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908A -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908A
KR20020011908A KR1020010046790A KR20010046790A KR20020011908A KR 20020011908 A KR20020011908 A KR 20020011908A KR 1020010046790 A KR1020010046790 A KR 1020010046790A KR 20010046790 A KR20010046790 A KR 20010046790A KR 20020011908 A KR20020011908 A KR 20020011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rame
hard disk
imag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705B1 (ko
Inventor
후지나미야스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1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조작 패널(55)을 조작하여 정상 재생을 지령하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의 제어 회로는 현재 재생하여야 할 프레임을 주목 프레임으로서 결정하고, 그 주목 프레임의 전후 각각에 인접하는 연속적인 15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와, 주목 프레임의 전후 각각의 2분간의 범위에서의 0.5초 간격의 위치에 있는 화상 데이터를, IEEE 1394 케이블을 통해 하드 디스크 레코더에 요구한다. 그리고, 요구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레코더로부터 수신되면, 제어 회로는 그 화상 데이터를 수 시간 동안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버퍼에 기억시킨다. 버퍼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판독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S WELL AS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IEEE(미국 전기 전자 통신 학회;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등과 같은 것의 규격에 부합하는 네트워크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한 규격들 중에 하나인 IEEE 1394 규격에 따른 통신은 데이터의 동시 전송(isochronous transfer)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화상 및 사운드 데이터 같은 실시간 기준으로 재생(play back)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전송에 적합하다. 또한, 최근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통신에 대한 요구의 증가로 인해, IEEE 1394 규격에 따른 통신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도 1은 IEEE 1394 규격에 따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AV(Audio visual; 시청각)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으로 집합된 복수의 장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각 장치가 동일한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지 여부와는 무관함)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의 AV 시스템은 IEEE 1394 규격에 부합하는 장치로서 IEEE 1394 장치인 DV(디지털 비디오) 시스템의 하드 디스크 레코더(31),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및 IEEE 1394 케이블(3)을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31) 및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는 IEEE 1394 케이블(3)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후술된 내용에서, 복잡한 기술을 피하기 위해, 화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 중에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만이 기술되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또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의해 재생된 화상이 기본적으로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되어 출력(디스플레이)된다고 가정되었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는 하드 디스크(41), 신호 처리 회로(42), 인터페이스 회로(43), 및 제어 회로(44)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회로(42)는 인터페이스 회로(43)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필요한 신호 처리를 이행하고,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41)로 공급하여 하드 디스크(41) 상에 기록되게 한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42)는 하드 디스크(41) 상이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판독)하고, 화상 데이터에 대한 필요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공급한다.
인터페이스 회로(43)는 수행될 IEEE 1394 규격에 부합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특히, 인터페이스 회로(43)는 신호 처리 회로(42)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의 포맷을 IEEE 1394 규격에 부합하는 데이터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그 결과의 데이터를 IEEE 1394 케이블(3)로 전송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43)는 IEEE 1394 케이블(3)로부터 화상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포맷을 원래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원래의 포맷의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42)로 공급한다.
제어 회로(44)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의 요구 등에 대한 응답으로, 신호 처리 회로(42) 및 인터페이스 회로(43)를 제어한다.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는 인터페이스 회로(51), 신호 처리 회로(52), 디스플레이부(53), 제어 회로(54) 및 조작 패널(55)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51)는, 인터페이스 회로(43)와 마찬가지로, IEEE 1394 규격에 부합하는 통신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신호 처리 회로(52)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 등을 IEEE 1394 케이블(3)로 전송한다. 또한,인터페이스 회로(51)는 IEEE 1394 케이블(3)로부터 화상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들을 신호 처리 회로(52)로 공급한다.
신호 처리 회로(52)는 인터페이스 회로(5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필요한 신호 처리를 이행하고,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3)로 공급한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52)는 제어 회로(54)로부터 인터페이스 회로(51)로 여러 가지 요구 등을 공급하여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전송되게 한다.
디스플레이부(53)는 예를 들어, CRT(Cathode Ray Tube) 또는 액정 패널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호 처리 회로(5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어 회로(54)는 조작 패널(55)로부터의 조작 신호 같은 것에 따라 인터페이스 회로(51) 및 신호 처리 회로(52)를 제어한다.
조작 패널(55)은 화상 데이터의 재생, 정지 또는 빨리 감기(feed) 같은 다양한 명령들을 입력하기 위해 동작될 버튼 같은 것을 포함하며, 조작 버튼에 상응하는 조작 신호를 제어 회로(54)에 공급한다. 이와 달리 조작 패널(55)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일체형으로 제공된 패널 또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조정기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지금부터, 도 1의 AV 시스템의 동작이 기술된다.
도 1의 AV 시스템에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 및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대한 전원이 온(on) 상태에 있게 된 경우, 이에 따라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의 인터페이스 회로(43) 및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의 인터페이스 회로(51)는 IEEE 1394 케이블(3)에 의해 접속된 IEEE 1394 장치(도 1에서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 및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를 인식하고, 데이터 전달용으로 이용되는 논리 채널(데이터 채널) 및 제어 신호 전달용으로 이용되는 다른 논리 채널(제어 채널)을 성립시킨다. 이어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간에, 데이터 및 제어 신호가 채널들을 통하여 전달된다.
먼저,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레코더(31)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비디오 카메라 같은 화상을 입력할 수 있는 화상 입력 장치(도시 생략)를 IEEE 1394 케이블(3)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접속시키고, 화상 입력 장치를 동작시켜서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입력한다. 화상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의해 수신되고 신호 처리 회로(42)로 공급된다.
신호 처리 회로(42)는 인터페이스 회로(4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어,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로의 코딩 같은 필요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결과로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41)에 공급하여 하드 디스크(41) 상에 기록되게 한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의한 화상의 기록은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과 같이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특히,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입력 터미널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 이에 따라 화상 데이터가 입력 터미널을 통하여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처리 회로(52)에 의해 화상 데이터가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로 코딩되고,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회로(51)로부터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 공급되어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의해 기록된다.
다른 한편으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의해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하여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재생(정상 재생)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 패널(55)의 버튼(재생 버튼)을 동작시킬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조작 패널(55)은 정상 재생 명령에 대한 조작 신호를 제어 회로(54)로 공급한다. 제어 회로(54)는 정상 재생 명령에 대한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의 조작 모드를 정상 재생 모드로 설정한다. 정상 재생 모드로 된 후에, 인터페이스 회로(51), 신호 처리 회로(51) 및 디스플레이부(53)가 화상 데이터에 대한 입력 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제어 회로(54)는 정상 재생 모드로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모드 신호를 IEEE 1394 케이블(3)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 전송하도록 인터페이스 회로(51)를 제어한다.
