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970A - 휴대형 무선 통신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무선 통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970A
KR20020004970A KR1020017011809A KR20017011809A KR20020004970A KR 20020004970 A KR20020004970 A KR 20020004970A KR 1020017011809 A KR1020017011809 A KR 1020017011809A KR 20017011809 A KR20017011809 A KR 20017011809A KR 20020004970 A KR20020004970 A KR 20020004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mber
peripheral wall
battery
shee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9275B1 (ko
Inventor
오꾸다다쯔미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2000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ransceiv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편평한 케이싱(1)의 내부에, 무선 통신을 위한 회로 기판(7)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7)의 전원이 되는 전지(2)를 수용하기 위한 전지실을 형성한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있어서, 케이싱(1)에는 전지실을 포위하여 주위벽(5)이 형성되고, 상기 전지실 주위벽(5)은 전지실 입구측과 전지실 안 쪽으로 개구하여, 전지실 입구측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13)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시트(33)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보다도 더욱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무선 통신기{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도7은,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합성 수지제의 전방면 케이스(91)와 배면 케이스(92)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편평한 케이싱(9)의 내부에 회로 기판(7)이 설치되는 동시에, 배면 케이스(92)와 일체로 성형된 주위벽(95) 및 저벽(96)에 의해 전지(2)를 수용하기 위해 전지실이 형성되고, 배면 케이스(92)에는 전지실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93)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소형화, 박형화의 요구에 따라, 회로 기판에 탑재해야 할 전자 부품이나 전지에 대해서는, 한계에 가까운 곳까지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어, 구성 부품의 소형화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은 매우 곤란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7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박형화를 도모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된 회로 기판(7)의 두께나 전지(2)의 두께는 한계에 달하고 있으며, 덮개(93)나 케이싱(9)의 두께에 대해서도 강도 상의 문제로부터 0.7 ㎜ 정도가 한계이다. 또한, 전지실 저벽(96)은 전지실의 전지(2)를 수납하는 동시에, 전지실 내로 침입한 수분을 차단하여 회로 기판(7)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필요해, 생략할 수 없다.
또한, 케이싱(9)을 구성하는 전방면 케이스(91) 및 배면 케이스(92)는 각각 한 쌍의 금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제작되지만, 이들의 케이스는 각 금형의 발형 구배를 고려한 단면 형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배면 케이스(92)에 있어서는,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실 주위벽(95)과 전지실 저벽(91)의 경계 위치에 한 쌍의 금형의 구획선 A-A이 설정되고, 전지실 주위벽(95)은 소정 각도 θ(예를 들어 3°)만큼 경사진 단면 형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지실 주위벽(95)의 높이(H)를 예를 들어 1O ㎜로 한 경우, 전지실 주위벽(95)은 경사에 의해 0.52 ㎜의 여유 있는 횡폭을 발생하게 되며, 이 결과 전지(2)의 측면으로부터 배면 케이스(92)의 외주면까지의 거리(B1')는 상기 횡폭 0.52 ㎜만큼 여유 있게 확대하고, 이에 의해 케이싱(9)의 전체 폭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화기와 같이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있어서, 종래보다도 더욱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명백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페이져와 같이 편평한 케이싱의 내부에 무선 통신을 위한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를 내장한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를 전방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휴대 전화기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3은 평판형 시트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단면도이다.
도5는 쟁반형 시트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상기 휴대 전화기의 단면도이다.
