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058A -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058A
KR20020010058A KR1020000043852A KR20000043852A KR20020010058A KR 20020010058 A KR20020010058 A KR 20020010058A KR 1020000043852 A KR1020000043852 A KR 1020000043852A KR 20000043852 A KR20000043852 A KR 20000043852A KR 20020010058 A KR20020010058 A KR 20020010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server
user
floating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일
Original Assignee
정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일 filed Critical 정승일
Priority to KR102000004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0058A/ko
Publication of KR2002001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0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동아이피를 갖는 단말기를 서버로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이 도메인을 등록하고 등록된 도메인을 자신의 컴퓨터 즉 유동아이피를 갖는 서버를 이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정보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에 있어서, 자신이 등록받은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 주소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회원가입을 받는 제 1 단계; 회원으로 가입한 상기 사용자의 도메인에 대한 존파일 정보를 named.conf 파일에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존파일을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유동아이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존파일의 유동아이피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정보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Method For Operating A Server Using A Dynamic IP}
본 발명은 유동아이피를 갖는 단말기를 서버로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란 컴퓨터와 이들 컴퓨터를 연결한 컴퓨터통신망의 집합체로서 이들 컴퓨터에 축적된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하며, 이러한 인터넷은 전세계적인 통신망으로서 세계 어디서, 누구나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인터넷 상에서 홈페이지로 사용하기 위한 서버는 반드시 고정아이피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고정아이피란, 컴퓨터에 주어진 숫자로된 주소를 말하는 것으로서, 255.255.255.255~0.0.0.0까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이런 고정아이피가 포화상태가 되어 있다.
근래에 들어 전용선 접속 서비스로서, ADSL이나 케이블모뎀을 이용한 접속 등의 방식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고정적인 아이피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피를 아끼기 위해 사용자가 접속을 시도 할 때, 그 아이피가 각각 달라지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홈페이지를 운영할 수가 없게 된다. 즉, 유동아이피는 매번 바뀌기 때문에 이러한 유동아이피를 이용하여서는 홈페이지를 만들 수가 없다.
먼저, 이하에서 사용될 각 명칭들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임서버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화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구조가 DNS이다. 즉, 네임서버는 메인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버의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체 데이터베이스가 중앙에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분산되어 있으며, 최고 상위 계층인 root서버에서 이를 총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계층의 상위와 하위는 메인과 클라이언트의 관계가 되며 이 관계는 상대적인 관계이다. 각 상대적관계에서 메인은 클라이언트의 네임에 대해 종속성을 가진다. 하위의 관계는 상위의 관계의 규정에 따라 새로운 하위의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도메인이란, 컴퓨터끼리 네트워크로 연결시 주소체계인 아이피(IP)를 인간이쉽게 기억하고, 인식하기 위해 알파벳으로 바꾸어 놓은 것을 말한다. 도메인의 생성은 각 계층의 메인서버에 의해 생성이 가능하며, 메인서버의 위임한도 아래 클라이언트도 도메인을 만들 수 있다. 즉, gozilla.co.kr을 운영하는 서버인 경우에는 그 하위 도메인으로 ns.gozilla.co.kr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위임(Delegation)이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위의 서버에게 도메인의 권한을 넘기는 것을 말하는데, 이 위임은 무한대로 계속될 수 있다. 즉, 123.www.sss. boo.kkk.ccc.1004.co.kr 등과 같은 도메인도 이런 위임으로 만들어 질 수가 있다.
이런 위임에 대한 정보를 담은 파일을 존(zone)파일이라고 하는데, 유닉스나 리눅스 등의 서버 시스템에서는 텍스트로 이루어져 관리에 있어 강력한 관리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는 OS자체가 C언어로 짜여져 있기 때문에 C언어를 이용하면 어떠한 관리도 가능하게 된다.
생존시간(TTL : Time to live)이란, 도메인에 대한 정보 및 루틴을 메인서버가 캐쉬로 저장하여 그때 그때의 하위 서버의 질의에 대해 신속한 처리를 할 때의 캐쉬의 수명을 말한다. 이는 국제적으로 정해져 있어서 10분마다 갱신이 된다. 10분마다 갱신이 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하위의 서버 아이피가 변동이 되어도 10분후면 도메인과 사상관계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인드(BIND)란 DNS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바인드 파일의 구동에 사용되는 명령어로는 ndc start, ndc resatr 등의 명령어가 있는데, 상기 명령어는 배치화일과 비슷하며 ndc라는 파일을 변용시켜 더 세세한 작용을 컨트롤할 수도 있다. 바인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설정 파일은 named.conf라는 텍스트파일인데, 메인서버에서 위임된 도메인을 메인서버에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인서버에서 아무리 권한을 주어도 named.conf에 이를 등록하지 않으면 위임된 도메인은 작동하지 않는다. 이 파일의 위치는 대부분 프로그램이 설정되는 디렉토리인 /etc에 존재하고 있다. 위의 named.conf는 다시 zone파일을 지정하며 zone파일은 하위 도메인에 위임할 정보 즉, 하위 도메인이 운영될 서버의 아이피 주소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named.conf는 위임받은 도메인을 지정하며, zone파일은 위임받은 도메인을 가공해서 다시 하위에 위임을 주기위한 도메인 정보(아이피 주소 등)를 기입한다. 즉, root 서버의 경우에는 그 named.conf파일에 root.zone(존파일의 이름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음)이 지정되어 있으며, root.zone파일에는 그 하위 서버에 대하여 그 아이피 주소를 지정하고 있다. 즉, root.zone 파일에는 com/net/org/kr/jp/us를 관리하는 각각의 서버들에 대한 아이피 주소가 기록되어 있다. 한국도메인센터(kr 서버)에 대한 아이피 주소 역시 root 서버의 root.zone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kr 서버의 named.conf파일에는 kr.zone이 지정되어 있으며, kr.zone에는 그 하위 서버에 대하여 그 아이피 주소를 지정하고 있다. 즉, go/pe/co를 관리하는 서버의 아이피 주소가 기록되어 있다.
