는 감초 추출 물질의 용도가 언급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기술중 어느 것도 활성물질로서 쿠민 알코올을 언급하지 않았다. 행게이의 특허는 감초 뿌리 (글리시리자 글라브라, 라딕스(Glycyrrhiza glabra, radix))의 50 % 알코올 추출물이 3.5 내지 4.5 %의 건조 물질 함량을 갖는다고 나타내었다. 추출 과정에 의해 추출 대상으로부터 물질이 제거되지만, 추출 과정은 추출된 물질의 총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반대로 이를 감소시킨다.
감초 뿌리의 쿠민 알코올의 전형적인 농도는 4 ppm이므로, 그 농도는 추출용매에서 감소된 다음, 추출물이 미량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배합 과정에서 추가로 감소된다.
미국 특허 제5,871,718호 (루카스(Lucas) 등) 및 미국 특허 제5,874,070호 (트린(Trinh) 등)에는 피부에 사용될 수 있는 냄새-흡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냄새 분자와 착화될 수 있는 분자인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다. 이 조성물은 또한 쿠민 알코올일 수 있는 향료를 포함한다. 이들 두 특허에는 조성물내의 향료가 시클로덱스트린과 착화하는 경향을 갖는다고 교시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I의 가용화된 쿠민 알코올 0.001 내지 50 중량%; (b)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피부 관리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세포 분화를 증진시키고 지질 생성을 증진시키며 글루코즈 및 아스코르베이트의 흡수를 개선시킴으로써 차단벽 기능을 개선시킨다. 그 결과, 주름살, 주름 및 노화된 피부의 외관이 줄어들고, 피부 색이 개선되며, 건성 또는 광노화된 피부의 화장품에 의한 치료, 피부의 빛남 및 투명도 및 마무리의 개선, 및 피부의 전체적인 건강 및 젊은 외관을 가져온다.
본 발명은 쿠민 알코올을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피부의 화장 외관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모든 양은 최종 조성물의 중량 기준이다.
본원에 사용된 "피부"라는 용어는 얼굴, 목, 가슴, 등, 팔, 다리, 손 및 두피의 피부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가용화된"이란 용어는 최종 조성물에 존재하는 쿠민 알코올의 90% 이상이 가용화됨을 뜻한다.
쿠민 알코올은 하기 화학식 I을 갖는다:
<화학식 I>
쿠민 알코올은 시그마(Sigma)로부터 구할 수 있다.
쿠민 알코올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0.001 내지 50 %의 양으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이점을 최소 비용으로 최대화하기 위하여, 쿠민 알코올은 0.001 내지 10 %,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의 양으로 포함된다.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될 때 분포되기 용이하도록, 조성물내 쿠민 알코올의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서 작용하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쿠민 알코올은 피부에 이점을 전달하기 위하여 가용화되고 비착화되어야 한다. 각질층의 침투가 활성에 필수적일 것이다. 쿠민 알코올은 토너(toner) 조성물을 위한 알코올에 용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수중유형 유화액이고, 이때 쿠민 알코올은 오일상에 용해된다. 유화액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부형제의 80 중량% 이상으로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물의 양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50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60 내지 80 중량%이다.
임의의 피부 이점 물질 및 화장용 보조제
본 발명에 따르면, 쿠민 알코올의 이로운 효과중 하나는 피부 세포로의 글루코즈 및 아스코르브산의 흡수를 증진하는 능력이다. 쿠민 알코올은 내생적인 글루코즈 및 아스코르브산의 흡수를 증진시키지만, 이러한 흡수는 조성물에 글루코즈, 아스코르브산, 또는 피부내에서 글루코즈 또는 아스코르브산으로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더 증가될 수 있다.
피부내에서 분해되어 글루코즈를 제공하는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글루코사민, 글루코즈 글루타메이트, 갈락토즈, 락토즈, 수크로즈 및 글루코즈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가 있다.
