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679A -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679A
KR20020011679A KR1020000045100A KR20000045100A KR20020011679A KR 20020011679 A KR20020011679 A KR 20020011679A KR 1020000045100 A KR1020000045100 A KR 1020000045100A KR 20000045100 A KR20000045100 A KR 20000045100A KR 20020011679 A KR20020011679 A KR 20020011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ybdenum oxide
unit
mixture
form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8998B1 (ko
Inventor
이용기
Original Assignee
이용기
(주)코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기, (주)코반 filed Critical 이용기
Priority to KR102000004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9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3/03Press-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65Mixing liquids with solids by introducing liquids in solid material, e.g. to obtain slu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2/00Treatment under specific physical conditions
    • B22F2202/01Use of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2/00Metal Compound, non-Metallic compound or non-metal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2/25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특수강의 제조시에 그 강성을 보다 높이고자 함유되는 산화 몰리브덴을 성형 브리켓으로 제조하여 원료 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단단하게 성형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연속 작업공정에 따른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가격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그 구성을 물과 전분과 파우더 형태의 산화 몰리브덴 원료를 증기를 공급하면서 혼합시키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를 거쳐 배출된 혼합물을 공지의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를 거친 혼합물을 균일한 분말상태로 걸러 주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거쳐 배출되는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공지의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를 거친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공급받아 일정한 형태로 압착 성형시키는 성형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xidized molybdenum forming brick}
본 발명은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특수강의 제조시 그 강성을 보다 높이고자 함유되는 산화 몰리브덴을 성형 브리켓으로 제조하여 원료 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단단하게 성형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연속 작업공정에 따른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가격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X선관, 전기로용 저항선, 스텐레스강 및 SCM강 등 특수강의 제조시 그 철강의 강도를 높이고자 용해 첨가제인 합금원소로서, 경도가 높고 내식성(耐蝕性)을 가지며 상당한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몰리브덴(molybdenum)을 첨가하여 특수강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몰리브덴은 대부분이 파우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산화 몰리브덴으로서, 투입시 용광로로 부터 발산되는 열기와 산소공급으로 인한 많은 량이 비산되므로 그 제조하고자 하는 특수강의 성분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사용할 수 없음으로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파우더 형태의 산화 몰리브덴을 탄산나트륨과 혼합하고 회전로에서 약 700~900℃로 열을 가하여 용융한 후 다시 냉각공정을 거친 다음 일정크기를 갖도록 파쇄한 용융 브리켓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상기 몰리브덴 금속으로 난환원성 물질인 Na2M0O4(Sodium Molybdate)가 약 15% 결합된 상태이므로 철강 용광로에서 몰리브덴 금속으로 환원이 불가하여 몰리브덴 금속 성분 수율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또한, 파쇄과정에서 분말이 혼입되어 조업시 비산되기 쉬우며 고열을 가하여 용융하므로 몰리브덴 성분의 승화로 인한 로스(loss)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첨가제인 탄산나트륨, 초석 등과 같은 연료를 사용하므로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됨가 아울러 제품자체의 가격도 비싼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용융 브리켓에서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산화 몰리브덴을 브리켓 형태로 성형하는 방법도 있었는 데, 이는 일정한 형틀에 전술한 바와 같이 파우더 형태의 산화 몰리브덴과 점결제인 워터 글라스(water grass)와 수분을 혼합한 혼합물을 상기 형틀에 주입한 다음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압착시키는 방법도 안출되었다.