동일한 원리로, co.kr 서버의 named.conf파일에는 co.zone이 지정되어 있으며, co.zone에는 co.kr의 하위 서버 즉, co.kr로 끝나는 도메인(예를 들어 gozilla .co.kr/dotman.co.kr/ tarappa.co.kr 등)을 관리하는 서버에 대하여 그 아이피주소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named.conf에 대한 설정을 아래의 [표 1]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즉, [표 1]은 gozilla.co.kr이라는 도메인을 갖는 사용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자)가 gozilla.co.kr을 자신의 서버에서 운영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co 라는 네임서버의 named.conf파일에 설정되어야 하는 항목을 나타낸 것이다.
option {directory "/var/named"; <--- 존파일의 위치를 말한다.};zone "gozilla.co.kr" {type master; <--- 위임 받은 도메인의현재 속성은 마스터란 뜻file "co.zone" <---- 위임 받은 도메인을다른 하위 서버에 위임할그 해당정보가 어느 파일에기록되었는지 알려 준다./var/named/gozilla.zone};
[표 1]에서와 같은 간단한 설정으로 일단 gozilla.co.kr에 대한 상위 네임서버(co 서버)에 대한 질의가 가능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다. 이 이하의 설정은 co.zone이라는 파일에서 한다. 즉, co.zone파일 역시 co 서버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아래의 [표 2]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IN ns 210.90.30.90 <--- 이 도메인에 대한 설정을 하는서버의이름. 다시말해 본 파일이있는 co 서버(네임서버)의아이피를 적는다.IN mx mail.gozilla.co.kr <--- 메일서버를 설정한다.@ IN A 210.92.36.97 <--- gozilla.co.kr이라는도메인을 210.92.36.97이라는서버에게 위임한다는 의미.
각 존 파일에는 레코드라는 규칙이 있는데, ns레코드, A 레코드, mx레코드 외에도 여러 개의 레코드가 있다. 그 중 위의 세 가지 레코드가 가장 많이 쓰이는데 ns 레코드는 네임서버의 아이피에 대한 설정이며, A 레코드는 해당도메인의 이름을 위임해줄 아이피주소를, mx 레코드는 메일서버의 위치를 지정한다. 또한, @ 는 자기 자신, 즉 상기 [표 2]에서는 gozilla.co.kr이라는 도메인을 의미한다. 이때, co.zone이라는 존파일에는 gozilla.co.kr이라는 도메인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co.kr로 끝나는 수많은 도메인들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즉, co 서버에서 관리할 수 있는 모든 도메인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정이 끝나면 ndc restart 명령을 이용해 네임서버(co)를 재시동해 주어야 하며, 이로부터 gozilla.co.kr이라는 도메인을 등록한 사용자는 아이피 주소가 210.92.36.97로 지정된 서버에서 gozilla.co.kr를 사용하여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을 도 1 을 참조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겠다.
도 1 은 일반적인 도메인 지정 서버의 체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root 서버는 최상위의 메인서버가 되며, 그 아래의 서버들은 각각 클라이언트 서버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kr 서버는 co 서버에 대해 상대적으로 메인서버가 되며 co 서버는 클라이언트 서버가 되는 것이다. co 서버와 gozilla 서버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각 서버들은 고정아이피를 갖을 수도 있으며 유동아이피를 갖을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표 1] 및 [표 2]의 설정에 의해 gozilla.co.kr이라는 도메인을 210.92.36.97이라는 고정아이피를 갖는 서버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연결정보의 생성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먼저, gozilla.co.kr이라는 도메인이 한국도메인센터(kr 서버)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네임서버란, 숫자화된 아이피주소를 문자화된 도메인으로 변환시켜주거나 문자화된 도메인을 숫자화된 아이피주소로 변환시켜주는 컨버터라고 말할 수 있으며, 상기 gozilla.co.kr에 해당하는 서버의 네임서버는 co 서버라고 할 수 있다. 즉, 인터넷 사용자가 gozilla.co.kr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웹브라우져에 gozilla.co.kr을 입력한 경우에 먼저 gozilla.co.kr의 상위 서버 즉 네임서버인 co 서버에 접속하게 되며 네임서버에서는 gozilla.co.kr에 대응하는 아이피 주소인 210.92.36.97을 갖는 gozilla.co.kr의 서버를 찾아 상기 인터넷 사용자를 접속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네임서버는 BIND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이 되는데, BIND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명령어인 ndc start(처음시작할 때), ndc restart(재 구동할 때)란 명령을 사용하며, 이때 세팅이 담긴 파일은 named.conf라고 하여 /etc라는 디렉토리에 저장이 되어 있다. 이 named.conf라는 파일의 수정으로 그 하위도메인에 대한 세팅이 가능하다(named.conf나 *.zone 등은 모두 텍스트 파일이라 프로그램적으로 다루기가 매우 쉽다).