피부내에서 분해되어 아스코르브산을 제공하는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나트륨 아스코르빌 모노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 폴리펩티드가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임의의 성분은 조성물에 0.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의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글루코즈 및(또는)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피부내에서 추가의 대사 없이도 흡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해한 자외선에 대한 피부의 노출을 낮추기 위해 햇볕타기 방지제를 포함한다.
햇볕타기 방지제는 자외선을 차단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예시적인 화합물은 PABA, 시나메이트의 유도체 및 살리실레이트의 유도체(페룰릴 살리실레이트가 아닌)이다. 예를 들어, 옥틸 메톡시시나메이트 및 2-히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옥시벤존으로도 알려진)이 사용될 수 있다. 옥틸 메톡시시나메이트 및 2-히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은 각각 상표명 파르졸(Parsol) MCX 및 벤조페논-3으로 시중에서 입수가능하다. 유화액에 사용되는 햇볕타기 방지제의 정확한 양은 태양의 자외선으로부터의 바람직한 보호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대개는 사용된 연화제의 평균 친수성-친유성 평형(HLB)에 따라, 유중수형 유화액 또는 수중유형 유화액을 제공하기 위해 오일 또는 오일상 물질이 연화제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연화제의 수준은 전체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연화제는 에스테르, 지방산 및 알코올, 폴리올 및 탄화수소와 같은 일반적인 화학적 종류하에 분류될 수 있다.
에스테르는 모노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일 수 있다. 지방 디에스테르의 허용가능한 예로는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디머레이트, 및 디옥틸 숙시네이트가 있다. 허용가능한 분지쇄 지방 에스테르로는 2-에틸-헥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및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가 있다. 허용가능한 삼염기산 에스테르로는 트리이소프로필 트리리놀리에이트 및 트리라우릴 시트레이트가 있다. 허용가능한 직쇄 지방 에스테르로는 라우릴 팔미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올레일 유르케이트 및 스테아릴 올리에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에스테르로는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코코-카프릴레이트 및 코코-카프레이트의 블렌드), 프로필렌 글리콜 미리스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및 세틸 옥타노에이트가 있다.
적합한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화합물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세틸, 미리스틸, 팔미트 및 스테아릴 알코올 및 산과 같은 화합물이다.
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폴리올중 하나는 직쇄 및 분지쇄 알킬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이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중합체 폴리올도 또한 유용할 수 있다. 부틸렌 및 프로필렌 글리콜도 또한 침투 증진제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탄화수소의 예는 대략 탄소수 2 내지 30의 탄화수소 쇄를 갖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미네랄 오일, 석유 젤리, 스쿠알렌 및 이소파라핀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내의 기능성 성분의 다른 종류는 증점제이다. 증점제는 일반적으로 대략 조성물의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전형적인 증점제는 비 에프 굿리치 캄파니(B. F. Goodrich Company)로부터 상표명 카보폴(Carbopol)로 입수가능한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물질이다. 크산탄, 카라기난, 젤라틴, 카라야, 펙틴 및 로커스트 콩 검과 같은 검이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환경하에, 증점 기능은 실리콘 또는 연화제로서도 작용하는 물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 센티스토크를 초과하는 실리콘 검 및 에스테르(예: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는 이중 작용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에 분말이 도입될 수 있다. 이들 분말로는 백악, 활석, 카올린, 전분, 스멕타이트 점토, 화학 변성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기 변성 모노모릴로나이트 점토, 수화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훈증 실리카,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 숙시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다른 보조 부성분도 또한 화장용 조성물에 도입될 수 있다. 이들 성분으로는 착색제, 불투명제 및 향료가 있을 수 있다. 이들 다른 보조 부성분은 대략 조성물의 0.0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제품 용도, 형태 및 포장
사용시, 소량, 예를 들어 1 내지 100 ㎖의 조성물이 적합한 용기 또는 도포기로부터 피부의 노출된 구역에 도포되며, 필요하다면 손 또는 손가락 또는 적합한 장치를 사용하여 피부에 바르고(바르거나) 문지른다.
