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006A - 피톤치드 확산기 - Google Patents

피톤치드 확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006A
KR20020011006A KR1020000044380A KR20000044380A KR20020011006A KR 20020011006 A KR20020011006 A KR 20020011006A KR 1020000044380 A KR1020000044380 A KR 1020000044380A KR 20000044380 A KR20000044380 A KR 20000044380A KR 20020011006 A KR20020011006 A KR 20020011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housing
mist
cartridge
phyton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889B1 (ko
Inventor
윤효숙
Original Assignee
윤효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효숙 filed Critical 윤효숙
Priority to KR10-2000-004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8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음(綠陰)이 짙은 숲속의 식물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방향성 물질인 피톤치드(phytoncide)을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피톤치드 확산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형상을 갖고 전면에 투명창이 형성된 확산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에 설치되고 소정의 미스트(mist) 발생 공간이 형성된 미스트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내부에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순식물성 수용액이 채워지는 수용액 카트리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측에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을 무화 미스트로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생성된 미스트의 토출량 및 풍량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시키면서 미스트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순식물성 수용액의 미스트 토출량을 임의로 조절함과 아울러, 미스트량의 발생 상황을 조명광과 함께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야간에 실내 조명등으로도 사용한다.

Description

피톤치드 확산기{phytoncide diffuser}
본 발명은 피톤치드(phytoncide) 확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식물성 수용액의 미스트(mist) 토출량을 임의로 조절함과 아울러, 미스트량의 발생 상황을 조명광과 함께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야간에 실내 조명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피톤치드 확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음이 짙은 숲속에서는 각종 나무 등, 식물로부터 방향성 물질을 뿜어내고 있으며, 그 방향성 물질을 통상 피톤치드(phytoncide)라 한다. 상기한 피톤치드는 나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보호하려고 내뿜는 물질로서, 그 물질 자체에 살균, 살충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피톤치드는 나무가 왕성하게 성장하는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많이 발산하는 것으로 조사 결과 알려지고 있으며, 사람이 피톤치드를 호흡하면 피부와 마음이 맑아져 안정감이 상승되는 등, 건강에 매우 유익한 점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피톤치드의 효능을 감안하여 숲속의 식물 118 종류에서 추출한 순식물성 수용액을 초미립자 상태로 공기중에 분무시킴으로써 실내를 피톤치드가 상존하는 삼림욕장 환경으로 유지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공기 천연 청정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에도 숲속의 식물 118종류에서 추출한 순식물성 수용액을 이용하는 탈취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1995년 특허출원번호 36736호에 선출원되어 있는 바, 그 실시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탈취장치는, 상부쪽 부분에 공기 배출구를 보유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어 탈취제 수용액을 저류시키고, 하단에 탈취제 수용액의 공급구를 보유하는 밀폐 구조의 저류조와, 상기한 하우징의 내측 하부쪽에 수납되고 저류조의 공급구가 소정의 액면 높이로 배치되어서 저류조로부터 탈취제 수용액을 초음파 발진에 의하여 무화시키는 무화조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그 공기 배출구를 향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뻗어나서 연장되고 무화조의 주요 액면과 공기 배출구에 연통되어 무화조로부터 무화비산하는 미스트(mist)를 팬의 공기류로 흡인시켜서 실질적으로 응집시키지 않고 1 미크론 이하의 극초미립자 미스트를 공기류에 합류시키는 가이드조와, 초음파 발진기와 팬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탈취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에 저류조를 장착함에 따라 공급구로부터 무화조 내에 순식물성 수용액이 공급되는 바, 상기 무화조가 소정의 액면이 유지되면, 액면의 작용에 의하여 희석액의 공급이 자동으로 정지되어 무화조는 소정 액면으로 유지된다.
이 후, 전원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제어장치가 설정된 처리 시간 동안에 초음파 발진기와 팬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무화조 내의 희석액이 초음파 발진기에 의해 5미크론 이하로 무화되며, 그와 동시에 비말이 비산하지만, 비말은 가이드조의 경사 벽면에 부딪혀 자중에 의해 액면으로 낙하한다.
