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235A -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235A
KR20020009235A KR1020000042801A KR20000042801A KR20020009235A KR 20020009235 A KR20020009235 A KR 20020009235A KR 1020000042801 A KR1020000042801 A KR 1020000042801A KR 20000042801 A KR20000042801 A KR 20000042801A KR 20020009235 A KR20020009235 A KR 2002000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hinge
slide
spring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134B1 (ko
Inventor
박석호
박원규
최덕규
강태경
김학진
곽태용
김진영
김웅길
Original Assignee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김웅길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김웅길,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2000004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1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10); 소정위치에 수평으로 누름구가 형성된 작동아암(12); 작동아암의 전후작동에 의해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 작동몸체(20); 일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타단에는 누름판이 형성된 걸림구(30); 제4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작동간(40); 제5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육모트레이의 모를 취출하는 집게(50); 타단은 집게의 하단에 연결되어 걸림구를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시키는 제1스프링(35); 오무려진 집게를 원상복귀시키는 제2스프링(42); 제3링크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집게작동간(70); 상단에 있는 프레임에 끼워져 전후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슬라이드작동구(80); 상기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는 하단으로 돌출되어 작동간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리를 걸어 후방으로 작동시키는 걸쇄(91)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플러그 육모트레이에 육모된 모를 하나씩 취출하여 식부호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SUPPIY DEVICE AND SEED PICK UP OF IN LINEARE SLIDING FOR TRANS-PLANTER}
본 발명은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육모트레이에 육모된 모를 하나씩 취출하여 식부호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정식(定植)은 옮겨심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정식의 목적은 모를 자립시켜 튼튼하게 키우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모를 옮겨심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반자동정식기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반자동정식기는 모를 하나씩 식부호퍼에 공급하는 사람과 기계를 운전하는 사람 등 필수인원이 꼭 2명 이상이 작업을 해야 하므로 농가에서 작업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반자동정식기는 인력에 의존하므로 10a당 19.8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러그 육모트레이에 육모된 모를 하나씩 취출하여 식부호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모를 공급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1명이 정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10a당 2시간 정도로 작업시간을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비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정식기의 적소에 구비되며,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적소에 일단이 제1힌지축과 축설되어 이를 중심으로 전후로 작동되며, 소정위치에는 수평으로 누름구가 형성된 작동아암; 상기 작동아암의 타단은 제2힌지축에 연결되며, 작동아암의 전후작동에 의해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 작동몸체; 상기 작동몸체의 일단 제2힌지축에 축설되며, 일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타단에는 누름판이 형성된 걸림구; 상기 작동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며, 제4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작동간; 상기 작동몸체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며, 제5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육모트레이의 모를 취출하는 집게; 일단은 상기 걸림구의 적소에 연결되고, 타단은 집게의 하단에 연결되어 걸림구를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시키는 제1스프링: 상기 양 집게의 하단에 사이에 구비되며, 오무려진 집게를 원상복귀시키는 제2스프링; 일단은 상기 양 제5힌지축과 연결되는 동시에 타단은 제1힌지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제1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1힌지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힌지와 일치되게 연결되어 동작되는 제2링크 그리고 상기 제2힌지를 중심으로 동작되는 제3링크; 일단은 상기 양 작동간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링크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집게작동간; 상기 제3힌지축에 연결되며, 상단에 있는 프레임에 끼워져 전후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슬라이드작동구; 상기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는 하단으로 돌출되어 작동간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리를 걸어 후방으로 작동시키는 걸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판 12 : 작동아암
20 : 작동몸체 30 : 걸림구
40 : 작동간 50 : 집게
60,61,62 : 제1,제2,제3링크 70 : 집게작동간
80 : 슬라이드작동구 90 : 프레임
100 : 밀대 110 : 제4스프링
본 발명에 적용된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즉, 정식기(도면상에는 미 도시함)의 적소에는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1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회전판(10)의 적소에는 일단이 제1힌지축(11)과 축설되어 이를 중심으로 전후로 작동되며, 소정위치에는 수평으로 누름구(13)가 형성된 작동아암(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아암(12)의 타단은 제2힌지축(21)에 연결되는 동시에 이 작동아암(12)의 전후작동에 의해서는 제3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 작동몸체(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작동몸체(20)의 일측에는 제2힌지축(21)에 축설되며, 일단에는 걸림홈(31)이 형성되는 동시에 타단에는 누름판(32)이 형성된 걸림구(30)가 구비된다.
부호 40은 상기 작동몸체(20)의 양단에 구비되어 제4힌지축(41)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작동간이다.
또한 상기 작동몸체(20)의 전방 양측에는 제5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육모트레이(120)의 모를 취출하는 집게(50)가 구비된다.