본 발명의 화장용 피부 콘디쇼닝 조성물은 로숀, 크림 또는 겔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그의 점도 및 소비자의 의도하는 용도에 잘 맞는 적합한 용기에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션 또는 크림은 병 또는 롤-볼(roll-ball) 도포기, 또는 분사제-구동성 에어로졸 장치 또는 손가락 조작에 적합한 펌프가 달린 용기에 포장될 수 있다. 조성물이 크림인 경우, 변형불가능한 병 또는 압착 용기, 예를 들어 튜브 또는 뚜껑이 있는 병에 간단히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정의된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밀폐된 용기를 제공한다.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 및 방법
각질세포 배양
조사된 쥐 섬유아세포의 존재하에 10 % 소 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미국 뉴욕주 그랜드 아일랜드 소재의 라이프 테크날러지스(Life Technologies))에서 트립신 처리에 의해 신생아 포피로부터 단리한 정상 인간의 각질세포를 증식시켜 분화하는 각질세포 콜로니를 만들었다. 세포를 2차 계대배양까지 배양하고, 추가의 사용을 위해 -70 ℃에서 보관하였다. 모든 배양은 5 % CO2하에 37 ℃에서 행하였다. 동결된 2차 계대배양 각질세포를 해동하고, DMEM이 들어있는 T-175 플라스크(미국 뉴욕주 코닝 소재의 코닝(Corning))에 도말하고, 5일동안 증식시켰다. 80 % 전면 증식에 도달한후, 이들을 트립신 처리하고, 0.15 mM 칼슘이 들어있는 각질세포 증식 배지(keratinocyte growth medium, KGM,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디에고 소재의 클로네틱스(Clonetics))를 함유하는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트랜스글루타미나제(TG-1) 분석
각질세포를 6-웰 플레이트내에 2십만 세포/플레이트로 KGM (2 ㎖/웰)에 넣고, 세포가 대략 20 % 전면 증식에 도달할 때까지 4일 또는 5일동안 증식시켰다. 이전의 배지를 제거한 후, 2 ㎖의 새 KGM 배지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3일동안 매일 0, 2.5 또는 5 %의 쿠민 알코올을 함유하는 옥수수 오일 10 ㎕를 배지의 표면에 놓았다. 3웰 1조는 콘트롤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처리하지 않고 두었다. 배양한지 3일 후에, 세포를 인산염 완충 염수 (PBS, 10 mM 인산 나트륨, 138 mM 염화 나트륨, 2.7 mM 염화 칼륨, pH 7.4)로 철저히 세척하고, 70 ℃에서 2 시간동안 두었다. 그 다음, 세포를 2 시간동안 해동시켰다.
DNA-결합 플루오로포어(fluorophore)인 비스-벤즈이미다졸(훽스트(Hoechst) 33258)을 사용하고, DNA-결합된 플루오로포어의 특정 형광을 측정함으로써 (360 ㎚ 여기, 450 ㎚ 방출) 세포의 DNA 함량을 정량하였다. 1차 항체로서 트랜스글루타미나제-1(TG-1) 특이성 단클론 항체 (BC1, 영국 소재의 아머샴(Amersham)) 및 2차 항체로서 퍼옥시다제 표지된 토끼 항마우스 IgG (영국 소재의 아머샴)를 사용함으로써 세포 TG-1 수준을 결정하였다. 플레이트를 트리스-완충된 염수(TBS, 10 mM 트리스, 150 mM NaCl, pH 8.0)내 5 % 탈지유로 실온에서 1 시간동안 차단시킨 다음, 실온에서 1 % 우유/TBS내 1차 항체 (1:4000 희석)와 함께 2 시간동안 배양하였다.플레이트를 0.05 % 트윈 20 (미국 캘리포니아주 헤르큘레스 소재의 바이오-라드(Bio-Rad))을 함유하는 1 % 우유/TBS로 3회 헹군 후, 플레이트를 2차 항체의 1:4000 희석물과 함께 실온에서 2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플레이트를 1 % 우유/0.05 % 트윈 20/TBS로 헹구고 PBS로 3회 헹구었다.
