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829A - 무선 수신 장치,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수신 장치,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829A
KR20020001829A KR1020017013202A KR20017013202A KR20020001829A KR 20020001829 A KR20020001829 A KR 20020001829A KR 1020017013202 A KR1020017013202 A KR 1020017013202A KR 20017013202 A KR20017013202 A KR 20017013202A KR 20020001829 A KR20020001829 A KR 2002000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reception
reception level
receiver
contro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617B1 (ko
Inventor
후지이히데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005Control by a pilot signal

Abstract

데이터 부분 측정부(103)가 수신 신호의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고, 파일럿 부분 측정부(104)가 수신 신호의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며, 비교 선택부(105)가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과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을 비교해서 높은 쪽의 수신 레벨을 선택하고, AGC 이득값 산출부(106)가 비교 선택부(105)에서 선택된 높은 쪽의 수신 레벨과 A/D 변환의 입력 허용 레벨로부터 AGC 이득값을 산출한다.

Description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RADIO RECEIVER AND RADIO RECEIVING METHOD}
종래의 AGC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27455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종류의 시정수를 사용함으로써, 페이딩에 의한 수신 신호의 완급의 레벨 변동에 추종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종래의 AGC는 수신 신호 1슬롯의 평균 레벨에 근거하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1슬롯의 평균 레벨에 근거하여 AGC가 행해지면, 1슬롯 내에 수신 레벨이 서로 다른 데이터 부분과 파일럿 부분(기지(旣知) 신호 부분)이 있는 경우, 적정한 AGC 이득값이 산출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즉, 수신 회선과 송신 회선이 각각 서로 다른 타임 슬롯에 할당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상, 1슬롯 내에서 데이터 부분이 5분의 4정도를 차지하기 때문에, 파일럿 부분이 데이터 부분에 비하여 수신 레벨이 높은 경우,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이 1슬롯의 평균 레벨보다도 높아지고, 그 결과, AGC 후의 파일럿 부분의 레벨이 클리핑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클리핑이 발생하면, 정확하게 복조를 할 수 없게 된다. 파일럿 부분은 전파로 특성의 추정에 사용되기 때문에, 파일럿 부분에 대하여 클리핑이 발생되면, 데이터 부분의 위상 변동이나 진폭 변동이 정확하게 추정·보상되지 않고, 그 결과, 파일럿 부분뿐만 아니라 데이터 부분도 정확하게 복조할 수가 없게 된다.
또, 클리핑이란 수신 신호의 수신 레벨이 A/D 변환의 입력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것에 의해, 그 허용 범위를 초과한 수신 신호에 대하여 적정한 A/D 변환이 행해지지 않아 데이터의 일부가 손상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 신호에 대하여 자동 이득 제어(AGC : Auto Gain Control)를 실행하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는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AGC 전)과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AGC 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b는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AGC 후)과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AGC 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 단위(1슬롯) 내에서 수신 레벨이 서로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에도, 클리핑이 발생되지 않을 적정한 레벨 제어값(AGC 이득값)을 산출할 수 있어, 복조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전송 단위(1슬롯) 내에 수신 레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부분이 있는 경우에, 가장 높은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레벨 제어값을 산출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AGC에 의하여 클리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부(102)는 안테나(101)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다운컨버팅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한다. 수신 처리 후의 신호는 데이터 부분 측정부(103) 및 파일럿 부분 측정부(104)로 출력된다.
또한, 수신부(102)는, 후술하는 AGC 이득값 산출부(106)에서 산출된 AGC 이득값(레벨 제어값)에 따라서, 수신 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 즉, 수신부(102)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AGC를 행한다. 이 AGC에 의해, 수신 신호의 레벨은 A/D 변환의 입력 허용 범위에 수렴된다. AGC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데이터 부분 측정부(103)는 수신 신호의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을 측정한다. 데이터 부분 측정부(103)는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1슬롯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데이터의 수신 레벨 평균값을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로 한다.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은 비교 선택부(105)로 출력된다.
파일럿 부분 측정부(104)는 수신 신호의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을 측정한다. 파일럿 부분 측정부(104)는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1슬롯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파일럿의 수신 레벨 평균값을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로 한다.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은 비교 선택부(105)로 출력된다.
비교 선택부(105)는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과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을 비교하여, 높은 쪽의 수신 레벨을 선택한다. 선택된 수신 레벨은 AGC 이득값 산출부(106)로 출력된다.