모드 신호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의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의해 수신된다. 모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인터페이스 회로(43)는 제어 회로(44)로 모드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 회로(44)는 인터페이스 회로(43)로부터의 모드 신호에 따라 장치의 조작 모드를 변경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조작 모드는 정상 재생 모드로 된다.
정상 재생 모드로 된 후에, 신호 처리 회로(42)는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한다. 사용자가 재생된 화상 데이터(컨텐츠)를 지정하도록 조작 패널(55)을 조작할 경우, 이에 따라 신호 처리 회로(42)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의 상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재생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특별히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호 처리 회로(42)는 미리 결정된 하드 디스크(41)의 위치(예를 들어, 마지막 재생이 종료한 위치)로부터 재생을 시작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재생될 컨텐츠를 지정하기 위해 조작 패널(55)을 조작하는 경우, 소정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신호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 IEEE 1394 케이블(3)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 전송된다.
신호 처리 회로(42)는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화상 데이터를 도시되지 않은 출력 터미널로부터 출력한다. 특히,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41) 상에 기록되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가 출력 터미널로부터 출력될 시에, 신호 처리 회로(42)는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NTSC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이어서 NTSC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 터미널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42)는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재생된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회로(43)로 공급한다. 인터페이스 회로(43)는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42)로부터 IEEE 1394 케이블(3)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한다.
따라서, 여기서, DV 시스템에 따라 압축 코딩된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된다.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얻어진 NTSC 시스템과 같은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상이한 IEEE 1394 장치들 사이에서는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가 보통 그 자체로 통신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상술된 시스템으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의 인터페이스 회로(51)에 의해 수신된다. 인터페이스 회로(51)는 신호 처리 회로(52)로 화상 데이터를 공급한다. 신호 처리 회로(52)는 인터페이스 회로(51)로부터의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NTSC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결과로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3)로 공급하여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53) 상에 표시되게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예를 들어 조작 패널(55)의 빨리 감기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빨리 감기 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조작 패널(55)은 제어 회로(54)로 빨리 감기 명령에 대한 조작 신호를 공급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회로(54)는 인터페이스 회로(51)가 빨리 감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에 대한 모드 신호를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빨리 감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용의 모드 신호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의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의해 수신되고 제어 회로(44)로 공급된다. 제어 회로(44)는 모드 신호를 수신하여 장치의 조작 모드를 빨리 감기 모드로 설정한다.
빨리 감기 모드에 진입한 후에 신호 처리 회로(42)는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각각의 N 프레임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한다.
DV 시스템에 따라서 압축 코드화된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41)에 기록되는 동안 DV 시스템에서는 한 프레임 당 데이터량이 고정되어 있고, DV 시스템의 데이터가 프레임간 코딩(interframe coding)과는 관련되지 않고 인트라코드화된(intra-coded) 화상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수의 프레임의 각각에 대해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식으로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41) 상에서 MPEG 시스템과 같은 인터프레임 코딩과 관련된 시스템에 따라서 코드화된 화상 데이터 압축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숙지해야 한다. 이 경우에, 소정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는, 본 출원의 양수인에 의해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공개 번호 Hei 6-325553(1994)호 또는 Hei 11-31281(1999) 호에 개시된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만약 신호 처리 회로(42)가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각 N-1 프레임 후에 화상 데이터를 재생한다면, N 배속의 재생이 행해지게 된다.
신호 처리 회로(42)는 하드 디스크(41)로부터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회로(43)로 공급한다. 화상 데이터는 이후에 보통의 재생 모드에서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된다.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는 상기 설명된 보통의 재생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53)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이쪽으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N 프레임들의 간격에서의 프레임들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빨리 감기 모드에서의 동화상이 디스플레이부(53) 상에 표시된다.
그러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조작 패널(55)의 버튼(정지 버튼)을 조작시킨다면 조작 패널(55)은 정지 명령용의 조작 신호를 제어 회로(54)로 공급한다. 이 경우에, 제어 회로(54)는 인터페이스 회로(51)를 제어하여 정지 모드 명령용의 모드 신호를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 전송한다.
정지 모드 명령용의 모드 신호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의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 회로(44)로 공급된다. 제어 회로(44)는 이 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의 조작 모드를 정지 모드로 설정한다.
정지 모드에 진입한 후에 신호 처리 회로(42)는 하드 디스크(41)로부터 마지막으로 재생되었던 화상 데이터의 한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재생함으로써 획득된 동일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41)로부터 인터페이스 회로(43)로 공급한다. 인터페이스 회로(43)는 신호 처리 회로(4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한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31)가 하드 디스크(41)와 신호 처리 회로(42) 사이에서 프레임 버퍼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동일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41)로부터 판독되는 것이 아니고 프레임 버퍼로부터 판독될 수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는 보통의 재생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53)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상기 설명한 것과 동일한 프레임의 데이터이며, 따라서 정지 모드(즉, 스틸 모드에서의 화상)의동화상이 디스플레이부(53) 상에 표시된다.
이후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지를 취소하고 재생(보통의 재생)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 패널(55)의 재생 버튼을 조작시킨다면, 조작 패널(55)은 보통의 재생 명령용의 조작 신호를 제어 회로(54)에 공급한다. 이 경우에, 제어 회로(54)는 인터페이스 회로(51)를 제어하여 보통의 재생 모드 명령용의 모드 신호를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 전송한다.
이 모드 신호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의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 회로(44)로 공급된다. 이 경우에, 제어 회로(44)는 장치의 조작 모드를 보통의 재생 모드에 설정한다.
보통의 재생 모드로 진입한 후에, 신호 처리 회로는 정지 모드에서 반복적으로 재생되었던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 시작하는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렇게 재생된 화상 데이터는 상기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되고 디스플레이부(53)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스틸 모드의 화상 다음의 동화상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 설명한 대로 상기 기술된 AV 시스템에서 정지 명령이 발하여졌다 하더라도 동일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환언하면, 정지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도 화상 데이터는 보통의 재생의 것과 유사한 전송 대역폭을 점유하면서 전송된다. 더 특정하게는 전송될 화상 데이터가 예를 들어 NTSC 시스템의 데이터일 때, 이들은 29.97 프레임/초에 상응하는전송 대역폭을 점유하면서 전송된다.