도7은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F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은 도8의 G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1은 상기 휴대 전화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2의 (a) 및 도12의 (b)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배면 케이스와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배면 케이스의 단면 형상 및 치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13의 (a) 및 도13의 (b)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방수 효과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4의 (a) 및 도14의 (b)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 채용되어 있는 커넥터 구속 지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있어서, 케이싱(1)에는 전지실을 포위하여 주위벽(5)이 형성되고, 상기 전지실 주위벽(5)은 전지실 입구측과 전지실 안 쪽으로 개구하여, 전지실 입구측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13)가 케이싱(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시트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시트는 평판형 혹은 쟁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형의 시트(33)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보다도 외측으로 넓어진 외형으로 형성된다. 쟁반형의 시트(3)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저벽부(31)와, 상기 저벽부(31)의 외주 단부로 돌출 설치되어 전지실 주위벽(5)에 밀접하는 측벽부(32)를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있어서, 시트는 PET 등의 합성 수지제 혹은 금속제로서, 종래의 케이싱과 일체 성형된 합성 수지제의 전지실 저벽보다도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따르면 시트의 두께와 종래의 전지실 저벽의 두께와의 차이만큼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시트의 배면은 회로 기판(7)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지실 내의 전지에 작용하는 외력은 시트를 거쳐서 회로 기판(7)의 표면에 의해 수용된다.
또한,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1)은 한 쌍의 금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전지실 주위벽(5)은 케이싱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를 상기 한 쌍의 금형의 구획선으로서 수지 성형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전지실 주위벽(5)의 높이가 동일하고, 또한 케이싱 두께 방향의 어느 한 쪽의 단부를 한 쌍의 금형의 구획선으로서 동일한 발형 구배[도12의 (a)의 각도 θ]를 부여하여 수지 성형한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비교하여, 케이싱의 횡폭을 협소화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지실 주위벽(5)은 상기 구획선을 경계로 하여, 전지실 입구측의 제1 주위벽부(51)와 전지실측의 제2 주위벽부(52)를 구비하고, 각 주위벽부(51)(52)에 포위된 공간은 각각 구획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구획선 위치에서 제1 주위벽부(51)는 제2 주위벽부(52)보다도 전지실 중앙부측으로 돌출하여 양 주위벽부(51)(52) 사이에 단차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전지실 내에 전지를 장전하는 과정에서, 전지실 입구측의 제1 주위벽부(51)가 가이드면이 되어 전지의 장전을 안내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또, 제1 주위벽부(51)와 제2 주위벽부(52) 사이에 적극적으로 단차부(53)를 형성함으로써, 성형 오차에도 불구하고, 항상 구획선 위치에서는 제1 주위벽부(51)를 제2 주위벽부(52)보다도 돌출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지의 안내를 원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3)에는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의 선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지실로 침입한 물방울이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와 전지실 주위벽(5) 사이를 통과하여 회로 기판(7) 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제2 주위벽부(52)의 표면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지실 내의 전지에 작용하는 외력은 쟁반형 시트(3)에 의해 수용된다. 또, 전지실로 침입한 물방울이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와 전지실 주위벽(5) 사이를 통과하여 회로 기판(7) 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있어서, 케이싱(1)은 한 쌍의 금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써, 상기 케이싱(1)에는 전지실을 포위하는 주위벽(5)이 형성되고, 상기 전지실 주위벽(5)은 케이싱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를 상기 한 쌍의 금형의 구획선으로서 수지 성형되고, 전지실 입구측과 전지실 안 쪽으로 개구하여, 전지실 입구측의 개구부에 전지실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13)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따르면, 전지실 주위벽(5)의 높이가 동일하고, 또한 케이싱 두께 방향의 어느 한 쪽의 단부를 한 쌍의 금형의 구획선으로서 동일한 발형 구배[도12의 (a)의 각도 θ]를 부여하여 수지 성형한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비교하여, 케이싱의 횡폭을 협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시트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시트는 평판형 혹은 쟁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형의 시트(33)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보다도 외측으로 확대한 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가 전지실 주위벽(5)의 단부면에 밀접하고 있다. 