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180A - 자동차용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180A
KR20020008180A KR1020017014213A KR20017014213A KR20020008180A KR 20020008180 A KR20020008180 A KR 20020008180A KR 1020017014213 A KR1020017014213 A KR 1020017014213A KR 20017014213 A KR20017014213 A KR 20017014213A KR 20020008180 A KR20020008180 A KR 20020008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river
potential
lines
swi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695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젤거
마르텐 슈바르트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2000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3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random access, e.g. carrier-sense multiple-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 H04L12/4135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random access, e.g. carrier-sense multiple-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using bit-wise arbi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락 회로에 대한 보호를 개선하기 위하여, 선 단락 회로가 검출된 후에, 데이터 전송이 계속 되는 방식으로, 2선식 버스(8)의 선 극성을 스위칭 오버한다. 게다가, 선 전위 검사가 수행되고, 검사에 따라서, 과부하된 드라이버(2,3)가 영구히 스위칭 오프로 남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SYSTEM FOR TRANSMITTING DATA, ESPECIALLY IN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DE 196 22 685 A1에서,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해당하고 자동차의 승객 보호 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는 두 개의 선을 갖는 버스를 통해 점화 드라이버 회로에 연결된다. 두 개의 버스선 사이에서, 직류 전압은 진폭 변조에 의하여 전송된 데이터 신호가 변조되는 전압을 점화 드라이버 회로에 제공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오류의 결과로서 버스선 중 하나가 고정 전위, 예컨대 접지 전위, 차량내 전위 또는 오류의 결과로서 다른 고정 전위에 있는 부재와 도전 접촉 상태에 있다면 데이터 전송이 더 이상 신뢰성있게 보장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단락 회로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도전 접촉은 자동차 내에서 강하게 발생하는 진동, 절연체의 마모 또는 흠집 등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안전 결정적 방식(safety-critical manner)에서 손상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뿐 아니라 버스 드라이버가 단락 회로가 제거되거나 또는 사라진 후에 임의의 후속 데이터 통신을 방해하거나 또는 불가능하게 할 수 있는 높은 단락 회로 전류에 기인하여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드라이버는 교체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선을 갖는 버스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 실시예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두 개의 버스선 상에서 발생하는 신호 변화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단락-회로 저항을 개선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조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서 언급된 특징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 6 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버스선의 단락 회로 발생은 능동적으로 검사되고 단락 회로 전류 또는 전압이 발생할 때, 해당하는 계수 측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두 개의 버스선의 공칭 전위는 단락 회로가 검출된 후에 스위칭 오버되어 예컨대, 이전에 양의 전위를 지닌 선이 0 전위 또는 낮은 전위가 되고 이전에 0 전위 또는 낮은 전위의 선이 높은 전위로 스위칭 오버되도록 한다. 만약, 예컨대, 이전에 높은 전위의 버스선이 접지된 단락 회로가 되거나 또는 낮은 전위 값이 되는 것을 나타낸다면, 버스선 전위의 스위칭 오버는 버스선들 사이의 동일한 전압차가 수신기의 단부에서 기본적으로 수신되고 설계 진폭 변조 백분율이 데이터 전송에서 기본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접지 전위 또는 낮은 전위로 단락된 다른 버스선에 대하여 전위차가 크게 유지되도록, 이전에 0 전위 또는 0 전위 부근에 있는 버스선이 이러한 극성 스위칭-오버 후에 높은 전위를 가지기 때문이다. 만약 버스선이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연결된 데이터 처리 유닛의 직류-전류 공급에도 사용된다면, 단락 회로의 경우에 두 개의 버스선의 극성 스위칭-오버는 신뢰가능한 데이터 전송뿐 아니라, 만약 필요하다면, 계속적인 전압 공급이 유지되도록 가능하게 할 수 있다(DE 196 22 685 A1 참조).