네임서버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named.conf 파일 및 zone 파일을 설정하는 방법을 gozilla.co.kr서버(네임서버)에서 관리하는 named.conf 파일([표 3]) 및 gozilla.zone 파일([표 4)의 내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표 3]에서 설명하는 named.conf 파일은 gozilla.co.kr서버에서 그 하위의 도메인들(예를 들어, www.gozilla.co.kr 또는 mail.gozilla.co.kr 등)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표 1]에서 설명한 named.conf 파일은 co 서버에서 그 하위 도메인들(예를 들어, gozilla.co.kr/dotman.co.kr/tarappa.co.kr 등)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두 개의 named.conf 파일은 그 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그 기능은 동일한 것이다.
zone "gozilla.co.kr"{type master;file "gozilla.zone" };
즉, gozilla.co.kr 서버의 named.conf에는 [표 3]과 같은 구문이 추가되어 있는데, 이는 gozilla.co.kr의 웹페이지의 정보가 gozilla.zone에 담겨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써주면 되는 것이며, gozilla.zone의 디폴트 디렉토리는 /var/named에 위치되어 있고, 특별한 수정이 없다면, 디폴트값이 적용된다.
다음으로, [표 3]의 named.conf 파일에 기록된 gozilla.zone파일의 설정을 아래의 [표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 IN A 210.92.36.97www IN A 210.92.36.99ftp IN A 210.92.36.100
상기 [표 4]의 예는 프로그램의 일부만을 기재한 것으로서, 그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의 의미는 gozilla.co.kr 그 자체를 말하며 이 도메인을 210.92.36.97 이라는 서버에 연결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www의 의미는 gozilla.co.kr의 하위 도메인으로 www.gozilla.co.kr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설정을 210.92.36.99라는 서버에 연결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tp의 의미는 ftp.gozilla.co.kr의 하위 도메인으로 ftp.gozilla.co.kr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설정을 210.92.36.1000이라는 서버에 연결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표 4]에서 gozilla.zone파일의 경우에 ftp(또는 www)에 대한 설정이 210.92.36.100(www의 경우는 210.92.36.99)으로 되어 있다는 것은 gozilla.co.kr 서버의 운영자가 gozilla.co.kr의 정보를 완전히 한국도메인센터로부터 넘겨받았기 때문이며, 그 이하 즉 gozilla.co.kr의 하위 도메인에 대한 설정권한이 gozilla.co.kr 서버의 운영자에게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gozilla.zone 파일에서는 gozilla.co.kr에 대한 하위 도메인들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들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자가 gozilla.co.kr이라는 도메인을 한국도메인센터(www.krnic.net)에 등록하였다고 가정 할 때, 한국도메인센터(kr 서버)의 kr.zone 파일에는 co 서버에 대한 아이피주소값을 가지고 있으며, co 서버의 co.zone 파일에는 gozilla.co.kr 서버를 지정하는 내용 즉, gozilla IN A 210.92.36.97 이 삽입되어 있게 된다.