따라서, IEEE 1394 표준에 따른 통신이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서만 사용된다면 별 문제가 없지만, 이것이 또다른 응용에서 데이터 전달에도 사용된다면, 제한된 전송 대역폭이 동일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서 사용되고 또다른 응용에 의한 데이터 전달은 제한된다. 따라서, 전송 대역폭은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상기 설명한 AV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55)를 조작시킨 후에 표시될 화상 데이터는 페일(fail) 없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된다. 따라서, 화상이 표시될 때까지 사용자가 조작 패널(55)을 조작시킨 후의 신뢰성이 때로는 낮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양호한 신뢰성을 갖는 재생등이 실현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와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전송 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복수의 스크린 이상의 기억 용량을 갖는 기억부, 및 주목 스크린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고,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서,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전송 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주목 스크린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송신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단계,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된 소정의 범위 내의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화상 기억 단계, 및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송 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송선을 통하여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주목 스크린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단계,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된 소정의 범위 내의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화상 기억 단계, 및 상기 화상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과 기록 매체에 따라서, 주목 스크린에 근거하여 소정의 범위 내의 스크린 화상 데이터용의 요구가 전송 장치로 발송되고,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서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범위 내의 스크린 화상 데이터가 기억부에 기억된다. 그러면,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가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다. 결과적으로 전송선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재생과 그와 같은 것들이 높은 신뢰성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 장치, 및 전송선을 통해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장치는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전송 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복수 스크린 이상의 기억 용량을 갖는 기억부와, 주목 스크린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에서, 전송 장치는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서 화상 데이터를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 수신 장치는 전송선을 통해서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목 스크린에 근거하여 소정의 범위 내의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 요구를 전송 장치로 발송한다. 그러면, 소정의 범위 내의 스크린 화상 데이터는 기억부에 기억된다. 그러면,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결과적으로, 전송선은 효율적으로사용될 수 있고 재생 및 그와 같은 것들이 높은 신뢰성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또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유사 부분 또는 소자들은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 은 공용 AV 시스템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V 시스템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3 및 도4 는 도 2의 AV 시스템의 버퍼에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서로 다른 방식과 화상 데이터의 관리 방법을 예시한 다이어그램.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2의 AV 시스템에 사용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영역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하드 디스크 레코더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에 의한 버퍼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에 의한 재생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AV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하드 디스크 레코더가 행하는 스위치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컴퓨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IEEE1394 케이블
31 : 하드 디스크 레코더
32, 81 :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
41, 105 : 하드 디스크
42 : 신호 처리 회로
43, 51 : 인터페이스 회로
44, 54 : 제어 회로
52 : 신호 처리 회로
54 A : 관리 메모리
55 : 조작 패널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AV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 도 1의 부분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피하기 위하여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원에서는 생략된다. 즉, 도 2의 AV 시스템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버퍼(56)가 추가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제어 회로(54)가 관리 메모리(54A)를 내장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도 1의 AV 시스템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버퍼(56)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어, 수시간분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을 갖고 있다. 버퍼(56)는 제어 회로(54)의 제어 하에서 인터페이스 회로(51)로 수신되어, 신호 처리 회로(52)를 통해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버퍼(56)에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될 화상 데이터 등도 필요에 따라서 기억시킬 수 있다.
관리 메모리(54A)는 제어 회로(54)의 제어 하에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도록 되어있다.
도 2의 AV 시스템에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의 인터페이스 회로(43)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의 인터페이스 회로(51)사이에는,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해 화상 데이터를 정상 재생하는데 필요한 최저 전송율(이하, 적절하게, 정상 전송율로 나타냄)보다 높은 전송율, 예를 들면, 정상 전송율의 2배의 전송율로 화상 데이터의 교환이 행해진다.
여기서,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 규격에 따르면, DVD에서의 데이터의 판독 레이트의 하한치가 11.08 Mbps (Mega Bit Per Second)이고, DVD 비디오(DVD Video)의 VOB(Video 0bject)의 데이터의 최대의 전송율은 10.08 Mbps이다. 따라서, DVD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레이트의 하한치는, VOB 파일의 데이터의 최대의 전송율의 약1.1배이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회로들(43, 51)사이에서의 전송율은, 정상 전송율에 대하여 상기 1.1배와 동일할 수 있다.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한 화상 데이터의 전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 전송율보다 높은 전송율로 행해지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통상 재생을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행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외에도, 다른 화상 데이터 - 정상 재생에 있어서, 여분의 화상 데이터 - 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버퍼(56)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방법과, 화상 데이터의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가, 예를 들면, 상술하였던 바와 같이, DV 시스템에 따라 압축된 데이터와 같이, 1 프레임당 데이터량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버퍼(56)에는 화상 데이터를 그 프레임의 표시순으로 기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회로(54)는 관리 메모리(54A)에,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은 1 비트의 프레임 플래그(frame flag)일 수 있는 관리 정보를 기억시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버퍼(56)에서는, 제어 회로(54)에 의해서, 두개의 화상 컨텐츠 #1 및 #2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 회로(54)는 화상 컨텐츠 #1과 #2의 각각에 대하여,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플래그의 형태의 관리 정보를 관리 메모리(54A)에 기억시킨다. 관리 정보로서의 프레임 플래그의 초기치는, 0과 1사이의, 예를 들면 0이 되고, 프레임 플래그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면, 제어 회로(54)는 그 프레임 플래그를 0로부터 1까지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 관리 정보로서의 프레임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그 프레임 플래그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화상 컨텐츠의 선두에서부터 i번째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는, 대응하는 관리 정보의 선두에서 i번째의 프레임 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제어 회로(54)가 화상 컨텐츠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을 확보한 후, 그 기억 영역의 선두 어드레스를 그 화상 컨텐츠의 관리 정보와 대응하여 기억시킨다. 따라서, 어떤 화상 컨텐츠의 선두에서 i번째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켜야 되는 버퍼(56)의 위치, 또는 그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버퍼(56)의 위치는 화상 컨텐츠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의 선두 어드레스, 변수(프레임 번호) i, 및 1 프레임당 고정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버퍼(56)에서는 프레임 플래그가 0과 1의 값들중 하나를 취하는 1 비트의 플래그이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가 예를 들어 30 프레임/초라고 하면,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에 대한 1시간분의 관리 정보는 108000 비트(= 60분 ×60초 ×30 프레임/초 ×1 비트)가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버퍼(56)에서 1 비트의 프레임 플래그로 이루어지는 관리 정보는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관리 정보가 사용되어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버퍼(56)에서도 제어 회로(54)에 의해서 두개의 화상 컨텐츠 #1 및 #2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이 확보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버퍼(56)에서, 관리 정보는 각 프레임의 프레임 플래그, 선두 어드레스, 데이터 길이의 세트로 되는 엔트리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 정보의 선두에서 i번째의 엔트리의 프레임 플래그는, 도 3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1 비트의 플래그로, 그 관리 정보에 의해서 관리되는 화상 컨텐츠의 선두에서 i번째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i번째의 엔트리에 있어서의 선두 어드레스는 수 바이트로 형성되고, i번째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버퍼(56)의 기억 영역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또한, i번째의 엔트리에 있어서의 데이터 길이는 수 바이트로 형성되고, i번째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버퍼(56)에서, 예를 들면, 화상 컨텐츠 #2의 프레임 번호가 tt:tt:03인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버퍼(56)의 어드레스 xxxx6으로부터 ddddd 길이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버퍼(56)에서, 각 엔트리는 그 프레임 플래그가 1일 때에, 그 엔트리의 선두 어드레스 및 데이터 길이가 유효하게 된다. 특히, 제어 회로(54)는, i번째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면, 관리 정보의 i번째 프레임 플래그를 0로부터 1로 변화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버퍼(56)의 기억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와 크기를 각각 관리 정보의 선두 어드레스와 데이터 길이에 기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버퍼(56)에서는,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어떤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그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기억 영역의 선두 어드레스와 데이터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버퍼(56)에서, 1 프레임당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고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즉, 1 프레임당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예를 들면 MPEG 시스템에 따라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와 같이 가변적이더라도, 도 3에 도시된 버퍼(56)와는 달리,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버퍼(56)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그 프레임의 표시순으로 버퍼(56)내에 기억시킬 필요가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버퍼(56)에서는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버퍼(56)의 기억 영역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를 그 프레임의 표시순으로 버퍼(56)에 기억시킬 필요가 없고 임의의 순서로 기억시킬 수 있다.
