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844A -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844A
KR20020011844A KR1020000062249A KR20000062249A KR20020011844A KR 20020011844 A KR20020011844 A KR 20020011844A KR 1020000062249 A KR1020000062249 A KR 1020000062249A KR 20000062249 A KR20000062249 A KR 20000062249A KR 20020011844 A KR20020011844 A KR 20020011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connection
customer
address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철
Original Assignee
신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철 filed Critical 신호철
Publication of KR2002001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8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50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에서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웹서버에에 의하여 통신을 하거나 정보를 교환함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부여되는 숫자로 된 IP 주소가 유동 IP 주소라고 하더라도 원격지 서버에 구현된 프로그램에 의한 포워딩(forwarding)에 의하여 운영자 컴퓨터 또는 웹서버의 도메인 이름(domain name)과 매치시켜서 고정 IP가 없는 운영자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와 원활한 통신 또는 정보를 교환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static) IP가 아닌 유동(dynamic) IP를 이용하므로써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전용선이 필요가 없도록 하고,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운영자 자신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를 이용하게 되므로 계정의 제한이나 CGI와 같은 인터페이스의 사용에 제한이 없도록 하고,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변하는 IP 주소라 하더라도 메인서버에서 도메인 이름에 대응하는 유동 IP의 주소를 포워딩(forwarding)하여 주어 IP 주소와 무관하게 도메인 이름만으로도 원하는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며, DNS 서비스의 중단이 없고 연결 시차가 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브라우져에 띄워지는 창을 프레임(frame)을 나누어 사용자 브라우져의 주소란에 도메인 이름이 띄워지도록 하며, 여분의 창을 광고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Method for using dynamic internet protocol address as static internet protocol address by means of forwarding on internet base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 또는 웹서버에의 연결에 의하여 통신을 하거나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정보를 교환함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부여되는 숫자로 된 주소인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가 유동 아이피(dynamic IP) 주소 즉, 인터넷을 접속할 때마다 아이피(IP) 주소가 다르게 부여되는 주소라고 하더라도 상대방 컴퓨터 및 원격지 서버에 구현된 프로그램(S/W, Soft Ware)에 의한 포워딩(forwarding)에 의하여 상대방 컴퓨터 또는 웹서버의 도메인 이름(domain name)과 매치시켜서 고정 아이피(static IP)가 없는 상대방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와 원활한 통신 또는 정보를 교환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상기의 포워딩(forwarding)을 하기 전에 상대방의 컴퓨터 브라우져 또는 창을 프레임으로 나누어 여분의 창에 광고를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전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컴퓨터 또는 웹서버들을 기술적인 넷(net, 망)으로 연결하여, 정해진 규칙 아래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연결체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시초는 1950년대 말기에 미 공군의 대공 방공망인 SAGE(Semi-Automatic Ground Environment)로부터 태동되었으며, 이후 1960년대 중반에 SAGE는 미국의 각 행정기관과 주요정부기관, 국립연구소 등을 연결하는 ARPANET(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NETwork)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ARPANET은 민간투자기업의 참여, 개인영리업자, 다양한 연구소, 학교기관의 참여로미국 내의 하나의 거대한 전산망을 구성하게 되어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자는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세계 각국의 사람들과 손쉽게 서로의 의견을 나눌 수 있으며, 조언을 구할 수도 있으며, 수많은 공개용 자료와 프로그램들을 바로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현재 인터넷의 기술수준이 급 성장세로 발전을 거듭하여 원격지 화상통신을 통한 화상회의와 의료진단, 음성정보를 통한 국제통화 등과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정보 또는 자료를 수수(授受)하기 위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컴퓨터 및 상대방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상대방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의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인터넷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통신의 기본적인 프로토콜(protocol)인 티씨피/아이피(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규약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으며, 사용자 자신 또는 상대방 컴퓨터 또는 웹서버의 주소는 세자리 숫자가 콤마로 구분된 4단위의 숫자로 표현된 주소인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와 콤마로 구분되는 영문자로 표현된 주소인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을 사용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어떤 컴퓨터를 실제로 찾아서 통신, 자료교환 등을 하기 위해서는 숫자 체계로 된 아이피(IP) 주소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아이피 주소는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통상적으로는 영문자로 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디엔에스(DNS, Domain name System) 서버(예를 들면 데이콤, 하이텔, 코넷, 한국전산원 등의 DNS서버)는 영문자로 표현된 주소와 이에 대응하는 아이피 주소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원하는 컴퓨터 또는 웹서버에 제공하여, 영문자로 된 주소만 알고 있으면 상대방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계에서 상대방이 정보를 제공하려고 하는 컴퓨터 또는 웹서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제공하려고 하는 자가 자신의 도메인 이름과 그에 해당하는 아이피 주소를 등록하고, 입력되는 도메인 이름을 디엔에스(DNS) 서버에 의하여 아이피(IP) 주소로 변환시켜 주어야 만이 컴퓨터가 서로 연결이 되어 통신, 자료교환 등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상대방이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웹 브라우져에 영문자로 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게 되면, 디엔에스(DNS)서버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입력된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아이피(IP) 주소를 알려주게 되어 이 아이피(IP) 주소로서 상대방 컴퓨터와 통신, 자료교환 등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DNS 서버란 등록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로서, 문자로 된 도메인 이름을 인터넷상의 숫자로 된 주소(IP주소)로 변환시켜 원하는 홈페이지, 전자우편주소 등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DNS 서버가 없다면 등록된 도메인이름 일지라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도메인 이름 등록시 DNS 서버를 반드시 설정하여야 만 한다.