쟁반형의 시트(3)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저벽부(31)와,상기 저벽부(31)의 외주단부로 돌출 설치되어 전지실 주위벽(5)에 밀접하는 측벽부(32)를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시트는 PET 등의 합성 수지제 혹은 금속제로서, 종래의 케이싱과 일체 성형된 합성 수지제의 전지실 저벽보다도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시트의 두께와 종래의 전지실 저벽의 두께와의 차이만큼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지실 주위벽(5)은 상기 구획선을 경계로 하여, 전지실 입구측과 제1 주위벽(51)과 전지실 안 쪽의 제2 주위벽부(52)를 구비하고, 양 주위벽부(51)(52)에 포위된 공간은 각각 구획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구획선 위치에서 제1 주위벽부(51)는 제2 주위벽부(52)보다도 전지실 중앙부측으로 돌출하여 양 주위벽부(51)(52) 사이에 단차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전지실 내에 전지를 장전하는 과정에서, 전지실 입구측의 제1 주위벽부(51)가 안내면이 되어 전지의 장전을 안내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제1 주위벽부(51)와 제2 주위벽부(52) 사이에 적극적으로 단차부(53)를 형성함으로써, 성형 오차에 상관 없이, 항상 구획선 위치에서는 제1 주위벽부(51)를 제2 주위벽보다도 돌출시킬 수 있어, 이에 의해 전지의 안내를 원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3)에는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의 선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지실로 침입한 물방울이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와 전지실 주위벽(5) 사이를 통과하여 회로기판(7) 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1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따르면, 종래보다도 더욱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관한 제2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따르면, 종래보다도 더욱 횡폭의 협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실시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전방면 케이스(11)와 배면 케이스(12)를 서로 조합하여 편평한 케이싱(1)이 구성되고, 전방면 케이스(11)의 표면에는 디스플레이(17)나 조작키(18)가 배치되어 있다. 또, 배면 케이스(12)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를 교환할 때에 개방하기 위해 덮개(3)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케이싱(1)의 내부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 부품(71)이 탑재된 회로 기판(7)이나 수지제의 섀시(6)가 배치된다. 배면 케이스(12)에는 전지실로 이루어지는 개구(14)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4)를 포위하는 전지실 주위벽(51)은 케이싱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를 경계선으로 하는 제1 주위벽부(51)와 제2 주위벽부(52)로 구성되어 있다.
배면 케이스(12)의 전지실 주위벽(5)의 안 쪽 단부면에는 PET제의 평판형 시트(3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평판형 시트(33)는 배면 케이스(12)의 개구(14)보다도 외측으로 확대한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어 개구(14)를 폐쇄하고 있다.
도4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지(2)가 장전되어 있는 전지실은 배면 케이스(12)의 전지실 주위벽(5)과, 평판형 시트와, 덮개(13)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판형 시트(33)의 외주부가 배면 케이스(12)의 단부면에 부착되어, 전지실로부터의 물방울의 침입에 대한 방수 구조가 실현되어 있다. 또한, 평판형 시트(33)의 배면은 회로 기판(7)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으며, 전지(2)에 작용하는 외력은 평판형 시트(33)를 거쳐서 회로 기판(7)에 의해 수용된다.
도4에 도시한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평판형 시트(33)는 배면 케이스(12)와는 별개로, 예를 들어 0.1 ㎜ 정도의 매우 작은 두께(t)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7에 도시한 종래의 케이싱(9)의 전지실 저벽(96)은 배면 케이스(92)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0.7 ㎜ 정도의 두께(t')가 한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 따르면 케이싱(1)의 두께(T)를 종래의 케이싱(9)의 두께(T')와 비교한 경우, 약 0.6 ㎜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상기 평판형 시트(33) 대신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2)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PET제의 쟁반형의 시트(3)를 전지실 주위벽(5)에 부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쟁반형 시트(3)는 배면 케이스(12)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직사각형의 저벽부(31)와, 상기 저벽부(31)의 주위 4변으로 돌출 설치된 4개의 측벽부(32) 내지 (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4개의 측벽부(32) 내지 (32)가 전지실 주위벽(5)의 제2 주위벽부(52)에 밀접한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32)가 상기 제2 주위벽부(52)에 부착된다. 또, 쟁반형 시트(3)의 케이싱 헤드부측의 1개의 측벽부(32)의 내면에는 쿠션 부재(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쟁반형 시트(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한 하우징형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을 평면으로 전개한 형상의 평판 시트를 절곡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지(2)는 편평한 직방체형을 이루고, 그 전극 단자(도시 생략)로부터 인출된 코드(74)의 선단부에 수형 커넥터(73)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회로 기판(7) 상에는 암형 커넥터(72)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형 커넥터(73)를 암형 커넥터(72)에 삽입함으로써, 전지(2)로부터 회로 기판(7)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도6은 쟁반형 시트(3)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지(2)가 장전되어 있는 전지실은 배면 케이스(12)의 전지실 주위벽(5)과, 쟁반형 시트(3)의 저벽부(31)와, 덮개(13)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 내지 (32)가 전지실 주위벽(5)의 제2 주위벽부(52)에 밀접하여, 전지실로부터의 물방울의 침입에 대한 방수 구조가 실현되어 있다. 또, 쟁반형 시트(3)의 저벽부(31)는 회로 기판(7)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으며, 전지(2)에 작용하는 외력은 쟁반형 시트(3)의 저벽부(31)를 거쳐서 회로 기판(7)에 의해 수용된다.