0.2 M 2가 인산 나트륨(시그마)과 0.1 M 시트르산(시그마)의 1:1 혼합물 (pH 5.0)에 용해된 o-페닐렌-디아민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 및 과산화수소 (시그마)와 함께 배양하여 색을 발색시켰다. 용액을 4 ㎖ 플라스틱 큐벳(cuvet) (미국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 소재의 피셔 사이언티픽(Fisher Scientific))에 옮기고, 울트라스펙(Ultraspec) 3000 분광광도계 (미국 뉴저지주 피스카타웨이 소재의 파마시아(Pharmacia))에서 492 ㎚에서 흡광도를 읽고, TG-1 수준을 흡광도/DNA 형광성으로서 표현하였다.
지질 분석
각질세포를 6-웰 플레이트당 20십만 세포로 KGM (2 ㎖/웰)에 넣고, 대략 20 % 전면 증식에 도달할 때까지 5일동안 증식시켰다. 세포를 전술한 바와 같이 영양공급하고 쿠민 알코올로 처리하였다. 처리한지 3일 후, 세포를 PBS로 2회 헹군 다음, 각각의 웰에 0.1 N NaOH(피셔) 3 ㎖를 첨가하고 고무 폴리스맨(policeman)으로 긁었다. 상층액을 테플론-코팅된 뚜껑이 달린 16×100 ㎜ 유리 시험관에 옮기고 70 ℃에서 1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단백질 결정 (피어스(Pierce) BCA 분석, 미국 일리노이주 락포드)을 위해 50 ㎕의 분취량을 수거하였다. 각각의 시험관에 1 N HCl 320 ㎕ 및 클로로포름 2.5 ㎖를 첨가하고, 시험관을 잘 혼합하였다. 그 다음, 시험관을 텀블러(tumbler)에 놓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2000×G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유기 상으로부터 클로로포름 2 ㎖를 수거하여 자동 샘플 주입기 바이알에 넣었다. 그 다음, 샘플을 N2하에 건조시키고, 클로로포름:메탄올(2:1) 60 ㎕에 재현탁시키고, 밀폐된 다른 자동 샘플 주입기 바이알내에 위치된 자동 샘플 주입기 삽입 마이크로튜브에 옮겼다. 샘플 40 ㎕를 실리카 TLC 플레이트 (왓맨(Whatman) 4807-700)위에 점찍고 (미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윌밍톤 소재의 캐맥 오토매틱 TLC 샘플러 III(Camag Automatic TLC Sampler III)), 플레이트를 다음의 용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평 챔버(캐맥)내에서 전개시켰다: 1. 95:4.5:0.5의 클로로포름, 메탄올, 아세트산; 및 2. 60:40:2의 헥산, 에틸 에테르, 아세트산. 플레이트를 8 % 인산내 10 % 황산 구리에 침지한 후에, 165 ℃에서 20분동안 태운 다음, 밀도계(캐맥 TLC 스캐너 II)에서 판독하였다.
글루코즈 흡수 분석
각질세포를 6웰 플레이트내 5십만 또는 1백만 세포/플레이트로 KGM 배지에 도말하고 4일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지를 통기시키고, 웰을 인산염 완충된 염수(PBS)로 2회 헹군 다음, 플레이트를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1 ㎖/웰). 배지를 새로운 KBM으로 대체하고, 다양한 농도의 쿠민 알코올을 함유하는 옥수수유 10 ㎕를 첨가하고, 세포를 배양시킨 후 (37 ℃에서 4 시간동안), 각각의 웰에3H 2-데옥시-글루코즈 (영국 소재의 아머샴) 2μCi를 첨가하였다. 그 다음, 샘플을 1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통기시키고, 웰을 PBS로 3회 헹군 후, 0.1 N NaOH/웰 500 ㎕를 첨가하였다. 쉐이커(shaker)에서 10분동안 교반한 후, 단백질 분석을 위해 25 ㎕의 분취량을 수거하고, 200 ㎕를 5 ㎖의 신틸레이션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 (사이언티버스(Scintiverse))을 함유하는 신틸레이션 바이알에 옮기고, 베크만(Beckman) 계수기에서 계수를 행하였다.3H-글루코즈 흡수 결과를 CPM/㎍단백질로서 표현하였다.
