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259A -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259A
KR20200116259A KR1020190037806A KR20190037806A KR20200116259A KR 20200116259 A KR20200116259 A KR 20200116259A KR 1020190037806 A KR1020190037806 A KR 1020190037806A KR 20190037806 A KR20190037806 A KR 20190037806A KR 20200116259 A KR20200116259 A KR 2020011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fixed
setting
floating
dhcp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888B1 (ko
Inventor
이경태
이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3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8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1/201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방법은,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유동 아이피 설정을 처리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 등록하고,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NETWOR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아이피 또는 유동 아이피를 설정하여 통신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장치는 소정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다른 단말 또는 서버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최종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통신 장치들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스위치, 라우터와 같은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장치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해 고유한 네트워크 주소를 가져야 하는데, 예를 들어 라우터를 거쳐 통신하기 위해 아이피(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아이피 주소에는 유동 아이피 주소와 고정 아이피 주소가 있다.
유동 아이피 주소는 소정의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에 따라 외부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로부터 동적으로 할당받는 것이고, 고정 아이피 주소는 이러한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RFC 1541 등에 따른 동작)과 상관없이 고정적으로 설정 또는 받는 것을 의미한다.
유동 아이피 주소와 고정 아이피 주소의 차이점은 그 주소 설정이 고정되는지 여부이다.
고정 아이피 주소는 네트워크 장치가 재부팅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변함없이 그 값을 유지하지만, 유동 아이피 주소는 네트워크 장치가 재부팅이 이루어질 때마다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이 설정되고 이에 의해 유동 아이피 주소가 설정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재부팅이 되는 경우, DHCP 클라이언트는 자동으로 DHCP 서버와 통신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요청하고, DHCP 서버는 자신이 보유한 아이피 주소 중 어느 하나를 동적으로 선정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제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네트워크 장치 중에는 유동 아이피 주소와 고정 아이피 주소 중 어느 하나가 더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L2 스위치(여기서 L2는 네트워크 통신 계층 중 데이터링크 계층을 의미함)의 경우 원격 설정을 위해 콘솔 연결을 통해 최소한의 연결 설정을 해줘야 원격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최근 SDN(Software Defined Network) 등과 같이 장비의 컨피그 설정을 중앙 집중화하려는 상황에서 L2 스위치의 설정을 과거와 같이 현장에서 콘솔을 접속하여 수행하는 것을 효율적이 않기 때문에 L2 스위치에 DHCP 클라이언트를 구동시켜 원격 접속에 필요한 아이피 주소와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default gateway address)를 얻도록 하는 방법 즉, 유동 아이피 주소를 획득 및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L2 스위치에 유동 아이피 주소가 DHCP 클라이언트에 의해 자동 설정되도록 하는 방식은, 최초 L2 스위치의 아이피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L2 스위치 뒷단에 기업이나 가정 고객의 단말 장비들이 수용되는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관리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방식이다.
즉, L2 장치 뒷단의 PC나 HGW(Home Gateway)가 유동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는 것은 무방하다고 할 수 있고 오히려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L2 장치에 유동 아이피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장치의 아이피 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그 장치의 장애나 상태 정보의 수집 등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는 유동 아이피 주소의 설정과 고정 아이피 주소의 설정은 서로 배타적이다.
즉, 모든 네트워크 장치의 OS(Operating System)에는 유동 아이피 주소를 획득하는 방식과 고정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이 상호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어서, 예를 들어 유동 아이피 주소로 설정된 네트워크 장치에 고정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게 되면 유동 아이피 주소로 접속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이 끊기게 되어 더 이상의 원격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02-001184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동 아이피 주소와 고정 아이피 주소가 서로 배타적이지 않게 모두 설정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아이피 주소 설정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유동 아이피 설정을 처리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 등록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하는 주소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방법은,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유동 아이피 설정을 처리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 등록하고,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아이피 주소와 유동 아이피 주소가 배타적이지 않고 동시에 설정될 수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이용 및 관리 측면에서 편의성이 증대된다.