단락 회로가 검출될 때, 단락된 버스선의 드라이버는 또한 사용불가능하고, 만약 필요하다면, 초과 단락-회로 전류에 기인한 드라이버의 과부하와 손상을 피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단락-회로가 없는 경우에, 하나의 버스선만이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진폭 변조에 영향을 주는 반면에 다른 버스선은 일정한 전위로 남는다. 진폭 변조를 위하여 다른 버스선에 대한 스위칭-오버가 발생하는 것은 오로지 단락 회로가 이전에 진폭-변조된 버스선 상에 발생한 후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버스 드라이버 시스템은 균형되게 설계되고, 예컨대, +10V 와 0V 의 공칭 선 전압을 동시에 변조하여 원하는 변조 진폭 변화가 동일하게 두 개의 선에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진폭 변조가 50%의 변조 백분율을 갖도록 설계된다면, 한 선은, 예컨대, +10V와 +7.5V 사이에서 스위칭 오버되는 반면에 다른 선은 0V와 +2.5V 사이에서 동시에 스위칭된다. 따라서 수신기는 두 개의 버스 선 사이에서 10V와 5V의 다른 전압 변동을 나타낸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두 개의 선 드라이버 중 하나가 관련된 버스선의 단락회로 때문에 스위칭 오프되어야 한다면, 다른 기능을 하는 버스선의 드라이버는 바람직하게 전압 스윙(voltage swing)의 두배를 발생하는 방식으로 스위칭 오버된다. 만약, 예컨대, +10V 버스선이 접지로 단락된다면, 다른 버스선이 이전의 0V에서 +10V로 스위칭될뿐 아니라 드라이버도 +10V와 +5V 사이의 진폭 변조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수신기는 방해받지 않는 경우와 동일한 진폭 변조 백분율을 수신한다. 이것은 데이터 전송 신뢰도를 더욱 개선시킨다. 또한 다른 버스선 드라이버의 기능을 억제한(disabling) 후에 한 드라이버의 진폭 스윙의 2 배화(doubling)는 버스선 전위의 이전 전위 스위칭-오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만약, 예컨대, 이전에 0V의 공칭 전위로 동작되는 버스선이 접지에 대하여 영구 단락 회로가 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당연히, 전위 스위칭-오버는 발생하지 않고 높은 레벨에 있는 다른 버스선 드라이버의 진폭 스윙이 계속 바람직하게 두 배가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명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임의의 형태의 데이터와 임의의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자동차 분야에, 예컨대, 중앙 제어 장치와 감지기 및/또는 점화 드라이버 회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동차 승객 보호 시스템에 사용되거나 또는 고정된 제어 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것에 사용된다.
다음 설명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예컨대, 자동자 승객 보호 시스템이 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와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두 개의 버스 드라이버(2,3)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10)를 포함한다. 각각의 드라이버(2,3)는 2선식(two-wire) 버스(8)의 선(6,7)이 하나씩 제공되며,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그리고 또한, 두 개의 선 또는 단자를 통해 버스(8)의 두 개의 선(6,7)에 연결되어 있는, 추가의 데이터 전송 또는 데이터 처리 유닛(9)에 직류 전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관련된 선(6,7) 상의 전위를 제어한다. 선(6)은 선(6)의 전위 및/또는 전류 흐름을 검출하는 검출기(U/I 검출기)(4)에 연결되어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검출기(U/I 검출기)(5)는 선(7)의 전위 및/또는 전류 흐름을 검출하기 위하여 선(7)에 연결되어 있다. 검출기(4,5)의 출력은 선(6,7)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감시하도록 선을 통해 제어 장치(1)의 입력에 인가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검출기(4,5)는 현재 흐르는 전류를 단락 회로를 나타내는 기준값과 비교하고, 기준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초과될 때, 초과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장치(1)에 인가하는 단순한 단락-회로 전류 검출기로서 구성된다. 