도6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쟁반형 시트(3)는 배면 케이스(12)와는 별개로, 예를 들어 0.1 ㎜ 정도의 매우 작은 두께(t)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1)은 종래의 케이싱(9)과 비교하여 약 0.6 ㎜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배면 케이스(12)의 전지실 주위벽(5)은 도8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체 주위에 걸쳐 케이싱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를 한 쌍의 금형의 구획선 A-A로서 수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선 A-A를 경계로 하여, 전지실 입구측에는 소정의 발형 구배(예를 들어 θ = 3°)를 갖는 제1 주위벽부(51)가 형성되는 동시에, 전지실 안 쪽에는 소정의 발형 구배(예를 들어 θ = 3°)를 갖는 제2 주위벽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주위벽부(51)(52)에 포위된 공간은 각각 구획선 A-A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확대하게 된다.
또, 구획선 A-A의 위치에서, 제1 주위벽부(51)는 제2 주위벽부(52)보다도 예를 들어 0.2 ㎜ 정도, 전지실 중앙부측으로 돌출하여, 양 주위벽부(51)(52) 사이에 단차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도9는 도8의 F부의 확대부, 도10은 도8의 G부의 확대도로서,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쟁반형 시트(3)는 저벽부(31)가 회로 기판(7) 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측벽부(32)가 전지실 주위벽(5)의 제2 주위벽부(52)의 내주면에 따라서 설치되고, 측벽부(32)의 선단부는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3)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도11은 케이싱(1)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로서, 케이싱 후방부의 전지실 주위벽(5)에 있어서도, 파팅라인 A-A선을 경계로 하여, 제1 주위벽부(51)와 제2 주위벽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경계부에는 전지실측으로 돌출하는 단차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지(2)의 후방단부면에는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4)에 결합하는 돌기(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지실에 장전된 전지(2)의 빠짐 방지를 도모할 수있다. 또한, 전지(2)를 전지실에 장전할 때에는 전지(2)의 전방 단부면에 의해 쿠션 부재(4)를 압박한 상태에서, 전지(2)를 전지실로 압입한다. 이에 의해, 전지(2)의 돌기(21)가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4)를 통과하여 도시하는 결합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케이싱(1)에 있어서는,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케이스(12)의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에 한 쌍의 금형의 구획선 A-A가 설정되고, 전지실 주위벽(5)의 제1 주위벽부(51) 및 제2 주위벽부(52)는 각각 소정 각도 θ(예를 들어 3°)만큼 경사진 단면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실 주위벽(5)의 높이(H)를 예를 들어 10 ㎜로 한 경우, 제1 주위벽부(51) 및 제2 주위벽부(52)는 각각 경사에 의해 0.26 ㎜의 여유 있는 횡폭을 발생하는 데 지나지 않고, 도12의 (b)에 도시한 종래의 배면 케이스(92)와 비교한 경우, 전지(2)의 측면으로부터 배면 케이스의 외주면까지의 거리(B1)는 종래의 거리(B1')보다도 0.26 ㎜만큼 단축되게 된다.