한편, 상기 초음파 발진기와 팬의 구동으로 5미크론 이하의 미스트가 하우징의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미스트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이 개시되지 있지 않을 뿐 아니라, 내부에서 희석액이 무화 미스트로 생성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감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단지 공기 정화용으로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등, 다양한 용도로 전용하지 못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순식물성 수용액의 미스트 토출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피톤치드 확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식물성 수용액에 의한 미스트량의 발생 상황을 조명광과 함께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피톤치드 확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에 실내 조명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피톤치드 확산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분해 사시도.
도 4는 정단면도.
도 5는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의 수용액 집중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은 부분 절결 사시도.
도 7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를 구성하는 토출량 조절수단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의 조절 패널 커버의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를 구성하는 수용액 카트리지를 보인 것으로,
도 10은 사시도.
도 11은 단면도.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의 토출량 조절수단을 구성하는 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무화 미스트량을 조절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3a 내지 13c는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의 토출량 조절수단을 구성하는 루버 몸체의 회전 동작에 따라 무화 미스트량을 조절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4a 내지 14c는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의 투명창을 통하여 본 무화 미스트의 운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용액 집중부 2 ; 센서 수납부
3 ; 카트리지 수납부 4,5 ; 유로
10 ; 하우징 20 ; 미스트 케이스
27 ; 수평 격판 28 ; 중간 배출구
30 ; 수용액 카트리지 40 ; 초음파 발진수단
50 ; 수위 감지 센서 60 ; 토출량 조절수단
61 ; 루버 몸체 62 ; 방향 조절구
63 ; 연결 로드 64 ; 손잡이
70 ; 송풍수단 80 ; 조명수단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확산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에 설치되고 소정의 미스트 발생 공간이 형성된 미스트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수용액 카트리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측에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을 무화 미스트로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생성된 미스트의 토출량 및 풍량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시키면서 미스트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소정 크기로 투명창을 형성하고, 상기 송풍수단은 팬 하우징의 내측에 시로코팬을 구비하되, 상기 팬 하우진의 배출구로부터 공기류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토출량 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미스트와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된 루버 몸체와, 상기 루버 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방향 조절구와, 상기 방향 조절구를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와, 상기 방향 조절구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확산기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토출량을 표시하기 위한 토출량 표시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수단에 의한 풍량은 다단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중간 몸체와, 상기 중간 몸체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몸체의 저면에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과 통하는 수용액 집중부를 소정의 깊이로 단차지도록 형성하며, 그 일측에 센서 수납부를 형성하고, 타측에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부를 상기 수용액 집중부의 저부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형성하며, 상기 수용액 집중부와 센서 수납부 및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부의 사이에 상기 수용액 집중부의 폭 보다 좁은 폭을 갖는 유로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액 집중부의 깊이는 20 ~ 4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부의 저부에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수용액이 흘러나오도록 예리한 형상을 갖는 파열핀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의 입구에 상기 파열핀에 의하여 파열되는 임시 막음부재를 부착하고, 그 반대측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순식물성 수용액의 미스트 토출량을 임의로 조절하고, 또한 무화 미스트량의 발생 상황을 조명광과 함께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야간에 실내 조명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사시도, 정면도, 분해 사시도,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는, 소정의 형상을 갖고 전면에 소정의 투명창(11)이 구비된 확산기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간에 설치되는 미스트 케이스(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수용액 카트리지(3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중간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초음파 발진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수용액 카트리지(30)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50)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생성된 미스트의 토출량 및 풍량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수단(6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시키면서 미스트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수단(70)과, 상기 미스트 케이스(20)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조명수단(80)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은 하부 베이스(12)와, 상기 하부 베이스(12)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중간 몸체(13)와, 상기 중간 몸체(13)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 커버(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중간 몸체(13)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 보스(15)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 베이스(12)의 저면에서 복수개의 볼트(16)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중간 몸체(13)의 저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수용액 집중부(1)가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센서 수납부(2)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부(3)가 상기 수용액 집중부(1)의 저부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액 집중부(1)와 센서 수납부(2) 및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부(3)의 사이에는 상기 수용액 집중부(1)의 폭 보다 좁은 폭을 갖는 유로(4)(5)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부(3)에는 수용액 카트리지(30)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환형지지 리브(8)(8')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저부에는 수용액 카트리지
(30)로부터 수용액이 흘러나오도록 예리한 형상을 갖는 파열핀(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30)의 입구에는 은박지 등의 임시 막음부재(31)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한 파열핀(6)에 의하여 파열되면서 수용액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용액 집중부(1)의 깊이(d)는 20 ~ 40 mm가 적당하며, 가장 좋기로는 30 mm 이다.