AGC 이득값 산출부(106)는 비교 선택부(105)에서 선택된 높은 쪽의 수신 레벨과, A/D 변환의 입력 허용 레벨로부터 AGC 이득값을 산출한다. AGC 이득값의 산출 방법은 후술한다. 산출된 AGC 이득값은 수신부(102)로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2a 및 도 2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CDMA/TD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무선 수신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CDMA/TDD 방식에서는, 1슬롯 내에서의 코드 다중 개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송신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제어 등에 의해, 파일럿 부분의 레벨이 데이터 부분의 레벨보다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상, 1슬롯 내에서 데이터 부분이 5분의 4 정도를 차지한다. 따라서, 수신 신호의 1슬롯 내의 수신 레벨은,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균일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을 10,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을 5로 한다. 또한, A/D 변환의 입력 허용 레벨을 7.5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종래의 AGC에서는, 1슬롯의 평균 레벨에 근거하여 AGC 이득값을 산출하기 때문에, 1슬롯 내의 수신 레벨이,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으면, AGC 후의 파일럿 부분의 레벨이 클리핑된다. 즉, 도 2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슬롯의 평균 레벨은 6이 되기 때문에, AGC 이득값은 1.25로 된다. 따라서, AGC 후의 파일럿 부분의 레벨이 12.5가 되어 클리핑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무선 수신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 선택부(105)가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과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을 비교하고, AGC 이득값 산출부(106)가 높은 쪽의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AGC 이득값을 산출한다. 즉, 도 2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AGC 이득값 산출부(106)는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평균값)을 이용하여 AGC 이득값을 산출한다.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평균값)은 10이기 때문에, AGC 이득값 산출부(106)에서 산출되는 AGC 이득값은 0.75로 된다.
따라서, 수신부(102)에서 행해지는 AGC에 의해,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럿 부분의 레벨은 7.5로 되고, 데이터 부분의 레벨은 3.5로 되어, 모두 A/D 변환의 입력 허용 레벨 내로 수렴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럿 부분, 데이터 부분 모두 클리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리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한 AGC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우수한 통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이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보다도 높은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는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이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보다도 높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TDD 방식을 일례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CDMA/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코드 다중 개수가 변화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CDMA/TDD 방식에서 그 외에 코드 다중 개수가 변화되는 경우로서는, 멀티 코드 전송을 할 경우에, 송신할 데이터의 종류 개수가 변화하는 경우(예컨대,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송신하고 있었던 것을, 음성 신호만 송신하는 것으로 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CDMA/TDD 방식에서는, 각 통신 상대 공통의 파일럿이 송신되거나, 각 데이터 공통의 파일럿이 송신되어, 코드 다중 개수에 관계없이 파일럿의 송신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즉, CDMA/TDD 방식에서는,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이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이 변화되어, 양자의 수신 레벨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1슬롯의 평균 레벨에 근거하여 AGC가 행해지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CDMA/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코드 다중 개수가 변화되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AGC를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이게 된다.
(실시예 2)
통신 상황에 따라서,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과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이 서로 다른 경우와, 같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CDMA/TDD 방식에 있어서, 각 통신 상대 공통의 파일럿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코드 다중 개수에 관계없이 파일럿 부분의 레벨은 일정하기 때문에, 코드 다중 개수가 변화되는 것에 의해 양자의 수신 레벨에 차이가 발생한다. 한편, 통신 상대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부분의 레벨과 같은 레벨의 파일럿이 송신되는 경우에는, 코드 다중 개수의 변화에 따라 파일럿 부분의 레벨도 변화되기 때문에, 코드 다중 개수가 변화하여도 양자의 수신 레벨은 같게 된다.
