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483A -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483A
KR20020005483A KR1020010040323A KR20010040323A KR20020005483A KR 20020005483 A KR20020005483 A KR 20020005483A KR 1020010040323 A KR1020010040323 A KR 1020010040323A KR 20010040323 A KR20010040323 A KR 20010040323A KR 20020005483 A KR20020005483 A KR 2002000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lectrode
electron gun
cylindrical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474B1 (ko
Inventor
다구치유지
곤다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2000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Electron Sources, Ion Sourc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를 전자 빔이 통과하는 통형상 전극이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의 각각이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 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통형상 전극의 적어도 1개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이 서로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형상 부재에 의해서 도통하고 있다. 상기 코일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변조 자계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고 소망의 전자 빔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코일형상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의 전자의 전계 방출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총의 고주파 자계 투과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투사형의 모노크롬 음극선관에서의 전자총 부분의 종래예로서, 일본국 특개평 10-74465호 공보에 기재된 구조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은 네크관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크관(3) 내에 배치된 전자총에 네크관(3)의 외부로부터 속도 변조 코일(20)에 의해서 자계 변조를 걸고, 전자 빔의 소위 속도 변조를 행하여, 포커스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 현재 진행되고 있었던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즉, G1 전극(제어 전극)(6)에 수용된 음극(7)으로부터 출사한 전자 빔(도시하지 않음)이 G2 전극(가속 전극)(8)을 통과하여 형광체 스크린면(도시하지 않음)에 도달할 때까지 속도 변조 코일(20), 컨버전스 요크(23), 편향 요크(24) 등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자계에 의해 전자 빔 궤도가 변조된다.
이 중 편향 요크(24)는 음극선관 펀넬 원뿔부에 장착되고, 교류 자계를 발생하여 전자 빔 궤도를 편향함으로써, 음극선관 형광체 스크린면을 전자 빔으로 주사한다. 컨버전스 요크(23)는 음극선관의 네크관(3)의 외측에 장착되고, 교류 자계(22)를 발생하여 전자 빔 궤도를 편향함으로써, 래스터 뒤틀림과 색 편차를 보정한다. 속도 변조 코일(20)은 음극선관의 네크관(3)의 외측에 장착되고, 교류 자계(21)를 발생하여 전자 빔의 주사 속도를 변조함으로써, 형광체 스크린면 상에서의 고휘도부의 저휘도부로의 밀려나옴을 방지하여 화상을 샤프하게 한다.
전자 빔을 변조하기 위한 교류 자계의 주파수는 편향 주파수(15.75〔㎑〕)로부터 영상 주파수와 동등한 ㎒ 오더에 미친다. 이 때문에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료를 디프드로잉 가공 등으로 함으로써 형성된 전자총의 금속 부품에 의해서 이 교류 자계가 감쇠를 받아서 소망의 전자 빔 변조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향 요크(24)는 펀넬 원뿔부에 장착되어 있고, 편향 요크(24)에 의해서 생성된 교류 자계(19)의 일부는 제2 양극 전극(11)(G5 전극)을 통과한다. 컨버전스 요크(23)에 의해서 생성된 교류 자계(22)의 일부는 제2 양극 전극(11)을 통과한다. 속도 변조 코일(20)은 제1 양극 전극(9)(G3 전극)과 집속 전극(10)(G4 전극)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고, 속도 변조 코일(20)에 의해서 생성된 교류 자계(21)의 일부는 제1 양극 전극(9)과 집속 전극(10)을 통과한다. 이들 금속 전극을 통해서 교류 자계를 걸었을 때, 금속 전극부에 과전류가 발생한다. 또, 교류 자계의 주파수가 높아지면 질수록, 이 과전류손은 커지기 때문에, 고주파 변조영역에서 자계에 의한 전자 빔 궤도의 변조 효과가 감소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재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변조 자계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고, 소망의 전자 빔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에서는 내부를 전자 빔이 통과하는 통형상 전극이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의 각각이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 로드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 전극의 적어도 1개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이 서로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형상 부재에 의해서 도통하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상기 코일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선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일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간극을 변조 자계가 빠져 나가기 때문에 과전류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코일형상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의 전자의 전계 방출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 부재는 관축 단면의 형상이 コ자형이고, 상기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평행한 2장의 판 사이의 공간 내에 상기 코일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선단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일형상 부재의 선단부를 지지 부재와 지지 로드로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시켜서 노출을 적게 할 수 있고, 에지로부터의 전계 방출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의 관축 방향의 중간부에 상기 선재의 선단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계 방출의 저감 효과가 크다.