그러나, 이도 상기 형틀에 일일이 혼합물을 투입한 후 가압하여 성형시켜야 하므로서,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대량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혼합물 간에 점착력이 약하여 부스러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리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금형의 마모 및 기계장치의 고장율이 높아 제품가격 또한 상당히 비싼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산화 몰리브덴을 성형 브리켓으로 제조하여 원료 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단단하게 성형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연속 작업공정에 따른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가격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과 전분과 파우더 형태의 산화 몰리브덴 원료를 증기를 공급하면서 혼합시키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를 거쳐 배출된 혼합물을 공지의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를 거친 혼합물을 균일한 분말상태로 걸러 주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거쳐 배출되는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공지의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를 거친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공급받아 일정한 형태로 압착 성형시키는 성형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부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호스가 설치된 물탱크와; 일측으로 동력원인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인 체인으로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프레임의 상측으로 내부에 교반날개가 형성되어 구동되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개폐도어가 설치된 투입호퍼가, 그 일측면으로 점검도어가 설치되어 지며, 하부에는 배출도어가, 일면으로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공급노즐과, 상기 공급노즐로 공지의 히팅수단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가 설치된 공급관으로 구성된 증기공급부가 설치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의 외측단에는 다수의 스크레이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지지프레임의 상단으로 모서리부에 스프링으로 고정되어 지지되고 바닥면이 매쉬망으로 설치되어 지며 일단으로 배출구가 형성되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를 가로 질러 관통되도록 구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동력원인 모터로 구성되는 작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고정프레임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인입호퍼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외부로 설치된 동력원인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맞물려 있는 공지의 동력전달부인 기어에 의해 회동되는 한쌍의 성형롤이 맞닿게 설치되되, 상기 성형롤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성형홈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지고, 상기 성형롤의 하부로 공지의 배출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성형롤의 일측에는 고정봉에 상기 성형롤의 표면으로 맞닿는 스크레이퍼가 설치되어 지고, 상기 스크레이퍼의 일면에는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지지축으로 구성되는 가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혼합부를 나타낸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 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성형부를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혼합부
10 : 물탱크
110 : 구동부 120 : 프레임
130 : 하우징
131 : 교반날개 131a : 스크레이퍼
132 : 회전축 133 : 개폐도어
134 : 투입호퍼 136 : 점검도어
138 : 배출도어
140 : 증기공급부
142 : 공급노즐 144 : 공급관
144a : 개폐밸브
2 : 제1 이송부
20,20a : 안내호퍼
2a : 제2 이송부
3 : 바이브레이터
30 : 테두리부재
32 : 지지프레임 34 : 스프링
36 : 매쉬망 38 : 배출구
300 : 작동부
302 : 구동축 304 : 모터
4 : 성형부
40 : 케이스
42 : 고정프레임 44 : 인입호퍼
45 : 동력원 46 : 동력전달부
400,400a : 성형롤
401,401a : 성형홈
410 : 배출컨베이어
420 : 가압부
412 : 고정봉 414 : 스크레이퍼
415 : 지지대 416 : 지지축
416a : 지지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전분과 카본 및 파우더 형태의 산화 몰리브덴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서 증기를 공급하면서 혼합하는 혼합부(1)와;
상기 혼합부(1)를 거쳐 배출된 혼합물을 일반적인 프레임 상에 모터 구동에 의해 다수의 롤러가 회전되면서 컨베이어 벨트가 회동되어 지는 공지의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송부(2)와;
상기 제1 이송부(2)를 거친 혼합물을 진동작용에 의해 균일한 분말상태로 걸러 주는 바이브레이터(3)와;
