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191A -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191A
KR20020009191A KR1020000042697A KR20000042697A KR20020009191A KR 20020009191 A KR20020009191 A KR 20020009191A KR 1020000042697 A KR1020000042697 A KR 1020000042697A KR 20000042697 A KR20000042697 A KR 20000042697A KR 20020009191 A KR20020009191 A KR 20020009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vibration
coil
shock
second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일
Original Assignee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102000004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9191A/ko
Publication of KR2002000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1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2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rod-shape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플리와이어의 중간부에 충격과 진동등의 외압에 충분히 견디면서 충격이 웰딩포인트까지 전달하지 않고 자체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월딩포인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품질향상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점화코일(10)로부터는 외부터미널과 연결하기 위한 고전압 전달용인 서플리와이어(12)가 인출되고,
상기 서플리와이어(12)의 끝단부에는 외부터미널과의 용접을 위한 웰딩포인트(13)를 가지는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에 있어서;
상기 서플리와이어(12)의 중간부에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15)를 더 형성하되;
상기 완충부(15)는 차체진동이나 자체진동을 원활하게 흡수하여 월딩포인트(13)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타입과 같이 원형으로 권선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Ignition coil of direct ignition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코일에서 발생한 고전압을 외부의 터미널로 전달하기 위한 고전압전달용와이어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점화코일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으며 특히 각각의 스파크플러그에 대응하여 엔진블럭상에 직접장착되는 독립점화코일이라 칭하는 것이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이다.
이러한 점화코일은 저전압을 공급받아 스파크플러그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독립된 케이스의 내부에 1,2차코일 권선보빈을 내장하게 된다.
2차코일은 직경이 큰 2차코일보빈에 권선되고 1차코일은 2차코일보빈의 내방에 수용되어 그 중심에는 마그네트코어가 삽입되어 통상의 변성작용을 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점화코일로부터는 외부터미널과 연결하기 위한 고전압 전달용 와이어가 인출되고, 인출된 고전압 전달용와이어의 단부는 터미널과 스포트용접으로 고정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2차코일 권선보빈(1)에 권선된 2차코일로 부터 인출되어 고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서플리와이어(Supply Wire;2)가 구비되고, 상기 서플리와이어(2)의 끝단부에는 외부터미널과의 용접을 위한 웰딩포인트(3)를 가진다.
상기 서플리와이어(2)의 중간부에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스퀘어타입(Square Type)의 절곡부(4)를 가지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실차장착된 후 자동차의 주행등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서플리와이어의 중간부에 형성한 절곡부에서 차체또는 자체진동등에 의한 떨림현상이 일어나고, 이러한 진동은 외부터미널과 연결된 웰딩포인트까지 그대로 전달되어진다.
이는 서플리와이어의 중간부에 진동등을 흡수하기 위하여 형성한 절곡부에서 정상적으로 진동등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순한 절곡형태를 가짐으로서 서플리와이어의 끝단부까지 그 진동등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스퀘어와이어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웰딩포인트에 피로가 누적되어 손상내지 단선됨으로서 스포트 용접된 웰딩포인트가 외부터미널로부터 이탈되어 정상적인 기능의 수행이 불가능해지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유발될 경우에는 점화코일의 성능과 품질이 저하되어 자동차 시동불량이 우려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서플리와이어의 중간부에 충격과 진동등의 외압에 충분히 견디면서 충격(진동)을 웰딩포인트까지 전달하지 않고 자체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월딩포인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품질향상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점화코일
11; 권선보빈
12; 서플리와이어
13; 웰딩포인트
15; 완충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자동차용 점화코일은 저전압을 공급받아 스파크플러그에 고전압을 인가하기위하여 독립된 케이스의 내부에 1,2차코일 권선보빈을 내장하게 된다.
2차코일은 직경이 큰 2차코일보빈에 권선되고 1차코일은 2차코일보빈의 내방에 수용되어 그 중심에는 마그네트코어가 삽입되어 통상의 변성작용을 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점화코일로부터는 외부터미널과 연결하기 위한 고전압 전달용 와이어가 인출되고, 인출된 고전압 전달용와이어의 단부는 터미널과 스포트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점화코일(10)을 살펴보면;
2차코일 권선보빈(11)에 권선된 2차코일로 부터 인출되어 고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서플리와이어(Supply Wire;12)가 구비되고, 상기 서플리와이어(12)의 끝단부에는 외부터미널과의 용접을 위한 웰딩포인트(13)를 가진다.