즉,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가 운영하는 DNS 서버에 도메인 이름과 도메인이름의 네임서버정보(호스트이름, IP주소)가 등록되므로써 주소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등록한 도메인이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등록한 도메인이름을 위한 DNS 서버(네임서버)가 KRNIC에 등록되어야 하고 그 네임서버가 운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DNS 서버를 운영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1)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ISP)와 전용선으로 연결한 뒤 서버(UNIX, Windows NT, 리눅스 등)에 DNS 서버를 설치하여 직접 운영하는 방법과 2) 인터넷서비스업체(ISP, Internet Service Provider)로 하여금 대행하게 하여 고정 아이피(static IP) 주소를 할당 받아 이에 대응하는 도메인 이름이 웹브라우져에서 입력되는 경우 DNS 서버에서 아이피(IP) 주소를 웹브라우져에 알려주어 통신, 자료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DNS 서버에서 아이피(IP) 변환을 통하여 컴퓨터 또는 웹서버로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ISP)와 전용선으로 연결한 뒤 DNS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직접 웹서버, 메일서버, 네임서버 등을 구축할 수 있고, 항상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지만, 비싼 전용회선비용과 전문적인 운영기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이에스피(ISP)에 의하여 대행을 하게 하는 경우에는 홈페이지 계정의 용량이 제한이 되고 원하는 CGI 프로그램(Perl, PHP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인터넷은 전세계적으로 연결되는 넷(net)이므로 하나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의 주소는 전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아니하는 고유한 이름이 부여되어야 하므로 현 아이피(IP)의 체계에서의 아이피(IP)의 부족은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었고고정 아이피(static IP)로서는 그 확장성이 한계에 부딪치고 있어 아이피(IP)의 할당 문제가 사회적으로나 세계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하여 도메인 이름이 없이 케이블모뎀, ADSL 또는 Modem 등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는 컴퓨터 또는 웹서버에는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아이피(IP)가 변하는 유동 아이피(dynamic IP)를 활용하고 있으나, 동시 접속자 수가 많을 때에는 한정된 유동 아이피로서는 다수의 접속자에 대하여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여 놓은 컴퓨터 또는 웹서버를 위하여는 좀 더 진보된 방법이 제공되고 있는 바, 유동 아이피를 이용하되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면 바뀐 아이피(IP)를 DNS의 파일에 입력을 하고 DNS 서비스를 정지시켰다가 다시 실행시켜 바뀐 IP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업데이트 방법이 공개되고 있으나, 접속후 DNS 서비스 개시에 약 1분이 소요되어 시간적인 격차가 있으며, 다수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 지면 DNS 서비스가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종료, 재시작을 반복하게 되어 접속연결에 과다한 시간 지체와 더불어 서버에 물리적인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서버가 다운(down)되거나 서비스의 제공이 대단히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자료교환 등의 인터넷 사업을 하기 위하여 홈페이지, 쇼핑몰 등을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고정된 IP와 이에 대응되는 도메인 이름을 변환을 통하여 연결하여 주는 DNS 서버를 보유하기 위하여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ISP)와 전용선으로 연결한 뒤 서버(UNIX, Windows NT, 리눅스 등)에 DNS 서버를 설치하여 직접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비싼 전용회선비용과 전문적인 운영기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점, 아이에스피(ISP)에 의하여 DNS 서버의 운영을 대행하게 하는 경우에는 홈페이지 계정의 용량이 제한이 되고 원하는 CGI 프로그램(Perl, PHP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 전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아니하는 고유한 이름이 부여되어야 하므로 현 아이피(IP)의 체계에서의 아이피(IP)의 부족으로 인하여 원하는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를 할당받기가 곤란한 점 그리고, 유동 IP를 이용하는 DNS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DNS 서비스를 정지시켰다가 다시 실행시켜 바뀐 IP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며 다수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지면 DNS 서비스가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종료, 재시작을 반복하게 되어 접속연결에 과다한 시간 지체와 더불어 서버에 