상기 바이브레이터(3)를 거쳐 배출되는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일반적인 프레임 상에 모터 구동에 의해 다수의 롤러가 회전되면서 컨베이어 벨트가 회동되어 지는 공지의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송부(2a)와;
상기 제2 이송부(20)를 거친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공급받아 일정한 형태로 압착 성형시키는 성형부(4)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제1,2 이송부(2)(2a)인 컨베이어의 일단에는 상기 혼합부(1) 및 바이브레이터(3)로 부터 배출되는 혼합물을 외측으로 낙하되지 않고 상기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 상면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된 각각의 안내호퍼(20)(20a)가 다수의 지지대로 상기 컨에이어의 프레임으로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 혼합부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혼합부(1)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끝단으로일반적인 개폐구가 설치된 공급호스(12)가 설치되는 물탱크(10)와;
일측으로 일반적인 동력원인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인 체인으로 구성되는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에 의해 프레임(120)의 상측으로 내부에 교반날개(131)가 형성되어 구동되는 회전축(132)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한 원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133)가 설치된 투입호퍼(134)가, 그 일측면으로 상기 교반날개(131)나 회전축(132)을 점검하거나 내부를 청소하고자 개폐되어 지는 점검도어(136)가 설치되어 지며,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132)의 교반날개(131)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도어(138)가 설치되고, 일면으로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공급노즐(142)과, 상기 공급노즐(142)로 공지의 히팅수단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144a)가 설치된 공급관(144)으로 구성된 증기공급부(140)가 형성되는 하우징(130)으로 구성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증기공급부(140)는 상기 혼합물이 혼합되면서 일정한 온도 및 증기에 함유된 수분 또한 적절하게 배합되면서 보다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후술하는 성형부에서의 성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점검도어(136)나 배출도어(138)의 개폐는 일반적으로 일측이 힌결합되고 그 타측에는 통상적인 록킹수단으로 체결되어져 있는 관계로, 작업자가 상기 록킹수단을 이용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진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131)의 외측단에는 다수의 스크레이퍼(131a)를 일반적인 고정방식인 고정스크류 등으로 고정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30) 내로 투입된 원료가 상기 교반날개(131)에 의해 혼합되는 과정에서 그 하우징(130)의 내면으로 혼합물이 부착되어 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 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인 상기 바이브레이터(3)는 일반적인 지지프레임(32)의 상단으로 모서리부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스프링(34)으로 고정되어 지지되고 바닥면이 매쉬망(36)으로 설치되어 지며 일단으로 배출구(38)가 형성되는 테두리부재(30)와;
상기 테두리부재(30)를 가로 질러 관통되도록 구동축(302)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302)은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동력원인 모터(304)로 구성되는 작동부(300)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테두리부(30)가 진동되면서 상기한 제1 이송부(2)로 부터 공급되는 혼합물을 체질 하듯이 균일한 분말상태로 그 하부로 위치한 상기 제2 이송부(2a)로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걸러진 덩어리 형태의 혼합물은 상기 테두리부재(30)의 일단으로 형성된 배출구(38)를 거쳐 배출되어 진다.
상기에서, 배출구(38) 측에는 일반적인 안내관이 설치되어 하부로 놓여 지는 포대나 용기 등으로 상기 거러진 덩어리가 원활하게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성형부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성형부(4)는 일반적인고정프레임(42)의 상측으로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의 상부에는 상기한 제2 이송부(2a)를 통하여 이송된 분말 상태의 혼합물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호퍼(4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외부로 설치된 동력원(45)인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맞물려 있는 통상의 동력전달부(46)인 기어에 의해 회동되는 한쌍의 성형롤(400)(400a)이 맞닿게 설치되되, 상기 성형롤(400)(400a)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성형홈(401)(401a)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지고, 상기 성형롤(400)(400a)의 하부로 상기 성형홈(401)(401a)에서 압착 성형되어 낙하되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을 배출할 수 있도록 공지의 배출 컨베이어(410)가 설치되어 진다.
