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783A - 직포형가죽 - Google Patents

직포형가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783A
KR20020003783A KR1020000038105A KR20000038105A KR20020003783A KR 20020003783 A KR20020003783 A KR 20020003783A KR 1020000038105 A KR1020000038105 A KR 1020000038105A KR 20000038105 A KR20000038105 A KR 20000038105A KR 20020003783 A KR20020003783 A KR 20020003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yarn
thread
woven
pro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715B1 (ko
Inventor
이해청
Original Assignee
이해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청 filed Critical 이해청
Priority to KR10-2000-003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715B1/ko
Priority to PCT/KR2001/001110 priority patent/WO2002010460A1/en
Publication of KR2002000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7/00Special leathers and their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9/00Making driving belts or other leather belt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7/00Special leathers and their manufacture
    • C14B7/06Leather webs built up of interengaged strips or pieces, e.g. by bra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죽으로 제조한 가죽실과 이것으로 직조한 직물에 관한 것으로, 아직 이같은 제품이 개발되지 못한 관계로 본발명인이 이를 가죽실(1)과 직포형가죽(2) 이라고 명명한다.
직포형가죽(2)은 천연가죽이 그 우수한 촉감등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름철에는 의류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가죽실(1)의 구성은 두께가 0.5mm이하인 얇은가죽을 제작하여 소용돌이 형태로 잘라내어 가죽끈을 제작한 후, 이를 열압처리하여 직사각형으로 변형시킨후 그 양단을 깍아내서 단차를 만들고, 단차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계속 연결하므로서 임의길이의 가죽끈을 제조한다.
임의 길이의 가죽끈이 제조되면 이것을 폭 1mm이하로 절단하여 가죽원사를 구성시킨후, 이를 꼬아서 열압바퀴로 처리하여, 사각형인 가죽원사의 단면을 원형으로 변경시키는 동시에 비틀림을 고정시키고 조직을 치밀화해서 가죽실(1)을 제조한다.
가죽실이 제조되면 이를 자동직기나 편직기로 직조해서 직포형가죽(2)을 제조하므로서 열과 습기의 배출효과가 뛰어나며 물빨래가 가능한 여름용 가죽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포형 가죽{.}
본 발명은 직포형 가죽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분야 로는, 굵은 가죽끈으로 망사형 가죽을 제작하여 망사구두를 제조하는 실 예를 들 수가 있다.
그러나 이때에 사용되는 가죽끈은 천연가죽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므로서 이를 가죽실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망사도 이것을 직포라기 보다는 대나무로 짠 바구니처럼 천연 그대로의 재료를 이용한 것에 불과했다.
이처럼 망사형 가죽이 더 발전되지 못한 가장 큰 요인은 가죽끈을 폭 1mm이하로 미세하게 구성시킬 경우, 쉽게 끊어져서 산업에 이용할 수 없었기 때문이며, 따라서 지금까지 가죽실(1)이나 직포형 가죽(2)이 개발되지 못해 왔다.
본 발명은 따라서 극히 미세한 가죽끈의 대량 생산방법과 이들 미세한 가죽끈의 인장력을 획기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과, 현재 이용되고 있는 천연가죽과는 반대로 보온효과가 최소화되고, 통기성이 극대화되며 물에 경화되거나 변형되는 천연가죽의 단점을 제거할 수 있는 가죽을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했다.
도1은 본 발명품에 관한 평면도
도2는 가죽원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도
도3은 가죽실의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도
도4는 혼방 가죽실의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죽실 2: 직포형가죽 또는 혼방직포형 가죽
3: 얇은 가죽 4: 가죽끈
5: 단 차 6: 임의 길이의 가죽끈
7: 가죽원사 8: 가죽 부스러기
9: 비틀림 10: 열압바퀴
11: 나일론 원사 12: 혼방가죽실
13: 열압 14: 나일론사
15: 날실 16: 씨실
본 발명의 기본구도는 도1에서와 같이 가죽을 실처럼 가늘게 구성시킨 가죽실(1)을 제조하고, 제작된 가죽실(1)을 사용하여 직포형 가죽(2)을 제작하며, 이것(2)으로 각종 직포형 가죽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피를 가공하여 재질이 부드러우며 두께가 0.5mm 이하이고, 양면이 모두 윤기가 나도록 표면처리된 가죽(3 : 이하 얇은 가죽)을 제조한다.