동일한 원리로, gozilla.co.kr 서버에는 gozilla.zone 파일에 www.gozilla.co.kr/ftp.gozilla. co.kr 등의 하위 도메인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따라서, 일반 인터넷 사용자가 gozilla.co.kr로 접속하였다고 하는 것은 gozilla.co.kr의 상위 네임서버인 kr 서버, 또는 co 서버를 통해 gozilla.co.kr의 아이피주소를 찾아 그 아이피주소를 방문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아이피주소를 찾는 과정은 컴퓨터프로그램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일반 사용자들은 그러한 경로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이때, 일반적인 네임서버에서의 named.conf 파일에는 [표 1] 또는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네임서버의 하위 도메인을 지정하기 위해 하나의 존파일([표 1]의 경우에는 co.zone, [표 3]의 경우에는 gozilla.zone)만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방법과 가장 대조적인 사항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발명의 구성]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에서는 인터넷에서의 도메인 지정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유동아이피를 고정아이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종래의 기술 중 유동아이피를 고정아이피로 쓰는 방식으로 Tzo.com이라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비스가 있는데, 이는 xxxx.tzo.com이라는 방식으로 2차 도메인만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일단 tzo.zone이라는 존파일이 생성되어 있고, 그곳에 사용자의 정보를 계속 갱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zeus.tzo.com(2차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해 tzo.zone 이라는 존 파일에 zeus IN A [사용자의 아이피]를 계속 명령(append)해주고 해당 아이피 정보를 수정해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순하게 존파일만을 수정하고 추가해주는 방식이다. 즉, 1차 도메인(gozilla.co.kr/yahoo.com 등의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named.conf를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상기 종래의 기술은 named.conf파일에는 어떠한 수정도 가해지지 않았다. 이는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서비스는 단지 tzo.com의 하위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www.dynamicip.com이라는 서비스가 있는데, 이 역시 tzo.com이 하는 방식과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서, 아래의 하위디렉토리(2차 도메인)만을 설정해 주는 것이다. 즉, 상기 종래의 서비스와 차이점이 없으며, 다만, 구동하는 방식에서 tzo.com의 경우 유료이며, dynamicip.com은 쉐어웨어라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가상도메인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서버 하나당 하나의 도메인이 원칙이나, 서버자원의 낭비를 막고자, 서버 하나 당 다수의 도메인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는 현재 대부분의 웹호스팅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응용하기 위한 툴로는 아파치나 삼바 혹은 IIS등의 프로그램으로 가능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2차 도메인에 대하여 유동아이피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1차 도메인을 유동아이피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서버에서 다수개의 도메인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일반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서버로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이 도메인을 등록하고 등록된 도메인을 자신의 컴퓨터 즉 유동아이피를 갖는 서버를 이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도메인 지정 서버의 체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에 있어서, 자신이 등록받은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 주소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회원가입을 받는 제 1 단계; 회원으로 가입한 상기 사용자의 도메인에 대한 존파일 정보를named.conf 파일에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존파일을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유동아이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존파일의 유동아이피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을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정보통신 시스템에, 자신이 등록받은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 주소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회원가입을 받는 제 1 기능; 회원으로 가입한 상기 사용자의 도메인에 대한 존파일 정보를 named.conf 파일에 생성하는 제 2 기능; 상기 존파일을 생성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유동아이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존파일의 유동아이피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홈페이지를 등록할 수 있는 서버, 특히 도메인네임을 가지는 서버가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고정아이피를 가진 서버가 필요한데, 이는 아이피 주소가 변동한다면, 주소로써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별한 세팅을 통해 유동아이피도 도메인이름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렇게 유동아이피에 도메인 이름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에 해당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와 종래의 기술과의 차이점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1차 도메인 네임 기반의 서비스이다. 이를위해 일반 사용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하기 전에 우선 도메인을 제공하는 업체에 고정아이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를 지정하여야 한다. 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가 등록한 도메인의 제어권을 넘겨받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2차 도메인 네임 기반의 기술들(tzo, dynamicip)은 이미 자체적으로 2차 도메인에 대한 세팅이 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별도로 1차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할 필요가 없으며 해당 서비스 제공 업체에 회원으로 가입하기만 하면 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서는 회원가입에 따라 named.conf를 수시로 세팅해 주어야 한다. 즉, 각각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를 원하는 1차 도메인에 대한 다수개의 존파일 정보를 named.conf 파일에 기록해 주어야 한다. 일단, 한번 등록한 도메인에 관하여 named.conf는 삭제전까지는 변경이나 수정을 할 필요성이 없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named.conf 파일에 대한 수정은 없으며, 다만 수시로 존파일을 수정해 주면 된다.
즉, 본 발명과 종래 기술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도메인의 순위이다. 기존 기술이 2차(하위도메인) 도메인의 세팅에 불과하였다면, 본 발명은 1차 및 2차 도메인의 세팅까지도 가능하다. 이는 종래 기술은 zone파일의 세팅만을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named.conf를 설정하는 과정까지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은, 유동아이피를 갖는 단말기로서 본 발명에 의해 서버로서의 기능을 갖게 되는 유동아이피 사용자 단말기(110), 도메인 지정을 관장하는 도메인 지정 시스템(130), 유동아이피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를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 일반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반 인터넷 사용자 단말기(150) 및 상기 각 단말기(110,150)와 각 시스템(130,140)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접속해 주기 위한 네트워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유동아이피 사용자 단말기(110,150)는 개인용 컴퓨터(PC) 뿐만 아니라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메인 지정 시스템(130)은 com, net, org, kr, jp, us, co, pe, go 등과 같은 상위 도메인을 지정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한국도메인센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은 사용자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141), 회원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관리부(143), 회원들의 각 단말기로부터 오는 유동아이피 정보를 입력받아 존파일의 내용을 수정하여 각 단말기들이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임서버(144) 및 상기 각 서버(141,144)와 회원관리부(143)간의 이동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의 도메인, 아이피, 1차 네임서버명을 각각 gozilla.co.kr/210.92.36.97/ns.gozilla.co.kr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유동아이피 사용자의 도메인을 dotman.co.kr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첫째, 사용자는 한국도메인센터(co 서버)(130)에 dotman.co.kr이라는 도메인을 등록한다(302). dotman.co.kr을 등록한 후, 한국도메인센터(130)에서 1차 아이피 주소를 지정할 때 사용자는 소유자명, 소유자이메일, 도메인명, 네임서버 주소 등을 기록하게 되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네임서버의 주소이다.