아스코르베이트 흡수 분석
이 실험을 위해, 0.15 mM 칼슘을 함유하는 KGM 배지(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의 클로네틱스)에 3차 계대배양 각질세포를 도말하였다. 약 80,000 세포를 6웰, 세포-배양-처리된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도말하고, 세포가 약 60 내지 70 % 전면 증식에 도달할 때까지 5일동안 증식시켰다.
그 다음, 세포를 새로운 KBM으로 전환시키고, 옥수수유에 첨가된 5 % 쿠민 알코올로 처리하였다 (2 ㎖의 배지당 옥수수유 10 ㎕+지정된 농도의 활성물질). 배양한지 4일 후, 각각의 웰에 0.1μCi/㎖의 L-14C-1-아스코르브산 (영국 소재의 아머샴) 및 50유니트의 아스코르브산 옥시다제 (시그마)를 첨가하고, 1시간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지를 통기시키고, 웰을 PBS로 3회 헹군 후, 1개 웰당 0.1 N NaOH 500 ㎕를 첨가하였다. 쉐이커에서 10분동안 교반한 후, 단백질 분석을 위해 25 ㎕의 분취량을 취하고, 200 ㎕는 사이언티버스 5 ㎖를 함유하는 신틸레이션 바이알에 옮겼다. 베크만 계수기 (모델 LS 5801)에서 계수를 행하였다. 아스코르브산 흡수 결과를 CPM/㎍단백질로서 표현하였다.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농도는 옥수수유 액적내의 쿠민 알코올의 농도이다. 오일과 배양 배지 사이에 분별이 있고 활성물질의 중간 농도는 활성물질의 오일 액적 농도가 아니므로 시험관내 농도는 생체내 농도와 관계없다. 쿠민 알코올에 있어서 배양된 세포에 대한 그의 효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세포에 접근가능한 배양 배지내로 옥수수 오일을 확산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배양 배지내의 쿠민 알코올 농도는 옥수수유 액적내 농도보다 상당히 적다.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인간 각질세포의 글루코즈 흡수에 대한 쿠민 알코올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요약하였다.
샘플 CPM/㎍단백질 콘트롤에 대한 % P 값 통계적 유의성
콘트롤 19.77±1.01 100 - -
쿠민 알코올 1% 21.18±0.84 107 >0.05 없음
쿠민 알코올 2.5% 36.67±1.04 185 <0.05 있음
쿠민 알코올 5% 40.67 206 <0.05 있음
표 1의 결과로부터 쿠민 알코올로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는 처리되지 않은 콘트롤 세포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증가된 글루코즈 흡수 (각각 185 % 및 206 % 증가)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발현 및 세라마이드 생성에 대한 쿠민 알코올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2A에 요약하였다.