물리적인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static) IP가 필요가 없는 유동(dynamic) IP를 이용하므로써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전용선이 필요가 없도록 하고,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운영자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를 이용하게 되므로 계정의 제한이나 CGI와 같은 인터페이스의 사용에 제한이 없도록 하고,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변하는 IP 주소와 고정된 도메인 이름을 매치시키기 위하여 중간 서버에서 도메인 이름에 대응하는 유동 IP의 주소를 포워딩(forwarding)하여 주어 IP 주소와 무관하게 도메인 이름만으로도 원하는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며, DNS 서비스의 중단 및 시차 없이 신속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과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의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에 접속할 때 브라우져에 띄워지는 창을 프레임으로 나누되 프레임이 고정되어 삭제되지 않도록 하고여분의 창에 광고, 공지사항 등을 띄울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과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련되는 운영자, 메인서버 및 사용자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운영자가 기 설치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인서버와 접속할 수 있는 입력창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의 준비단계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의 실행단계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는 사용자의 브라우져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b는 프레임이 나누어진 사용자의 브라우져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의 실행단계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111, ..., 11n : 운영자 120 : 메인서버
122 : 고객데이터베이스 130, 131, ..., 13n : 사용자
200 : 입력창 210 : ID 입력란
220 : 암호입력란 230 : 연결 버튼
240 : 연결끊기 버튼 250 : 상태창
310 : 브라우져 화면 320 : 주소 란
311,312,313,314 : 서브 창 315 : 메인 창
S10 : 도메인등록단계 S12 : 고객등록단계
S14 : 디비(D/B)단계 S16 : 등록고지단계
S18 : 프로그램설치단계 S20 : 접속단계
S21 : 프로그램실행단계 S22 : 연결단계
S23 : 고객확인단계 S24 : 디비(D/B)갱신단계
S241 : 접속시도단계 S242 : 초기연결단계
S243 : 프레임전송단계 S25 : 포워딩(forwarding)단계
S25a : 포워딩 및 광고단계 S26 : 연결확인단계
S27 : 연결종료단계 S28 : 종료고지단계
본 발명의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은 상기한 기술적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을 운영하고자 하는 자(이하 "운영자"라 함)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와 상기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컴퓨터의 중간에 DNS 서버의 기능을 하는 메인서버를 구축하여 기본 네트워크(network)를 구성하고, 운영자는 자신이 사용할 인터넷 도메인을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에 등록을 하되 이때 DNS 서비스를 제공할 네임서버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상기 메인서버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로 하여 등록을 한 다음에 운영자는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고객등록을 하여야 하는데 이때 KRNIC에 등록한 도메인주소를 입력하는 단계를 반드시 거치게 하고, 고객등록을 마친 운영자는 클라이언트(client)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 load)하여 운영자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를 하게 되면 준비단계가 종료된다.
상기한 준비단계를 거친 후 운영자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작은 창이 운영자 웹브라우져에 띄워지는 데 이 창에는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란 및 메인서버로의 연결 및 연결끊기 버튼 그리고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란이 구현되어 있어 운영자가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연결 버튼을 누르게 되면 메인서버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운영자가 메인서버로 접속을 시도하게 되면 메인서버에서는 등록된 운영자인지를 파악하여 등록된 운영자인 경우에는 메인서버와 연결을 하여 소켓(socket)을 한 개 할당하고 운영자의 ID, 인터넷에 접속한 유동 IP의 주소, 할당된 소켓번호, 접속시간을 DB에 기록한다.
상기 유동 IP의 획득방법은 운영자가 접속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로부터 할당받은 IP가 부여되어 있는 운영자의 랜카드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IP를 읽어 오고, 읽어 들인 IP를 소켓에 담아 메인서버로 보내게 되면 메인서버는 상기의 IP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유동 IP주소를 획득하게 된다.
