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008A - 디퓨저 - Google Patents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008A
KR20210048008A KR1020190131426A KR20190131426A KR20210048008A KR 20210048008 A KR20210048008 A KR 20210048008A KR 1020190131426 A KR1020190131426 A KR 1020190131426A KR 20190131426 A KR20190131426 A KR 20190131426A KR 20210048008 A KR20210048008 A KR 20210048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upport member
diffuser
capsule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이강산
Original Assignee
블렌드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렌드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렌드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008A/ko
Publication of KR2021004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향팬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향기 발산체가 내장되는 방향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발향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은 상기 방향캡슐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퓨저{DIFFUSER}
본 발명은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송풍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다양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냄새 중에서 우리에게 쾌감을 주는 향기(aroma 또는 fragrance)는, 최근에 인간의 생리 및 심리 상태와 결부되어 스트레스와 피로를 풀어주고 심신을 안정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그 예로, 식물의 향을 이용하여 몸과 마음의 균형을 회복시켜 인체의 항상성 유지를 목표로 하는 아로마 테라피(aromatherapy)가 있다.
이러한 향기를 발산시키는 수단으로 디퓨저가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퓨저는, 화학적원리를 이용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인테리어 소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무실, 집, 가게 등의 실내 공간을 은은한 향으로 채우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디퓨저는, 향기를 발산하는 액체가 담겨진 용기와, 이 용기에 삽입되어 공기 중에 향을 확산시키는 스틱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기존의 디퓨저는, 액상의 향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진하게 향을 발산하다가 시간이 경과되면 알콜이 우선적으로 휘발되어 액상 향 원료가 남아있음에도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리로 제작된 용기가 쓰러지게되면 액상의 향 물질이 외부로 쉽게 토출되어 그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유리 파편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기존의 디퓨저는, 향기의 발산속도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뿐더러 단일 향기만 발산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소비자가 단일 향기에 대해서 쉽게 싫증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416호의 '겔 타입 방향제 패키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향기의 발산속도나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또한, 자신의 기호에 맞는 향기를 선택적으로 실내 공간에 발산 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디퓨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향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방향 캡슐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실내 공간으로 단일 향기 또는 혼합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디퓨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미적 감각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력으로부터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퓨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향팬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향기 발산체가 내장되는 방향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발향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은 상기 방향캡슐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발향팬이 마련되는 제1공간과 상기 트레이가 삽입될 수 있는 제2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획하며, 다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된 격벽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방향캡슐이 놓여질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2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윗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놓여지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방향캡슐은 서로 자성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방향캡슐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영구자석과 결합되는 금속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다수개의 받침부재 중에서 최하단에 배치된 받침부재의 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윗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윗면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저부에 마련된 영구자석 또는 금속부재와 자성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윗면에서부터 상기 격벽 플레이트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캡슐은, 측부에 다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과 결합되며 상기 향기 발산체가 놓여지는 하부캡; 및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이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캡에 형성된 통기구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상부캡 또는 상기 하부캡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통기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는, 발향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으로 향기를 발산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향기의 발산속도나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는, 다수개의 방향캡슐이 트레이에 결합된 채 본체에 삽입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상황별 기호에 대응하는 단일 향기 또는 혼합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는, 방향캡슐이 트레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다양한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캡슐들이 별도의 상품으로 판매 되도록 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향기 욕구를 만족시키고, 더불어, 소비자가 향기의 싫증에 따른 방향캡슐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는, 외력에 의해 본체가 쓰러져도, 트레이 및 방향캡슐이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액상의 향기 물질을 이용하지 않고 고체의 향기 물질을 이용하므로 향기 물질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캡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캡슐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디퓨저의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캡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캡슐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디퓨저의 결합 단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00)는, 발향팬(F)이 마련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300) 및 상기 트레이(3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향기 발산체(A)가 내장되는 방향캡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퓨저(100)는, 전원 공급에 따른 발향팬(F)의 구동에 의하여 방향캡슐(400)에서 향기가 발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화학적 방식을 이용한 기존의 디퓨저와는 다르게 전자 방식을 이용하여 향기를 발산하고, 더불어, 향기의 발산속도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향팬(F)이 마련되는 제1공간(S1)과 상기 트레이(30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공간(S2)이 내부에 마련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220); 및 상기 제1공간(S1)과 상기 제2공간(S2)을 구획하며, 다수개의 통기구(미도시)가 형성된 격벽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잔술한 바와 같이, 발향팬(F)이 배치될 수 있는 제1공간(S1)과 트레이(300)가 배치될 수 있는 제2공간(S2)이 마련된다.