샘플 TG-1(abs/DNA) 콘트롤에 대한 % P 값 통계적 유의성
실험 1
콘트롤 5.53±0.67 100 - -
쿠민 알코올 2.5% 6.48±0.58 117 >0.05 없음
쿠민 알코올 5% 9.94±1.15 180 <0.05 있음
실험 2
콘트롤 6.41±0.67 100 - -
쿠민 알코올 2.5% 9.27±0.40 145 <0.05 있음
샘플 세라마이드(ng/㎍단백질) 콘트롤에 대한 % P 값 통계적 유의성
실험 1
콘트롤 6.10±2.01 100 - -
쿠민 알코올 2.5% 4.03±1.02 67 >0.05 없음
쿠민 알코올 5% 9.37±0.51 156 <0.05 있음
실험 2
콘트롤 1.76±0.20 100 - -
쿠민 알코올 2.5% 2.93±0.12 166 <0.05 있음
쿠민 알코올 5% 3.26±0.41 185 <0.05 있음
표 2 및 표 2A의 결과로부터 2.5 % 및 5 %의 쿠민 알코올로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는 처리되지 않은 콘트롤 세포에 비하여 분화의 표지자인 트랜스글루타미나제-1의 발현 증가 및 세라마이드의 발현 증가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인간 각질세포의 아스코르베이트 흡수에 대한 쿠민 알코올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요약하였다.
샘플 CPM/웰 콘트롤에 대한 % P 값 통계적 유의성
콘트롤 13355±938 100 - -
쿠민 알코올 5% 17235±398 129 <0.05 있음
표 3의 결과로부터 옥수수유내 5 %의 쿠민 알코올로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는 처리되지 않은 콘트롤 세포에 비하여 아스코르베이트의 흡수가 상당히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세라마이드 발현에 대한 쿠민 알코올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A 및 표 4B에 요약하였다.
샘플 TG-1(ABS/DNA) 콘트롤에 대한 % P 값 통계적 유의성
콘트롤 12.73±1.41 100 - -
쿠민 알코올 1% 16.17±5.37 127 >0.05 없음
쿠민 알코올 2.5% 22.10±1.74 174 <0.05 있음
쿠민 알코올 5% 26.05±2.73 205 <0.05 있음
샘플 세라마이드(ng/㎍단백질) 콘트롤에 대한 % P 값 통계적 유의성
콘트롤 13.9±3.6 100 - -
쿠민 알코올 1% 12.5±2.2 90 >0.05 없음
쿠민 알코올 2.5% 19.4±1.1 140 >0.05 없음
쿠민 알코올 5% 41.5±10.1 299 <0.05 있음
표 4A 및 표 4B의 결과로부터 쿠민 알코올로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1 발현 및 세라마이드 생성에 상당한 증가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다. 더 낮은 농도에서의 불활성은 실시예 바로 직전의 문단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 조성물을 설명한다. 이 조성물은 통상의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들은 화장 용도에 적합하다. 특히 이 조성물은 주름지고, 거칠고, 벗겨지기 쉽고, 노화되고(노화되거나)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 및(또는) 건성 피부 및 폐경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의 외관 및 감촉을 개선하는데 뿐만 아니라, 건강한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의 열화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데도 적합하다.
수중유형 유화액
성분 %w/w
탈이온수 100에 대하여
카보머 0.30
이나트륨 EDTA 0.10
글리세린 3.00
폴리소르베이트 20 2.50
부틸렌 글리콜 2.00
메틸파라벤 0.30
트리에탄올아민 99% 0.30
쿠민 알코올 2.0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5.00
옥틸 팔미테이트 3.00
세틸 알코올 1.00
디메티콘, 100cst 0.50
밀납 0.30
프로필파라벤 0.10
게르몰(Germall) II 0.10
향료 0.10
수중유형 유화액
성분 %w/w
탈이온수 100에 대하여
크산탄 검 0.20
이나트륨 EDTA 0.10
글리세린 5.00
부틸렌 글리콜 2.00
메틸파라벤 0.30