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의 전자총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내경은 전자총 조립전의 단체의 상태에서,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외경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의 단부가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과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 전극과 코일형상 부재를 용접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의 전자총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길이는 전자총 조립전의 단체의 상태에서, 상기 분할된 통형상 전극의 각각의 지지 부재의 서로의 간격보다도 크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그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지지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통형상 전극에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 전극과 코일형상 부재를 용접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전자총에서는 내부를 전자 빔이 통과하는 통형상 전극이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의 각각이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 로드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 전극의 적어도 1개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이 서로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형상 부재에 의해서 도통하고 있다.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내경은 전자총 조립전의 단체의 상태에서,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의 단부가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과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 전극과 코일형상 부재를 용접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길이는 전자총 조립전의 단체의 상태에서 상기 분할된 통형상 전극의 각각의 지지 부재의 서로의 간극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그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지지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통형상 전극에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 전극과 코일형상 부재를 용접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전자총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전자총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음극선관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전자총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예에서 자계 변조의 크기를 비교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음극선관의 네크부의 측면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이스 플레이트 2 : 펀넬
3 : 네크관 4 : 전자총
7 : 음극 10 : 집속 전극
12 : 코일형상 부재 13, 14 : 전극
15 : 선단부 16, 17 : 지지 부재
18 : 지지 로드 20 : 속도 변조 코일
21, 22 : 교류 자계 23 : 컨버전스 요크
24 : 편향 요크
이하, 본 발명의 전자총을 모노크롬 음극선관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음극선관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음극선관은 페이스 플레이트(1), 펀넬(2), 네크관(3)을 갖는 모노크롬관이다. 네크관(3) 내에 전자총(4)이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전자총(4)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전자총(4)은 순서대로 배열된 G1 전극(제어 전극)(6), G2 전극(가속 전극)(8), G3 전극(제1 양극 전극)(9), G4 전극(집속 전극)(10), 및 G5 전극(제2 양극 전극)(11)을 갖는다. G1 전극(제어 전극)(6)은 컵형상으로 음극(7)을 수용하고 있다. G2 전극(가속 전극)(8)은 컵형상으로 G1 전극(6)과 저부끼리를 마주보게 하여 배치되고 있다. G3 전극(제1 양극 전극)(9)은 통형상으로 G2 전극(8)의 개구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G4 전극(집속 전극)(10)은 G3 전극(9)의 사이에 주 렌즈를 구성한다. G5 전극(제2 양극 전극)(11)은 G4 전극(10)의 선단부를 포위하고 있다. G4 전극(10)과 G5 전극(11)의 사이에서, 또한 G5 전극(11)의 내부에는 전자 렌즈가 형성된다. G4 전극(10)은 제1 통형상 전극(13)과 제2 통형상 전극(14)으로 2분할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 코일형상 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코일형상 부재(12)에 의해 양 전극(13, 14)이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고, G4 전극(10)의 내부에 등전위 공간이 형성된다.
도 1은 G4 전극(10) 부근의 측면 확대도를,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관축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제1 통형상 전극(13)과 제2 통형상 전극(14)은 각각 관축 단면이 대략 コ자형인 지지 부재(16, 17)에 의해 지지 로드(1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관축」이라는 것은 음극선관(또는 전자총)의 관축을 말한다. 제1 통형상 전극(13)과 제2 통형상 전극(14)은 외경이 동일하다. 코일형상 부재(12)는 금속 선재(線材)를 감아서 형성한 것이다. 이하, 코일형상 부재(1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첫번째로, 코일형상 부재(12)의 선단부(15)의 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코일형상 부재(12)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는 그 선단이 에지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지로부터의 전자의 전계 방출이 일어나기 쉽고, 전자총의 성능을 유지하는 데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형상 부재(12)를 구성하는 선재의 선단부(15)를 관축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구부리고, 지지 부재(16)(또는 17)의 두 장의 평행한 판 형상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내, 즉 コ자 단면의 내부에 선재의 선단부(15)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선재의 에지를 지지 부재(16)(또는 17)의 내면 3면과, 지지 로드(18)의 통형상 전극측의 면의 합계 4면으로 덮어서 노출도를 낮게 함으로써, 에지로부터의 전자의 전계 방출이 저감된다. 선재의 선단부(15)의 위치로서는 지지 부재(16, 17)의 관축 방향의 거의 중간부가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가장 큰 전계 방출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두번째로, 코일형상 부재(12)의 내경에 대해서 기술한다. 전자총 조립전의 코일 단체의 상태에서는 코일형상 부재(12)의 내경은 제1 통형상 전극(13) 및 제2 통형상 전극(14)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G4 전극(10)을 조립할 때에는 코일형상 부재(12)의 내경을 확대한 상태에서, 제1 통형상 전극(13)과 제2 통형상 전극(14)을 코일형상 부재(12)의 양단에서 각각 삽입한다. 코일형상 부재(12)가 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1 통형상 전극(13) 및 제2 통형상 전극(14)을 외측에서 조임으로써, 양자가 고정된다. 따라서, 용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보다 강고한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용접하면 좋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통형상 전극(13)의 외경과 제2 통형상 전극(14)의 외경이 다른 경우에도 코일형상 부재(12)의 내경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단일한 코일형상 부재(12)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G4 전극(10)을 조립하는 경우, 먼저 제1 통형상 전극(13)과 제2 통형상 전극(14)을 지지 로드(18)에 고정하고, 그 후 코일형상 부재(12)를 줄여서 2개의 통형상 전극의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해도 좋다.