즉, 네트워크 장치에 유동 아이피 주소가 설정된 상태에서 관리자 등에 의해 고정 아이피 주소에 대한 설정이 시도 되더라도 고정 아이피 주소가 부가 주소로 등록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유동 아이피 주소의 삭제로 인해 통신이 두절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유동 아이피 주소가 설정된 상태에서 새로 고정 아이피 주소가 부가 주소로 등록되는 경우,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를 삭제함과 아울러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중지시켜 네트워크 장치에서의 자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 나아가 고정 아이피 주소와 유동 아이피 주소가 동시에 설정된 경우 내부의 애플리케이션마다 고정 아이피 주소 또는 유동 아이피 주소가 자동으로 적절하게 할당될 수 있어서, 고객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관리자 단말기(300)는 네트워크 장치(100)에 접속하여 각종 설정을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장치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치(100)에 고정 아이피 주소를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는 네트워크 장치(100)에 구비된 DHCP 클라이언트와 통신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유동 아이피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한다는 것은 유동 아이피 주소의 등록 설정시 함께 등록되어야 하는 디폴트 게이트웨이 주소는 물론이고 넷마스크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할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DHCP 서버(200)는 디폴트 게이트웨이에 해당하는 장치 내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DHCP 서버(200)와 통신하여 유동 아이피를 설정하거나 또는 외부의 다른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고정 아이피(물론 이와 관련된 디폴트 게이트웨이 주소 및 넷마스크 등도 포함)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 장치(100)는 L2 스위치와 같이 통신 중계를 담당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장치(100)가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 네트워크 장치(100)는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 아이피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100)는 요청 수신부(110), 판단부(120), 주소 설정부(130), 주소 할당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저장부(15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는 물론이고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고,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 장치(100)의 동작 중 새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에는 고정 아이피 주소 또는 유동 아이피 주소가 설정 등록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10)는 아이피 주소 설정을 위한 각종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요청 수신부(110)는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 연결된 키보드 또는 콘솔 장치 등으로부터 고정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기 위한 요청 신호 즉,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유동 아이피 주소의 설정을 위해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요청하는 신호 즉, 'DHCP 클라이언트 동작 요청 신호'를 외부의 장치 또는 직접 연결된 키보드, 콘솔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120)는 요청 수신부(110)에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유동 아이피 설정을 처리하는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다면 이미 그 DHCP 클라이언트에 의해 유동 아이피가 설정되었다고 할 수 있으므로 판단부(120)는 유동 아이피 주소의 설정 여부를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 여부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판단부(120)는 요청 수신부(110)에 DHCP 클라이언트 동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100)는 고정 아이피 주소와 유동 아이피 주소에 대한 설정 시점에 그 종류를 별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판단부(120)는 기본 주소로 설정된 아이피 주소가 고정 아이피 주소인지 유동 아이피 주소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주소 설정부(130)는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 등록하고,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본 주소는 어떠한 아이피 주소도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초로 설정 등록되는 아이피 주소에 해당하고, 부가 주소는 기본 주소가 설정된 상태에서 추가로 설정되는 아이피 주소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주소 설정부(130)는 고정 아이피 주소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한 경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비활성 처리하고,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에 따라 설정된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유동 아이피 주소, 디폴트 게이트웨이 주소 등)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주소 설정부(130)는 유동 아이피 주소가 설정된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 아이피 주소가 부가 주소로 설정된 경우에는 유동 아이피 주소를 삭제하고,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재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종래에 고정 아이피 주소와 유동 아이피 주소 중 어느 하나만을 기본 주소로 설정해왔던 것과 차별화되는 것이다.
