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133B1 -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133B1
KR100346133B1 KR1020000042800A KR20000042800A KR100346133B1 KR 100346133 B1 KR100346133 B1 KR 100346133B1 KR 1020000042800 A KR1020000042800 A KR 1020000042800A KR 20000042800 A KR20000042800 A KR 20000042800A KR 100346133 B1 KR100346133 B1 KR 10034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cylinder
hair
shaft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234A (ko
Inventor
박석호
박원규
최덕규
강태경
김학진
곽태용
김진영
김웅길
Original Assignee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1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ipulator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소정위치에 굴곡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플레이트(10);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2);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회전링크(13); 제2힌지축에 축설되어 회전링크의 작동에 의해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직선링크(15); 상단에 소정간격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20); 상단 일측에 소정간격 절개홈이 형성된 피스톤축(30); 상기 피스톤축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구(33); 상부로 돌출되게 걸림구가 설치된 작동로드(40); 선택적으로 걸림구를 걸어 정지시키는 걸림편(50); 상기 걸림구의 접촉에 의해 실린더의 타측 상단에 구비된 제5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 아암(60); 상기 아암의 선단에 구비되며, 모를 취출하는 집게(70)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플러그 육모트레이에 육모된 모를 하나씩 취출하여 식부호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SUPPIY DEVICE AND SEED PICK UP OF IN CURVE SLIDING FOR TRANS-PLANTER}
본 발명은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육모트레이에 육모된 모를 하나씩 취출하여 식부호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정식(定植)은 옮겨심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정식의 목적은 모를 자립시켜 튼튼하게 키우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모를 옮겨심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반자동정식기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반자동정식기는 모를 하나씩 식부호퍼에 공급하는 사람과 기계를 운전하는 사람 등 필수인원이 꼭 2명 이상이 작업을 해야 하므로 농가에서 작업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반자동정식기는 인력에 의존하므로 10a당 19.8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러그 육모트레이에 육모된 모를 하나씩 취출하여 식부호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모를 공급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1명이 정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10a당 2시간 정도로 작업시간을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비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정식기의 적소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위치에 굴곡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적소에 축설되며,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일단은 상기 구동축에 축설되고, 타단은 제1힌지축에 축설되어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회전링크; 일단은 상기 제1힌지축에 축설되고, 타단은 가이드홈을 통과하여 가로지른 제2힌지축에 축설되어 회전링크의 작동에 의해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직선링크; 상기 제2힌지축에 고정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며, 상단에 소정간격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상기 플레이트의 적소에 축설된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실린더의 일측 내부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며, 상단 일측에 소정간격 절개홈이 형성된 피스톤축; 상기 피스톤축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구; 상기 스프링의 일측 선단에 끼워져 실린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며, 적소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걸림구가 설치된 작동로드; 상기 탄성구의 일측 상단에 구비된 제4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되며, 선택적으로 걸림구를 걸어 정지시키는 걸림편; 상기 걸림구의 접촉에 의해 실린더의 타측 상단에 구비된 제5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선단에 구비되며, 모를 취출하는 집게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4 의 (a)(b)(c)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 11 : 가이드홈
12 : 구동축 13 : 회전링크
15 : 직선링크 20 : 실린더
30 : 피스톤축 40 : 작동로드
50 : 걸림편 60 : 아암
70 : 집게 80 : 분리링
본 발명에 적용된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즉, 정식기(도면상 미 도시함)의 적소에는 소정위치에 굴곡되게 가이드홈(11)이 형성된 플레이트(10)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의 적소에는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2)이 축설되는 것으로, 이 구동축(12)의 일단에는 제1힌지축(14)에 축설되어 함께 회전 작동하는 회전링크(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축(14)의 일단에는 직선링크(15)가 축설되는 것으로, 이 직선링크(15)의 타단은 플레이트(10)의 적소에 구비된 제2힌지축(16)에 축설된다.
부호 20은 상기 제2힌지축(16)에 고정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며, 상단에는 소정간격 개구부(21)가 형성된 실린더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20)의 일측 내부에는 피스톤축(30)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 피스톤축(30)은 플레이트(10)의 적소에 구비된 제3힌지축(32)을 중심으로 실린더(20)의 일측 내부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이고, 상기 피스톤축(30)의 상단에는 소정간격 절개홈(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축(30)의 내부에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구(33)가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축(30)의 일측 끝단에는 탄성구(33)의 탄발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볼트(90)가 체결 설치된다.