버퍼(56)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 및 그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리 메모리(54A)에 기억된 관리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새로운 화상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필요가 있지만, 버퍼(56)의 빈(free) 영역이 부족한 경우 등과 같은 때에 제어 회로(54)에 의해서 소거된다. 이 경우, 버퍼(56)에서 프래그맨테이션(fragmentation)이 생기고, 제어 회로(54)는 필요에 따라서, 버퍼(56)의 프래그맨테이션을 해소하기 위한 디프래그맨테이션(defragmentation)을 행한다. 또한, 버퍼(56)에, 화상 데이터를 순차 기억시키기 위해서는 버퍼(56)의 빈 영역의 관리를 행하는 필요가 있고, 제어 회로(54)는 그와 같은 빈 영역(빈 영역)의 관리도 행한다.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의 제어 회로(54)는, 소정의 주목 프레임(noticed frame)으로부터의 소정의 시간의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복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회로(51)를 제어함으로써, 그 기억되어 있지 않은 화상 데이터(이하, 적절하게, 미기억 화상 데이터라고 표시함)를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요구한다.
특히, 제어 회로(54)는 현재 재생하여야 할 프레임을 주목 프레임으로서 결정하고, 예를 들면, 도 5a의 사선에 의해 표시된 위치에서 주목 프레임 주위의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요구한다.
여기서, 제어 회로(54)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요구하는 화상 데이터의프레임의 위치를 스코프(scope)로 하면, 상기 스코프는 장치의 각 동작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54)는 조작 모드에 대응하는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특히, 제어 회로(54)는, 조작 모드가 정상 재생(정상의 속도로 재생) 모드인 경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목 프레임의 전후 각각에 인접하는 연속하는 15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와, 주목 프레임의 전후 각각의 2분간의 범위에서의 0.5초의 시간 간격의 위치에 있는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또한, 제어 회로(54)는, 조작 모드가 빨리 감기 모드인 경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목 프레임의 전후 각각의 5분간의 범위에서의 0.5초 시간 간격의 위치에 있는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는 만일 사용자가 되감기 명령 (rewinding instruction)을 입력하기 위해 조작 패널(55)의 버튼 (되감기 버튼)을 조작한다면, 이어서 제어 회로(54)가 조작 모드를 되감기 모드 (역재생이 N배속으로 수행되는 모드)로 설정하고, 또한 이러한 되감기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54)가 도 5b에 도시된 감기 모드에서와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조작 모드가 정지 모드이면, 제어 회로(54)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목 프레임의 전후방에 인접한 연속 30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 및 주목 프레임의 전후방의 2분 범위 내의 0.5초의 시간 간격의 위치에서의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는 만일 사용자가 슬로우 재생 또는 슬로우 역재생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조작 패널(55)의 버튼 (슬로우 재생 버튼 또는 슬로우 역재생 버튼)을 조작한다면, 이어서 제어 회로(54)가 조작 모드를 슬로우 재생 모드 (재생이 1/N배속으로 수행되는 모드) 또는 슬로우 역재생 모드 (역재생이 1/N배속으로 수행되는 모드)로 설정되고, 또한 슬로우 재생 모드 또는 슬로우 역재생 모드에서, 제어 회로(54)는 도 5c에 도시된 정지 모드에서와 동일한 화상 데이터의 요구를 발행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제어 회로(54)는 관리 메모리(54A)의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 중 버퍼(56) 내에 기억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요구만을 발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시간 재생을 위한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될 수 있더라도, 현재의 AV 시스템에서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의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의 데이터의 전송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의 전송율보다도 높은 전송율로 수행되어, 실시간 재생이 필수적이지 않은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실시간 재생은 전혀 방해를 받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실시간 재생에 필요한 정상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대역폭과는 다른 대역폭이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이용되므로, 실시간 재생은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전혀 방해를 받지 않는다.