얇은 가죽(3)이 제조되면 도 2에서와 같이 태엽모양으로 특수제작한 태엽칼을 사용하여 소용돌이 형태로 절단하여 가죽끈(4)을 제작한다. 실예로 한변의 길이가 50cm인 사각형의 얇은 가죽(3)을, 칼날간격이 5cm인 태엽칼로 절단한다면 길이가 약 8m인 가죽끈(4)을 얻을 수 있다.
가죽끈(4)이 제작되면 이것(4)을 다리미질 하거나 열압 처리하여 직사각형으로 변형시킨후 그 양단 약 2cm부분을 절반의 두께로 스카이빙(skiving)기계로 깍아내어, 단차(5)를 구성시킨다. 단차(5)가 구성된 가죽끈은 단차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계속 결합시켜 임의 길이의 가죽끈(6)을 제조한다.
임의 길이의 가죽끈(6)이 제조되면 한면에 백상지등 종이를 접착시켜 가죽자체의 신축성을 고정시킨후, 국수제조기와 유사하게 제조된 회전식 칼로 폭이 1mm이하가 되도록 절단한후, 종이를 제거해서 가죽원사(7)를 제조한다.
가죽원사(7)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임의길이의 가죽끈(6)을 두루마리 휴지처럼 돌돌 말아서 물에 적신후 냉동시켜, 냉동두루마리 가죽을 구성시킨후, 이것을 회전식 칼로 두께가 1mm이하가 되도록 절단한후 해빙시켜서 가죽원사(7)를 제조한다.
가죽원사(7)는 또한 한쪽표피만 윤이 나도록 가공된 얇은가죽(3-1)이나 가죽의 표피가 아닌 속피로 제조한 얇은가죽(3-2)을 사용해 제조하므로서 경제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가죽원사(7)가 제조되면 도 3에서와 같이 회전시켜서 비틀림(9)이 구성되도록 한 후 열압바퀴(10)에 통과시켜서, 사각형이었던 가죽원사(7)의 단면을 원형으로 성형하며 압력을 가하므로서 가죽원사(7)의 조직을 치밀화 시켜서 가죽실(1)을 제조한다.
이때 가죽원사(7)는 부드러운 가죽을 선택해야만 가소성을 갖게되어 완전한 성형과 조직의 치밀화가 가능하며, 모양이 일정치 못했던 비틀림(9)과 돌출되어 붙어 있던 가죽부스러기(8)들을 정돈 할 수 있는데, 열압바퀴(10)는 2조이상을 설치해서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제작된 가죽실(1)은 그 단면이 원형을 이루며, 임의의 길이를 갖고 있으며, 직경이 1mm이하이며, 비틀림(9)이 구성되며, 조직이 치밀화 된다는 점에서 가죽끈(4)과는 구별되는데, 이같은 차이점으로 인해 가죽실(1)의 인장력은 가죽원사(7)보다 50%이상 강화된다.
가죽실(1)은 또한 가죽원사(7)를 두 가닥 이상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두가닥의 가죽원사(7)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연사한 후 열압바퀴(10)에 통과 시켜서 가죽실(1)을 제조한다. 이때 특정한 한가닥을 가죽원사(7)대신 나일론 원사(11)등으로 대체하면 혼방가죽실(12)이 제조된다.
혼방 가죽실(12)은 인장력이 획기적으로 강화됨으로서 좀 더 미세한 가죽실을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는 가죽원사(7)와 나일론원사(11)등이 외부의 힘에 의해 같은 비율로 신축되도록, 나일론사(11)등의 굵기에 따라 연사의 회전비율을 조정해야 하며, 연사후에는 가죽원사(7)와 나일론 원사(11)등이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적정량의 양초를 바른후 열압바퀴(10)의 열압(13)을 조절한다.