이것은 제어 장치 자체의 전류 조합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 장치(1)를 크게 완화시킨다. 그러나 검출기(4,5)는 또한 부가적으로 제어 장치(1)가 또한 예기치 않은 전위 변화에 기인한 단락 회로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선(6,7)의 전류 전위 값을 검출한다. 방해받지 않는 경우에, 드라이버(2)는 적어도 데이터 전송 동안 그러나 가능한 스위칭-온 동작 상태 동안 계속적으로, 예컨대, +10V의 고전위 값에서 선(6)을 추적한다. 방해받지 않는 경우에, 드라이버(2)는 통상적으로 10V의 전위차가 버스 상에 존재하도록 선(6)의 전위로부터 이탈된 전위값, 예컨대 0V 를 선(7)에 인가한다. 이러한 전압차는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변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드라이버(2)는 전송될 0 과 1 의 비율로 일반 전위 +10V와 낮은 전위값, 예컨대, +7.5V 사이에서 선택된 코딩 형태와 독립하여 선(6)의 전위를 스위칭한다. 더욱이 대칭적이고 동시적으로, 또한 드라이버(3)은 전위값 0 과 +2.5V 사이에서 선(7)의 전위를 가변시킨다. 따라서, 전압차는 +5V 와 +10V 사이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비율로 스위칭된다. 이러한 전압차의 변화는 데이터 처리 유닛(9)에 의하여 검출되고 산출된다. 대체로, 다른 데이터 처리 유닛들 또한 버스(8)에 연결되어 있고, 다음에 유닛들은 유닛들의 주소를 통해 선택된다. 양방향 통신의 경우에, 또한 드라이버들이 버스 전압을 변조하기 위하여 데이터 처리 유닛(9)에 제공되고, 다음에 제어 장치(10)는 선(6,7)에 연결된 대응 산출 회로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전압 +10V 와 0V (또는 다른 적당한 값들)는 각각 두 개의 드라이버에 인가되어, 오류의 경우에 드라이버(2)가 10V의 공칭 전위로부터 0V로 스위칭될 수 있고 동일한 방식으로 드라이버(3)는 0V의 공칭 전위로부터 10V의 공칭 전위로 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선(6,7) 상의 전압 극성은 스위칭 오버될 수 있다. 스위칭-오버된 후에, 드라이버(2)는 전위값 0V 와 +2.5V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선(6)을 변조하는 반면에 드라이버(3)는 선(7)을 +10V와 +7.5V 사이로 진폭 변조시킨다. 따라서, 버스 상에서 발생하는 전압차는 스위칭-오버 후라도 5V와 10V 사이에서 변조되고, 유일한 차이는 선(7)이 선(6)보다 더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스위칭-오버는 임의의 단락 회로의 형태가 검출된 후에 발생하며,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드라이버(2,3)의 입력부 각각에 +10V와 0V의 공칭 값을 제공하는 대신에, 드라이버(2,3)을 선(6,7)에 연결하는 것은 단락-회로의 경우에 스위칭 오버되어, 드라이버(2)가 +10V와 +7.5V 사이에서 선(7)을 변조시키는 반면에 드라이버(3)은 선(6)에 연결되고 0V +2.5V 사이에서 선(6)을 변조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공급 드라이버(2)에 "0V" 제공을 생략하는 것은, 공급 드라이버(3)에 "+10V"를 제공하는 것과 같다.
선택에 따라서, 두 개의 드라이버(2,3)는 또한, 각각 한 개만 활성화되는 +10V와 0V를 위한, 두 개의 분리된 드라이버 세그먼트가 제공되며, 제어 장치(1)는 드라이버(2,3)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 선들을 통해 두 개의 드라이버 부분들 사이에서 스위칭-오버를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사실상 네 개의 드라이버가 있는데, 각각 두 개만 또는 필요한 경우 다른 버스선을 위하여 드라이버의 완전한 단절의 경우에 한 개만이 동작한다. 