상기 수용액 집중부(1)의 저부 중앙부에는 중공(7)(도 4에 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공(7)으로 초음파 발진수단(40)이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미스트 케이스(20)는 양측에 지지벽(21)(2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벽(21)(22)의 내측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근접하는 경사판(23)이 형성되어 있어, 그 경사판(23)을 중심으로 전방측에는 상기한 수용액 집중부(1)와 통하는 미스트 발생 공간(24)(도 5에 도시)이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공기 유동을위한 공간(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스트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24)과 공기 및 미스트가 혼합되는 혼합 공간(26)을 구획하기 위한 수평 격판(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격판(27)의 선단부와 상기 중간 몸체(13)의 내벽 사이에는 중간 배출구(28)(도 5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스트 케이스(20)의 상면에는 상기한 공기 유동을 위한 공간(25)과 통하는 흡입공(29)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송풍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스트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수직 격벽(2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직 격벽(20a)에는 송풍수단(70)에 의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공(2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송풍수단(70)은 팬 하우징(71)의 내부에 시로코팬(72)(도 ?에 도시)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시로코팬(72)의 회전에 따라 전방측에 형성된 팬 하우징(71)의 토출구(72)(도 3에 도시)로부터 공기류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서 30도의 경사각을 갖고서 좌측 및 하측을 향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송풍수단(70)에 의한 공기 송풍량은 예를 들어서, 3단계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시로코팬(72)에 인가되는 전압을 15v, 20v, 24v 등의 3단계로 조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미스트 케이스(20)의 수평 격판(27)에는 램프 고정부(27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램프 고정부(27a)에는 조명수단(80)이 구비되어,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24)의 내부 조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명수단(80)은 예를 들어서,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조명 효과를 갖는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조명색은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조명수단(80)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 등의 단일 조명광을 발하는 램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적색, 녹색, 청색 등과 같이 2가지 이상의 조명 효과를 얻도록 복수개의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시간동안 조명광을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조명수단(80)은 본 발명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미스트 발생 공간(24)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토출량 조절수단(60)은 상기 중간 몸체(13)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미스트와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61a)가 형성된 루버 몸체(61)와, 상기 루버 몸체(61)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방향 조절구(62)와, 상기 방향 조절구(62)를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63)와, 상기 방향 조절구(62) 중 중간부의 방향 조절구(62)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6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몸체(13)의 전면에 토출량을 표시하기 위한 토출량 표시부(65)를 부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50)는 통상적인 플로우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50)는 수용액 집중부(1)의 수위가 기준 이하일 경우에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30)의 수용액 배출 부분의 반대측에는 손잡이(32)를 형성하여, 수용액 카트리지(30)의 착탈 동작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몸체(13)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걸림 후크(1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 커버(14)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14)의 일측에는 수용액 카트리지(3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18)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납공(18)에 뚜껑(19)을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베이스(12)의 배면 및 하면, 중간 몸체(13)의 배면에는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공(81)(8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흡입량이 가장 많은 상기 중간 몸체(13)의 배면에 형성된 흡입공(82)에는 별도의 필터(83)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트랜스, 91은 인쇄회로기판, 92는 안전 스위치, 93은 조작 패널 커버를 각각 보인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 패널 커버(93)에는 전원 버튼(94), 타이머 버튼(95), 램프 버튼(96) 및 풍량 조절 버튼(97)과, 전원 표시등(98) 및 수용액 부족시 점등되는 급액 표시등(99), 그리고 여러 표시등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의 상부 커버(14)에 결합된 뚜껑(19)을 분리하여 그 수납공(18)으로 수용액 카트리지(30)를 손잡이(32)를 잡고서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30)의 입구에는 은박지 등의 임시 막음부재