제1공간(S)은 하우징(210)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제2공간(S)은 하우징(210)의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은 전술한 격벽 플레이트(23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격벽 플레이트(230)를 기준으로 그 하부측에는 제1공간(S1)이 마련되고, 그 상부측에는 제2공간(S2)이 마련된다.
상기 제2공간(S2)은, 하우징(210)의 윗면에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의 형태를 가지는바, 하우징(210)의 내면과 격벽 플레이트(230)의 윗면에 의해 구획된다.
여기서, 하우징(210)의 내주면은, 하우징(210)의 윗면에서부터 격벽 플레이트(230)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공간(S2)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공간(S2)에 삽입된 트레이(300)의 유동을 방지하고, 특히, 하우징(210)이 외력에 의해 쓰러졌을 때 트레이(300)가 제2공간(S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10)이 중공의 원통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내부에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사각통, 다각통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캡(220)은, 하우징(210)의 하단과 결합되어 하우징(210)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한다. 하부캡(220)에는 발향팬(F)을 제어하는 PCB 및 조작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조작수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이얼로 구현되며, 상기 PCB와 연결된 채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220)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다수개의 통기구가 마련된다.
따라서, 발향팬(F)이 작동되면 외기가 하부캡(220)에 형성된 통기구와 격벽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통기구를 경유하여 제2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캡슐(400)이 놓여질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받침부재(310); 상기 받침부재(300)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2공간(S2, 도 3 및 도 4참조)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연결부재(320); 및 상기 연결부재(320)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윗면에 형성된 안착홈(211, 도 2참조)에 놓여지는 손잡이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받침부재(310)는, 방향캡슐(400)의 저부와 접촉된 채 방향캐슐(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210)의 제2공간(S2)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바, 방향캡슐(4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방향캡슐(400)이 형성하는 평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부재(310)는, 다수개의 방향캡슐(400)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재(320)에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받침부재(310)는 상기 연결부재(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방향캡슐(400)이 상기 트레이(300)에 의하여 지지된 채 하우징(210)의 제2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받침부재(310)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부재(320)에 마련됨에 따라서, 세 개의 방향캡슐(400)이 하우징(210)의 제2공간(S2)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면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10)의 제2공간(S2)에는 서로 동일한 향기를 발산하는 세 개의 방향캡슐(400)이 받침부재(310)에 지지된 채 배치될 수 있고, 반대로, 서로 다른 향기를 발산하는 세 개의 방향캡술(400)이 받침부재(310)에 지지된 채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방향캡슐(400)은 받침부재(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그 착탈결합방식의 예로 자성결합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받침부재(310)와 방향캡술(400)은 서로 자성결합되는바, 받침부재(310)와 방향캡술(400)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영구자석과 결합되는 금속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재(310)에 영구자석(311)이 마련되고, 상기 방향캡슐(400)에 금속부재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즉, 받침부재(310)의 저면에는 영구자석(311)이 수용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캡술(400)의 내부 또는 저면에는 상기 영구자석(311)과 자성결합되는 금속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재(310)와 방향캡슐(400)은 자성결합방식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받침부재(310)의 윗면에 금속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방향캡슐(400)의 저면 또는 내부에 상기 금속부재와 자성결합되는 영구자석을 마련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향캡슐(400)이 자성결합방식에 의하여 받침부재(3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이용한 방식으로 방향캡술(400)을 