한편 일단은 상기 걸림구(30)의 적소에 연결되고, 타단은 집게(50)의 하단에연결되어 걸림구(30)를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시키는 제1스프링(35)이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양 집게(50)의 하단 사이에는 오무려진 집게(50)를 원상복귀시키는 제2스프링(42)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일단은 상기 양 제5힌지축(51)과 연결되는 동시에 타단은 제1힌지(64)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제1링크(60)와, 일단은 상기 제1힌지(6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힌지(65)와 일치되게 연결되어 동작되는 제2링크(61) 그리고 상기 제2힌지(65)를 중심으로 동작되는 제3링크(6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간(40)의 내측 고리(45)에는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게(50)의 외주면에 끼워져 작동되게 밀대(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일단은 상기 작동간(40)의 적소에 연결되고, 타단은 작동몸체(20)의 적소에 연결되어 일측으로 작동된 작동간(40)을 원상복귀시키는 제3스프링(101)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은 상기 양 작동간(4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링크(62)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집게작동간(70)이 구비된다.
부호 80은 상기 제3힌지축(22)에 연결되어 상단에 있는 프레임(90)에 끼워져 전후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슬라이드작동구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90)의 전방 일측에는 하단으로 돌출되어 작동간(40)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리(45)를 걸어 후방으로 작동시키는 걸쇄(9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90)의 하단 적소에는 일측으로 전진 작동된 슬라이드작동구(80)가 더이상 후방으로 작동됨을 방지하는 스톱퍼(92)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작동구(80)와 하단으로 절곡된 프레임(90)의 사이에는 일측으로 전진 작동된 슬라이드작동구(80)를 원상복귀시키는 제4스프링(110)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에 적용된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가 작동되기 전의 최초 상태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집게(50)의 외주면에 끼워진 밀대(100)는 집게(50)의 선단에 위치하게 되고, 걸림구(30)의 걸림홈(31)은 제4힌지축(41)에서 이탈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판(10)이 회전하면 제1힌지축(11)에 축설된 작동아암(12)이 직선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 작동아암(12)의 직선운동에 의해서는 제2힌지축(21)에 축설된 작동몸체(20)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제3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아암(12)의 전진 작동에 의해서는 작동몸체(20)가 가상선과 같이 상부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작동몸체(20)가 상부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4힌지축(41)은 걸림구(30)의 걸림홈(31)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몸체(20)가 더 이상 상부로 회전하게 되면 도 3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작동구(8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의 작동아암(12)이 축설된 제1힌지축(12)은 최초상태의 반대편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의 2개의 집게(50)는 도 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11자로 위치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3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아암(12)의 계속적인 전진에 의해서는 프레임(90)의 하단에 끼워진 슬라이드작동구(8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몸체(20)의 선단에 위치한 집게(50)는 모가 심어진 육모트레이(120)의 홈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작동구(80)가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프레임(90)의 일측 하단에 돌출된 걸쇄(91)에 고리(45)가 걸려 다수의 링크가 작동되면서 2개의 집게(50)가 상호 오무려지면서 맞닿게 되는 동시에 집게(50)의 선단에 위치한 밀대(1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슬라이드작동구(80)의 후단에 연결된 제4스프링(110)은 슬라이드작동구(80)가 이동된 만큼 인장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다수의 링크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작동간(40)과 일체로 형성된 걸쇄(91)에 고리(45)가 걸리면서 작동간(40)이 제4힌지축(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간(40)과 제3링크(62)의 상단에 위치한 집게작동간(70)이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집게작동간(70)이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3링크(61)가 제2힌지(65)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제2힌지(65)에 연결된 제2링크(61)와 제1힌지(64)와 제5힌지축(63)에 연결된 제1링크(60)가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집게작동간(70)이 일측으로 이동할때 고리(45)에 연결된 밀대(100)도 집게작동간(70)과 함께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집게(50)가 모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시 슬라이드작동구(80)가 후방으로 이동한 후 도 3 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것으로, 이때에는 작동아암(12)의 제1힌지축(11)이 회전판(10)의 회전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집게(50)가 모를 파지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하단의 호퍼로 투입되기 전의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판(10)의 회전운동에 의해 하강되는 누름구(13)가 걸림구(30)의 누름판(32)을 누르게 되면 제4힌지축(41)에 걸린 걸림홈(31)이 이탈되면서 작동간(40)은 제4힌지축(41)을 중심으로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집게작동간(70)과 밀대(100)를 밀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게 되면 밀대(100)가 집게(50)의 선단쪽으로 이동하여 모를 밀게되는 동시에 집게(50)가 벌어지게 되어 모를 집게(50)에서 분리시켜 아래의 호퍼로 투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작동구(80)의 일측단과 프레임(90)의 하단으로 절곡된 사이에는 제4스프링(110)이 구비되어 일측으로 이동된 슬라이드작동구(80)가 원활히 원상복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90)의 하단 적소에 형성된 스톱퍼(92)는 일측으로 이동된 슬라이드작동구(80)가 더 이상 일측으로 이동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 수행됨으로 인해 육모트레이(120)에 수납된 모를 원활히 취출하여 호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 육모트레이에 육모된 모를 하나씩 취출하여 식부호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모를 공급하는 작업을 자동으로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1명이 정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10a당 2시간 정도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비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정식기의 적소에 구비되며,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적소에 일단이 제1힌지축과 축설되어 이를 중심으로 전후로 작동되며, 소정위치에는 수평으로 누름구가 형성된 작동아암;
