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337A - 탈취제 - Google Patents

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337A
KR20020009337A KR1020000043147A KR20000043147A KR20020009337A KR 20020009337 A KR20020009337 A KR 20020009337A KR 1020000043147 A KR1020000043147 A KR 1020000043147A KR 20000043147 A KR20000043147 A KR 20000043147A KR 20020009337 A KR20020009337 A KR 20020009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eodorant
odor
present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현
Original Assignee
김태용
(주)에너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용, (주)에너지테크 filed Critical 김태용
Priority to KR102000004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9337A/ko
Publication of KR2002000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3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수산화칼슘(Ca(OH)2) 35 내지 45중량%, 염화칼슘(Ca(Cl)2) 35 내지 45중량%, 염소(Cl2) 3 내지 7중량%, 시안화용액(CN-) 0.5 내지 2중량%, 활성탄 3 내지 7중량%, 지렁이분비물 5 내지 10중량%, 및 물 0.5 내지 2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져있어서, 제조에 특별한 곤란성이 없어 저렴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가열되면 악취 흡착력이 향상되어 유동하는 대기 중의 악취 제거가 매우 용이하고, 탈취되는 유기물질로부터 공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으며, 탈취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취제 {deodorizer}
본 발명은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산화칼슘(Ca(OH)2) 35 내지 45중량%, 염화칼슘(Ca(Cl)2) 35 내지 45중량%, 염소(Cl2) 3 내지 7중량%, 시안화용액(CN-) 0.5 내지 2중량%, 활성탄 3 내지 7중량%, 지렁이분비물 5 내지 10중량%, 및 물 0.5 내지 2중량%을 혼합하여 유동하는 대기중의 악취제거에 효과적인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 냉장고, 쓰레기통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악취 및 산업현장에서 생산활동 중에 발생하는 산업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탈취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방식은 대부분 관련설비를 갖추는데 때로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운영유지비나 소요되는 약품유지비가 적지 않아 비경제적인 면이 있으며, 악취가 제거되더라도 악취제거과정에서 2차 공해물질을 생성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이들 종래 탈취제는 향료에 의해 악취차폐효과를 이용하였으나 이는 냄새가 본질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아니었으며, 활성탄 등의 다공성 무기물을 이용한 흡착방법은 흡착용량이 한정되어 흡착능이 조기에 감소되며, 구연산 말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학적 반응에 의한 악취제거는 암모니아, 아민 등의 흡착에는 유용하나 머캅탄의 제거에는 이용될 수 없고, 오존을 이용한 탈취는 산화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산화제에 의해 2차공해가 발생하게 되며, 비타민 C와 황산 제일철을 원료로 하는 탈취는 온도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탈취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700℃이상의 고온상태에서 화염으로 가연성 악취성분을 열분해하는 방식인 직접연소방식이 있는데, 이는 시설비와 운영유지상 연료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연소 후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엔 SOx, NOx등의 2차 공해요소가 함유되어 있어서 이를 정화처리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촉매 연소방식의 경우에도 200℃이상 온도에서 악취가스와 백금계 촉매를 접촉시키는 방식이 있는데, 이 경우에도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며, 백금계 촉매제의 사용 수명상 유한성을 가지게 되므로 계속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활성탄흡착방식은 사용수명이 짧고 처리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고, 화학적 산화방식은 악취성분 중 주요 단일성분만을 산화처리하는 방식으로서 고도의 처리관리기술이 필요하며 2차 공해 부산물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약액세정방식도 단일 악취가스를 용액에 흡수처리하는 방식인데, 여러 악취가스가 혼합되어 있는 복합성 악취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여 적용범위가 크게 한정되는 단점과 함께 이 또한 2차적인 공해 부산물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토양여과방식이 있는데 이 방식은 토양입자에 악취가스를 흡착시켜 토양미생물에 의하여 악취가스를 분해, 안정화시키는 방식으로써, 이 방식은 사용할 때 요구되는 토양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운용 및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토양의 침강현상이나 오니의 부패와 같은 2차 공해가 유발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적절한 방식으로 보기는 어렵다.
특히, 상기와 같이 여러 종류의 탈취제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일정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과 유동하는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어서 유동하는 대기중의 악취는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탈취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하는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도록 탈취효과를 배가하면서 탈취되는 유기물질로부터 공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으며, 탈취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탈취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별히 그 조성비가 한정되지는 않으나 수산화칼슘(Ca(OH)2) 35 내지 45중량%, 염화칼슘(Ca(Cl)2) 35 내지 45중량%, 염소(Cl2) 3 내지 7중량%, 시안화용액(CN-) 0.5 내지 2중량%, 활성탄 3 내지 7중량%, 지렁이분비물 5 내지 10중량%, 및 물 0.5 내지 2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술하면, 굴껍질과 같은 폐화석을 800℃ 이상으로 소성화하여 분말형태로 분쇄한 수산화칼슘(Ca(OH)2) 35 내지 45중량%, 염화칼슘(Ca(Cl)2) 35 내지 45중량%, 염소(Cl2) 3 내지 7중량%, 시안화용액(CN-) 0.5 내지 2중량%, 분말형태의 활성탄 3 내지 7중량%, 지렁이분비물 5 내지 10중량%, 및 물 0.5 내지 2중량%을 20,000 RPM (revolutions per minute : 분당 회전수) 이상의 회전력을 갖는 교반기에서 일괄로 균질혼합하고, 환형, 원형과 같은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건조시킴으로 제조가 완료된다.
탈취제의 조성비로는 수산화칼슘(Ca(OH)2) 40중량%, 염화칼슘(Ca(Cl)2) 40중량%, 염소(Cl2) 5중량%, 시안화용액(CN-) 1.5중량%, 활성탄 5중량%, 지렁이분비물 7중량%, 및 물 1.5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지렁이분비물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사료가 혼합된 흙을 다수의 지렁이에게 제공하고, 일정기간 후 흙에서 지렁이를 분리하면 흙에는 지렁이가 사료를 섭취하고 배설한 지렁이의 배설물이 다량 존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지렁이의 배설물을 흙에서 분리하고 취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탈취제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악취성분이 쉽게 흡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탈취제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동하는 대기가 송풍기 등을 통해 흡입되어 일정한 이동통로를 통과하도록 하되, 상기의 이동통로의 내측으로 본 발명의 탈취제를 내재시켜 유동하는 대기가 본 발명의 탈취제 사이의 공극들을 신속하게 통과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이동통로에서 탈취제가 수용된 부분을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탈취제의 온도가 80℃ 내지 120℃를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탈취제를 사용하게 되면, 악취를 포함하고 있는 대기 중에서 악취성분들이 본 발명의 탈취제에 흡착하게 되는데, 가열수단에 의해 대기와 탈취제가 가열되면 탈취제의 악취 흡착력이 배가되어 악취제거 효율이 향상되며 탈취제는 탈취력이 더 오랫동안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탈취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같은 악취제거가 필요한 장치에 내재시키게 되면, 악취발생 물질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내재된 대기를 탈취제가 수용되어 있는 대기이동통로로 순환시켜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탈취제의 제조에 특별한 곤란성이 없어서 저렴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같은 악취물질 처리장치에 탈취제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대기 이동통로를 장착하게 되면, 악취를 포함하고 있는 대기를 대기 이동통로로 순환시키는것만으로 용이하게 악취를 제거할 수 있어서 유동하는 대기 중의 악취 제거가 매우 용이하고, 탈취되는 유기물질로부터 공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으며, 탈취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제에 있어서,
    수산화칼슘(Ca(OH)2) 35 내지 45중량%, 염화칼슘(Ca(Cl)2) 35 내지 45중량%, 염소(Cl2) 3 내지 7중량%, 시안화용액(CN-) 0.5 내지 2중량%, 활성탄 3 내지 7중량%, 지렁이분비물 5 내지 10중량%, 및 물 0.5 내지 2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KR1020000043147A 2000-07-26 2000-07-26 탈취제 KR20020009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147A KR20020009337A (ko) 2000-07-26 2000-07-26 탈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147A KR20020009337A (ko) 2000-07-26 2000-07-26 탈취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337A true KR20020009337A (ko) 2002-02-01