또한, 상기 각 성형롤(400)(400a)의 일측에는 고정봉(412)에 상기 성형롤(400)(400a)의 표면으로 맞닿는 스크레이퍼(414)가 설치되어 지고, 상기 스크레이퍼(414)의 일면에는 지지대(415)에 고정되도록 스프링(416a)이 설치된 지지축(416)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가압부(420)을 설치함으로써, 혼합물이 상기 성형롤(400)(400a)를 통하여 압착되면서 표면으로 부착되는 슬러지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다음 압착공정에서 더욱 원활한 압착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 또한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혼합부(1)의 하우징(130) 내로 물과 전분과 카본 및 파우더 형태의 산화 몰리브덴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서 투입하고, 상기 하우징(130) 내의 회전축(132)을 구동부(110)에 의해 구동시키게 되면 그 회전축(132)으로 형성된 교반날개(131)에 의하여 상기 투입된 원료가 골고루 혼합되어 지는 데, 이때, 일정시간 동안에 상기 하우징(130) 내로 증기공급부(140)를 통하여 증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투입된 원료가 적절하게 배합됨과 아울러 상기한 성형부(4)에서의 성형시 보다 용이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131)에는 다수의 스크레이퍼(131a)가 설치되어 있어, 투입된 원료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130) 내면으로 부착되는 혼합물을 제거하게 되어 더욱 원활한 혼합이 이루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혼합부(1)에 일정시간 동안에 혼합이 완료되어 지면 하우징(130)의 하부로 설치된 배출도어(138)를 개방하여 상기한 제1 이송부(2)의 컨베이어로 배출시키고, 이때,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으로 설치된 안내호퍼(20)로 인하여 상기 배출되는 혼합물이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진다.
이렇게, 상기 제1 이송부(2)의 컨베이어로 배출된 혼합물은 컨베이어의 구동에 따라 이송되면서 그 타측단으로 설치된 바이브레이터(3)로 공급되어 지고, 상기 바이브레이터(3)로 공급되어 진 혼합물은 테두리부재(30)의 매쉬망(36)으로 낙하됨과 아울러 상기 테두리부재(30)는 모터(304)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302)으로 인해 진동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혼합물이 그 매쉬망(36)을 통하여 분말형태로 걸러지면서 하부로 낙하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매쉬망(36)으로 걸러지지 않은 덩어리는 상기 테두리부재(30)의 일단으로 형성된 배출구(38)로 배출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낙하되는 분말형태의 혼합물은 안내호퍼(20a)를 거쳐 다시 제2이송부(2a)의 컨베어어를 통하여 성형부(4)로 공급되어 지고, 상기 성형부(4)로 공급되는 분말형태의 혼합물은 인입호퍼(44)를 통하여 그 하부로 구동되고 있는 한쌍의 성형롤(400)(400a) 사이로 인입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성형롤(400)(400a) 사이로 인입되는 분말형태의 혼합물은 그 성형롤(400)(400a)에 형성된 성형홈(401)(401a)으로 인입되어 압착되면서 성형 브리켓 형태로 성형되는 것이고, 그 성형이 완료된 성형 브리켓은 하측으로 낙하되어 배출 컨베이어(410)를 통하여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라켓이 단단하게 제조되어 짐과 아울러 자동 연속공정으로 제조됨으로서 단시간 내에 대량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수강을 제조시 보다 큰 강성을 갖도록 함유되는 산화 몰리브덴을 원료 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성형 브리켓의 형태로 단단하게 성형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을 연속적인 자동공정으로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가격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물과 전분과 파우더 형태의 산화 몰리브덴을 증기를 공급하면서 혼합시키는 혼합부(1)와; 상기 혼합부(1)를 거쳐 배출된 혼합물을 공지의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송부(2)와; 상기 제1 이송부(2)를 거친 혼합물을 균일한 분말상태로 걸러 주는 바이브레이터(3)와; 상기 바이브레이터(3)를 거쳐 배출되는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공지의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송부(2a)와; 상기 제2 이송부(2a)를 거친 분말상태의 혼합물을 공급받아 일정한 형태로 압착 성형시키는 성형부(4)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1)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호스(12)가 설치된 물탱크(10)와; 일측으로 동력원인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인 체인으로 구성되는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에 의해 프레임(120)의 상측으로 내부에 교반날개(131)가 형성되어 구동되는 회전축(132)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개폐도어(133)가 설치된 투입호퍼(134)가, 