즉, 주소 설정부(130)는 유동 아이피 주소가 설정된 상태라도 그 유동 아이피 주소와 관련된 정보의 삭제 없이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임시 설정해 놓을 수 있는 것이고, 그 이후에 적절한 시점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를 삭제하고 부가 주소로 임시 설정된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동 아이피 주소를 이용한 통신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주소 설정부(130)는 그 유동 아이피 주소를 이용한 통신이 종료된 시점에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를 삭제하고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고정 아이피 주소가 설정된 경우에는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 유지에 따른 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가 삭제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100)는 그 삭제 사실을 DHCP 서버(200)에 즉시 전송하여 알릴 수 있고, DHCP 서버(200)는 이러한 삭제 정보를 이용하여 아이피 할당을 위한 자원 관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처럼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하고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를 삭제한 이후 고정 아이피 주소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의 장애가 판단되면, DHCP 클라이언트를 다시 활성화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설정 등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 아이피 주소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의 장애에는 고정 아이피 주소의 삭제, 고정 아이피 주소가 설정된 NIC(Network Interface Card)의 기능 고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고정 아이피 주소를 이용한 동작 중에 그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등에 문제가 있거나, 그 고정 아이피 주소가 할당된 NIC 카드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주소 설정부(130)는 DHCP 클라이언트를 새로 활성화하여 유동 아이피 설정을 제어함으로써 통신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주소 설정부(1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요청 수신부(110)에 DHCP 클라이언트 동작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판단무가 판단한 결과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처리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 등록하고, 그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정 아이피 주소의 설정을 유지하면서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처리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유동 아이피 설정을 위한 DHCP 클라이언트 동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주소 설정부(130)는 고정 아이피 주소를 바로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설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처리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임시 설정 등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유동 아이피 주소가 부가 주소로 임시 설정된 이후, 주소 설정부(130)는 고정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유동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주소 할당부(140)는 네트워크 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각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할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주소 할당부(140)는 주소 설정부(130)에 의해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고 유동 아이피 주소가 부가 주소로 설정된 경우, 내부에 구비된 서버 애플리케이션에는 고정 아이피 주소가 할당되도록 하고, 내부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는 유동 아이피 주소가 할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100) 내부에 OS 와 각 애플리케이션이 아이피 주소 할당과 관련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OS에 포함된 주소 할당부(140)는 각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유동 아이피 주소와 고정 아이피 주소 중 어느 하나를 할당하거나, 또는 각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정보 필드에 유동 아이피 주소와 고정 아이피 주소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아이피 주소와 유동 아이피 주소가 모두 등록되어 있는 경우라도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외부의 요청에 제대로 응답하기 위해 고정 아이피 주소를 이용할 수 있어 재부팅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서비스 제공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100)가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 그 네트워크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외부의 서버에 네트워크 장치(100)의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록되기를 원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때 네트워크 장치(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중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 아이피 주소가 자동으로 할당 및 이용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그루핑이 미리 선행되고, 각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구별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10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관리자 등으로부터 고정 아이피 주소의 설정이 요청된 경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 여부에 따른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관리자로부터 고정 아이피 주소가 입력된 경우(단계 S1), 네트워크 장치(100)는 현재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단계 S3)는 네트워크 장치(100)는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하는데(단계 S9), 이때 OS 커널에서 관리하는 영역에 이러한 고정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단계 S11).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단계 S3) 네트워크 장치(100)는 그 유동 아이피 주소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하는데(단계 S5), 이때 OS 커널에서 관리하는 영역에 이러한 고정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단계 S7).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관리자 등으로부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이 요청된 경우 고정 아이피 주소의 설정 여부에 따른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관리자로부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이 요청된 경우(단계 S21), 네트워크 장치(100)는 현재 고정 아이피 주소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판단 결과 고정 아이피 주소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23) 네트워크 장치(100)는 DHCP 클라이언트를 실행한 후(단계 S33) 유동 아이피 주소를 획득하고(단계 S35), OS 커널에서 관리하는 영역에 이러한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가 기본 주소로 등록되도록 한다(단계 S37).
판단 결과 고정 아이피 주소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23) 네트워크 장치(100)는 그 고정 아이피 주소의 설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DHCP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단계 S25) 유동 아이피 주소를 획득한다(단계 S27).
이후, 네트워크 장치(100)는 OS 커널에서 관리하는 영역에 이러한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가 추가로 등록되도록 할 수 있는데, 특히 새로 할당받은 유동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할당하고(단계 S29) 기존의 기본 주소였던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단계 S31).