이상에서 특정된 전압값 0V, 2.5V, 7.5V 그리고 10V는 단지 예시적이고 또한 실제 상태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한 개 만의 버스선, 예컨대 선(6), 상의 전압 진폭을 변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버스선(6)의 단락 회로가 검출된 후에, 다음에 데이터 전송이 계속될 수 있도록 다른 선(7)의 변조를 스위칭 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와 관련하여, 데이터 전송의 동작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프로그램 루틴이 시작된 후에, 드라이버(2)가 전류 제한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 즉 단락-회로 전류가 흐르는지를 검사하는 것이 단계(S1)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은 제어 장치(1)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검출기(4)를 통해 검출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단락 회로 전류는 또한 제어 장치(1)에서 직접 검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전류 제한은 150mA로 설정될 수 있는 반면에 시스템이 정상으로 동작할 때 최대 전류 흐름은, 예컨대, 100mA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값보다 더 강한 전류 흐름은, 예컨대, 자동차 섀시의 접지 전위가 될 수 있는 또 다른 전위에 대한 단락 회로 선(6)의 신호이다. 그러나, 다른 전위에 있는 예컨대 선과 같은 부재에 대한 단락 회로가 또한 가능하다. 만약 드라이버(2)가 전류 제한 모드 상태에 있다면, 방해받지 않는 경우에 선(6)의 전위는 0V로 떨어지도록 단계(S2)에서 스위칭 오프될 것이다. 다음에 제어 장치(1)는 선(6)의 전압 aM이 5V 보다 큰가, 즉 선(6,7) 사이의 일반 전압차의 절반보다 큰가를 단계(S3)에서 검사한다. 게다가, 선(7)의 전위 bM가 5V보다 큰가를 검사한다. 선(7)의 전위 bM의 검사는 버스선의 극성 변화가 가치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할 수 있기 위하여 수행된다. 이것은, 만약 선(7)의 전위 bM가 또한 5V 이상이 된다면, 극성 스위칭-오버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전체 상황에서 현저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전위 aM및/또는 bM가 5V보다 크다면, 단계(S3)는 드라이버(2)가 스위칭 오프되도록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그러나, 만약 단계(S3)의 응답이 NO라면 드라이버(2)가 다시 스위칭온이 되는 단계(S4)로 변하고, 다음에 마지막 재설정(reset)이, 예컨대, 수동으로 또는 시스템 스위치-온 상태에서 수행된 후에 이러한 블럭을 전에 통과했는지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단계(S9)로 변한다. 만약 이러한 경우에, 단계(S9)는 시스템이 대기 상태에 있도록 여러번 반복된다. 만약 단락-회로 문제가 극성 변화에 의하여 해결될 수 없다면 이러한 단계(S9)는 하기 설명에 따른 주기적인 극성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만약 필요하다면, 단계(S9)는 또한 처리단계가 단계(S4) 후에 단계(S10)로 직접 변하도록 생략될 수 있다. 만약 단계(S9)의 응답이 "NO"라면, 버스(8)의 극성은 즉 선(6,7)의 공칭 전위 값이 교환되는, 단계(S10)으로 스위칭 오버된다. 이러한 처리단계에서, 드라이버(2)는 0V 전위를 버스선(6)에 인가하여 다음에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에 0V와 +2.5V사이에서 스위칭 오버되는 방식으로 제어 장치(1)에 의하여 스위칭 오버된다. 반대로, 드라이버(3)은 선(7)을 +10V의 공칭 전위로 스위칭하고, 가능한 진폭을 +7.5V로 변조하는 방식으로 제어장치(1)에 의하여 스위칭 오버된다. 버스(8)의 극성 스위칭-오버 후에, 처리단계는 단계(S1)로 되돌아가며 드라이버(2)가 아직 현재의 제한 모드에 있는지 아닌지를 다시 검사한다. 만약 단계(S1)의 응답이 "NO"라면, 처리 단계는 드라이버(3)가 다음에 해당 버스선(7)의 단락회로에 대하여 검사하는 단계(S5)로 변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선(7)에 흐르는 전류는 검출기(5)에 의하여 조사되고 현재에 측정된 대응 결과 또는 전류값은 제어 장치(1)에 기록된다. 만약 단락회로가 없다면, 즉 드라이버(3)이 전류 제한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단계(S1,S5)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처리단계는 단계(S1)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만약 반대로 드라이버(3)이 전류-제한 모드에 있다면, 처리단계는 드라이버(3)이 스위칭-오프되는 단계(S6)로 변한다. 