(31)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수용액 카트리지(30)를 거꾸로 삽입하여도 수용액이 흘러내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수용액 카트리지(30)를 하우징(10)의 내부로 수납하게 되면,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30)가 중간 몸체(13)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
부 (3)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부(3)의 저부에 형성된 파열핀(6)에 수용액 카트리지(30)의 입구가 삽입되므로, 임시 막음무재(31)가 파열되면서 수용액이 유로(4)(5)를 따라 흘러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수용액 집중부(1) 및 센서 수납부(2)에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센서 수납부(2)에 장착된 수위 감지 센서(50)는 수용액의 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부력에 의하여 같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30)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의 수위는 항시 수용액 집중부(1)의 높이 만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충분한 양의 수용액이 채워진 카트리지(30)를 수납시킨 후, 전원 버튼(94)를 조작하면, 초음파 발진수단(40) 및 송풍수단(70)이 동시에 구동을 하게 되는 바, 상기한 초음파 발진수단(40)의 통상적인 작용에 의하여, 수용액 집중부(1)의 수용액이 물 기둥 형상으로 튀어오르면서 약 5미크론 이하의 무화(霧化) 미스트 형상으로 피어오르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하우징(10)의 전면 상부에 토출량 조절수단(60)이 설치되어 있어, 송풍수단(70)에 의한 공기의 풍량과 풍압, 그리고 무화 미스트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수단(7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류가 소정의 각도로 방향성을 갖게 되므로, 손잡이(64)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송풍수단(7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아무런 저항이 없이 루버 몸체(61)의 토출구(61a)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며,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64)를 중간부에 위치하게 되면, 토출 공기류가 방향 조절구(62)에 부딪혀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상기 방향 조절구(62)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되며, 또한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64)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토출 공기의 양이 급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 송풍수단(70)에 의한 풍량 및 풍압을 각각 예들 들어서 100%(도 12a), 70%(도 12b), 50%(도 12c)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각각의 경우에 해당되는 경우,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64)를 우측으로 이동시킬수록 송풍수단(70)에 의한 풍량 및 풍압이 중간 배출구(28)(도 5에 도시함)를 통해 미스트 발생 공간(24)으로 역류됨으로써 그 미스트 발생 공간(24)에서 무산 미스트량이 점차로 상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도 14c와 같이, 손잡이(64)를 최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무화 미스트량의 발생이 극대화되는 현상을 하우징(10)의 투명창(11)을 통해 시각적으로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공기류의 일부가 미스트 발생 공간(24)으로 역류하여 급격한 소용돌이 현상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의 활발한 운동에 의하여 보다 많은 양의 무화 미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토출량 조절수단(60)의 손잡이(64)를 최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보다 많은 무화 미스트량이 중간 배출구(28)를 통해 송풍수단(70)에 의한 공기류에 실려서 루버 몸체(13)의 토출구(61a)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 때, 약 1미크론 이하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약 극초미립자 미스트만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손잡이(64)를 중간 상태로 놓거나 좌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미스트 발생 공간(24)에서 충분한 양의 무화 미스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송풍수단(70)에 의한 공기 토출량은 손잡이(64)가 우측으로 위치한 상태에 비하여 적은 양의 무화 미스트만 방출되는 것이다. 무화 미스트의 토출량을 비교한다면, 도 14c에 손잡이(64)가 우측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좌측으로 갈수록 100%(도 14c), 70%(도 14b), 50%(도 14a)가 되는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한 화살표의 많고 적음은 송풍수단(70)에 의한 통풍량을 표시한 것이 아니고, 무화 미스트의 토출량을 표시한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우측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높아지는 토출량 표시부(65)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그 토출량 표시부(65)를 보고 손 잡 이 (64)를 적당히 이동시켜 무화 미스트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송풍수단(70)에 의한 공기의 토출량과 무화 미스트량과는 서로반비례 관계가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 몸체(61)도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 때에도 송풍수단(70)의 공기류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므로, 앞에서 설명한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루버 몸체(61)의 회전각에 따라 무화 미스트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나, 손잡이(64)의 이동에 따른 조절 효과에는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루버 몸체(61)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손잡이(64)를 가장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가장 많은 무화 미스트량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한 화살표의 많고 적음은 송풍수단