쿠민 알코올 2.0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5.00
옥틸 팔미테이트 3.00
세틸 알코올 1.00
디메티콘, 100cst 0.50
스테아레트-2 0.40
스테아레트-21 3.00
프로필파라벤 0.10
게르몰 II 0.10
향료 0.10
유중수형 유화액
성분 %w/w
탈이온수 100에 대하여
이나트륨 EDTA 0.10
글리세린 3.00
프로필렌 글리콜 2.00
염화 나트륨 0.70
메틸파라벤 0.30
시클로메티콘 14.00
쿠민 알코올 2.0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5.00
옥틸 팔미테이트 3.00
디메티콘 코폴리올 2.50
디메티콘, 100cst 0.50
밀납 0.30
프로필파라벤 0.10
게르몰 II 0.10
향료 0.10
합 ----> 100.00
히드로-겔
성분 %w/w
탈이온수 100에 대하여
부틸렌 글리콜 5.00
PPG-5-세테트 20 5.00
글리세린 3.00
카보머 1.20
트리에탄올아민 99% 1.20
쿠민 알코올 2.00
아스코르브산 1.00
메틸파라벤 0.30
폴리소르베이트 20 0.25
이나트륨 EDTA 0.10
게르몰 II 0.10
무수 장액
성분 %w/w
시클로메티콘 100에 대하여
쿠민 알코올 1.0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5.00
옥틸 팔미테이트 3.00
폴리글리세롤-6- 디올리에이트 5.00
부틸렌 글리콜 4.00
디메티콘, 100cst 5.00
밀납 0.30
프로필파라벤 0.20
향료 0.10
합 ----> 100.00
히드로-알코올 겔
성분 %w/w
탈이온수 100에 대하여
알코올 SDA40B 30.00
부틸렌 글리콜 5.00
PPG-5-세테트 20 5.00
글리세린 3.00
카보머 1.20
트리에탄올아민 99% 1.20
쿠민 알코올 1.00
메틸파라벤 0.30
폴리소르베이트 20 0.25
이나트륨 EDTA 0.10
게르몰 II 0.10
본원에서 설명하고 기술한 본 발명의 특정 형태는 오직 대표적인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개시내용의 분명한 교시내용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변화에 한정되지 않는 변화가 설명된 실시양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체 범주를 결정함에 있어서 하기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참조하여야 한다.

Claims (10)

  1. (a) 하기 화학식 I의 가용화된 쿠민 알코올 0.001 내지 50 중량%; 및 (b)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피부 관리 조성물.
    <화학식 I>
  2. 제1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나트륨 아스코르빌 모노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 폴리펩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스코르베이트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글루코즈, 글루코사민, 글루코즈 글루타메이트, 갈락토즈, 락토즈, 수크로즈 및 글루코즈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글루코즈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 상에 쿠민 알코올이 가용화되어 있는 수중유형 유화액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을 포함하는, 노화되거나, 광노화되거나, 건성이거나, 주름살이 있거나 또는 주름진 피부를 치료하는 화장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을 포함하는, 피부의 차단벽 기능을 개선시키는 화장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을 포함하는, 각질세포 분화를 개선시키는 화장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을 포함하는, 각질세포에 의한 지질 생성을 개선시키는 화장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을 포함하는, 각질세포에 의한 글루코즈 흡수를 개선시키는 화장 방법.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을 포함하는, 각질세포에 의한 아스코르베이트 흡수를 개선시키는 화장 방법.