그 후에, 선(6)의 전위 aM및/또는 선(7)의 전위 bM이 각각 5V 이하인지를 검사하는 단계(S7)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검출기(4,5)를 이용하여 선(6,7)에 전압을 검사하고 제어장치(1)에 기록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또는 단계(S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장치(1)에 의한 직류 전위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만약 하나 또는 두 개의 전위 aM또는 bM가 5V 이하라면, 시스템은 극성 변화가 상황을 개선하지 않는 이후로 드라이버(3)이 스위칭 오프로 남아 있도록 대기 루프의 단계(S7)를 통과한다. 그러나 만약 단계(S7)의 응답이 NO라면, 드라이버(3)은 단계(S8)로 다시 스위칭 온이 되고 다음에 처리단계는 블럭(S9)를 실행한다. 만약 처리단계가 이전의 극성 변화 없이 단계(S1)로부터 단계(S5)로 직접 변한다면, 다음에 단계(S9)로부터 단계(S10)로, 즉 버스 극성을 스위칭 오버하는 단계로 변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단락 회로의 형태, 즉 버스선의 극성을 스위칭 및/또는 드라이버(2) 또는 (3)의 단절에 따라서 버스선(6,7)중 하나의 단락 회로에 다르게, 즉 전위와 독립하여, 응답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만약 10V의 공칭 레벨로 제공되는 선(6)이 5V 와 10V 사이의 전압에 대하여 단락된다면, 드라이버(2)는 단계(S3)에서 스위칭 오프되고 다음에 스위칭 오프로 남는다. 만약 선(6)이 0V와 5V 사이의 전압에 대하여 단락된다면, 극성은 단계(S10)로 스위칭 오버되고 다음에 드라이버(3)는 스위칭 오프되며 단계(S6,S7)에서 스위칭 오프로 유지된다. 만약 선(6)이 접지 단락된다면, 극성은 그 후에 단계(S10)에서 스위칭 오버되고 다음에 시스템이 올바른 데이터 전송을 다시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드라이버(2,3)은 스위칭 온으로 남는다.
만약 선(7)이 10V 이상의 전압에 대하여 단락된다면, 극성은 단계(S10)에서 스위칭 오버된다. 만약 선(7)이 5V 와 10V 사이의 전압에 대하여 단락된다면, 극성은 스위칭 오버되고 다음에 드라이버(2)는 스위칭 오프된다(이전에, 드라이버(3)은 단계(S5)에서 스위칭 오프되고 다음에 단계(S8)에서 다시 스위칭 온되며 다음에 스위칭 온으로 남는다). 만약 선(7)이 5V 미만의 전압에 대하여 단락된다면, 드라이버(3)은 스위칭 오프되고 다음에 스위칭 오프로 남는다. 이전에, 고정 전위에 대한 "강(hard)" 단락 회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러나, 시스템은 공칭값으로부터 너무 크게 벗어나는 선(6,7)의 전위 없이, 너무 높은 전류만이 흐르는 "연(soft)" 단락 회로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다. 만약 선(6)이, 예컨대, 150mA 값에 이르는, 지상의 누설흐름을 갖는다면, 드라이버(2)는 검출기(4)와 제어장치(1)을 통해 검출되는 전류포화로 넘어가고 극성이 스위칭 오버되는(단계(S10)) 것을 야기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만약 선(7)이 전지 전압 또는 다른 고전압에 대하여 누설흐름을 갖는다면 극성은 스위칭 오버된다.
도 3은 선(6,7) 상의 전위의 변화를 도시한다. 시간(12) 이전에, 선(6)은 10V의 높은 전위이고, 10V와 7.5V 사이의 진폭 변조를 도시하는 스파이크-모양의 점들은 데이터 전송을 도시한다. 도 3(추적 b)에 도시된 것처럼, 선(7)의 전위는 0V이고 선(6)의 전위와 대칭적이고 동시적으로 (0V와 2.5V 사이에서) 진폭 변조된다. 그러나, 시간(12)의 바로 직전에, 선(7)은 5V 와 10V 사이의 전위에 대하여 단락된다. 이것은 드라이버(3)이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야기하고, 따라서 단계(S5)에서 (S9)까지 통과한 후에, 시간(12)에서 극성 스위칭-오버되는 것을 야기한다. 시간(12) 후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은 버스 극성과 반대로 수행된다. 만약 더 이상 단락 회로에 기인한 올바른 진폭 변조가 선(7) 상에서 가능하지 않다면, 진폭 변조는 선(6)을 통해 발생하고 따라서 올바른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또한 제어 장치(1)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선 단락 회로가 발견되고 따라서 이러한 선은 진폭 변조를 위하여 소거된 후에, 단락-회로가 없는 경우로서 다른 전압의 동일한 변화가 수신기 단부에서 검출되도록 예컨대, 5V의 진폭 스윙을 두 번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만약 필요하다면 극성반전 후에) 다른 방해받지 않는 선의 드라이버를 구동한다.