메인서버에서는 상기 유동 IP의 주소를 상기한 ID에 해당하는 운영자의 도메인 이름에 포워딩(forwarding)하여 운영자의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하는 사용자의 컴퓨터와 운영자 컴퓨터 또는 웹서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운영자가 구현하여 놓은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운영자와 사용자가 서로 통신 또는 자료교환 등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운영자가 고정 IP를 제공하는 전용선이나 ISP의 대행서비스 없이 케이블모뎀, ADSL 또는 Modem 등을 이용한 유동 IP로서도 인터넷 사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련되는 운영자, 메인서버 및 사용자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운영자가 설치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인서버와 접속할수 있는 입력창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의 준비단계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의 실행단계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준비단계를 설명하면, 인터넷 상에서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을 운영하고자 하는 운영자(110, 111, ... , 11n)가 자신의 도메인 이름을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에 등록을 하되 이때 DNS 서비스를 제공할 네임서버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메인서버(120)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로 하여 등록을 하는 도메인등록단계(S10);
운영자(110, 111, ... , 11n)가 메인서버(120)에 접속하여 고객등록을 하되 상기 KRNIC에 등록한 도메인 이름(주소)를 입력하는 단계를 반드시 거치게 하는 고객등록단계(S12);
메인서버(120)의 DNS 서버에 상기의 도메인을 등록하고, 고객인 운영자(110, 111, ... , 11n)의 정보를 고객데이터베이스(122)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디비(D/B)단계(S14);
메인서버(120)에서 등록된 운영자(110, 111, ... , 11n)의 브라우져상에 메인서버(120)에 등록되었음을 알려주는 등록고지단계(S16) 및
운영자(110, 111, ... , 11n)가 메인서버(120)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client)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 load)하여 상기 운영자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프로그램설치단계(S18)를 거치게 되면 준비단계가 종료된다.
상기 도메인등록단계인 S10단계에서 운영자(110, 111, ... , 11n)가 이미 등록한 도메인이 있는 경우에는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에 DNS 서비스를 제공할 네임서버의 변경신청만 하면 도메인등록은 종료하도록 하며,
상기 디비(D/B)단계인 S14단계에서 고객데이터베이스(122)는 오라클(Oracle), 디베이스(dBASE), 디비투(DB2), 사이베이스(Sybase), 엠와이에스큐엘(mySQL), 엠에스큐엘(mSQL), 오디비씨(ODBC),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MS Access) , 에스큐엘서버(SQL Server) 또는 인포믹스(Infomix) 등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메인서버(120)와 고객데이터베이스(122)가 상호 연동하여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씨지아이(CGI, Common Gate Interface)를 구동(script)하여 연동되도록 하되 유닉스(Unix)계열의 씨언어(C language), 펄 언어(Pearl language) , 자바(JAVA) 또는 피에이치피 언어(PHP language)로서 코딩(coding)하여 구동(script)할 수 있으며, 윈도우 엔티(Window NT)의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에 의하여 구동되는 에이에스피(ASP, Active Sever Page)에 의하여도 구동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프로그램설치단계인 S18단계에서 메인서버(120)가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델파이(Delphi),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 또는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등의 클라이언트/서버 응용프로그램 개발도구로 프로그램이 짜여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준비단계를 거친 다음에 운영자(110, 111, ... , 11n)가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의 인터넷 기반의 자료 또는 정보제공을 하려고 하는 실행단계는 상기 운영자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접속단계(S20);
인터넷 접속이 완료된 후에 기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실행단계(S21);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나타나는 입력창(200)의 ID 입력란(210), 암호란(220)에 준비단계에서 등록하여 놓았던 ID 및 암호를 입력하고, 연결버튼(230)을 눌러서 메인서버(120)에 연결을 시도하는 연결단계(S22);
메인서버(120)에서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데이터에서 입력된 ID와 암호를 확인하는 고객확인단계(S23);
상기 고객확인단계에서 등록된 고객이 아닌 경우에는 준비단계의 S12단계로 유도하여 고객등록을 하도록 하고,
등록된 고객임이 확인된 경우에는 메인서버는 포트를 열어 운영자(110, 111, ... , 11n)와 연결을 하고 소켓(socket)을 한개 할당하고, 할당된 소켓번호, ID, 연결시간 그리고 고객의 유동 IP 주소로서 고객데이터베이스(122)를 갱신하는 디비(D/B)갱신단계(S24);
사용자(130, 131, ... , 13n)가 운영자(110, 111, ... , 11n)의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상기 운영자의 홈페이지 또는 웹서버로 접속을 시도하게 되면, 메인서버(120)에서는 고객인 운영자(110, 111, ... , 11n)의 유동 IP의 주소를 각 운영자의 ID에 해당하는 도메인 이름에 포워딩(forwarding)하여 운영자의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하는 사용자(130, 131, ... , 13n)의 컴퓨터와 상기 운영자 컴퓨터 또는 웹서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운영자가 구현하여 놓은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워딩(forwarding)단계(S25);
메인서버(120)에서 1 ~ 5초 간격 바람직하게는 1초 간격으로 연결이 정상적인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단계(S26);
상기 연결확인단계에서 그 연결이 고객인 상기 운영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끊어지거나 또는 고객이 연결끊기버튼(240)을 눌러 끊은 경우에 연결종료시간을 기록하고 할당한 소켓을 종료하는 연결종료단계(S27) 및
상기의 연결종료를 고객인 상기 운영자에게 고지하는 종료고지단계(S28)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행단계가 모두 종료하게 된다.