이에 의해, 케이싱의 전체 폭이 협소화되게 된다. 또한, 케이싱(1)의 전체폭을 종래와 동일한 크기로 설계한 경우는 배면 케이스(12)의 외주벽과 전지실 주위벽(5) 사이에 형성되는 쐐기형 공간의 폭(B2)이 종래 공간의 폭(B2')보다도 커지고, 상기 공간에 전자 부품 등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0은 상기 공간에 회로 기판(7) 상의 전자 부품(71)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확대하는 단면 형상으로 절곡된 쟁반형 시트(3)를 전지실 입구측으로부터 압입하고,회로 기판(7) 상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를 전지실 주위벽(5)에 부착 고정하지 않는 경우라도, 측벽부(32)의 선단부가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3)에 결합하여 빠짐 방지가 실시되는 동시에, 측벽부(32)의 선단부가 탄성 복귀력에 의해 전지실 주위벽(5)의 내주면에 압착하여 방수 구조가 형성되므로, 가령 전지실에 물방울(8)이 침입했다고 해도, 상기 물방울(8)이 쟁반형 시트(3)와 전지실 주위벽(5) 사이를 통과하여 회로 기판(7) 측으로 침입할 우려는 없다.
또한, 도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쟁반형 시트(3)의 모든 측벽부(32)를 전지실 주위벽(5)의 제2 주위벽부(52)의 내주면에, 접착제(30)에 의해 혹은 열융착에 의해 고정하면, 더욱 높은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13의 (a) 및 도13의 (b) 중 어떠한 경우도, 전지(2)를 전지실 내에 장전할 때, 제1 주위벽부(51)가 안내면이 되어 전지의 장전을 안내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이 때,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의 선단부는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3) 밑에 가리워져 있으므로, 전지의 삽입 탈거에 수반하여 쟁반형 시트(3)가 손상되거나, 권취되거나 하는 일은 없다.
도14의 (a) 및 도14의 (b)는 회로 기판(7) 상의 암형 커넥터(72)와 전지실 주위벽(5)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배면 케이스(12)에는 회로 기판(7) 상의 암형 커넥터(72)의 주위에도, 상술한 구획선 A-A 위치에 단차부(53)를 갖는 주위벽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암형 커넥터(72) 상면의 양단부에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3)가 결합하여, 암형 커넥터(72)가 회로 기판(7) 위에 구속 지지되어있다.
휴대 전화기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는, 도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7) 상에 암형 커넥터(72)를 납땜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회로 기판(7)을 케이싱 내에 조립한 후, 전지실 내에 전지(2)를 장전하는 동시에, 상기 전지(2)의 수형 커넥터(73)를 회로 기판(7) 위의 암형 커넥터(72)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73)와 암형 커넥터(72)가 서로 연결되고, 전지(2)로부터 회로 기판(7)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지(2)를 교환하기 위해 수형 커넥터(73)를 암형 커넥터(72)로부터 제거할 때 수형 커넥터(73)에 작용하는 힘은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3)에 의해 수용되고, 암형 커넥터(72)를 회로 기판(7) 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8 내지 도11에 도시한 케이싱 구조에 있어서 쟁반형 시트(3) 대신에, 평판형 시트(33)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7)

  1. 케이싱(1)의 내부에, 무선 통신을 위한 회로 기판(7)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7)의 전원이 되는 전지(2)를 수용하기 위한 전지실을 형성한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있어서,