받침부재(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즉, 방향캡술(400)의 저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받침부재(310)의 윗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방향캡슐(400)과 받침부재(310)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받침부재(310)와 함께 하우징(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310)의 길아방향 양단에 각각 마련됨에 따라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20)는, 하우징(210)의 내주면에서 제2공간(S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착홈(211, 도 3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320)는, 제2공간(S2)에서 하우징(210)의 내주면 방향으로 회전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33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윗면에서 노출된 채 하우징(210)의 윗면에 형성된 안착홈(211)에 안착될 수 있다. 참고로, 손잡이부재(330)가 삽입되는 안착홈(211)과 연결부재(320)가 삽입되는 안착홈(211)은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부재(330)를 이용하여 받침부재(310)와 연결부재(320)를 하우징(210)의 제2공간(S2)에 삽입하거나, 또는, 제2공간(S2)에서 받침부재(310)와 연결부재(320)를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레이(300)의 저부는, 제2공간(S2) 내에서 격벽 플레이트(230)에 마련된 결합부(23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플레이트(230)의 중앙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300)가 제2공간(S2) 내에서 회전되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결합부(231)는, 트레이(30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310) 중에서 최하단에 배치된 받침부재(3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31)는, 격벽 플레이트(231)의 윗면에서 'ㄷ'자 형의 단면을 가진 채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231a) 및 상기 지지부재(231)의 윗면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부재(310)의 저부에 마련된 영구자석(311) 또는 금속부재와 자성 결합되는 결합부재(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231b)는, 영구자석 또는 금속부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재(310)에 저면에 영구자석(311)이 마련됨에 따라서 플레이트 형태의 금속부재로 구현되어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결합부(231)는, 트레이(300)가 하우징(210)의 제2공간(S2)으로 삽입되면, 최하단에 배치된 받침부재(310)와 자성결합되어 트레이(300)가 제2공간(S2)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300)는, 하우징(210)에 의도치 않은 외력이 발생되었을 때, 결합부(231)에 의하여 제2공간(S2)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31b)는, 플레이트와 같은 금속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영구자석과 자성 결합되는 공지의 체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볼트나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부재(231b)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부재(231a)의 중앙부에는 상기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홈 또는 체결공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방향캡슐(4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에 다수개의 통기구(411)가 형성된 상부캡(410); 상기 상부캡(410)과 결합되며 상기 향기 발산체(A)가 놓여지는 하부캡(420); 및 상기 상부캡(410)과 상기 하부캡(420)이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캡(410)에 형성된 통기구(411)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방향캡슐(400)은, 상기 발향팬(F)에 의해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구조를 가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향팬(F)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은 격벽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통기구를 경유하여 제2공간(S2)으로 유입되는바, 이 바람은 트레이(300)에 놓여진 방향캡슐(400)의 내부공간을 경유한 뒤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부로 발산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10)의 외부로 발산되는 바람은 방향캡슐(400)에 내장된 향기 발산체(A)의 향기를 포함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방향캡슐(400)에 내장된 향기 발산체(A)의 향기가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는 것이다.
상부캡(410)에 형성되는 통기구(411)는, 상부캡(4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 있다. 왜냐하면, 발향팬(F)에 의하여 발생된 바람이 방향캡슐(400)의 내부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또한, 방향캡슐(40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부캡(420)은 트레이(300)의 받침부재(3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내부에는 전술한 향기 발산체(A)가 마련된다.