(70)에 의한 통풍량을 표시한 것이 아니고, 무화 미스트의 토출량을 표시한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송풍수단(70)은 다단계로 풍량 및 풍압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풍량 조절 버튼(97)을 조작하여 루버 몸체(61)의 회전각도 및 손잡이(64)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무화 미스트량을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미스트 발생 공간(24)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수단(80)으로서 적색, 녹색 또는 청색 램프 등이 설치되어, 가정, 병원, 유흥 업소 등에 설치 장소에 따라 적당한 조명광을 발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가정에서 야간에 실내등을 모두 소등시키고,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램프 버튼(96)을 조작하여 조명광을 밝히면, 하우징(10)의 투명창
(11)을 통해 수용액의 미스트가 안개처럼 피워 오르는 현상과 함께 실내를 밝히게 됨으로써 신비스러운 조명광을 연출하게 된다.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30)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은 무화되는 양만큼 일정하게 흘러나오게 됨으로써 수용액의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는 없으며, 항시 수용액 집중부(1)에 채워지는 만큼 일정하게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30)에 채워진 수용액이 소진되어 수용액 집중부(1)의 수위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수위 감지 센서(50)가 작동을 하여 피톤치드 확산기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베이스(12)의 배면 및 하면, 중간 몸체(13)의 배면에는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공(81)(82),(8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를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하여 송풍수단(70)으로부터 배출시키게 되며, 이 때, 중간 몸체(13)의 배면에 형성된 흡입공(83)에 설치된 필터(84)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톤치드 확산기는, 소정의 형상을 갖고 전면에 투명창이 형성된 확산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에 설치되고 소정의 미스트 발생 공간이 형성된 미스트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내부에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순식물성 수용액이 채워지는 수용액 카트리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측에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을 무화 미스트로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생성된 미스트의 토출량 및 풍량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시키면서 미스트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순식물성 수용액의 미스트 토출량을 임의로 조절함과 아울러, 미스트량의 발생 상황을 조명광과 함께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하고,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야간에 실내 조명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소정의 형상을 갖는 확산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에 설치되고 소정의 미스트 발생 공간이 형성된 미스트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수용액 카트리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측에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액을 무화 미스트로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생성된 미스트의 토출량 및 풍량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시키면서 미스트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소정 크기로 투명창을 형성하고,
    상기 송풍수단은 팬 하우징의 내측에 시로코팬을 구비하되, 상기 팬 하우진의 배출구로부터 공기류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토출량 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미스트와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된 루버 몸체와,
    상기 루버 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방향 조절구와,
    상기 방향 조절구를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와,
    상기 방향 조절구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확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확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토출량을 표시하기 위한 토출량 표시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확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에 의한 풍량은 다단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확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중간 몸체와, 상기 중간 몸체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몸체의 저면에 상기 미스트 발생 공간과 통하는 수용액 집중부를 소정의 깊이로 단차지도록 형성하며, 그 일측에 센서 수납부를 형성하고, 타측에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부를 상기 수용액 집중부의 저부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형성하며, 상기 수용액 집중부와 센서 수납부 및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부의 사이에 상기 수용액 집중부의 폭 보다 좁은 폭을 갖는 유로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확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 집중부의 깊이는 20 ~ 4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확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 수납부의 저부에 수용액 카트리지로부터 수용액이 흘러나오도록 예리한 형상을 갖는 파열핀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확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 카트리지의 입구에 상기 파열핀에 의하여 파열되는 임시 막음부재를 부착하고, 그 반대측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 확산기.