    케이싱(1)에는 전지실을 포위하여 주위벽(5)이 형성되고, 상기 전지실 주위벽(5)은 전지실 입구측과 전지실 안 쪽으로 개구하고, 전지실 입구측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13)가 케이싱(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시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 시트(33)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보다도 외측으로 확대한 외형을 갖고, 상기 확대부가 전지실 주위벽(5)의 단부면에 밀접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쟁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쟁반형 시트(3)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저벽부(3)와, 상기 저벽부(31)의 외주단부로 돌출 설치되어 전지실 주위벽(5)에 밀접한 측벽부(3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합성 수지제 혹은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배면은 회로 기판(7)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1)은 한 쌍의 금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전지실 주위벽(5)은 케이싱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를 상기 한 쌍의 금형의 구획선으로서 수지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전지실 주위벽(5)은 상기 구획선을 경계로 하여, 전지실 입구측의 제1 주위벽부(51)와 전지실 안 쪽의 제2 주위벽부(52)를 구비하고, 각 주위벽부(51)(52)에 포위된 공간은 각각 구획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구획선 위치에서 제1 주위벽부(51)는 제2 주위벽부(52)보다도 전지실 중앙부측으로 돌출하여 양 주위벽부(51)(52) 사이에 단차부(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전지실 주위벽부의 단차부(53)에는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의 선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제2 주위벽부(52)의 표면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지의 측면에는 전지실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4)에 결합하기 위해 돌기(21)가 형성되고, 단차부(54)에 의해 전지(2)의 빠짐 방지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지(2)에는 코드(74)를 거쳐서 수형 커넥터(73)가 연결되는 동시에, 회로 기판(7) 상에는 수형 커넥터(73)가 삽입되도록 암형 커넥터(72)가 설치되고,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3)가 회로 기판(7) 상의 암형 커넥터(72)의 상면 단부에 결합하고, 암형 커넥터(72)가 회로 기판(7) 상에 구속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12. 편평한 케이싱(1)의 내부에, 무선 통신을 위한 회로 기판(7)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7)의 전원이 되는 전지(2)를 수용하기 위한 전지실을 형성한 휴대형 무선 통신기에 있어서,
    케이싱(1)은 한 쌍의 금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1)에는 전지실을 포위하는 주위벽(5)이 형성되고, 상기 전지실 주위벽(5)은 케이싱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를 상기 한 쌍의 금형의 구획선으로서 수지 성형되고, 전지실 입구측과 전지실 안 쪽으로 개구하여 전지실 입구측의 개구부에, 전지실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13)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시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 시트(33)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보다도 외측으로 확대한 외형을 갖고, 상기 확대부가 전지실 주위벽(5)의 단부면에 밀접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쟁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쟁반형 시트(3)는 전지실 주위벽(5)의 전지실 안 쪽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저벽부(31)와, 상기 저벽부(31)의 외주단부로 돌출 설치되어 전지실 주위벽(5)에 밀접한 측벽부(3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전지실 주위벽(5)은 상기 구획선을 경계로 하여, 전지실 입구측의 제1 주위벽부(51)와 전지실 안 쪽의 제2 주위벽부(52)를 구비하고, 양 주위벽부(51)(52)에 포위된 공간은 각각 구획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동시에, 구획선 위치에서 제1 주위벽부(51)는 제2 주위벽부(52)보다도 전지실 중앙부측으로 돌출하고, 양 주위벽부(51)(52) 사이에 단차부(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전지실 주위벽(5)의 단차부(53)에는 쟁반형 시트(3)의 측벽부(32)의 선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기.