세번째로, 코일형상 부재(12)의 길이에 대해서 기술한다. 전자총 조립전의 코일 단체의 상태의 코일형상 부재(12)의 길이는 제1 통형상 전극(13)용의 지지 부재(16)와 제2 통형상 전극(14)용의 지지 부재(17)의 사이의 상호 거리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호 거리」라는 것은 지지 부재(16)의 제2 통형상 전극(14)측의 단부와 지지 부재(17)의 제1 통형상 전극(13)측 단부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이와 같이 하면, G4 전극(10)을 조립하였을 때, 코일형상 부재(12)가 늘어나도록 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코일형상 부재(12)의 단부가 지지 부재(16, 17)에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코일형상 부재(12)의 관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지지 부재(16, 17)에 대해서 코일형상 부재(12)가 고정된다. 따라서, 용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코일형상 부재(12)의 길이의 설정과, 상술한 코일형상 부재(12)의 내경을 작게 하는 것의 조합에 의해, 강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강고한 고정이 필요하면 용접하면 좋다. 또한, 코일형상 부재(12)에 대해서 상황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내경의 설정과 길이의 설정 중 어느 한쪽을 채용하는 것 만으로도 실용적인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총에 의해서 제1 통형상 전극(13)과 제2 통형상 전극(14)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코일형상 부재(12)의 길이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1종류의 코일형상 부재(12)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통형상 전극(13)과 제2 통형상 전극(14)의 외경이나 서로의 거리가 다른 경우에도 코일형상 부재(12)가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단일 사양의 코일형상 부재(12)로 다양한 사양의 전극의 조립에 대응할 수 있다.
네번째로, 코일형상 부재(12)를 설치하는 위치에 대해서 기술한다. 코일형상 부재(12)를 설치하는 위치는 속도 변조 자계의 침투의 점에서 속도 변조 코일이 장착되는 개소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G3 전극(9)의 일부에 코일형상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G3 전극(9)과 G4 전극(10)의 양쪽도 그 일부에 코일형상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은 16〔㎝〕(7인치), 네크관 직경 Ø29.1〔㎜〕의 투사관용 모노크롬 음극선관에 적용하는 경우의 코일형상 부재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코일형상 부재는 직경 0.6〔㎜〕의 스테인레스선으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10〔㎜〕, 내경이 10.4〔㎜〕, 피치가 1.0〔㎜〕이다. 코일형상 부재의 이웃하는 선재의 간격은 0∼0.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간격이 0〔㎜〕일 때에는 이웃하는 선재가 접촉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완전히 이음매가 없는 경우, 예를 들면 한 장의 판재를 디프드로잉 가공하여 통형상 전극을 제조한 것 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충분히 큰 변조 자계의 투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큰 변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선재의 사이에 조금이라도 간극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웃하는 선재의 간극이 0.8〔㎜〕보다 크면, 전자 빔이 외부 전계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5는,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시하는 그래프로, 변조 자계의 주파수(가로축)와 자계 변조(세로축)의 관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자계 변조」라는 것은 형광체 스크린면 상에 세로 줄무늬를 비추는 영상 신호인 사각형상 신호를 수상관에 입력한 경우에 있어서, 속도 변조를 걸었을 때와 걸지 않았을 때에 형광체 스크린 면 상의 세로선의 폭이 어느정도 변화했는지를 나타낸다. 이 값이 클수록 자계 변조의 효과가 크다. 도 5에서, 곡선 a는 코일형상 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종래의 전자총의 경우를, 곡선 b는 코일형상 부재를 금속으로 형성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의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총은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종래예보다도 큰 자계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모노크롬 음극선관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컬러 음극선관에 적용해도 좋다. 인라인형의 전자총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코일형상 부재를 타원형으로 형성하면 좋다. 또, 코일형상 부재를 설치하는 위치는 속도 변조 코일이 설치되는 위치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코일로부터의 자계의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싶은 위치나 외부 자계에 의한 열의 발생을 저감하고 싶은 개소에 설치해도 좋다. 또, 지지 부재의 형상은 コ자 단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코일형상 부재의 선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의 것이면 좋다.