더욱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의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의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전송 대역폭 (전송율)중 실시간 재생을 위한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최소 전송 대역폭과 다른 나머지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스코프의 모든 화상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항상 전송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는 우선 순위 번호를 가지며, 또한 제어 회로(54)는 우선 순위 번호들에 따라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우선 순위 번호들은 예를 들어 주목 프레임에 시간적으로 보다 근접한 프레임이 가장 높은 등급의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된다. 또한, 시간적으로 선행의 프레임은 시간적으로 후속하는 다른 프레임보다 높은 등급의 우선 순위를 갖는다. 시간적으로 주목 프레임의 선행 프레임과 시간적으로 주목 프레임에 후속하는 다른 프레임이 주목 프레임으로부터 동일한 시간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본 예에서는,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프레임이 시간적으로 후속하는 프레임보다 높은 등급의 우선 순위를 갖게 되고, 따라서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프레임에 대한 요구가 시간적으로 후속하는 프레임에 대한 요구에 우선된다. 또, 이러한 방식으로 우선 순위 번호들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주목 프레임이 가장 높은 등급의 우선 순위를 갖게 되지만, 주목 프레임은 지금 재생하여야 할 프레임이므로, 이 프레임은 정상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된다는 것에 주목하자.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는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요구하여 버퍼(56)에 기억해 두도록 하였기 때문에, 장치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의 조작 모드가 정상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목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속된 15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와, 주목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2분의 범위 내의 0.5초 시간 간격의 위치에 있는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요구되어 버퍼(56)에 기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55)을 조작하여 빨리 감기 동작 또는 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 중의 주목 프레임의 전후방향의 2분의 범위 내에서 0.5초 시간 간격의 위치에 있는 화상 데이터가 버퍼(56)로부터 판독되어 디스플레이부(53)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바로 디스플레이부(53)에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모드의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정상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55)을 조작하여 슬로우 재생이나 슬로우 역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 내의 주목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상 데이터를 버퍼(56)로부터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53)에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53)에는 바로 슬로우 재생 또는 슬로우 역재생 모드의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또, 조작 모드에 대한 스코프의 설정의 방법이나,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우선 순위 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1 프레임씩 요구하는 것으로 하면, 복수 프레임들을 통합하여 요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요구용 신호에 의한 오버헤드가 커지게 되고, 전송 효율이 열화하게 된다. 그래서,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 복수 프레임들 (예를 들면, 15 프레임들)을 통합하여 요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코프 이외의 위치에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만을 요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전송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스코프 이외의 위치에 있는 화상 데이터도 요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6를 참조하여, 도 2의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초로, 단계 S1에서, 제어 회로(44)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단계 S1에서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수신되지 않았음이 판정된 경우, 즉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수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후 동일한 프로세싱을 반복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이 단계 S1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S1에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수신되었음이 판정된 경우, 즉, 인터페이스 회로(43)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수신된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S2로 진행하여 제어 회로(44)가 그 요구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전송하도록 신호 처리 회로(42) 및 인터페이스 회로(43)를 제어한다.
특히, 신호 처리 회로(42)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 요구된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41)로부터 재생하여,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회로(43)에 공급한다. 인터페이스 회로(43)는 신호 처리 회로(4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IEEE 1394 케이블(3)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한다. 그 다음, 프로세싱이 단계 S1으로 되돌아가,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부터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요구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를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전송한다.
이제,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2의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의해 버퍼(56)에 대하여 행해지는 버퍼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버퍼 처리에서는, 우선 단계 S11에서는, 제어 회로(54)가 후술하는 재생 제어 처리에서, 주목 프레임, 즉 디스플레이부(53)에 현재 표시되어야 할 프레임이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에서, 주목 프레임이 변경되었음이 판정된 경우, 즉 디스플레이부(53)에 표시하여야 할 프레임이 변경된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S12로 진행하여, 제어 회로(54)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화상 데이터가 요구된다.
특히, 주목 프레임이 변경되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로 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코프도 변하기 때문에, 그 변경 후의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요구된다.
또,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전원이 접속된 경우나 재생될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3) 상에 어떤 컨텐츠의 프레임이 최초로 표시되는 경우에도 단계 S1에서는 주목 프레임이 변경되었다고 판정된다.
단계 S12에서, 제어 회로(54)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의 조작 모드를 인식하여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제어 회로(54)는 단계 S12에서 인식된 조작 모드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스코프(도 5a 내지 도 5c)를 인식한 다음, 프로세싱은 단계 S14로 진행시킨다.
특히,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 모드가 정상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주목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속하는 15 프레임의 위치 및 주목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2분 범위 내의 0.5초 시간 간격의 위치가, 스코프로서 인식된다(도 5a). 한편, 조작 모드가 빨리 감기 모드 또는 되감기 모드인 경우에는, 주목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5분 범위 내에서의 0.5초 시간 간격의 위치가 스코프로서 인식된다(도 5b). 또한, 조작 모드가 정지 모드, 슬로우 재생 모드, 또는 슬로우 역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주목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30 프레임의 위치들과, 주목 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2분 범위 내의 0.5초 시간 간격의 위치가 스코프로서 인식된다(도 5c).
단계 S14에서, 제어 회로(54)는 관리 메모리(54A)의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단계 S12에서 인식한 스코프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버퍼(56) 내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인 미기억 화상 데이터(non-stored image data)를 인식한다.
그 다음, 프로세싱은 단계 S15로 진행하여, 제어 회로(54)는 미기억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제어 회로(54)가 미기억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S16를 스킵하여 단계 S17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15에서, 미기억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S16로 진행하고, 제어 회로(54)는 인터페이스 회로(51)를 제어함으로써, 미기억 화상 데이터를 이들의 프레임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요구한 다음, 프로세싱은 단계 S17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서, 인터페이스 회로(51)는 미기억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신호를 IEEE 1394 케이블(3)의 제어 채널을 통해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 전송한다.
한편, 단계 S11에서 주목 프레임이 변경되어 있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즉, 디스플레이부(53) 상에 표시하여야 할 프레임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싱은 제어 회로(54)가 단계 S16에서 요구된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서, 단계 S16에서 요구된 화상 데이터가 아직 수신되지 않았음이 판정된 경우, 동일한 프로세싱을 이후 반복하기 위해서 프로세싱은 단계 S11에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6에서 요구한 화상 데이터가 수신된 것이 단계 S17에서 판단되면, 즉 그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회로(51)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프로세싱은 단계 S18로 진행하여, 제어 회로(54)는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되도록 인터페이스 회로(51)와 신호 처리 회로(5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회로(51)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52)로 공급하고, 신호 처리 회로(52)는 교대로 그 화상 데이터를 버퍼(56)로 공급하고 기억시킨다.
그 다음, 제어 회로(54)는, 단계 S19에서, 관리 메모리(54A)에 기억된 관리 정보 중, 단계 S18에서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것을 갱신한다. 그 다음으로, 프로세싱은 단계 S11로 되돌아가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상술한 버퍼 처리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된 직후에는, 어떤 화상 데이터도 버퍼(56)에 기억되지 있지 않으며, 따라서, 화상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된다. 그러나, 재생이 계속됨에 따라, 화상 데이터는 버퍼(56)에 기억되고,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는 소정의 컨텐츠의 모든 화상 데이터가 버퍼(56)에 기억된다. 그 결과, 화상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지 버퍼(56)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만이 필요하지만, 동일한 화상 컨텐츠의 화상 데이터를 다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전송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8를 참조하여 도 2의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의해 수행되는 재생 제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 제어 처리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 패널(55)의 조작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의 조작 모드가 변경되고, 그 조작 모드에 대응하여 화상 데이터의 재생이 수행된다.