KR10-2001-7011809A 1999-03-18 2000-03-03 휴대형 무선 통신기 KR100419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73361 1999-03-18
JP07336199A JP3258972B2 (ja) 1999-03-18 1999-03-18 携帯型無線通信機
PCT/JP2000/001314 WO2000055979A1 (en) 1999-03-18 2000-03-03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970A true KR20020004970A (ko) 2002-01-16
KR100419275B1 KR100419275B1 (ko) 2004-02-18

Family

ID=1351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809A KR100419275B1 (ko) 1999-03-18 2000-03-03 휴대형 무선 통신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46265B1 (ko)
JP (1) JP3258972B2 (ko)
KR (1) KR100419275B1 (ko)
CN (1) CN1147055C (ko)
AU (1) AU2829000A (ko)
CA (1) CA2348588C (ko)
HK (1) HK1043671B (ko)
MY (1) MY123420A (ko)
WO (1) WO2000055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780A (ja) * 2000-10-18 2002-04-26 Idec Izumi Corp 電気機器
US7002084B2 (en) * 2002-01-16 2006-02-21 Weightech, Inc. Modular sealed portable digital electronic controller
US20080230282A1 (en) * 2005-08-05 2008-09-25 Weightech, Inc. Modular sealed portable digital electronic controller
US7181172B2 (en) * 2002-09-19 2007-02-20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n integrated wireless device
US7203467B2 (en) * 2003-04-14 2007-04-10 Microsoft Corporatio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s in a mobile device
US20050052153A1 (en) * 2003-09-04 2005-03-10 Unide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JP4143548B2 (ja) * 2004-01-27 2008-09-03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電子機器
JP4728813B2 (ja) * 2006-01-05 2011-07-20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のバッテリ収納構造とそのバッテリ収納構造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CN203644848U (zh) * 2013-01-31 2014-06-11 Jvc建伍株式会社 电子设备
JP6819991B2 (ja) * 2016-08-16 2021-01-27 株式会社ユピテル 装置
JP2019043172A (ja) * 2017-08-29 2019-03-22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21075838A1 (en) * 2019-10-16 2021-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474A (en) * 1990-05-08 1997-04-01 The Goeken Group Corporation Telephone handset having a latch-receiving opening in an enlarged inlet opening of a card-receiving slot
DE4345610B4 (de) * 1992-06-17 2013-01-03 Micron Technology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ochfrequenz-Identifikationseinrichtung (HFID)
US5689654A (en) * 1992-06-29 1997-11-18 Elonex F.P. Holdings, Ltd. Digital assistant system including a host computer with a docking bay for the digital assistant wherein a heat sink is moved into contact with a docked digital assistant for cooling the digital assistant
EP0625864A1 (en) * 1993-05-18 1994-11-23 Nec Corporation Differential microphone on a portable radio telephone
JPH07123020A (ja) * 1993-10-21 1995-05-12 Kyocera Corp 携帯無線機
JP4237834B2 (ja) * 1997-06-03 2009-03-1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3168946B2 (ja) * 1997-06-27 2001-05-21 岩崎通信機株式会社 携帯用電子機器の電池蓋防水構造
US6058293A (en) * 1997-09-12 2000-05-02 Ericsson, Inc. Frame structure for cellular telephones
US5933330A (en) * 1998-05-14 1999-08-03 Motorola, Inc. Portable radiotelephone arrangement having a battery pack and a detachable battery
US6157545A (en) * 1998-05-14 2000-12-05 Motorola, Inc. Battery connection apparatus with end proj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70065A (ja) 2000-09-29
HK1043671B (zh) 2004-12-24
KR100419275B1 (ko) 2004-02-18
WO2000055979A1 (en) 2000-09-21
CN1147055C (zh) 2004-04-21
HK1043671A1 (en) 2002-09-20
CA2348588C (en) 2006-01-24
MY123420A (en) 2006-05-31
US6546265B1 (en) 2003-04-08
AU2829000A (en) 2000-10-04
JP3258972B2 (ja) 2002-02-18
CN1343391A (zh) 2002-04-03
CA2348588A1 (en) 200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275B1 (ko) 휴대형 무선 통신기
CN1161680C (zh) 个人计算机外设适配器
JP4324566B2 (ja)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
JP5913183B2 (ja)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7052287B1 (en) USB device with plastic housing having integrated plug shell
US758675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US7967632B2 (en) Card connector
US20070141890A1 (en) Electrical connector
JP4030954B2 (ja) レセプタクル電気コネクタ
KR101656514B1 (ko)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0372368B1 (ko) 전자형 발음체
US7589977B2 (en) Housing combin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5036743B (zh) 插座连接器
US20170280574A1 (en) Electronic apparatus
JPH11144450A (ja) メモリカード
JP5086087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047790B1 (ko) 전기 접속 플러그
US20070128914A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9900413B2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028439B2 (ja) 回路基板内蔵型コネクタ
JP2006216914A (ja) 電子部品収容ケース
US20010004398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sound producing device to an electronic equipment
US20070036387A1 (en) Speaker with reduced height
JP4642005B2 (ja) 携帯端末装置
CN114080735B (zh) 插座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