그 일측면으로 점검도어(136)가 설치되어 지며, 하부에는 배출도어(138)가, 일면으로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공급노즐(142)과, 상기 공급노즐(142)로 공지의 히팅수단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144a)가 설치된 공급관(144)으로 구성된 증기공급부(140)가 설치되는 하우징(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131)의 외측단에는 다수의 스크레이퍼(131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3)는 지지프레임(32)의 상단으로 모서리부에 스프링(34)으로 고정되어 지지되고 바닥면이 매쉬망(36)으로 설치되어 지며 일단으로 배출구(38)가 형성되는 테두리부재(30)와, 상기 테두리부재(30)를 가로 질러 관통되도록 구동축(302)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302)은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동력원인 모터(304)로 구성되는 작동부(30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4)는 고정프레임(42)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의 상부에는 인입호퍼(4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외부로 설치된 동력원(45)인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맞물려 있는 공지의 동력전달부(46)인 기어에 의해 회동되는 한쌍의 성형롤(400)(400a)이 맞닿게 설치되되, 상기 성형롤(400)(400a)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성형홈(401)(401a)이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지고, 상기 성형롤(400)(400a)의 하부로 공지의 배출 컨베이어(4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성형롤(400)(400a)의 일측에는 고정봉(412)에 상기 성형롤(400)(400a)의 표면으로 맞닿는 스크레이퍼(414)가 설치되어 지고, 상기 스크레이퍼(414)의 일면에는 지지대(415)에 고정되도록 스프링(416a)이 설치된 지지축(416)으로 구성되는 가압부(4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KR1020000045100A 2000-08-03 2000-08-03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KR100338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00A KR100338998B1 (ko) 2000-08-03 2000-08-03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00A KR100338998B1 (ko) 2000-08-03 2000-08-03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158U Division KR200214081Y1 (ko) 2000-08-03 2000-08-03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679A true KR20020011679A (ko) 2002-02-09
KR100338998B1 KR100338998B1 (ko) 2002-06-07

Family

ID=1968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100A KR100338998B1 (ko) 2000-08-03 2000-08-03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16B1 (ko) * 2006-07-06 2007-08-22 왕호성 성형탄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16B1 (ko) * 2006-07-06 2007-08-22 왕호성 성형탄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8998B1 (ko) 200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002471U (zh) 一种用于铸造加工的砂芯原料筛选装置
CN109397512A (zh) 一种石英石板生产线
CN105642392A (zh) 一种槽料机
KR200214081Y1 (ko)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CN114225801A (zh) 一种抗菌型粉末涂料混合加工设备及方法
KR100338998B1 (ko) 산화 몰리브덴 성형 브리켓의 제조장치
CN212524276U (zh) 一种用于氧化钙的冷却输送装置
CN114794508A (zh) 一种秸秆、杂草牛饲料生产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934358B (zh) 一种建筑幕墙回收粉碎装置及其粉碎方法
CN115261038A (zh) 利用秸秆负载非金属尾矿的矿基生物炭生产设备及方法
CN209552069U (zh) 一种石英石板生产线
CN112295667A (zh) 一种水泥物料生产加工装置
CN112246414A (zh) 一种方便控制下料量生物肥生产用的粉碎机
CN112058177A (zh) 一种路面材料用粉煤灰粉末造粒装置
CN113878752B (zh) 一种玻璃制品生产用原料干燥装置
CN211725943U (zh) 一种化工机械原料用粉碎装置
KR102516838B1 (ko) 펠렛 코크스 성형 다이의 다이홀 수동 세척장치
CN219111730U (zh) 一种具有下料功能的破碎机
CN219111737U (zh) 一种块状化工原料破碎装置
CN216261274U (zh) 多功能制药用摇摆颗粒机
CN215843196U (zh) 一种钛白粉粗品自动筛选破碎装置
CN214729875U (zh) 一种可调节的等量下料灌装装置
CN215312175U (zh) 一种高效率的沉水料制粒机
CN215099540U (zh) 一种硬质合金成型送料装置
CN216172670U (zh) 一种复合肥双轴卧式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