본 발명은 내부를 전자 빔이 통과하는 통형상 전극이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의 각각이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 로드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 전극의 적어도 1개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이 서로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형상 부재에 의해서 도통하고 있다. 상기 코일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변조 자계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고 소망의 전자 빔 변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코일형상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의 전자의 전계 방출이 방지된다.

Claims (7)

  1. 내부를 전자 빔이 통과하는 통형상 전극이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의 각각이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 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전극의 적어도 1개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이 서로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형상 부재에 의해서 도통하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상기 코일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선단부가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관축 단면의 형상이 コ자형이고, 상기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평행한 2장의 판 사이의 공간 내에, 상기 코일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선단부가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의 관축 방향의 중간부에 상기 선재의 선단부가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내경은 전자총 조립전의 단체의 상태에서,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외경보다 작고,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의 단부가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와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길이는 전자총 조립전의 단체의 상태에서, 상기 분할된 통형상 전극의 각각의 지지 부재의 서로의 간격보다도 크고,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그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지지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통형상 전극에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6. 내부를 전자 빔이 통과하는 통형상 전극이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의 각각이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 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전극의 적어도 1개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이 서로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형상 부재에 의해서 도통하고 있고,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내경은 전자총 조립전의 단체의 상태에서,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된 통형상 전극의 단부가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통형상 전극과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상 부재의 길이는 전자총 조립전의 단체의 상태에서, 상기 분할된 통형상 전극의 각각의 지지 부재의 서로의 간격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그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지지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통형상 전극에 상기 코일형상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2001-0040323A 2000-07-07 2001-07-06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07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06489 2000-07-07
JP2000206489A JP3780826B2 (ja) 2000-07-07 2000-07-07 陰極線管用電子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483A true KR20020005483A (ko) 2002-01-17
KR100407474B1 KR100407474B1 (ko) 2003-11-28

Family

ID=1870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323A KR100407474B1 (ko) 2000-07-07 2001-07-06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17777B2 (ko)
JP (1) JP3780826B2 (ko)
KR (1) KR100407474B1 (ko)
CN (1) CN117234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190B1 (ko) * 2001-01-17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78497B1 (ko) * 2001-05-15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359A (ja) * 2001-07-30 2003-02-14 Hitachi Ltd 陰極線管
JP3664152B2 (ja) * 2002-06-06 2005-06-22 ソニー株式会社 陰極線管用電子銃及び表示装置
KR20050087240A (ko) * 2004-02-26 2005-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vm 코일을 갖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이 전자총을구비한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0105A (en) * 1951-11-01 1957-04-23 Bell Telephone Labor Inc Traveling wave tubes
NL8400779A (nl) 1984-03-12 1985-10-01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JPS6129047A (ja) 1984-07-20 1986-02-08 Nec Corp インライン型電子銃構体
JPH08115684A (ja) * 1994-10-14 1996-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銃
JP3552860B2 (ja) 1996-07-05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陰極線管
US6133685A (en) 1996-07-05 2000-10-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ray tube
JP3546729B2 (ja) 1998-12-21 2004-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銃、電子銃の製造方法、陰極線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190B1 (ko) * 2001-01-17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78497B1 (ko) * 2001-05-15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25461A (ja) 2002-01-25
CN1336682A (zh) 2002-02-20
KR100407474B1 (ko) 2003-11-28
US6617777B2 (en) 2003-09-09
US20020003394A1 (en) 2002-01-10
CN1172349C (zh) 2004-10-20
JP3780826B2 (ja)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7514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inline electron gun with an expanded focus lens
KR100238939B1 (ko) 컬러음극선관
GB2140968A (en) Cathode-ray tube having an improved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KR10040747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14361B1 (ko) 전자총, 전자총의 제조방법 및 음극선관장치
JPH03141540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452756B1 (ko) 음극선관 장치
KR100432059B1 (ko) 칼라음극선관장치
EP0178857B1 (en) Electron gun
US4608515A (en) Cathode-ray tube having a screen grid with asymmetric beam focusing means and refraction lens means formed therein
JP4186437B2 (ja) 陰極線管用電子銃、陰極線管用電子銃の製造方法
US6731056B2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US6456080B1 (en) Cathode ray tube
KR910001400B1 (ko) 비임 형성 영역을 가진 음극 선관용 전자총
KR10062552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JP2962403B2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KR100422045B1 (ko) 편향요크
KR100649254B1 (ko)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EP1204131A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228159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10077840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US20030227248A1 (e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and a display device
JP2002110069A (ja) 陰極線管装置
KR20030092330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6267454A (ja) 陰極線管の電子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