    상기 작동아암의 타단은 제2힌지축에 연결되며, 작동아암의 전후작동에 의해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 작동몸체;
    상기 작동몸체의 일단 제2힌지축에 축설되며, 일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타단에는 누름판이 형성된 걸림구;
    상기 작동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며, 제4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작동간;
    상기 작동몸체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며, 제5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육모트레이의 모를 취출하는 집게;
    일단은 상기 걸림구의 적소에 연결되고, 타단은 집게의 하단에 연결되어 걸림구를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시키는 제1스프링;
    상기 양 집게의 하단에 사이에 구비되며, 오무려진 집게를 원상복귀시키는 제2스프링;
    일단은 상기 양 제5힌지축과 연결되는 동시에 타단은 제1힌지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제1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1힌지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힌지와 일치되게 연결되어 동작되는 제2링크 그리고 상기 제2힌지를 중심으로 동작되는 제3링크;
    일단은 상기 양 작동간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링크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집게작동간;
    상기 제3힌지축에 연결되며, 상단에 있는 프레임에 끼워져 전후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슬라이드작동구;
    상기 프레임의 전방 일측에는 하단으로 돌출되어 작동간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리를 걸어 후방으로 작동시키는 걸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작동간의 내측에 구비된 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게의 외주면에 끼워져 작동되는 밀대;
    일단은 상기 작동간의 적소에 연결되고, 타단은 작동몸체의 적소에 연결되어 일측으로 작동된 작동간을 원상복귀시키는 제3스프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 적소에는 일측으로 전진 작동된 슬라이드작동구가 더이상 후방으로 작동됨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직선 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작동구와 하단으로 절곡된 프레임의 사이에는 일측으로 전진 작동된 슬라이드작동구를 원상복귀시키는 제4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직선 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KR1020000042801A 2000-07-25 2000-07-25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KR10034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801A KR100346134B1 (ko) 2000-07-25 2000-07-25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801A KR100346134B1 (ko) 2000-07-25 2000-07-25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235A true KR20020009235A (ko) 2002-02-01
KR100346134B1 KR100346134B1 (ko) 2002-08-09

Family

ID=1967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801A KR100346134B1 (ko) 2000-07-25 2000-07-25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1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5472A (zh) * 2015-07-15 2015-11-25 陈森法 一种使用皮带分隔的水稻种植装置
CN105075471A (zh) * 2015-07-15 2015-11-25 汪贤女 一种高效降温的水稻种植装置
CN108260382A (zh) * 2018-01-16 2018-07-10 深圳润丰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功能的批量性蔬菜种子播撒用设备
CN108909953A (zh) * 2018-07-06 2018-11-30 施旭梅 一种便于水稻种植用的稻田地运输漂浮装置
CN114793564A (zh) * 2022-04-14 2022-07-29 黑龙江省农业机械工程科学研究院 一种小区播种自动分种装置及分种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5472A (zh) * 2015-07-15 2015-11-25 陈森法 一种使用皮带分隔的水稻种植装置
CN105075471A (zh) * 2015-07-15 2015-11-25 汪贤女 一种高效降温的水稻种植装置
CN108260382A (zh) * 2018-01-16 2018-07-10 深圳润丰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功能的批量性蔬菜种子播撒用设备
CN108260382B (zh) * 2018-01-16 2020-06-05 安徽华强种业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功能的批量性蔬菜种子播撒用设备
CN108909953A (zh) * 2018-07-06 2018-11-30 施旭梅 一种便于水稻种植用的稻田地运输漂浮装置
CN108909953B (zh) * 2018-07-06 2019-11-01 扬州顺达重工设备有限公司 一种便于水稻种植用的稻田地运输漂浮装置
CN114793564A (zh) * 2022-04-14 2022-07-29 黑龙江省农业机械工程科学研究院 一种小区播种自动分种装置及分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134B1 (ko) 200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97792B2 (ja) 歩行型苗移植機
JP2010154798A (ja) 苗移植機
KR20120019961A (ko) 식모장치
KR100346134B1 (ko)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JP4635723B2 (ja) 苗移植機
JP2006333722A5 (ko)
JP5146298B2 (ja) 苗移植機
KR100346133B1 (ko)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CN217960228U (zh) 咬骨钳
KR100576067B1 (ko) 정식기의 플러그묘 취출장치
KR950005076B1 (ko) 집게 제책기
JP6233493B2 (ja) 移植機
JP2008307057A (ja) 苗移植機
CN205491744U (zh) 一种移栽取苗装置
JPH10178826A (ja) 苗取出装置
JP3898200B2 (ja) 移植機の苗取出装置
JP4168200B2 (ja) 苗移植機
CN213217349U (zh) 一种便携式持针器
JP2000333514A (ja) 移植機の植え付け爪
KR102116639B1 (ko) 멀칭지 고정 장치
JP4381562B2 (ja) 苗移植機
JP2002017119A (ja) 苗移植機
US3818573A (en) Implement for affixing metal pick to flower stem
JP2016010329A5 (ko)
JPS60145011A (ja) 苗植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