물론 네트워크 장치(100)는 기존의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그대로 설정하고, 새로 할당받은 유동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할당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본 주소와 부가 주소는 네트워크 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주소의 우선순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즉, 네트워크 장치(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은 우선적으로 기본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기본 주소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부가 주소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네트워크 장치(100)에 복수 개의 NIC 카드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각각의 NIC 카드에 기본 주소와 부가 주소가 각각 설정된 경우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네트워크 장치 200 : DHCP 서버
300 : 관리자 단말기 110 : 요청 수신부
120 : 판단부 130 : 주소 설정부
140 : 주소 할당부 150 : 저장부

Claims (12)

  1. (a)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유동 아이피 설정을 처리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 등록하고,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가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된 이후,
    (c)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비활성 처리하고,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에 따라 설정된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의 장애를 판단한 경우 상기 DHCP 클라이언트를 활성화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설정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c) DHCP 클라이언트 동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처리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 등록하고,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의 설정을 유지하면서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처리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고 상기 유동 아이피 주소가 부가 주소로 설정된 경우, 내부에 구비된 서버 애플리케이션에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고, 내부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는 상기 유동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8. 아이피 주소 설정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유동 아이피 설정을 처리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 등록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DHCP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고정 아이피 주소 설정 요청 신호에 따른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하는 주소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설정부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한 경우,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비활성 처리하고,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에 따라 설정된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설정부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의 설정에 따라 상기 유동 아이피 주소 관련 정보를 삭제한 이후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의 장애가 판단되면, 상기 DHCP 클라이언트를 다시 활성화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설정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요청 수신부에 DHCP 클라이언트 동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소 설정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처리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기본 주소로 설정 등록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의 설정을 유지하면서 상기 DHCP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처리하여 유동 아이피 주소를 부가 주소로 설정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설정부에 의해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가 기본 주소로 설정되고 상기 유동 아이피 주소가 부가 주소로 설정된 경우, 내부에 구비된 서버 애플리케이션에는 상기 고정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고, 내부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는 상기 유동 아이피 주소가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주소 할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KR1020190037806A 2019-04-01 2019-04-01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06A KR102206888B1 (ko) 2019-04-01 2019-04-01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06A KR102206888B1 (ko) 2019-04-01 2019-04-01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59A true KR20200116259A (ko) 2020-10-12
KR102206888B1 KR102206888B1 (ko) 2021-01-25

Family

ID=7288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806A KR102206888B1 (ko) 2019-04-01 2019-04-01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8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844A (ko) 2000-08-04 2002-02-09 신호철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0562390B1 (ko) * 2003-03-25 2006-03-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호스트 라우팅과 IP Aliasing 기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데이터 플로우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68996A (ko) * 2007-01-22 200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지국에서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제어 모듈을 이용한로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844A (ko) 2000-08-04 2002-02-09 신호철 인터넷 기반에서 포워딩에 의하여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고정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처럼 사용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0562390B1 (ko) * 2003-03-25 2006-03-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호스트 라우팅과 IP Aliasing 기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데이터 플로우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68996A (ko) * 2007-01-22 200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지국에서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제어 모듈을 이용한로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888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68871B (zh) 配置多个虚拟网卡的方法、宿主机和存储介质
US9003411B2 (en) Automated provisioning and configuration of virtual and physical servers
US8813169B2 (en) Virtual security boundary for physical or virtual network devices
CN109067877B (zh) 一种云计算平台部署的控制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US8176153B2 (en) Virtual server cloning
US11438242B2 (en) Method for providing PaaS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cloud computing service architecture
CN111934918A (zh) 对同一容器集群内的容器实例的网络隔离方法和装置
US947961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ommunication after virtual machine migration
US822494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duct for managing operation
US838701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duct for managing operation
JP2016224484A (ja) 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サーバ装置、ポリシー管理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3070633B1 (en) Network interface devices with remote storage control
US201101733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erver using virtualization technique
JP692358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585887A (zh) 基于多个网络的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857464B (zh) 用于平台部署与操作移动操作系统的系统及其方法
CN112073555A (zh) Ip地址的配置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50372854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0778574B2 (en) Smart network interface peripheral cards
US10735937B2 (en) Management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s thereof
CN112153628B (zh) 码号资源的激活管理、指令处理、重启管理方法、装置
CN109783196B (zh) 一种虚拟机的迁移方法及装置
CN101207608B (zh) 一种接入宽带网络的方法
US20030088428A1 (en) Method to reduce provisioning time in shared storage systems by preemptive copying of images
KR102206888B1 (ko)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