즉, 네임서버의 주소를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임서버(144) 아이피인 210.92.36.97로 지정하며, 1차 네임서버 명으로 ns.gozilla.co.kr을 등록해야 한다.
상기 과정은 [표 1] 및 [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o 서버의 named.conf 및 co.zone 파일에 대한 설정권한이 사용자에게 있으므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미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국도메인센터(130)에 대하여 아이피주소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140) 아이피 주소인 210.92.36.97로 변경신청을 하면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dotman.co.kr이라는 도메인의 사용 권한을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에서 위임받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재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사용자가 dotman.co.kr이라는 도메인을 유동아이피인 자신의 컴퓨터(110)에서 홈페이지를 구동하고 싶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의웹서버(141)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을 하면, 제어부(142)는 상기 회원에 대한 정보를 회원관리부(143)에서 관리하도록 한다(304).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의 운영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임서버(144)인 gozilla.co.kr에 있는 named.conf라는 파일에 일단 아래의 [표 5]의 내용을 추가하게 된다(304).
zone "dotman.co.kr"{type master;file "dotman.zone" };
이 과정이 상기 종래의 기술들과 다른 점이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하위 도메인(2차 도메인)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named.conf 파일의 수정이 없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서비스 신청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1차 도메인(또는 2차 도메인)에 대한 zone파일을 각각 정의하여 named.conf 파일에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named.conf 파일에는 다수개의 zone파일이 설정되어 있다. 즉, [표 5]에서와 같은 dotman.zone 뿐만 아니라, tarappa.co.kr이라는 도메인에 대한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는 tarappa.zone이라는 존파일도 생성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netcoya.com이라는 도메인에 대한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는 netcoya.zone이라는 존파일도 named.conf에 생성되게 된다.
여기서 존파일명을 반드시 *.zone으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유닉스 계열이나 nt에서는 특수문자까지 포함한 파일이름이 가능하므로 도메인이름 자체를 파일명으로 사용하여도 된다. 이는 dotman.zone이라는 이름대신 dotman.co.kr이라는 파일로 지정이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나, 글자수가 많아지면 그만큼 시스템의 용량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전자의 간단한 파일명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즉, 전자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네임서버(144)는 co.kr/com/net/org(간단히 도메인 속성이라 함) 이후의 도메인을 존파일의 명으로 인식을 하며, 존화일의 이름이 같을 때는 등록 순위에 따라 숫자를 붙여 주게된다. 즉, dotman.co.kr이 네임서버(144)에 등록된 후에 또 다른 사용자가 dotman.com이라는 도메인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등록하는 경우 named.conf 파일에는 아래의 [표 6] 과 같은 내용이 설정된다.
zone"dotman.org" {type master;file "dotman1.zone" };
상기 [표 5] 및 [표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dotman.co.kr 과 dotman.org 라는 도메인에 대하여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존파일의 명이 각각 dotman와 dotman1로 지정되는 것이다.
즉, gozilla.co.kr 서버가 gozilla.co.kr 서버의 하위 도메인(즉, www.gozilla.co.kr 또는 ftp.gozilla.co.kr 등)이 아닌 dotman.co.kr 또는 tarappa.co.kr 또는 netcoya.com 등과 같은 1차 도메인으로서 그 제어 및 관리가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에 위임된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named.conf 파일에 dotman.zone/tarappa.zone/netcoya.zone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dotman.zone/tarappa.zone/netcoya.zone에는 각각 dotman.co.kr/ tarappa.co.kr/netcoya.com에 대한 유동아이피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named.conf 파일의 추가는 C언어의 append명령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가능한데, 이런 C언어를 웹상에서 구현 가능하게 하는 로직을 CGI라고 한다. CGI는 C언어 기반이기 때문에 C언어로 프로그램을 짜고, gcc라는 서버용 컴파일러로 컴파일해주면 웹상에서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일시적으로, 사용자가 root권한을 위임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etc디렉토리와 /var/named디렉토리는 권한이 root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접속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cgi프로그램의 실행권한이 root가 되면 일시적으로 사용자는 root권한을 획득하게 된다(루트권한을 일반사용자가 가지기 위해 sudo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고, 작업이 끝나면 해지하는 방식으로 보안상 허점을 어느정도 차단할 수 있음).
상기의 과정을 통해 named.conf 파일에 대한 추가 설정이 되었으면, 다음으로, 상기 named.conf 파일에서 지정한 dotman.zone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가해야 하는데(304), dotman.zone 파일은 dotman.co.kr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 정보를 갖고 있는 파일로서 회원가입시에는 일단 기본적인 사항을 기록하게 되며 이후 아래에서 설명될 과정들을 통해 그 내용이 수정 또는 추가되게 된다.