Family

ID=1968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147A KR20020009337A (ko) 2000-07-26 2000-07-26 탈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93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2700A (zh) * 2015-08-03 2015-12-16 刘雷 一种基于蚯蚓粪与复合维生物的有机垃圾除臭剂
CN106039371A (zh) * 2016-05-27 2016-10-26 扬州大学 一种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2700A (zh) * 2015-08-03 2015-12-16 刘雷 一种基于蚯蚓粪与复合维生物的有机垃圾除臭剂
CN105152700B (zh) * 2015-08-03 2016-11-16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基于蚯蚓粪与复合微生物的有机垃圾除臭剂
CN106039371A (zh) * 2016-05-27 2016-10-26 扬州大学 一种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77924A1 (ja) 脱臭方法
KR100442703B1 (ko) 공기, 수질정화용 촉매혼합물 및 이 촉매혼합물이 이용된 공기, 수질정화방법
KR200255688Y1 (ko) 광촉매와 연소촉매를 이용한 복합형 살균 및 악취제거장치
KR1006755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09337A (ko) 탈취제
JPH10128042A (ja) 悪臭ガスの生物的処理方法
JP5567288B2 (ja) 脱臭剤の製造方法
JP2888565B2 (ja) 脱臭方法及び脱臭装置
JP2003210931A (ja) 脱臭処理方法
KR100447305B1 (ko) 액상 탈취제
JP2003205218A (ja) 電子線照射による上下水汚泥由来の臭気ガスの脱臭方法及び脱臭装置を備えた上下水汚泥の処理装置
JP3192408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289642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산업용탈취제 및 이의 사용방법
JP2001046481A (ja) 微生物消臭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1371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0078Y1 (ko) 지렁이 분변토 및 참나무 숯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CN116159173A (zh) 除臭剂生产工艺
KR20030043430A (ko) 제지공장 슬러지의 황화수소 제거방법
KR20220033584A (ko) 항균이온금속을 이용 항, 살균 및 냄새제거제를 조성하는 방법과 그를 제조하는 방법
JP3349645B2 (ja) 土壌微生物による悪臭物質の消臭処理方法
KR19990035728A (ko) 악취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
JPH11128328A (ja) 脱臭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03882A (ko) 이온금속 산화물을 이용 축산분뇨 냄새제거 및 황화수소 냄새제거제를 조성하는 방법과 그를 제조하는 방법
JPH06296822A (ja) 脱臭方法
KR20030023329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