양자의 수신 레벨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AGC를 행함으로써, 클리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양자의 수신 레벨이 같게 되는 경우에는, 본래 양자의 수신 레벨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1에서설명했던 것과 같은 비교 선택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1 슬롯 내에서 데이터 부분이 5분의 4정도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양자의 수신 레벨이 같게 되는 경우에,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을 포함하지 않고서 구한 수신 레벨의 평균값은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을 포함해서 구한 수신 레벨의 평균값과 거의 변함이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통신 상황으로부터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과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이 같게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양자의 수신 레벨이 같다고 판단한 경우에,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만을 이용하여 AGC 이득값을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 AGC의 정밀도를 떨어뜨리지 않고서, 비교 선택 동작 및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의 측정을 생략할 수 있어, AGC에 따른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3에서 실시예 1(도 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판단부(201)는 물리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상태의 통신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과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이 같게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201)는 양자의 수신 레벨이 같게 된다고 판단한 경우, 파일럿 부분측정부(104) 및 비교 선택부(105)에 대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가 출력된 경우, 파일럿 부분 측정부(104)는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 제어 신호가 출력된 경우, 비교 선택부(105)는 데이터 부분 측정부(103)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의 평균값을 그대로 AGC 이득값 산출부(106)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양자의 수신 레벨이 같게 되는 경우에는, AGC 이득값 산출부(106)는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만을 이용하여 AGC 이득값을 산출한다.
한편, 양자의 수신 레벨에 차이가 생긴다고 판단된 경우, 판단부(201)는 파일럿 부분 측정부(104) 및 비교 선택부(105)에 대하여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양자의 수신 레벨에 차이가 생긴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과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이 같게 되는 경우에, 비교 선택 동작 및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의 측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AGC의 정밀도를 떨어뜨리지 않고서, AGC에 따른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럿 부분의 수신 레벨의 측정을 생략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AGC의 정밀도보다도 처리량의 삭감이 중시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부분의 수신 레벨의 측정을 생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단위(1슬롯) 중에서 수신 레벨은 서로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에도, 클리핑이 생기지 않을 적정한 레벨 제어값(AGC 이득값)을 산출할 수 있어, 복조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1슬롯 내에 데이터 부분과 파일럿 부분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1슬롯 내에 데이터 부분과 미드앰블 부분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0년 2월 17일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00-039544호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내용은 전부 본 명세서에 포함시켜 놓는다.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 특히 CDMA/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 장치나 기지국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수신 레벨이 서로 다른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제 1 부분의 수신 레벨과 상기 제 2 부분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측정기와,
    각각의 수신 레벨을 비교하여 높은 쪽의 수신 레벨을 선택하는 비교 선택기와,
    상기 비교 선택기에서 선택된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레벨 제어값을 산출하는 산출기를 구비하되,
    상기 수신기가 상기 레벨 제어값에 따라서 상기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무선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기는 신호의 레벨을 A/D 변환의 입력 허용 레벨 내로 하는 무선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의 통신 상황으로부터 제 1 부분의 수신 레벨과 제 2 부분의 수신 레벨이 같게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기를 구비하되,
    산출기는 상기 판단기에서 양자의 수신 레벨이 같게 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 중 어느 한쪽의 수신 레벨만을 이용하여 레벨 제어값을 산출하는
    무선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기는 제 1 부분이 데이터 부분이며, 제 2 부분이 파일럿 부분인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수신 장치.
  6. 무선 수신 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로서,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수신 레벨이 서로 다른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수신기와,
    상기 제 1 부분의 수신 레벨과 상기 제 2 부분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측정기와,
    각각의 수신 레벨을 비교하여 높은 쪽의 수신 레벨을 선택하는 비교 선택기와,
    상기 비교 선택기에서 선택된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레벨 제어값을 산출하는 산출기를 구비하되,
    상기 수신기는 상기 레벨 제어값에 따라서 상기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통신 단말 장치.
  7. 무선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수신 레벨이 서로 다른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제 1 부분의 수신 레벨과 상기 제 2 부분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측정기와,
    각각의 수신 레벨을 비교하여 높은 쪽의 수신 레벨을 선택하는 비교 선택기와,
    상기 비교 선택기에서 선택된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레벨 제어값을 산출하는산출기를 구비하되,
    상기 수신기는 상기 레벨 제어값에 따라서 상기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기지국 장치.
  8. 수신 레벨이 서로 다른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과,
    상기 제 1 부분의 수신 레벨과 상기 제 2 부분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각각의 수신 레벨을 비교하여 높은 쪽의 수신 레벨을 선택하는 비교 선택 공정과,
    상기 비교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수신 레벨을 이용하여 레벨 제어값을 산출하는 산출 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수신 공정에서, 상기 레벨 제어값에 따라서 상기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무선 수신 방법.