즉, named.conf 파일은 신규 서비스 사용자의 가입시에 추가적으로 수정이 되는 것이며, zone파일은 신규 서비스 가입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유동아이피를 사용하는 동안 수시로 변화되는 것이다.
셋째,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도메인에 대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받는다(306). 즉, 사용자에게 고유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하게 되는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소비자가 직접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식별을 위한 방법이며,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고유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받게 된다(이때, 아이디를 따로 설정하기보다는 도메인이름 전체를 아이디로 설정하면, 아이디 중복을 막는 효과를 가져오며, 불필요한 한단계의 프로세스를 줄일 수도 있음)
이러한,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는 회원관리부(143)에서 관리하게 되며 이후 유동아이피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핑(PING)을 보내는 프로그램에 의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웹서버(141)로 입력되면 제어부(142)는 회원관리부(143)에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회원임이 확인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아이피 주소 등을 네임서버(144)로 보내 zone파일을 수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으로부터 프로그램(핑을 보내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유동아이피를 이용할 자신의 컴퓨터(110)에 연결한다(308). 즉, 사용자는 네임서버(144)에게 자신의 컴퓨터(110)의 아이피에 대한 정보(핑)를 보내는 프로그램을 유동아이피를 가진 자신의 컴퓨터(110)에 설치하게 된다.
다섯째, 사용자가 컴퓨터(110)를 껐다가 켜면, 시작프로그램에 등록된 핑 프로그램이 시작하면서 자동으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에 연결이 되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은 아이디와 암호를 비교하여 옳은 정보일 때, dotman.zone파일을 업데이트 한다(310). dotman.zone파일이 업데이트 되고, cron이 적정주기로 작동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10)는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로서의 기능이 가능해진다.
즉, 컴퓨터(110)가 재실행되면 프로그램은 먼저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한번 기입하고 저장하는 방식도 가능함). 그 후 접속을 하면 프로그램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임서버(144)에 핑을 보내도록 프로그램이 되어 있어 핑을 보내게 된다. 핑의 정보에는 사용자아이디와 이에 대한 비밀번호와 함께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가 전송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42)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식별하게 되면 네임서버(144)에서 해당 아이디에 대한 존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는데, C언어의 자동으로 텍스트를 생성해주는 소스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자동으로 생성을 해야 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컴퓨터 아이피주소가 상기한 바와 같이 컴퓨터(110)를 부팅할 때마다 변하기 때문에 사람이 일일이 존파일을 생성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재 부팅할 때마다 zone파일은 새로 작성이 된다. 이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존파일은 그대로 놔두고 존파일 내의 해당구문만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상기에서 자동으로 생성하는 존파일이란 사용자가 최초의 회원가입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임서버의 named.conf파일에 입력된 dotman.zone이라는 파일을 말하며, 자동으로 생성되는 dotman.zone이라는 파일에는 아래의 [표 7]과 같은 구문이 수정된 형태로 기록된다.
@ IN A {사용자 서버의 아이피}
이때, [표 7]에서 사용자 서버의 아이피란, 사용자가 컴퓨터를 재부팅한 경우 해당 컴퓨터(110)에 부여된 유동아이피를 말하는 것으로서, 핑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아이피주소이다. 즉, 네임서버(140)는 변화된 유동아이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표 7]와 같은 zone 파일 자체를 새로 생성할 수도 있으며, [표 7] 내의 사용자 서버의 아이피만을 수정할 수도 있다.
이후 cron이 작동을 하면(크론은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분단위나 시간 단위로 어떤 프로그램(ndc restart 같은 프로그램)을 작동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크론을 작동하기 위해서 크론의 세팅을 변경하면 되는데, /etc/crontab이라는 파일에 0,10,20,30,40,50 * * * * root /some/script와 같은 설정을 입혀주는 것으로 작동이 된다. 만약, 사용자가 접속한 순간 그때마다 ndc restart명령을 사용할 경우, 동시에 100명의 컴퓨터가 재부팅되는 순간이라면, 100번의 ndc restart명령을 사용하게 되어 한번만 사용하면 족할 명령을 동시에 사용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ndc restart가 실행되어 사용자의 컴퓨터(110)는 수분내에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네임서버는 10분 단위로 ndc restart를 호출하게 된다(cron을 통해 리룩스나 유닉스 등은 서버의 스케줄을 관리 할 수 있으며, 이는 도스의 배치화일과 같은 세팅으로 무척 간단함). 만약, 10분 단위로 ndc restart를 요청하지 않고, 매번 사용자가 접속할 때 마다 재시작을 하게 되면, 사용자가 적을 때는 오히려 유용하지만, 사용자가 많아지면 서버는 과부하를 겪게 되며, 어차피 TTL이 10분이므로 10분 단위로 재시작하면 문제가 없다(TTL은 국제 규약이나, 이 시간이 인터넷 환경에 맞게 줄어들고 있음). 그러나, 시스템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들이 네임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네임서버를 재시동하여도 시스템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면, 사용자 접속시마다 네임서버를 재시동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는 웹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윈도우에서는 personalwebserver 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윈도우용 아파치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메일박스를 만들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서버(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110)는 이제 네임서버로부터 위임받은 dotman.co.kr이라는 도메인의 메인 서버가 되며, 이후의 설정은 사용자의 재량에 달려 있다(312).