가죽원사(7)와 가죽실(1)과 혼방가죽실(12)이 제조되면 이것들 (1)(7)(12)과함께 나일론사(14)등을 예비한 후, 이것들 (1)(7)(12)(14)중 한종류 또는 두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자동직기로 직조하므로서 각종 직포형가죽(2)을 생산한다.
이때 가죽실(1)은 마찰계수가 너무 커서 자동직기나 편직기를 개량하지 않고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가죽실(1)을 기름(자동차 엔진용 오일등)에 적셔서 마찰력을 떨어뜨린후 직조하며, 직포형가죽(2)이 생산되면 이를 세척하여 기름을 제거토록 한다.
<실시의 예>
도 1은 가죽실(1)을 날실(15)과 씨실(16)로 해서 평직한 순수한 직포형 가죽(2-1)이다. 이 직포형가죽은 비교적 두꺼운 의류의 생산용으로 알맞으며 능직과 수직으로 다양하게 직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날실(15)을 가죽실(1)대신 나일론사(14)등으로 바꿀 경우 혼방직포형 가죽(2-2)을 생산할 수 있다.
이 직포형 가죽(2-2)은 위에서 제시한 직포형가죽(2-1)보다 좀 더 얇으면서도 질겨야 하는 옷감으로 사용된다.
도 1에서 날실(15)과 씨실(16)을, 가죽실(1)대신 혼방가죽실(12)로 각각 대체해도 혼방직포형가죽(2-3)이 생산된다. 이 직포형가죽(2-3)은 위에서 제시한 직포형가죽(2-1)(2-2)들 보다 좀 더 얇고 질겨야 하는 옷감을 제작키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날실(15)을 나일론사(14)등으로 대체하고 씨실(16)을 가죽원사(7)로 대체하면 그 외형이 통가죽과 가장 가까운 직포형 가죽(2-4)이 된다. 이 직포형 가죽은 천연가죽의 촉감을 유지하면서도 통풍성이 뛰어나다.
<실시의 예2>
가죽원사(7)나 가죽실(1) 또는 혼방가죽실(12)을 사용해서 편직기로 직조하면 봉제선이 없는 직포형가죽(2-5)제품을 생산할수 있다. 이 직포형가죽(2-5)제품은 장갑이나 티셔츠류를 생산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직포형 가죽(2)은 종래의 통가죽에 비해서 열과 습기의 배출효과가 뛰어나서 여름철에도 상용할 수 있는등, 천연가죽의 이용범주를 크게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직포형가죽(2)은 열 전도율이 우수해서 이것(2)으로 티셔츠등을 제조하면 면이나 화학섬유로 직조한 제품보다 훨씬 시원하며 체온을 적정선으로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고, 통가죽보다 마찰계수가 커서 이것(2)으로 운동용장갑을 만들 경우 물속에서도 미끄어지지 않는 효과를 거둘수 있다.
직포형 가죽(2)은 또한 통가죽처럼 변형되거나 물에 경화되지 않아 물세탁이 가능한 점등, 일반직물의 장점과 천연가죽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겉모양 또한 양면성을 갖고 있어서 모든 의생활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도 2에서와 같이 두께가 0.5mm이하인 얇은가죽(3)으로 직사각형의 가죽끈(4)을 제조하여 이것(4)을 단차(5)처리 하여 다수를 결합시켜 임의 길이의 가죽끈(6)을 제조한 후, 이것(6)을 폭 1mm이하로 절단해서 가죽원사(7)를 제조하고, 제작된 가죽원사(7)를 회전시켜 비틀림(9)을 구성한후, 열압바퀴(10)로 처리하여 그 단면을 원형으로 변형시키는 동시에 조직을 치밀화 시켜서 제조하는 가죽실(1).