상기의 인터넷에 접속하는 접속단계인 S20단계에서 고객인 운영자(111, 112, ..., 11n)는 고정 IP를 제공하는 전용선이나 ISP의 대행서비스 없이 유동 IP를 제공하는 케이블모뎀, ADSL 또는 Modem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유동 IP로서도 인터넷 사업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연결단계인 S22단계에서 운영자(111, 112, ..., 11n)의 웹브라우져에 나타나는 입력창(200)에는 상태창(250)을 구성하여 메인서버(120)와의 연결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종료고지단계인 S28단계에서 종료고지의 방법은 상기 상태창(250)에 연결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문자를 띄우거나, 단문자서비스(SMS, Short MessageService), 전자메일(E-mail) 또는 일반전화로서 종료를 알리게 된다.
한편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을 설명한다.
도 5a는 사용자의 브라우져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프레임이 나누어진 사용자의 브라우져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의 실행단계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는 사용자의 브라우져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포워딩(S25 단계)에 의하여 사용자(130, 131, ... , 13n)에게 띄워지는 운영자(110, 111, ... , 11n)의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은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져의 화면(310) 전체에 하나의 프레임으로서 띄워지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 브라우져의 주소란(320)에는 운영자의 숫자로 된 IP주소가 띄워지게 된다.
이렇게 운영자의 도메인 이름이 띄워지게 되는 것이 아니고 숫자로 된 IP주소가 띄워지게 되는 것은 포워딩(S25 단계)에 의하여 운영자의 IP주소가 띄워지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숫자로 된 IP는 사용자에게 친숙하지 아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거부감 내지는 도메인 이름을 기억할 수 없도록 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주소란(320)에 운영자의 IP주소가 띄워지지 아니하고 운영자의 도메인 이름이 띄워 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운영자의 브라우져상에 창이 나누어진 프레임을 전송하므로써 해결할 수 있는 바, 도 6을 설명하면 디비(D/B)갱신단계(S24)를 거친 후에 사용자(130, 131, ... , 13n)가 상기 운영자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접속시도단계(S241); 상기 사용자와 메인서버(120)가 연결이 되는 초기연결단계(S242); 메인서버(120)와 상기 사용자가 연결이 되면 메인서버(120)는 좌우상하 어느 한 부분의 일정부를 작게 나눈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창(311,312,313,314, 도 5b 참조)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을 전송하는 프레임전송단계(S243); 전송된 프레임에 의하여 나뉘어진 메인창(315, 도 5b 참조)에는 운영자의 IP를 포워딩(forwarding)하여 메인창(315)에는 운영자의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의 칸텐츠(contents)가 띄워 지도록 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창(311,312,313,314)에는 운영자, 메인서버 또는 제3자가 제공하는 광고, 메시지 또는 공지사항을 띄워서 사용자에게 광고 또는 공지사항 등을 알리는 포워딩 및 광고단계(S25a); 및 연결확인단계(S26 단계) 이후의 절차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한 절차에 의하여 사용자(130, 131, ... , 13n) 브라우져의 주소란(320)에는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문자로 된 운영자의 도메인이름이 띄워지게 되고, 나누어져서 삭제되지 아니하는 프레임의 서브창(311,312,313,314)에는 광고 등이 띄어지게 되고 메인창(315)에는 운영자가 제공하려고 하는 칸텐츠(contents)가 띄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상기 서브창(311,312,313,314)에 띄워질 광고 이미지 또는 내용을 데이터로서 관리하되 상기한 광고는 운영자(110,111,...,11n)의 칸텐츠의 성격에 맞춘 이른바 타겟(target)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122)에서 관리하는 광고의 이미지 또는 내용은 추가 또는 수정시 이를 지체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인터넷 기반의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의 운영하기 위한 IP주소를 부여받음에 있어서 유동 IP를 이용하되,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변하는 IP 주소와 고정된 도메인 이름을 매치시키기 위하여 중간의 메인서버에서 도메인 이름에 대응하는 유동 IP의 주소를 포워딩(forwarding)하여 주어 IP 주소와 무관하게 도메인 이름만으로도 원하는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비싼 전용회선비용과 전문적인 운영기술이 필요한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ISP) 또는 아이에스피(ISP)에 의하여 DNS 서버의 운영을 대행하도록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저렴하고 간편하게 인터넷 사업을 할 수 가 있으며, ISP 업체에 따른계정의 용량에 제한이 없어 계정 증설에 따른 부담이 없으며, 운영자가 원하는 CGI 프로그램(Perl, PHP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 운영자가 원하는 용량의 계정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원하는 CGI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하고 