상기에서 설명한 전 과정을 간단히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인용 컴퓨터(110)가 케이블모뎀을 통해 연결이 되는 순간부터 끄는 순간까지 그 컴퓨터의 아이피는 고정된다. 즉, 한번 껐다가 켜면 달라져 있겠지만, 전원이 켜져 있는 상황에서는 고정이라는 의미이다(즉, 컴퓨터가 켜져있는 동안에 유동일 경우, 작업중인 데이터가 갑자기 사라질 수도 있음)
회원으로 가입한(304,306) 유동아이피 사용자의 단말기(110)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의 네임서버(gozilla.co.kr)로 핑(핑이란, 짧은 신호로서 서버의 작동유무를 원격으로 판단하는 방법에 많이 사용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유동아이피주소와 사용자정보 등을 담은 짧은 신호라는 의미로 사용됨)을 보내는 프로그램을 이식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작동되는 순간에 자신의 아이피(유동아이피) 주소를 상기 네임서버(ns.gozilla.co.kr)로 보내게 된다(308).
단말기(110) 즉,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피 어드레스인데, 이에 따라 자료를 받을 수도 있으며, 올리기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내부 프로토콜인 TCP/IP라는 규약에 의해 가능한데, 핑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의 유동아이피 정보가 네임서버(144)로 보내지게 되면 서버는 존파일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게 된다(310).
존파일이 업데이트 되면, 자동으로 네임서버(gozilla.co.kr)를 다시 시작하게 한다. 네임서버가 다시 시작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110)는 인터넷 상에서 서버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312). 자동으로 네임서버의 프로그램을 동작하거나 반복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cron이라고 하는데 이 크론을 이용해 ndc restart를 일정시간동안 재 반복이 가능하게 하면 된다. 즉, 소비자는 재부팅을 한 후 10분안에 자신의 컴퓨터(110)를 서버로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TTL의 주기가 10분이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와 같은 과정에 있어서, 아이피 지정 기술의 변천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110)가 서버로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 그 유동아이피의 값이 변화된다면, 핑을 보내는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핑을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여섯 번째의 과정은 마지막 과정으로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110)의 구축이 된 상태에서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이 자신의 단말기(150)를 통해 dotman.co.kr에 접속하기 위해 웹브라우져에 dotman.co.kr을 입력하게 되면, 일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140)의 네임서버(ns.gozilla.co.kr)에 접속하게 되며, 네임서버에서는 dotman.zone을 검색하여 상기 과정을 통해 현재 dotman.co.kr에 배정되어 있는 유동아이피로 상기 일반사용자를 연결해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일반사용자는 dotman.co.kr의 서버에 접속하게 되어 dotman.co.kr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아이피주소의 포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빠른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즉, 케이블 모뎀은 가격에 비해 그 속도가 일반 서버의 속도의 수십배에 이르는데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 사용자들은 케이블 모뎀을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그만큼 속도면에서 상당한 이득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E1라인의 경우 속도가 초당 2.2M정도가 나온다고 할 때, 케이블 모뎀은 10M이상의 속도가 가능하며, E1의 경우 전용선비용이 월 300만원 정도에 달하지만, 케이블 모뎀은 월 5만원 정도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고정아이피를 사용하느냐 아니면 유동아이피를 사용하느냐의 차이인 것이다.
또한, 종래의 2차 도메인을 지정해 주는 서비스(예를 들어 tzo.com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dotman이라는 도메인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dotman.tzo.com이라는 식의 2차 도메인만을 지정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이는 tzo.com이라는 회사의 부속도메인으로만 보이기 때문에 인지도가 떨어지는 측면이 강했으며, dotman.tzo.com이라는 식으로 회사의 도메인을 만든다면 사람들은 기억하기도 힘들고, 인지도도 당연히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대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자신의 컴퓨터를 서버로 이용하여 dotman.co.kr을 사용한다면 회사의 입장에서는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상업적으로 자신의 도메인을 이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아이피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아이피 정보 등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관할하고 있기 때문에 해커들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즉, 해커들이 유동아이피 사용자 단말기를 해킹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유동아이피 사용자 단말기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는 보안망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정보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에 있어서,
    자신이 등록받은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 주소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회원가입을 받는 제 1 단계;
    회원으로 가입한 상기 사용자의 도메인에 대한 존파일 정보를 named.conf 파일에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존파일을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유동아이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존파일의 유동아이피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회원 가입 신청 및 도메인 등록 신청을 받는 제 5 단계; 및
    상기 회원 신청을 접수하며 상기 도메인을 도메인 지정 시스템에 등록시키고 상기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 주소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로 등록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 신청을 한 사용자의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 주소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에 따른 절차를 안내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절차에 따라 자신의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 주소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을 받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상기 존파일의 파일명은, 상기 도메인 중 도메인의 속성을 제외한 부분의 명칭으로 지정되거나 또는 상기 도메인이름 전체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의 속성이 동일한 다수개의 도메인이 있는 경우 상기 도메인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가입 순서에 따라 상기 도메인 속성을 제외한 부분에 식별부호를 부여하여 존파일의 파일명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유동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제 7 단계;
    상기 아이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존파일을 추출하는 제 8 단계;