특히, 재생 제어 처리에서는, 먼저 단계 S21에서 제어 회로(54)는 조작 신호가 조작 패널(55)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만약 조작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제어 회로(54)가 판정한다면, 즉 만약 사용자가 조작 패널(55)을 조작하지 않았다면, 프로세싱은 단계 S22를 건너 뛰어 단계 S23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1에서, 조작 패널(55)로부터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음이 판단되면, 즉 만약 사용자가 조작 패널(55)을 조작하였다면, 단계 S22로 진행하여, 제어 회로(54)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의 조작 모드를 조작 패널(55)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모드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싱은 단계 S23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제어 회로(54)는 주목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아래에서는 주목 프레임 번호로 적절히 언급됨)가 마지막으로 갱신된 후,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제어 회로(54)가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프로세싱은 단계 S21로 복귀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만약 단계 S23에서 주목 프레임 번호가 마지막으로 갱신된 후 한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싱은 단계 S24로 진행하여, 제어 회로(54)는 그 조작 모드에 따라서 그 주목 프레임 번호를 갱신한다. 특히, 만약 그 조작 모드가 정상 재생 모드라면, 그 제어 회로(54)는 그 주목 프레임 번호를 단계 S23에서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될때 마다 하나씩 증가시킨다. 이 경우,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할때 마다 주목 프레임 번호가 하나씩 증가하기 때문에, 주목 프레임 번호에 대응하는 주목 프레임은 정상적으로 재생된 화상이 된다.
한편, 조작 모드가 빨리 감기 모드 또는 되감기 모드일 경우에는, 제어 회로(54)는 단계 S23에서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될 때마다 주목 프레임 번호를 N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이 경우, 그 주목 프레임 번호는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이 경과할 때마다 N씩 증가하거나 감소하기 때문에, 그러한 주목 프레임 번호에 대응하는 주목 프레임은 N 배속으로 재생되거나 역재생된 화상이 된다.
더욱이, 조작 모드가 정지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 회로(54)는 주목 프레임 번호를 변경하지 않는다. 이 경우, 주목 프레임 역시 변하지 않기 때문에, 그 주목 프레임 번호에 대응하는 주목 프레임은 변하지 않고 동일한 화상 그대로 정지 모드가 된다.
한편, 조작 모드가 슬로우 재생 모드이거나 슬로우 역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 회로(54)는, 단계 S23에서,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이 경과하였다는 판정이 N번 될 때마다 그 주목 프레임 번호를 하나씩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이 경우, 주목 프레임 번호는 N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할때마다 증가하거나 감소하기 때문에, 주목 프레임 번호에 대응하는 주목 프레임은 1/N 배속으로 재생 또는 역재생된 화상이 된다.
단계 S24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주목 프레임 번호가 갱신된 후, 프로세싱은 단계 S25로 진행하고, 제어 회로(54)는 신호 처리 회로(52)에 그 주목 프레임 번호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신호 처리 회로(52)는 그 주목 프레임 번호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버퍼(56)로부터 판독하고, 필요하다면 그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한 후, 디스플레이부(53)로 공급함으로써, 그 화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53)에서 표시된다. 그 후, 단계 S21로 되돌아가 동일한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이상과 같은 재생 제어 처리에 따라, 상술된 버퍼 처리에 의해 버퍼(56)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어 디스플레이부(53)에서 표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정지 모드에서(슬로우 재생 모드 및 슬로우 역재생 모드의 경우도 동일함), 종래 기술에서처럼 동일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반복적으로 전송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전송 대역폭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전송 대역폭의 사용의 제한은 조금도 없다.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AV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9에서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장황함을 피하기 위하여 적절히 생략한다.
도 9의 AV 시스템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로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외에,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를 포함한다.
그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와 그 구성이 유사하다. 그러나,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및 81)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 동작은 그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및 8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는, 화상 데이터를 두개의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및 81)로 서로 독립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하나의 신호 처리 회로(42)를 포함하지 않고 두개의 신호 처리 회로 쌍(42A 및 42B)을 포함한다. 또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는 부가적으로 스위치(46)와 버퍼 쌍(47A 및 47B)를 포함한다.
스위치(46)는 제어 회로(44)의 제어에 따라 단자쌍(46A 및 46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단자(46A)는 버퍼(47A)에 연결되고, 단자(46B)는 버퍼(47B)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41)에의 엑세스는 버퍼(47A)와 스위치(46)을 통하여 신호 처리 회로(42)로부터 수행되거나, 또는 버퍼(47B)와 스위치(46)을 통하여 신호 처리 회로(42B)로부터 수행된다.
특히,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41)상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신호 처리 회로(42A)로부터 버퍼(47A)로 공급되거나, 또는 신호 처리 회로(42B)로부터 버퍼(47B)로 공급된다. 그리고, 버퍼(47A)는 일시적으로 신호 처리 회로(42A)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버퍼(47B)는 일시적으로 신호 처리 회로(42B)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위치(46)는 제어 회로(44)의 제어 하에 시분할로 단자(46A 및 46B)를 교대로 선택한다. 스위치(46)가 단자(46A)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버퍼(47A)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가 스위치(46)을 통해 판독되어 하드 디스크(41)로 공급되어 기록된다.반면, 스위치(46)가 단자(46B)를 선택하면, 버퍼(47B)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가 스위치(46)을 통해 판독되어 하드 디스크(41)로 공급되어 기록된다.
한편,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41)로부터 판독되는 경우에는, 스위치(46)가 단자(46A)를 선택하면 그 하드 디스크(41)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스위치(46)를 통해 버퍼(47A)에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반면, 스위치(46)가 단자(46B)를 선택하면 하드 디스크(41)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스위치(46)를 통해 버퍼(47B)에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버퍼(47A)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신호 처리 회로(42A)를 통하여 인터페이스 회로(43)로 인가되고, 예를 들어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 인가된다. 한편, 버퍼(47B)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신호 처리 회로(42B)를 통하여 인터페이스 회로(43)에 공급되고, 예를 들어 IEEE 1394 케이블(3)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로 또 인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상 데이터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및 81)의 요구에 따라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및 81)로 전송될 수 있게 되어, 각각의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및 81)에 의해 실시간 재생이 독립적으로 적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9의 AV 시스템의 하드 디스크(41)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및 81)로 전송되는 2 채널분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기에 충분한 전송율로 동작하도록 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율은 적어도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율과 디지털 텔레비젼모니터(81)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율을 합한 값과 동일하다.