폭넓은 인터넷 사업을 할 수가 있으며, 전세계적인 아이피(IP)의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DNS 업데이트 방법에 비하여 접속연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업데이트에 따른 DNS 서비스의 중단이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서브창과 메인창으로 나누어진 고정 프레임을 포워딩 단계 전에 사용자의 브라우져로 전송하므로써, 사용자 브라우져의 주소란에 운영자의 문자로 구성된 도메인 이름이 띄워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친근한 감을 줄 수가 있으며, 나뉘어진 서브창의 프레임은 삭제하거나 종료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한 부분에 항상 광고, 메시지 또는 공지사항을 제공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광고할 내용 또는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므로 운영자의 성격에 맞는 내용으로 광고할 수 있으므로 타겟(target)광고가 가능하며 그 이미지 또는 내용의 수정시 즉시 반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인터넷 상에서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을 운영하고자 하는 운영자(110, 111, ... , 11n)가 도메인 이름을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에 등록을 하되 네임서버 호스트 이름과 아이피(IP) 주소를 메인서버(120)의 호스트 이름과 아이피(IP) 주소로 하여 등록을 하는 도메인등록단계(S10);
    상기 운영자가 메인서버(120)에 접속하여 상기 KRNIC에 등록한 도메인 이름(주소)를 입력하는 고객등록단계(S12);
    메인서버(120)의 DNS 서버에 상기의 도메인을 등록하고, 고객인 운영자의 정보를 고객데이터베이스(122)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디비(D/B)단계(S14);
    메인서버(120)에서 등록된 운영자(110, 111, ... , 11n)의 브라우져상에 메인서버(120)에 등록되었음을 알려주는 등록고지단계(S16) 및
    운영자(110, 111, ... , 11n)가 메인서버(120)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client)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 load)하여 상기 운영자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프로그램설치단계(S18)의 준비단계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2. 운영자(110, 111, ... , 11n)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접속단계(S20);
    인터넷 접속이 완료된 후에 기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실행단계(S21);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나타나는 입력창(200)의 ID 입력란(210), 암호란(220)에 준비단계에서 등록하여 놓았던 ID 및 암호를 입력하고, 연결버튼(230)을 눌러서 메인서버(120)에 연결을 시도하는 연결단계(S22);
    메인서버(120)에서 데이터베이스(122)에 구축된 데이터에서 입력된 ID와 암호를 확인하는 고객확인단계(S23);
    상기 고객확인단계에서 고객임이 확인된 경우에는 메인서버는 포트를 열어 운영자(110, 111, ... , 11n)와 연결을 하고 소켓(socket)을 한 개 할당하고, 할당된 소켓번호, 고객의 ID, 연결시간 그리고 고객의 유동 IP 주소로서 고객데이터베이스(122)를 갱신하는 디비(D/B)갱신단계(S24);
    메인서버(120)에서는 고객인 운영자(110, 111, ... , 11n)의 유동 IP의 주소를 각 운영자의 ID에 해당하는 도메인 이름에 포워딩(forwarding)하는 포워딩(forwarding)단계(S25);
    메인서버(120)에서 1 ~ 5초 간격으로 연결이 정상적인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단계(S26);
    상기 연결확인단계에서 연결이 상기 고객인 운영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끊어지거나 또는 상기 고객이 연결끊기버튼(240)을 눌러 끊은 경우에 연결종료시간을 기록하고 할당한 소켓을 종료하는 연결종료단계(S27) 및
    상기의 연결종료를 상기 고객에게 고지하는 종료고지단계(S28)의 실행단계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비(D/B)단계인 S14단계에서 고객데이터베이스(122)는 오라클(Oracle), 디베이스(dBASE), 디비투(DB2), 사이베이스(Sybase), 엠와이에스큐엘(mySQL), 엠에스큐엘(mSQL), 오디비씨(ODBC),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MS Access) , 에스큐엘서버(SQL Server) 또는 인포믹스(Infomix) 등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120)와 고객데이터베이스(122)가 상호 연동하여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씨지아이(CGI, Common Gate Interface)를 구동(script)하여 연동되도록 하되 유닉스(Unix)계열의 씨언어(C language), 펄 언어(Pearl language) , 자바(JAVA) 또는 피에이치피 언어(PHP language)로서 코딩(coding)하여 구동(script)할 수 있으며, 윈도우 엔티(Window NT)의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에 의하여 구동되는 에이에스피(ASP, Active Sever Page)에 의하여도 구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설치단계인 S18단계에서 메인서버(120)가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델파이(Delphi),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 또는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로서 클라이언트/서버 응용프로그램 개발도구로 프로그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인 S22단계에서 운영자(111, 112, ..., 11n)의 웹브라우져에 나타나는 입력창(200)에는 상태창(250)을 구성하여 메인서버(120)와의 연결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확인단계 S26에서 연결이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시간 간격이 1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고지단계인 S28단계에서 종료고지의 방법은 상기 상태창(250)에 연결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문자를 띄우거나, 단문자서비스(SMS),전자메일(E-mail) 또는 일반전화로서 종료를 알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9. 