부호 40은 상기 탄성구(33)의 일측 선단에 끼워져 실린더(2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며, 적소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걸림구(41)가 설치된 작동로드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20)의 일측 상단에는 제4힌지축(51)을 중심으로 작동되며, 선택적으로 걸림구(41)를 걸어 정지시키는 걸림편(50)이 구비된다.
부호 60은 상기 걸림구(60)의 접촉에 의해 실린더(20)의 타측 상단에 구비된 제5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 아암으로, 이 아암(60)의 적소에는 벌어진 아암(60)을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6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암(60)의 선단에는 모를 취출하는 집게(7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때 일측 끝단은 상기 작동로드(40)의 선단에 구비되고, 타측 선단은 집게(70)의 외주면에 끼워져 집게(70)로 파지한 모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링(8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0)의 적소에는 제4힌지축(51)을 회전시킴에 따라 걸림구(41)에서 걸림편(50)을 해지시켜 작동로드(40)가 탄성구(33)의 탄발력에 의해 실린더(20)의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스톱퍼(17)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100은 모 트레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의 (a)에서는 본 발명이 작동되기 전의 최초 상태로, 제2힌지축(16)이 가이드홈(11)의 일측 하단에 위치하여 실린더(20)가 아래로 하강한 상태이고, (b)는 제2힌지축(16)이 가이드홈(11)의 중간에 위치하여 실린더(20)가 경사지게 위치한 상태이며, (c)는 제2힌지축(16)이 가이드홈(11)의 상단에 위치하여 실린더(20)가 수평인 상태로 위치하는 것이고, (d)는 집게(70)가 모트레이(100)에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력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12)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축(12)에 축설된 회전링크(13)가 구동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링크(13)의 일측 즉, 제1힌지축(14)과 제2힌지축(16)의 사이에 설치된 직선링크(15)도 회전링크(13)의 구동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제2힌지축(16)은 플레이트(10)의 가이드홈(11)을 따라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직선링크(15)의 작동에 의해서는 제2힌지축(16)에 연결된 실린더(20)가 함께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실린더(20)는 일측에 구비된 피스톤축(30)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로 작동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축(30)은 제3힌지축(32)의 중심을 따라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집게(70)는 모트레이(100)의 내부로 진입을 하게 되는 것으로, 도 4 의 (a)는 제2힌지축(16)이 가이드홈(11)의 상단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모를 취출할 때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b)는 제2힌지축(16)이 가이드홈(11)의 중간에 위치한 상태로, 모를 취출한 후 당길때의 평면도이고, (c)는 제2힌지축(16)이 가이드홈(11)의 일측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모를 분리한 때의 평면도이다.
한편 상기 아암(60)은 제5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것으로, 이때 작동로드(40)의 걸림구(41)가 아암(60)의 후단 사이에 맞닿게 위치하면아암(60)의 후단이 벌어지게 되고 반대로 선단인 집게(70)는 좁혀지게 되어 모를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암(60)의 후단 사이에 걸림구(41)가 위치하면 걸림편(50)이 걸림구(41)를 걸어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작동로드(40)의 후단에 위치한 탄성구(33)는 압축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양 아암(60)의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62)은 벌어진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0)가 일측 하단으로 후진한 상태에서 걸림편(50)이 플레이트(10)에 구비된 스톱퍼(17)에 의해 실린더(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4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걸림편(50)은 걸림구(41)에서 이탈되는 동시에 작동로드(40)는 탄성구(33)의 탄발력에 도 2 의 (a) 및 도 4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0)의 전방으로 전지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걸림구(41)가 아암(60)의 사이에서 빠지게 됨으로 벌어져있던 아암(60)은 스프링(62)의 복원력에 의해 제5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집게(70)를 벌어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로드(40)의 전진에 의해서는 선단에 구비된 분리링(42)이 집게(70)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모를 밀어서 호퍼로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스톤축(33)의 후단에 구비된 조절볼트(90)를 전후로 조절함에 따라 피스톤축(30)의 내부에 내장된 탄성구(33)의 탄성력을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이 반복 됨으로 인해 모 트레이(100)에 놓여진 모를 용이하게 호퍼로 투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 육모트레이에 육모된 모를 하나씩 취출하여 식부호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모를 공급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1명이 정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10a당 2시간 정도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비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정식기의 적소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위치에 굴곡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적소에 축설되며,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일단은 상기 구동축에 축설되고, 타단은 제1힌지축에 축설되어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회전링크;