    추출된 상기 존파일에 기재되어 있는 유동아이피주소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 7 단계의 상기 유동아이피 주소로 수정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존파일을 관리하는 네임서버를 재시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 7 단계의 상기 유동아이피 주소를 갖는 서버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의 상기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온라인으로 접속되는 순간에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가 온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안이라도 일정주기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의 상기 네임서버의 재시동은, 일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접속이 있을 때마다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9.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을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정보통신 시스템에,
    자신이 등록받은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 주소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회원가입을 받는 제 1 기능;
    회원으로 가입한 상기 사용자의 도메인에 대한 존파일 정보를 named.conf 파일에 생성하는 제 2 기능;
    상기 존파일을 생성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유동아이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존파일의 유동아이피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0043852A 2000-07-28 2000-07-28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KR20020010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52A KR20020010058A (ko) 2000-07-28 2000-07-28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52A KR20020010058A (ko) 2000-07-28 2000-07-28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058A true KR20020010058A (ko) 2002-02-02

Family

ID=1968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852A KR20020010058A (ko) 2000-07-28 2000-07-28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00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844A (ko) * 2000-08-04 2002-02-09 신호철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0418858B1 (ko) * 2000-12-04 2004-02-14 주식회사 엔에스텍 사용자 계정을 도메인으로 사용하는 실시간 인터넷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장치
KR20040050606A (ko) * 2002-12-10 2004-06-16 조만익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인터넷 서버 접속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26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Dns機能を内蔵したipネットワークの結合制御装置
KR20000058486A (ko) * 2000-06-02 2000-10-05 안태균 유동적인 IP Address을 고정적인 IPAddress로 변환하여 사용자간의 정보 공유 및인터넷 접속 시스템
KR20010009514A (ko) * 1999-07-10 2001-02-05 권재원 교량용 조립식 방호벽
KR20010077317A (ko) * 2000-02-01 2001-08-17 박형두 유동 ip를 지원하는 다이나믹 네이밍 서비스 방법 및 기술
KR20020000437A (ko) * 2000-06-26 2002-01-05 유춘열 가변 아이피주소 체계를 도메인 이름으로 전환하는 방법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26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Dns機能を内蔵したipネットワークの結合制御装置
KR20010009514A (ko) * 1999-07-10 2001-02-05 권재원 교량용 조립식 방호벽
KR20010077317A (ko) * 2000-02-01 2001-08-17 박형두 유동 ip를 지원하는 다이나믹 네이밍 서비스 방법 및 기술
KR20000058486A (ko) * 2000-06-02 2000-10-05 안태균 유동적인 IP Address을 고정적인 IPAddress로 변환하여 사용자간의 정보 공유 및인터넷 접속 시스템
KR20020000437A (ko) * 2000-06-26 2002-01-05 유춘열 가변 아이피주소 체계를 도메인 이름으로 전환하는 방법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844A (ko) * 2000-08-04 2002-02-09 신호철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0418858B1 (ko) * 2000-12-04 2004-02-14 주식회사 엔에스텍 사용자 계정을 도메인으로 사용하는 실시간 인터넷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장치
KR20040050606A (ko) * 2002-12-10 2004-06-16 조만익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인터넷 서버 접속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44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network file system client authentication
Carter LDAP System Administration: Putting Directories to Work
US5784612A (en) Configuration and unconfiguration of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components
US6470332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arching for, and retrieving, profile attributes based on other target profile attributes and associated profiles
AU2009222468B2 (en) Segregating anonymous access to dynamic content on a web server, with cached logons
JP4060874B2 (ja)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イル・システム
US65052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universal login via web browser
US78272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omain name filtering through the domain name system
US6651047B1 (en) Automated referential integrity maintenance
JPH11331245A (ja) ネットワ―ク・ディレクトリ・アクセス機構及び方法
US20050050319A1 (en) License control for web applications
JP4746053B2 (ja) 個人データの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4227127A (ja) 複数の環境情報を持つ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持つ情報処理装置
WO2003077053A2 (en) Personal portable storage medium
JP2002024117A (ja) ネットワーク上の情報へのアクセス方法及びシステム
TW200417190A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performance shared web hosting
JPH10312350A (ja) リソース命名方法及び機構
WO2005009003A1 (en) Distributed policy enforcement using a distributed directory
JP2006252085A (ja) ユーザ識別情報を変換するファイルサーバ
CN111581631B (zh) 一种基于redis的单点登录方法
EP1546914A1 (en) Internal natural domain service system with local name servers for flexible top-level domains
Gamble Implementing Execution Controls in Unix.
JP2004110080A (ja) リアルネーム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上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20010058A (ko) 유동아이피를 이용한 서버 운영 방법
Cisco About the nrcm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