상기 서플리와이어(12)의 중간부에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15)를 더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부(15)를 차체진동이나 자체진동을 원활하게 흡수하여 월딩포인트(13)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타입과 같이 원형으로 권선시켜 구성한다.
상기 완충부(15)의 권선회수는 1회에서 2,3회등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1회 권선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점화코일(10)을 실차장착한 상태에서 차제진동이나 점화코일 자체의 진동이 유발되어라도 점화코일(10)에서 인출되어 터미널과 연결되는 서플리와이어(12)로전달되는 진동은 서플리와이어(12)의 중도에 더 형성한 완충부(15)에 의하여 상쇄 됨으로서 웰딩포인트(13)에 피로를 주는 현상이 없게된다.
그러므로, 웰딩포인트가 손상되는 현상이 없어지므로 고전압의 유효하게 전달되어 제품의 내구성과 품질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서플리와이어(12)의 중도에 형성하는 완충부(15)가 스프링타입으로 형성하고 있음으로서 진동등이 완충부(15)에서 흡수하여 웰딩포인트(13)까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서플리와이어의 중간부에 충격과 진동등의 외압에 충분히 견디면서 충격이 웰딩포인트까지 전달하지 않고 자체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월딩포인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품질향상등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자동차용 점화코일은 저전압을 공급받아 스파크플러그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독립된 케이스의 내부에 1,2차코일 권선보빈을 내장하고;
    상기 2차코일은 직경이 큰 2차코일보빈에 권선되고 1차코일은 2차코일보빈의 내방에 수용되어 그 중심에는 통상의 변성작용을 위하여 삽입되는 마그네트코어;
    상기 점화코일(10)로부터는 외부터미널과 연결하기 위한 고전압 전달용인 서플리와이어(12)가 인출되고,
    상기 서플리와이어(12)의 끝단부에는 외부터미널과의 용접을 위한 웰딩포인트(13)를 가지는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에 있어서;
    상기 서플리와이어(12)의 중간부에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15)를 더 형성하되;
    상기 완충부(15)는 차체진동이나 자체진동을 원활하게 흡수하여 월딩포인트(13)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타입과 같이 원형으로 권선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
KR1020000042697A 2000-07-25 2000-07-25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 KR20020009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697A KR20020009191A (ko) 2000-07-25 2000-07-25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697A KR20020009191A (ko) 2000-07-25 2000-07-25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191A true KR20020009191A (ko) 2002-02-01

Family

ID=1967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697A KR20020009191A (ko) 2000-07-25 2000-07-25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919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1606A (ja) * 1981-11-26 1983-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装置
JPH07287810A (ja) * 1994-04-18 1995-10-31 Sony Corp 線材巻線用ボビン
JPH11233353A (ja) * 1998-02-10 1999-08-27 Funai Electric Co Ltd 雑音低減トランス
JP2000124037A (ja) * 1998-10-15 2000-04-28 Sony Corp 部品の端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1606A (ja) * 1981-11-26 1983-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装置
JPH07287810A (ja) * 1994-04-18 1995-10-31 Sony Corp 線材巻線用ボビン
JPH11233353A (ja) * 1998-02-10 1999-08-27 Funai Electric Co Ltd 雑音低減トランス
JP2000124037A (ja) * 1998-10-15 2000-04-28 Sony Corp 部品の端子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5557B1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951028B1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CN101573769B (zh) 电磁调整装置
JP4267042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US5026294A (en) Ignition plug socket structure
US6836203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0009191A (ko) 자동차용 직접점화장치용 점화코일
EP0987435B1 (en) Spark plug ignition coil assembly for direct ignition system
JP3550643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4441872B2 (ja) スティック形点火コイル及びその円筒部材
JPH09232160A (ja) 点火コイル装置
US6192873B1 (en) Ignition coil having spring for connecting the same to spark plug
US7075400B2 (en) Electrical contacting of thin enameled wires of secondary windings of ignition coils
JP2003188034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US6636138B2 (en) Ignition coil for motor vehicles
JP3988430B2 (ja) 点火コイル
JP3936944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US20050174206A1 (en) Stick-type ignition coil and terminal assembly therefor
EP1135010A3 (en) Starting device for discharge lamp
US5890473A (en) Ignition device for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56180B1 (en) High-voltage generating transformer
KR102414922B1 (ko) 씨엔지 엘피지 공용 점화코일
KR100783252B1 (ko) 자동차용 펜슬형 점화코일
JP2020205359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6245078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