더욱이, 예를 들어, 신호 처리 회로(42A)와 버퍼(47A)를 A 채널 시스템으로 참조하고, 신호 처리 회로(42B)와 버퍼(47B)를 B 채널 시스템으로 참조하고,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A 채널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B 채널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고 가정하면, A 채널 시스템 및 B 채널 시스템에 대한 프로세싱은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특히, 현재의 AV 시스템에서,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는 재생 모드와 정상 모드의 두개의 모드를 지니고, 수신된 모드 신호에 따라서 두 모드 사이의 조작 모드를 변화시킨다. 그러나, 이 조작 모드의 천이는 A 채널 시스템과 B 채널 시스템 중, 모드 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중의 하나와 일치하는 쪽에 대하여만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가 모드 신호를 전송하여 온 경우에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를 담당하는 A 채널 시스템이 조작 모드로 들어간다. 그러나,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가 모드 신호를 전송하여 온 경우에는,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를 담당하는 B 채널 시스템이 조작 모드로 들어간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여, 도 9의 하드 디스크(41)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는 경우의,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의 제어 회로(44)에 의한 스위치(46)의 제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 S31에 있어서, 제어 회로(44)는 A 채널 시스템이 재생 모드인지의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A 채널 시스템이 재생 모드에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즉, A 채널 시스템이 정상 모드인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S32 및 S33을 스킵하여 단계 S34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31에서 A 채널 시스템이 재생 모드라고 판정된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S32로 진행하고, 제어 회로(44)는 스위치(46)가 버퍼(47A)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46A)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싱은 S33으로 진행하고, 제어 회로(44)는 버퍼(47A)의 데이터 기억 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3에서, 버퍼(47A)의 데이터 기억 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하드 디스크(41)로부터 버퍼(47A)로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일시정지하면, 하드 디스크(41)로부터 버퍼(47A)로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연속적으로 개시하기까지, 버퍼(47A)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는 전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전송되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도중에서 끊겨 버리는 가능성이 있는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S33에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경우에, 하드 디스크(41)로부터 버퍼(47A)에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정지해도, 하드 디스크(41)로부터 버퍼(47A)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연속적으로 개시하기까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을 정도의 양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47A)에 축적될 때까지는, 단계 S33의 처리가 반복되어, 그 사이, 하드 디스크(41)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스위치(46)를 통해 공급되고, 버퍼(47A)에 기억된다.
한편, 단계 S33에서, 버퍼(47A)에서 데이터 기억 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즉, 버퍼(47A)에 대한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일시정지해도, 버퍼(47A)에 대한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개시하기까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은 정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47A)에 축적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S34로 진행한다.
단계 S34에서, 제어 회로(44)는 B 채널 시스템이 재생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회로(44)가B 채널 시스템은 재생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프로세싱은 단계 S35 및 S36을 스킵하여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34에서 B 채널 시스템이 재생 모드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5에 진행하고, 제어 회로(44)는 스위치(46)가 버퍼(47B)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46B)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싱은 단계 S36으로 진행하고, 제어 회로(44)는 버퍼(47B)에서의 데이터 기억 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6에서 버퍼(47B)에서의 데이터 기억 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버퍼(47B)에 대한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일시정지하면, 버퍼(47B)에 대한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개시하기까지, 버퍼(47B)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가 전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에 전송되어,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도중에서 끊겨 버리는 경우, 프로세싱은 단계 S36에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경우에서도, 상술된 단계 S33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하드 디스크(41)로부터 버퍼(47B)로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일시정지해도, 하드디스크(41)로부터 버퍼(47B)로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개시하기까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에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은 정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47B)에 축적될 때까지는, 단계 S36의 처리가 반복되어, 그 사이에 하드 디스크(41)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스위치(46)를 통해 버퍼(47B)로 공급되어 기억된다.
한편, 단계 S36에 있어서, 버퍼(47B)에서의 데이터 기억 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즉, 하드 디스크(41)로부터 버퍼(47B)로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일시정지해도, 하드 디스크(41)로부터 버퍼(47B)로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개시하기까지,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81)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은 정도의 화상 데이터가 버퍼(47B)에 축적되어 있는 경우, 단계 S31에 되돌아간다.
여기에서, 하드 디스크(41)가 화상 데이터를 버퍼(47A 또는 47B)로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에, 버퍼(47A 또는 47B)에서의 데이터 기억 용량이 그 상한치로 되어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드 디스크(41)로부터 버퍼(47A 또는 47B)로의 화상 데이터 전송은 버퍼(47A 또는 47B)에서의 빈 영역이 나타날 때까지 대기하고 나서 행해진다. 상술된 이러한 전송 제어는 제어 회로(44)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고, 하드 디스크(41)와 버퍼(47A 또는 47B) 각각 사이에 제어선을 설치하여, 하드 디스크(41)와 버퍼(47A 또는 47B) 각각 사이에서 행해질 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스위치 제어 처리에 따르면, A 채널 시스템 및 B 채널 시스템 모두가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이론적으로 스위치(46)는 단자(46A 및 46B)를 교대로 시분할로 선택한다. 그리고, A 채널 시스템 또는 B 채널 시스템 중의 어느 하나, 예를 들어, A 채널 시스템만이 정상 모드라면, 스위치(46)는 버퍼(47A)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46A)를 선택하지 않게 되어, 단자(46B)만을 선택하도록 된다. 그리고, A 채널 시스템 및 B 채널 시스템 중의 다른 쪽으로서 B 채널 시스템도 정상 모드라면, 스위치(46)는 단자(46B)도 선택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도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 후, A 채널 시스템 또는 B 채널 시스템 중의 하나로서 A 채널 시스템만이 재생 모드라면, 스위치(46)는 버퍼(47A)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46A)만 선택하게 되어, 필요에 따라서 하드 디스크(4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이 개시된다. 또한, A 채널 시스템 또는 B 채널 시스템 중의 다른 쪽으로서 B 채널 시스템도 재생 모드라면, 스위치(46)는 단자(46A 및 46B)를 교대로 시분할로 선택하게 된다.
도 9의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서,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 또는 81)에 의해 행해지는 도 7의 단계 S15의 처리에 의해 요구되는 화상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41)로부터 판독된다.
상술된 일련의 처리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범용의 컴퓨터 등에 인스톨된다.