KR1020017016000A 1999-06-30 2000-06-09 쿠민 알코올을 함유하는 화장용 피부 관리 조성물 KR100666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63699P 1999-06-30 1999-06-30
US60/141,636 199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999A true KR20020011999A (ko) 2002-02-09
KR100666512B1 KR100666512B1 (ko) 2007-01-11

Family

ID=2249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000A KR100666512B1 (ko) 1999-06-30 2000-06-09 쿠민 알코올을 함유하는 화장용 피부 관리 조성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375961B1 (ko)
EP (1) EP1189585B1 (ko)
JP (1) JP2003503439A (ko)
KR (1) KR100666512B1 (ko)
CN (1) CN1241534C (ko)
AR (1) AR024497A1 (ko)
AT (1) ATE240715T1 (ko)
AU (1) AU752668B2 (ko)
BR (1) BR0012033A (ko)
CA (1) CA2373844A1 (ko)
CZ (1) CZ293932B6 (ko)
DE (1) DE60002863T2 (ko)
ES (1) ES2199166T3 (ko)
MX (1) MXPA01013218A (ko)
PL (1) PL352360A1 (ko)
RU (1) RU2244537C2 (ko)
TW (1) TWI226244B (ko)
WO (1) WO2001001947A1 (ko)
ZA (1) ZA2001097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34388D1 (de) * 2002-04-15 2009-12-24 Tetsuo Santo Therapeutische lotion gegen dermatitis
US20040223946A1 (en) * 2003-05-05 2004-11-11 Closure Medical Corporation Adhesive treatment for insect and related bites
US7540051B2 (en) * 2004-08-20 2009-06-02 Spatial Systems, Inc. Mapping web sites based on significance of contact and category
US20060039887A1 (en) * 2004-08-20 2006-02-23 Infinity2 Health Sciences, Inc.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care
US8987212B2 (en) * 2007-08-07 2015-03-24 Muhammed Majeed Oleanoyl pept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aging
CA3045078C (en) * 2016-11-28 2022-04-12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Wrinkle ameliorating agent
JP7047997B2 (ja) * 2017-12-21 2022-04-0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02743B (en) 1988-06-24 1991-04-29 Richter Gedeon Vegyeszet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comprising medicinal herb extracts, cosmetics comprising such active ingredi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medicinal and veterinary compositions
US6350784B1 (en) * 1996-02-12 2002-02-26 Meryl J. Squires Antimicrobi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immunedeficiency viru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FR2708466B1 (fr) 1993-06-30 1995-10-27 Lvmh Rech Utilisation d'un extrait de champignons Poria cocos Wolf pour la préparation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ou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pour le traitement de l'acné ou des peaux grasses.
US5565199A (en) 1995-02-07 1996-10-15 Page; Elliot W. Systems and methods for the synthesis of natural base steroidal hormones and more especially estrogens and progesterone and estrogen-like and progesterone-like compounds and their derivatives derived as phytohormones from herbaceous plants
US5861145A (en) * 1997-06-09 1999-0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reducing body odor using perfumed, odor absorbing, two phase compositions
US5874070A (en) 1997-06-09 1999-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
US5871718A (en) 1997-06-09 1999-0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umed two phase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1013218A (es) 2002-06-04
WO2001001947A1 (en) 2001-01-11
TWI226244B (en) 2005-01-11
EP1189585A1 (en) 2002-03-27
CZ20014466A3 (cs) 2002-03-13
AU752668B2 (en) 2002-09-26
CN1359287A (zh) 2002-07-17
US6375961B1 (en) 2002-04-23
DE60002863D1 (de) 2003-06-26
CZ293932B6 (cs) 2004-08-18
ATE240715T1 (de) 2003-06-15
PL352360A1 (en) 2003-08-11
AR024497A1 (es) 2002-10-02
JP2003503439A (ja) 2003-01-28
RU2244537C2 (ru) 2005-01-20
CA2373844A1 (en) 2001-01-11
ZA200109738B (en) 2002-11-27
KR100666512B1 (ko) 2007-01-11
CN1241534C (zh) 2006-02-15
BR0012033A (pt) 2002-03-19
EP1189585B1 (en) 2003-05-21
ES2199166T3 (es) 2004-02-16
AU5077800A (en) 2001-01-22
DE60002863T2 (de) 200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03036C2 (ru) Косметические составы
US6358517B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resveratrol and retinoids
RU2175546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способ ухода за кожей, способ имитации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кожу ретиноевой кислоты
KR100490073B1 (ko) 항피지 항산화 조성물
EP0747042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azole derivatives for topical application to skin
US6019992A (en) Cosmetic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4-chromanone
US5571518A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richoline citrate
US6395281B1 (en) Cosmetic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red yeast rice extract
KR100666512B1 (ko) 쿠민 알코올을 함유하는 화장용 피부 관리 조성물
US6391324B2 (en) Cosmetic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pulegone
MXPA00000493A (en) Cosmetic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