Claims (10)

  1. 두 개의 선(6,7)으로 나타나는 버스(8)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전송 유닛(9,1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선(6,7)은 적어도 데이터 전송동안 다른 전위로 유지되고 제어 장치(1)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선(6,7)중 적어도 한 선 상에서 변조되며, 상기 선(6,7)에 연결되어 상기 해당 선 상에 전송될 상기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2,3)를 갖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서,
    단락-회로 검출기 장치(1,4,5)가 상기 선(6,7)중 하나의 단락 회로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선과 관련된 드라이버를 스위칭 오프 및/또는 상기 선(6,7)의 극성을 스위칭 오버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선 전압 검출 장치(4,5)가 상기 단락된 선과 또한 다른 선의 상기 선 전위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 장치(1)는 상기 전위들의 스위칭-오버 및/또는 상기 선 전압에 따라서 상기 드라이버 또는 드라이버들(2,3)의 스위칭-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선(6,7)은 방해받지 않는 경우에 동시에 동작하고 각 경우에 진폭 변조 스윙의 절반을 제공하는 선 고유의 드라이버(2,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데이터 검출을 위하여 상기 두 개의 선(6,7)들 사이의 상기 전압 차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는, 단락 회로에 기인하여 상기 드라이버(2,3) 중 하나를 스위칭-오프한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의 목적을 위하여 관련된 선 상의 방해받지 않는 경우의 진폭 두 배의 전압 변화를 가하는 방식으로 나머지 다른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6. 두 개의 선(6,7)으로 나타나는 버스(8)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처리 유닛(9,10)을 포함하는데, 상기 선(6,7)들은 단락 회로의 발생에 대하여 검사되고 단락 회로가 검출될 때, 상기 선(6,7)의 극성이 스위칭 오버 및/또는 상기 단락된 선과 관련한 드라이버(2,3)는 스위칭 오프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단락 회로 검출을 위하여, 상기 드라이버(2,3) 중 하나가 전류-제한 모드로 동작하는지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만약 전류-제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는 스위칭 오프되고 그 후에 상기 드라이버와 관련된선(6,7) 상에 나타나는 상기 전위와 또한 상기 나머지 선의 전위가 검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드라이버와 관련된 선 또는 나머지 다른 선의 전위가 특정값, 예컨대 50% 이하로 상기 각 선의 공칭 전위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스위칭 오프된 드라이버는 스위칭 오프 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8)의 극성이 일단 스위칭 오버되고 상기 단락-회로 전류가 계속 발생한 후에, 상기 극성의 또 다른 스위칭-오버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가 스위칭 오프된 후에, 계속 동작하는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방해받지 않는 경우의 진폭의 두 배로 전압 변화 스윙을 발생하기 위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14213A 1999-05-07 2000-04-17 자동차용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473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990109098 EP1050999B1 (de) 1999-05-07 1999-05-07 Datenübertragungssystem,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 und Datenübertragungsverfahren
EP99109098.6 1999-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180A true KR20020008180A (ko) 2002-01-29
KR100473695B1 KR100473695B1 (ko) 2005-03-08

Family

ID=823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213A KR100473695B1 (ko) 1999-05-07 2000-04-17 자동차용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93372B2 (ko)
EP (1) EP1050999B1 (ko)
JP (1) JP3728402B2 (ko)
KR (1) KR100473695B1 (ko)
DE (1) DE59914303D1 (ko)
WO (1) WO2000069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0920B4 (de) 2002-10-31 2005-05-04 Siemens Ag Ausgabeeinheit, Empfangseinheit, Anordnung zur Datenübertrag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dazu
CN1871786B (zh) * 2003-10-21 2013-11-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设备机器用通信电路
EP2156150B1 (de) * 2007-06-07 2019-03-13 Mettler-Toledo GmbH Verfahren zur zustandsüberwachung einer kraftmessvorrichtung, kraftmessvorrichtung und kraftmessmodul