도 11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컴퓨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105)나ROM(103)상에 미리 기록해 둘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제거할 수 있는 기록 매체(111)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기록해 둘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거할 수 있는 기록 매체(111)는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된 바와 같은 제거할 수 있는 기록 매체(111)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디지털 위성 방송용의 인공위성을 통해 컴퓨터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되고, 컴퓨터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을 통신부(108)에 의해 수신하여, 내장된 하드 디스크(105)에 인스톨할 수 있다.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2)을 내장하고 있다. CPU(102)에는 버스(101)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110)가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107)를 조작하여 지령을 내리면, 이 지령은 입/출력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CPU(102)에 입력되고, CPU(102)는 이 지령에 따라서 ROM(Read Only Memory)(103)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는, CPU(102)는 하드 디스크(10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위성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고, 통신부(108)로 수신되어 하드 디스크(10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브(109)에 장착된 제거할 수 있는 기록 매체(111)로부터 판독되어 하드 디스크(10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104)에 로드하고, 이렇게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CPU(102)는 상술된 플로우차트와 관련된 처리, 또는 상술된 블록도의 구성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필요할 경우, CPU(102)는 그 처리 결과가,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1O)를 통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106)로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통신부(108)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하드 디스크(105)에 기록되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 내에 또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들은, 반드시 플로우차트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으로 또는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라도 좋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서 분산 처리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원격지의 컴퓨터에 전송되어 실행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 디스크 레코더나,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 이외의 IEEE 1394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컴퓨터에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장비한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IEEE 1394 통신 이외의 통신에 의해서, 인터넷을 통해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하여지는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된 AV 시스템에서는 DV 시스템의 화상 데이터를 채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시스템 등으로 압축 코드화된 화상 데이터, 또는 이러한 압축 코드화 상태가 아닌 화상 데이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된 도 9의 AV 시스템에서는, 풀(pull)형의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는데, 여기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인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의 조작 패널(55)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화상 데이터의 전송 등에 대한 요구가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측인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발행되고, 그 요구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타, 예를 들면, 전송측인 하드 디스크 레코더(31)에 조작 패널을 설치하고, 그 조작 패널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하드 디스크 레코더(31)로부터, 수신측인 디지털 텔레비젼 모니터(32)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전송되는, 말하자면 푸시(push)형의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AV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따르면, 주목 화면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화면의 화상 데이터가 전송 장치에 요구되고, 전송 장치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소정 범위 내의 화면의 화상 데이터가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응답성이 좋은 재생 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국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2)

  1.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전송 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복수 스크린 이상의 기억 용량을 갖는 기억부; 및
    주목 스크린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재생하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전송율보다도 높은 전송율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각 스크린마다, 그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지의 여부에 관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관리 정보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 중,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재생 방법의 지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재생 방법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범위를 설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복수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재생 방법의 지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재생 방법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복수 스크린을 설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은 IEEE 1394 규격에 준거한 것인 화상 처리 장치.
  10.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송 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주목 스크린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단계;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된 상기 소정 범위 내의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기억시키는 화상 기억 단계; 및
    상기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1.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송 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주목 스크린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 단계;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된 상기 소정 범위 내의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화상 기억 단계; 및
    상기 화상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2.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 장치; 및
    상기 전송선을 통해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전송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복수 스크린 이상의 기억 용량을 갖는 기억부와, 주목 스크린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스크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KR1020010046790A 2000-08-02 2001-08-02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763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33924A JP4332770B2 (ja) 2000-08-02 2000-08-02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JP-P-2000-00233924 2000-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908A true KR20020011908A (ko) 2002-02-09
KR100763705B1 KR100763705B1 (ko) 2007-10-04

Family

ID=1872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790A KR100763705B1 (ko) 2000-08-02 2001-08-02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85356B2 (ko)
JP (1) JP4332770B2 (ko)
KR (1) KR100763705B1 (ko)
CN (1) CN11735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307A (ja) * 2000-08-02 2002-02-1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CN100350765C (zh) * 2003-12-02 2007-11-21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影音播放系统传输数据的方法
US8423673B2 (en) * 2005-03-14 2013-04-16 Citrix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 graphical display in a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using compression
US8171169B2 (en) * 2005-03-14 2012-05-01 Citrix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 graphical display in a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JP6342839B2 (ja) * 2015-04-20 2018-06-13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受信端末及び映像視聴システム
CN106713940B (zh) * 2015-08-04 2019-12-20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视频流的存储方法、读取方法及装置
US11588876B2 (en) * 2020-06-16 2023-02-21 T-Mobile Usa, Inc. Device-side playback restrictions on high throughput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5600A (en) * 1996-10-18 1999-12-21 Silcon Graphics, Inc. High-performance player for distributed, time-based media
US6507672B1 (en) * 1997-09-10 2003-01-14 Lsi Logic Corporation Video encoder for digital video displays
US6845398B1 (en) * 1999-08-02 2005-01-18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multimedia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563C (zh) 2004-10-27
US20020026458A1 (en) 2002-02-28
US7185356B2 (en) 2007-02-27
JP2002051310A (ja) 2002-02-15
JP4332770B2 (ja) 2009-09-16
CN1345162A (zh) 2002-04-17
KR100763705B1 (ko)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892B1 (ko) 비디오 신호 시청 장치와 사용자 명령 제어 장치 및 방해 발생시 비디오 프로그램 사용자를 서비스하는 방법
US62333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US7155109B2 (en) Programmable video recorder having flexible trick play
JP4585536B2 (ja) ビデオ番組を再生する方法並びに装置
JP4615551B2 (ja) 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の記録媒体、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のモード設定方法、及び、そのディスプレー方法
JP4388891B2 (ja) パーソナルビデオレコーダにおける特定のプログラムまたは特定の時間経過へのナビゲーション
JP4388887B2 (ja) デジタルビデオ記録中のライブ画像プレゼンテーション
WO1999056280A1 (fr) Enregistreur-lecteur
JPH11509951A (ja) 記憶媒体装置
US7536077B2 (en) Method for sending information on a network, and electronic information equipment
KR100763705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H11509665A (ja) スタガ記録を行う記憶媒体装置及びビデオサービスシステム
JP4880996B2 (ja) 映像タイトル再生装置および映像タイトル再生システム
KR100859617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EP1223755A2 (en) Disc playback system and display unit
JP3072971B2 (ja) ビデオ・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とそれを構成するビデオサーバ装置及び端末装置
KR100441602B1 (ko) 복수의 재생장치를 갖는 복합장치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JP2006339980A (ja) 映像再生装置
JP2735018B2 (ja) ビデオ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のための継続視聴方法と装置
JP4071695B2 (ja) 情報データ再生装置及び情報データ再生方法
JP2001155470A (ja) ランダムアクセス可能な記録媒体を用いた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の再生方法
EP1835502B1 (en) Dual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ed AV signal for Time Shift recording function.
JP2000092450A (ja) ビデオサーバ装置
JP4148938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6050078A (ja) データ転送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