KR10-2000-0044380A 2000-07-31 2000-07-31 피톤치드 확산기 KR10037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380A KR100375889B1 (ko) 2000-07-31 2000-07-31 피톤치드 확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380A KR100375889B1 (ko) 2000-07-31 2000-07-31 피톤치드 확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140U Division KR200216086Y1 (ko) 2000-08-14 2000-08-14 피톤치드 확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006A true KR20020011006A (ko) 2002-02-07
KR100375889B1 KR100375889B1 (ko) 2003-03-17

Family

ID=1968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380A KR100375889B1 (ko) 2000-07-31 2000-07-31 피톤치드 확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8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12B1 (ko) 2005-11-23 2007-10-30 주식회사 숲에서 피톤치드 휘산 장치
KR100898761B1 (ko) * 2007-08-17 2009-05-21 박재식 방향제 휘산장치
KR20160010162A (ko) * 2014-07-18 2016-01-27 박정일 흡연부스 피톤치드 시스템
KR102063991B1 (ko) * 2019-06-27 2020-01-08 김기춘 피톤 치드 소독 분무 장치
KR20200072692A (ko) * 2018-12-13 2020-06-23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미생물을 활용한 탈취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57Y1 (ko) * 2014-06-19 2016-06-21 배지은 휘산액의 직접 주입이 가능한 휘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4862A (ja) * 1987-05-27 1988-12-01 Atsuko Hisakawa フイトンチツド発生装置
JPH03247344A (ja) * 1990-02-27 1991-11-05 Asahi Seimitsu Kk 香り発生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12B1 (ko) 2005-11-23 2007-10-30 주식회사 숲에서 피톤치드 휘산 장치
KR100898761B1 (ko) * 2007-08-17 2009-05-21 박재식 방향제 휘산장치
KR20160010162A (ko) * 2014-07-18 2016-01-27 박정일 흡연부스 피톤치드 시스템
KR20200072692A (ko) * 2018-12-13 2020-06-23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미생물을 활용한 탈취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장치
KR102063991B1 (ko) * 2019-06-27 2020-01-08 김기춘 피톤 치드 소독 분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5889B1 (ko)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490B2 (en) Wind-water ultrasonic humidifier
US7934703B2 (en) Mist generator and mist emission rendering apparatus
ES2329942T3 (es) Control y circuito integrado para un aparato de multiples sensores.
US6676271B2 (en) Humidifier with lighted tank
KR100634998B1 (ko) 미용 미스트 생성기
JP2010512179A (ja) 拡散装置
KR100375889B1 (ko) 피톤치드 확산기
KR20120084420A (ko) 무드등 기능이 구비된 조형물 형상의 가습기
JP3143106U (ja) ミスト噴霧器
JP2019130030A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
CN212322525U (zh) 一种火焰仿真系统
KR200216086Y1 (ko) 피톤치드 확산기
KR20210048008A (ko) 디퓨저
KR100383911B1 (ko) 피톤치드 확산기의 초음파 발진장치
KR20110075883A (ko) 식물정유향 자동 분무기
CN210320464U (zh) 一种雾化装置及空调器
RU183064U1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CN208242660U (zh) 一种加湿灭蚊灯
CN217235940U (zh) 一种带有火焰效果的香薰机
JP2004009040A (ja) 照明付き噴霧器
JP2005144096A (ja) 照明付き噴霧器
CN217660840U (zh) 雾化杀菌单元和马桶
CN215982996U (zh) 一种小型超声波加湿器
CN220103310U (zh) 一种多功能加湿装置
KR100515569B1 (ko) 발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