US20090171171A1 (en) * 2007-12-31 2009-07-02 Nellcor Puritan Bennett Llc Oximetry sensor overmolding location features
US9087707B2 (en) 2012-03-26 2015-07-21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emiconductor arrangement with a power transistor and a high voltage device integrated in a common semiconductor body
JP7192421B2 (ja) * 2018-11-15 2022-12-2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センサ情報出力装置および車両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0936A (ja) * 1989-12-08 1991-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内部バスのテスト回路
DE4108610A1 (de) * 1991-03-16 1992-09-17 Bosch Gmbh Robert Senderendstufe
DE4229175A1 (de) * 1992-09-02 1994-03-03 Bosch Gmbh Robert Netzwerkschnittstelle
DE4403899B4 (de) * 1994-02-08 2007-12-13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seriellen Übertragung von Daten zwischen mindestens zwei Stationen
DE19503460C1 (de) * 1995-02-03 1996-03-07 Daimler Benz Ag Fehlertolerante Endstufe für ein digitales Zweileiterbus-Datenkommunikationssystem
DE19622685C2 (de) 1995-12-12 2003-06-12 Siemens Ag Anordnung zum Auslösen eines Rückhaltemittels in einem Kraftfahrzeug
DE19611944C2 (de) * 1996-03-26 2003-03-27 Daimler Chrysler Ag Integrierter Schaltkreis zur Kopplung eines mikrokontrollierten Steuergerätes an einen Zweidraht-Bus
DE19926173A1 (de) * 1999-06-09 2000-12-21 Bosch Gmbh Robert Bustreiberschaltung für ein Zweileiter-Bussystem
JP2002314554A (ja) * 2001-04-17 2002-10-25 Yazaki Corp 車両用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93372B2 (en) 2004-02-17
EP1050999B1 (de) 2007-04-18
DE59914303D1 (de) 2007-05-31
JP2002544713A (ja) 2002-12-24
US20020060892A1 (en) 2002-05-23
KR100473695B1 (ko) 2005-03-08
EP1050999A1 (de) 2000-11-08
JP3728402B2 (ja) 2005-12-21
WO2000069124A1 (de) 200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4474B2 (en) Device for sensing a fault current in a field bus system
EP0797833B1 (en) True hysteresis window comparator
EP0010882B1 (en) A switching circuit
JP4296811B2 (ja) 物理量センサ装置
KR960032963A (ko) 디지탈 이선 버스 자료 통신시스템 고장-허용 출력 스테이지
US11124138B2 (en)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 control unit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ower supply
KR100473695B1 (ko) 자동차용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JPH10341524A (ja) 車載用信号伝送装置と信号伝送方法及び車載用電力供給制御装置と電力制御方法及び車載ケーブル異常検出装置
JPH10332759A (ja) 電気回路装置及び検査方法
US5119371A (en) Automotive multipath transmission system with power always supplied to at least two transmission unit
US6823020B1 (en) Signaling output stage for generating digital voltage signals on a bus system
JPH10163896A (ja) パルス幅検出機能を有する受信スケルチ回路
JP4415384B2 (ja) デジタル出力装置およびデジタル出力装置を用いた診断方法
KR102436271B1 (ko) 디지털 신호 입력 회로의 진단 기능을 구비한 계전 장치
JP3471914B2 (ja) 光ケーブル給電システムの系切替装置
JP3418588B2 (ja) 2線式線路上の干渉性縦電圧を低減する低減回路を備える回路装置
US6113140A (en) Apparatus for noncontact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steering wheel and steering column
US5675525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latch up of two systems which are connected electrically to each other and which have a respective independent power supply
KR100217111B1 (ko) 통신라인 자가진단 장치
JPH0142054Y2 (ko)
KR100267299B1 (ko) 고장 진단 장치와 전자 제어 장치 사이의 데이타 충돌 방지 장치
US5742230A (en) Apparatus for triggering a warning device
JP2851085B2 (ja) 端末電源断検出方法
JPH0437231A (ja) 差動伝送装置
JPS62128846A (ja) 負荷監視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