인터넷 상에서 홈페이지 또는 쇼핑몰 등을 운영하고자 하는 운영자(110)가 도메인 이름을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에 등록을 하되 네임서버 호스트 이름과 아이피(IP) 주소를 메인서버(120)의 호스트 이름과 아이피(IP) 주소로 하여 등록을 하는 도메인등록단계(S10);
    상기 운영자가 메인서버(120)에 접속하여 상기 KRNIC에 등록한 도메인 이름(주소)를 입력하는 고객등록단계(S12);
    메인서버(120)의 DNS 서버에 상기의 도메인을 등록하고, 고객인 운영자의 정보를 에스큐엘서버(SQL Server)를 이용하여 고객데이터베이스(122)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디비(D/B)단계(S14);
    메이서버(120)에서 등록된 운영자(110)의 브라우져상에 메인서버(120)에 등록되었음을 알려주는 등록고지단계(S16) 및
    운영자(110)가 메인서버(120)가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으로 프로그램하여 제공하는 클라이언트(client)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 load)하여 상기 운영자(110)의 컴퓨터 또는 웹서버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프로그램설치단계(S18)를 거치고,
    운영자(110)가 ADSL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접속단계(S20);
    인터넷 접속이 완료된 후에 기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실행단계(S21);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나타나는 입력창(200)의 ID 입력란(210), 암호란(220)에 준비단계에서 등록하여 놓았던 ID 및 암호를 입력하고, 연결버튼(230)을 눌러서 메인서버(120)에 연결을 시도하는 연결단계(S22);
    메인서버(120)에서 데이터베이스(122)에 구축된 데이터에서 입력된 ID와 암호를 확인하는 고객확인단계(S23);
    상기 고객확인단계에서 고객임이 확인된 경우에는 메인서버는 포트를 열어 운영자(110)와 연결을 하고 소켓(socket)을 한개 할당하고, 할당된 소켓번호, 고객의 ID, 연결시간 그리고 고객의 유동 IP 주소로서 고객데이터베이스(122)를 갱신하는 디비(D/B)갱신단계(S24);
    메인서버(120)에서는 고객인 운영자(110)의 유동 IP의 주소를 각 운영자의 ID에 해당하는 도메인 이름에 포워딩(forwarding)하는 단계(S25);
    메인서버(120)에서 1초 간격으로 연결이 정상적인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단계(S26);
    상기 연결확인단계에서 연결이 운영자(110)인 고객의 의지와 관계없이 끊어지거나 또는 상기 고객이 연결끊기버튼(240)을 눌러 끊은 경우에 연결종료시간을 기록하고 할당한 소켓을 종료하는 연결종료단계(S27) 및
    상기의 연결종료를 전자메일로 상기 고객에게 고지하는 종료고지단계(S28)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10. 제 2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forwarding)단계(S25)를 대체하여 디비(D/B)갱신단계(S24)를 거친 후에
    사용자(130, 131, ... , 13n)가 상기 운영자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접속시도단계(S241);
    상기 사용자와 메인서버(120)가 연결이 되는 초기연결단계(S242);
    메인서버(120)에서 좌우상하 어느 한 부분의 일정부를 작게 나눈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창(311,312,313,314)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을 전송하는 프레임전송단계(S243);
    전송된 프레임에 의하여 나뉘어진 메인창(315)에는 운영자의 IP를 포워딩(forwarding)하여 메인창(315)에는 운영자의 칸텐츠(contents)가 띄워 지도록 하고 하나 이상의 서브창(311,312,313,314)에는 광고, 메시지 또는 공지사항을 띄우는 포워딩 및 광고단계(S25a);를 거쳐서
    연결확인단계(S26) 이후의 절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창(311,312,313,314)에 띄워지는 광고의 내용 또는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122)에서 축적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20000062249A 2000-08-04 2000-10-23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KR200200118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5223 2000-08-04
KR1020000045223 2000-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844A true KR20020011844A (ko) 2002-02-09

Family

ID=1968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249A KR20020011844A (ko) 2000-08-04 2000-10-23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184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421B1 (ko) * 2000-11-20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30097065A (ko) * 2002-06-19 2003-12-31 (주)네비텔레콤 동적으로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고정 아이피 주소로인식시키기 위한 방법