  2. 제1항의 가죽실의 제조에 있어서 가죽원사(7)를 두가닥이상을 사용하여 각각1:1의 비율로 연사한후 열압처리하거나, 가죽원사(7)와 나일론원사(14)등을 결합시켜 연사한 후 열압처리한 혼방가죽실(12)의 제조.
  3. 제1항과 제2항에서 제시한 가죽원사(7), 가죽실(1), 혼방가죽실(12)과 종래의 나일론사등(14)에서 한종류를 선정하거나 두가지 이상의 종류를 조합해서 직조하거나 편직한 직포형가죽 또는 혼방 직포형 가죽(2)의 제조.
KR10-2000-0038105A 2000-07-04 2000-07-04 직포형가죽 KR100433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105A KR100433715B1 (ko) 2000-07-04 2000-07-04 직포형가죽
PCT/KR2001/001110 WO2002010460A1 (en) 2000-07-04 2001-06-28 Leather of text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105A KR100433715B1 (ko) 2000-07-04 2000-07-04 직포형가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783A true KR20020003783A (ko) 2002-01-15
KR100433715B1 KR100433715B1 (ko) 2004-05-31

Family

ID=1967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105A KR100433715B1 (ko) 2000-07-04 2000-07-04 직포형가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33715B1 (ko)
WO (1) WO2002010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1606B1 (it) * 2008-07-04 2012-01-11 Ruffo Spa Tessuto in pelle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CN105063250B (zh) * 2015-08-19 2018-09-04 东莞市奥华饰品有限公司 一种皮绳制作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9289A (ko) * 1982-03-10 1983-12-19 오익야 망구두용 피혁사의 제조방법
KR910000850Y1 (ko) * 1988-11-01 1991-02-08 임호상 수분이 흡수되는 인조가죽
KR19980072859A (ko) * 1997-03-08 1998-11-05 최명부 인조가죽사 제조 및 그 방법
KR200219816Y1 (ko) * 1998-12-10 2001-05-02 김정도 편물의 효과를 갖는 가죽피복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715B1 (ko) 2004-05-31
WO2002010460A1 (en)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71778B (zh) 一种耐久型抗菌高透气涤纶经编面料及其制备工艺
CN104213305A (zh) 一种新型仿棉床上纺织品面料及其制备方法
CN108708053A (zh) 一种纬编飞羽绒生产工艺
KR101146685B1 (ko) 실크와모시 복합방적사를 이용한 구김방지 및 물세탁이 가능한 한복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17164B1 (ko) 저융점사를 이용한 광택소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235720A (zh) 一种紧密纺凉感消臭针织面料及其制作方法
CN106400250A (zh) 切边织唛及其制备方法
CN204023094U (zh) 一种小提花磨毛面料
CN207210663U (zh) 一种具有浮雕效果的织带及服饰
KR20020003783A (ko) 직포형가죽
CN101165246A (zh) 超柔软高吸水中空棉毛巾及其制造方法
CN1410609A (zh) 一种大豆纤维/山羊绒织物
CN108396445A (zh) 一种汉麻立体面料
KR100914335B1 (ko) 실크원사를 이용한 편직용 실크사의 제조방법
JPS6336391B2 (ko)
KR20210080652A (ko) 기능성 지사를 이용한 전통 복식 조립체
CN111286842A (zh) 一种聚酯长丝仿棉面料的加工方法
CN110644094A (zh) 一种防霉耐磨棉纱及其制作方法
CN218711200U (zh) 具有冰感抗菌功能牛仔面料以及服装
CN108411451A (zh) 一种龙赛尔高仿真丝类织物
CN217579228U (zh) 一种超细涤纶弹性面料
CN212223229U (zh) 一种亲肤柔软仿麻面料
CN215757814U (zh) 一种带弹性功能的梭织色织平纹布
JP4267098B2 (ja) ゆかた
KR101766063B1 (ko) 비신축사를 이용한 신축성 직물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