또한, 하부캡(420)의 저면에는, 받침부재(310)에 영구자석(311)이 마련되었을 경우에, 이 영구자석(311)과 결합되는 금속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받침부재(310)의 윗면에 금속부재가 마련되었을 경우에는 하부캡(420)의 내부에 영구자석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재(430)는, 상부캡(410)에 형성된 통기구(411)를 통하여 방향캡슐(4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통기구(411)를 통하여 방향캡슐(4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바량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부재(430)는, 상부캡(410) 또는 하부캡(42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통기구(41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향캡슐(400)이 하우징(210)의 제2공간(S2)에 삽입되기 이전에, 개폐부재(430)를 이용한 통기구(41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하우징(210)의 상부로 발산되는 향기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패부재(430)를 회동시켜 통기구(41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양한 공지의 개폐방식 및 구성을 이용하여 상부캡(410)에 형성된 통기구(41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디퓨저(100)는, 실내 공간으로 확산되는 향기의 발산속도, 향기의 강도, 향기의 종류 등을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발향팬(F)의 제어에 따른 바람의 유량을 조절하여 향기의 발산속도 또는 향기의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트레이(300)에 장착되는 방향캡슐(400)를 개수를 가변시켜 향기의 발산속도 또는 향기의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방향캡슐(400)로 유입되는 바람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개폐부재(430)로 상부캡(410)에 형성된 통기구(41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트레이(300)에 서로 다른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캡슐(400)이 다수개로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는 향기만 맡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방향캡슐(400) 중 어느 하나의 방항캡슐(400)의 통기구(411)만 개방시키고 나머지 방향캡슐(400)의 통기구(411)는 차단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향기가 아닌 혼합 향기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방향캡슐(400)에 형성된 통기구(411)를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00)는, 사용자의 상황별 기호에 대응하여, 향기의 발산속도, 강도, 종류 등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디퓨저 200 : 본체
210 : 하우징 220 : 하부커버
230 : 격벽 플레이트 231 : 결합부
300 : 트레이 310 : 받침부재
320 : 연결부재 330 : 손잡이부재
400 : 방향캡슐 410 : 상부캡
411 : 통기구 420 : 하부캡
430 : 개폐부재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F : 팬
A : 향기 발산체

Claims (11)

  1. 발향팬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향기 발산체가 내장되는 방향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발향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은 상기 방향캡슐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발향팬이 마련되는 제1공간과 상기 트레이가 삽입될 수 있는 제2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획하며, 다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된 격벽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방향캡슐이 놓여질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2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윗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놓여지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방향캡슐은 서로 자성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방향캡슐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영구자석과 결합되는 금속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다수개의 받침부재 중에서 최하단에 배치된 받침부재의 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윗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윗면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저부에 마련된 영구자석 또는 금속부재와 자성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윗면에서부터 상기 격벽 플레이트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캡슐은,
    측부에 다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과 결합되며 상기 향기 발산체가 놓여지는 하부캡; 및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이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캡에 형성된 통기구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상부캡 또는 상기 하부캡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통기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KR1020190131426A 2019-10-22 2019-10-22 디퓨저 KR20210048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26A KR20210048008A (ko) 2019-10-22 2019-10-22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26A KR20210048008A (ko) 2019-10-22 2019-10-22 디퓨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008A true KR20210048008A (ko) 2021-05-03

Family

ID=7591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426A KR20210048008A (ko) 2019-10-22 2019-10-22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80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064A1 (ko) * 2021-07-21 2023-01-26 이정민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2643678B1 (ko) * 2023-06-29 2024-03-05 김명관 휴대용 향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064A1 (ko) * 2021-07-21 2023-01-26 이정민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2643678B1 (ko) * 2023-06-29 2024-03-05 김명관 휴대용 향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922170U (zh) 带有气味盒的电子照明设备
JP4638147B2 (ja) フレグランス拡散装置
JP4847347B2 (ja) 光および揮発性活性体の調整された発散を提供する装置
CA2709084C (en) Volatile material diffuser and method of preventing undesirable mixing of volatile materials
ES2400816T3 (es) Estructura para dispositivos luminosos de colores cambiantes
KR101689842B1 (ko) 향기 분사 장치
ES2383961T3 (es) Bombilla de luz LED con emisión de ingrediente activo
US8724975B2 (en) Fragrance producing lighting device
US84120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fragrance
KR20210048008A (ko) 디퓨저
KR102162487B1 (ko) 방향물질 배출장치
EP2099502B1 (en) Diffusion device
US9364575B2 (en) Aroma scent disperser assembly
US20070257130A1 (en) Apparatus for Emitting a Chemical Agent
US10064970B1 (en) Multiple fragrance emission device
ES2386286T3 (es) Difusor de distribución controlada para desodorantes y/o perfumes de una estancia, diseñados para montaje en pared
KR20200043137A (ko) 아로마 디퓨저가 구비되는 가습기
KR102059473B1 (ko) 조명수단이 마련된 전시대
KR100375889B1 (ko) 피톤치드 확산기
KR200216086Y1 (ko) 피톤치드 확산기
JP4619936B2 (ja) 拡散器
JP2008035929A (ja) 薬剤揮散装置
KR200490586Y1 (ko) 피톤치드를 발산시키는 조명등
ES1217559U (es) Ambientador
KR102504651B1 (ko) 차량용 디퓨저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