KR100418858B1 (ko) * 2000-12-04 2004-02-14 주식회사 엔에스텍 사용자 계정을 도메인으로 사용하는 실시간 인터넷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장치
KR100484006B1 (ko) * 2001-10-29 2005-04-20 유원근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16259A (ko)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26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Dns機能を内蔵したipネットワークの結合制御装置
KR20000012264A (ko) * 1999-11-10 2000-03-06 백덕호 동적 아이피 주소 기반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98151A (ko) * 2000-04-28 2001-11-08 조재용 동적 할당 아이피 주소의 디엔에스 포워딩 처리 시스템 및방법
KR20020010058A (ko) * 2000-07-28 2002-02-02 정승일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26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Dns機能を内蔵したipネットワークの結合制御装置
KR20000012264A (ko) * 1999-11-10 2000-03-06 백덕호 동적 아이피 주소 기반의 서버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98151A (ko) * 2000-04-28 2001-11-08 조재용 동적 할당 아이피 주소의 디엔에스 포워딩 처리 시스템 및방법
KR20020010058A (ko) * 2000-07-28 2002-02-02 정승일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421B1 (ko) * 2000-11-20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0418858B1 (ko) * 2000-12-04 2004-02-14 주식회사 엔에스텍 사용자 계정을 도메인으로 사용하는 실시간 인터넷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장치
KR100484006B1 (ko) * 2001-10-29 2005-04-20 유원근 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97065A (ko) * 2002-06-19 2003-12-31 (주)네비텔레콤 동적으로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고정 아이피 주소로인식시키기 위한 방법
KR20200116259A (ko)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771B1 (en) Distributed service network system capable of transparently converting data formats and selectively connecting to an appropriate bridge in accordance with clients characteristics identified during preliminary connections
US6310889B1 (en) Method of servicing data access requests from users
US6101529A (en) Apparatus for updating wallpaper for computer display
US200800499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veraging a Stimulus/Response Model to Send Information Through a Firewall via SIP and for Receiving a Response Thereto vai HTML
US20010027474A1 (en) Method for clientless real time messaging between internet users, receipt of pushed content and transacting of secure e-commerce on the same web page
JP2000066982A (ja) 通信方法及び通信ネットワ―ク
CN1280689A (zh) 商业卡代理及应用程序
JP2002342217A (ja) 画像通信用サーバ及び画像通信方法
TW200302646A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erv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WO2011129346A1 (ja) アクセス管理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管理方法
KR100695093B1 (ko) Vm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바일 고객센터 서비스시스템 및 모바일 고객센터 서비스를 위한 vm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
JP2002033773A (ja) Web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
KR20020011844A (ko)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US20030043982A1 (en) Caller identification displayed on a personal computer
KR100653261B1 (ko) 무선 lan 장치, 그 접속 방법, 및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WO2017081525A1 (en) Presence systems, presence servers and presence agents
CN100502412C (zh) 动态ip拨号网络的计算机定位方法
EP111523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WO1999025071A2 (en) Distributed service network
JP2002032522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H1168747A (ja) 情報通信方法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KR200195541Y1 (ko) 웹콜서비스기능을 갖춘 게이트웨이서버와 웹콜시스템
KR100518186B1 (ko) 웹상의 상담용 메신저 시스템
US201400035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elephony with networked computing
KR20010084568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주소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