KR10-2001-7013202A 2000-02-17 2001-02-19 무선 수신 장치,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 KR100406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39544 2000-02-17
JP2000039544 2000-02-17
PCT/JP2001/001153 WO2001061844A1 (fr) 2000-02-17 2001-02-19 Recepteur radio et procede de reception radi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829A true KR20020001829A (ko) 2002-01-09
KR100406617B1 KR100406617B1 (ko) 2003-11-20

Family

ID=1856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202A KR100406617B1 (ko) 2000-02-17 2001-02-19 무선 수신 장치,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34185B2 (ko)
EP (1) EP1172930A4 (ko)
KR (1) KR100406617B1 (ko)
CN (1) CN1175560C (ko)
AU (1) AU3233301A (ko)
WO (1) WO2001061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5255B2 (en) * 2000-10-19 2006-08-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electively activated AGC signal measurement unit
JP4152983B2 (ja) 2003-07-25 2008-09-1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受信機および自動利得制御方法
CN100341250C (zh) * 2004-12-24 2007-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增益控制方法
US8223899B2 (en) * 2007-03-23 2012-07-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itial acquisition gain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041375B2 (en) 2007-10-31 2011-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peer to peer communications devices and/or systems relating to rate scheduling, traffic scheduling, rate control, and/or power control
US8917598B2 (en) * 2007-12-21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flow control
US8699487B2 (en) * 2008-02-04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elay budget feedback
US8656239B2 (en) * 2008-02-12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based on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75888A1 (zh) * 2009-12-22 2011-06-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和装置
US10911159B2 (en) * 2016-10-13 2021-02-0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unit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8449789B (zh) * 2018-02-27 2021-05-25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agc增益控制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4225A (en) * 1978-09-25 1980-03-28 Nec Corp Time sharing gain adjustment circuit
JPS5850811A (ja) 1981-09-22 1983-03-25 Nec Corp Agc回路
JPS59226525A (ja) 1983-06-07 1984-12-1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伝送損失を予測した自動利得制御送信方式
FI87287C (fi) * 1991-01-15 1992-12-10 Nokia Mobile Phones Ltd Foerstaerkningsreglering av en agc-foerstaerkare i ett pao tidsmultiplexering baserat radiotelefonsystem
JP2838996B2 (ja) 1995-01-31 1998-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機の自動利得制御装置および自動利得制御方法
KR0184993B1 (ko) * 1995-01-31 1999-05-15 가네꼬 히사시 이동 무선 유닛 및 이를 자동적으로 이득 제어하는 방법
JPH08274558A (ja) 1995-03-28 1996-10-18 Kokusai Electric Co Ltd 移動通信機用agc回路
JPH1056343A (ja) 1996-08-09 1998-02-24 Hitachi Ltd ディジタルagc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2930A1 (en) 2002-01-16
CN1175560C (zh) 2004-11-10
KR100406617B1 (ko) 2003-11-20
EP1172930A4 (en) 2004-06-30
WO2001061844A1 (fr) 2001-08-23
US6834185B2 (en) 2004-12-21
US20020160735A1 (en) 2002-10-31
CN1363137A (zh) 2002-08-07
AU3233301A (en) 200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4948B1 (en) Electric power controlling system for variable bit rate CDMA transmission and mobile telephone system
EP13587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transmit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6862458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6806844B2 (en) Calibration system for array antenna receiving apparatus
US6928274B2 (en) Receiver device for a mobile radiocommunication unit employing a speed estimator
US705048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KR100406617B1 (ko) 무선 수신 장치,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
KR100445492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무선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KR100934832B1 (ko) 이동체 통신 시스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단말, 그 제어 프로그램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동기 확립 판정 방법
US6628700B1 (en) CDMA reception method and CDMA receiver
US20030095511A1 (en)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radio receiving apparatus, SIR estimation method, transmission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US7606294B2 (en) Channel quality estimation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KR20030060507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불연속전송구간 검출방법 및 장치
US7542775B2 (en) Control device and radio control method
EP0924875B1 (en) Diversity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CDMA system
US830117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moving speed of mobile terminal
US6724808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of measuring Eb/N0 after weighted signals are combined
JP2001308733A (ja) 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方法
US6625465B1 (en) Backward closed loop power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589897B1 (ko) 개방형 전력 제어 방법
JP6581014B2 (ja) 通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JP4610248B2 (ja) ダイバーシチ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受信装置
JP2008131093A (ja) 送受信装置
KR20010013169A (ko)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5123987A (ja) 送信停止区間を有する伝送モードの復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