    일단은 상기 제1힌지축에 축설되고, 타단은 가이드홈을 통과하여 가로지른 제2힌지축에 축설되어 회전링크의 작동에 의해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직선링크;
    상기 제2힌지축에 고정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며, 상단에 소정간격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
    상기 플레이트의 적소에 축설된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실린더의 일측 내부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며, 상단 일측에 소정간격 절개홈이 형성된 피스톤축;
    상기 피스톤축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구;
    상기 스프링의 일측 선단에 끼워져 실린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며, 적소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걸림구가 설치된 작동로드;
    상기 탄성구의 일측 상단에 구비된 제4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되며, 선택적으로 걸림구를 걸어 정지시키는 걸림편;
    상기 걸림구의 접촉에 의해 실린더의 타측 상단에 구비된 제5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선단에 구비되며, 모를 취출하는 집게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일측 끝단은 상기 작동로드의 선단에 구비되고, 타측 선단은 집게의 외주면에 끼워져 집게로 파지한 모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축의 일측 끝단에 체결되어 탄성구의 탄발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볼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양 아암의 적소에 구비되며, 벌어진 아암을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적소에는 제4힌지축을 회전시킴에 따라 걸림구에서 걸림편을 해지시켜 작동로드가 탄성구의 탄발력에 의해 실린더의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스톱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KR1020000042800A 2000-07-25 2000-07-25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KR10034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800A KR100346133B1 (ko) 2000-07-25 2000-07-25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800A KR100346133B1 (ko) 2000-07-25 2000-07-25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234A KR20020009234A (ko) 2002-02-01
KR100346133B1 true KR100346133B1 (ko) 2002-08-09

Family

ID=1967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800A KR100346133B1 (ko) 2000-07-25 2000-07-25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83B1 (ko) 2018-01-16 2019-10-02 (주)네스트아이앤씨 수직 이동 구조의 정식기의 식부 장치
CN110100545A (zh) * 2019-05-30 2019-08-09 黑龙江省农垦科学院 一种全自动钵苗移栽滑道翻转式钵苗夹取投放机构
CN111010949A (zh) * 2019-11-20 2020-04-17 安徽三弟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玉米移栽种植用种植器
CN112119711B (zh) * 2020-09-01 2021-10-29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具有聚拢叶子功能的花卉移栽手爪
CN115399097B (zh) * 2022-09-23 2023-06-20 鞠蕊蕊 多功能市政园林用播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805A (ja) * 1993-03-04 1994-11-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805A (ja) * 1993-03-04 1994-11-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원철, 2000.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234A (ko) 200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3757A (en) Wafer gripping device
CN109291517B (zh) 一种全自动穿绳机
KR100346133B1 (ko) 정식기의 곡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CN113894829B (zh) 一种多爪同步机械手
DE2555396A1 (de) Vorrichtung zum einsetzen von tampons in einfuehrer
CN113767842B (zh) 一种浅海养殖电动夹苗机
CN111119762B (zh) 一种具备复合功能的钻机管柱处理机械手扶持钳
US5406685A (en) Pulling tool for extracting ring inserts
KR100346134B1 (ko)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GB9926244D0 (en) Wire stripper
CN208317443U (zh) 一种菠萝采摘器
EP0064644B1 (fr) Dispositif de centrage et de guidage d&#39;une tige de perçage du trou de coulée d&#39;un four à cuve et perceuse pourvue d&#39;un tel dispositif
JPS62130139A (ja) 自動歯車組立装置
KR100576067B1 (ko) 정식기의 플러그묘 취출장치
CN209845711U (zh) 一种具有双夹手的双夹片式钵苗移栽夹取装置
KR200349065Y1 (ko) 오링 및 슬리브 삽입장치
CN216673811U (zh) 移植机
CN113321050B (zh) 一种可调节抓取机械手
USRE28608E (en) Automatic assembly machine
JP2998052B2 (ja) いか処理装置及びいかの処理方法
CN219761952U (zh) 一种高频震动摘果机械手
CN219719324U (zh) 一种园林绿化用起苗装置
JP3358196B2 (ja) 苗植付け装置
JP2001069817A (ja) 苗移植機
CN220384978U (zh) 一种可调整吸尘结构大小的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