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725A - 액정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광학필름 - Google Patents

액정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광학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725A
KR20020000725A KR1020010036354A KR20010036354A KR20020000725A KR 20020000725 A KR20020000725 A KR 20020000725A KR 1020010036354 A KR1020010036354 A KR 1020010036354A KR 20010036354 A KR20010036354 A KR 20010036354A KR 20020000725 A KR20020000725 A KR 2002000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roups
compound
color filter
liquid crystal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420B1 (ko
Inventor
이치하시미츠요시
Original Assignee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무네유키 가코우
Publication of KR2002000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1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at least two benzene rings directly linked, e.g. bipheny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1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 C09K19/1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the chain containing carbon-to-carbon triple bonds, e.g. tol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3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ring systems, i.e. fused, bridged or spiro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3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 C09K19/3441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nitrogen as hetero atom
    • C09K19/345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nitrogen as hetero atom the heterocyclic ring be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2019/044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 C09K2019/0448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the end chain group being a polymerizable end group, e.g. -Sp-P or 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3Cholesteric polari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Abstract

광조사에 의해 배향이 크게 변화하는 동시에, Δn이 큰 액정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이상과, 광반응에 의해서 제조변화가 일어나는 키랄화합물의 1종류이상을 함유하는 액정성 조성물이다. 식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하기의 1가기의 군1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1가기를 표시하고, L1및 L2는 각각, 단결합 또는 하기의 2가기의 군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1, Ar3, Ar4및 Ar6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2및 Ar5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하기의 2가기의 군3 및 군4 중의 탄소환은 각각,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CF3, -OCF3, -OCHF2, -CH3및 -CO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n1, n2, n3, 및 n4는 각각, 0 또는 1을 표시하고, n은 2∼15의 어느 정수를 표시한다.
1가기의 군1
2가기의 군2

Description

액정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광학필름{LIQUID CRYSTALLINE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OPTICAL FILM}
본 발명은, 액정성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컬러필터 및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컬러액정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컬러필터는, 일반적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화소와, 그 간극에 표시콘트라스트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컬러필터는, 종래, 수지중에 안료를 분산시키는 것이나 염료를 염착시키는 것이 주류이고,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이것들의 착색수지액을 스핀코트 등으로 유리기판상에 도포하여 착색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패턴닝을 하여 컬러필터화소를 형성하거나, 착색화소를 기판에 직접인쇄하는 것으로 컬러필터를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인쇄법에 의한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은, 화소의 해상도가 낮고, 고해상도의 화상패턴에는 대응이 어렵다는 결점이 있고, 스핀코트법에 의한 제조방법은 재료손실이 크다는 결점이 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RGB 각 화소의 형성을 위해서는 3회의 마스크노광을 할 필요가 있고, 제조공정의 번잡 및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한편, 컬러필터의 성능으로서는, 투과율, 색순도가 높은 것이 요구된다. 상기 염료를 사용한 방법은 염료의 종류나 염착수지를 최적화함으로써, 또 상기 염료를 사용하는 방법은, 보다 미세분산된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그 투과성, 색순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컬러필터는, 어느 것도 광흡수형의 컬러필터이기 때문에, 투과율의 향상에 의한 색순도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액정디스플레이(LCD) 패널에 있어서, 컬러필터의 투과율, 색순도에 대한요구는 대단히 높고, 그 중에서도, 반사형 LCD용 컬러필터에 있어서는, 페이퍼화이트의 흰색표시로 콘트라스트 및 색재현성의 양립이 곤란하여, 이들의 여러 특성을 만족하는 컬러필터에 대한 요구가 특히 높다.
상기 광흡수형 컬러필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콜레스테릭액정구조의 광선택반사를 이용한 컬러필터(이하, 「광반사형 컬러필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로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상기 광반사형 컬러필터는, 콜레스테릭액정의 원편광에 기인하는 브래그반사를 이용하여, 특정한 파장광만을 반사시킴으로써, RGB화소를 구성한 것이다. 반사광의 스펙트럼프로파일이 거의 사각형이기 때문에, 투과율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색순도를 높일 수 있는 것과 아울러, 금속과 같이 광흡수가 전혀 없기 때문에, 100%에 가까운 원편광반사율을 얻을 수 있고, 우수한 컬러필터로서 기대되고 있다.
상기 반사형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으로는, 광조사에 의해서 이성화하는 키랄의 유닛을 결합한 콜레스테릭액정을 함유하는 액정성 조성물을 스핀코트법 등으로 도포하고, 고온의 액정상태에서 광강도가 서로 다른 광을 패턴조사하고, 급냉하여 유리화하고, 이것을 고정화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액정은 광의 패턴조사에 의해 광강도에 따라서 콜레스테릭피치가 다른 배향을 취하고, 콜레스테릭피치의 분포가, RGB 각 색의 화소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반사형 컬러필터의 다른 제조방법으로는, 중합성의 네마틱액정을 주성분으로 하고, 광조사에 의해서 구조변화하는 키랄화합물이나 중합성모노머, 중합개시제 등을 혼합한 액정성 조성물을,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패턴조사한 후, 이것과는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고, 중합경막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들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1회의 마스크노광에 의해서 RGB 각 색의 컬러필터의 패턴닝이 가능하고, 종래의 3회의 마스크노광을 필요로 하는 공정에 비교하여 제작공정이 간략화할 수 있고, 제작속도, 필요설비 및 재료손실 등의 점에서도 매우 우수하다. 또한, 상기 액정성 조성물에 광조사하여, 액정분자를 고정화하여 제작한 광학이방성 필름은, 컬러필터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표시소자에 사용되는 광학보상필름 등의 광학필름으로의 용도도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사형 컬러필터는, 색순도에는 우수하지만, 밝기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고, 보다 밝은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반사형 컬러필터의 제공이 요망된다. 또한, 상기 광학필름에 대해서도, 액정분자를 소정의 배향으로 하고, 소망의 광학이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로 되고, 표시소자의 광학보상필름 등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소형화, 박형화의 요청에 충분히 부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복굴절 Δn이 큰 액정성 조성물을 이용하면, 컬러필터의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밝은 표시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유리하고, 또한, 여러가지의 용도의 광학필름을 박형화할 수 있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에서의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광조사에 의해 배향이 크게 변화하는 것과 아울러, Δn이 큰 액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반사율이 높고, 밝은 표시가 가능한 반사형 컬러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박형화가 가능한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컬러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컬러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컬러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0 ------------------------------ 지지체 (가지지체)
12 ------------------------------ 쿠션층 (열가소성수지층)
14, 24 --------------------------- 배향막
16 ------------------------------ 액정층(액정성 조성물을 함유)
18 ------------------------------ 커버필름
20 ------------------------------ 전사시트
22 ------------------------------ 기판
26 ------------------------------ 컬러필터용 기판
28 ------------------------------ 노광마스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에 설명한다.
<1>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 이상과, 광반응에 의해서 제조변화를 일으키는 키랄화합물의 1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액정성 조성물이다.
식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하기의 1가기의 군1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1가기를 표시하고, L1및 L2는 각각, 단결합 또는 하기의 2가기의 군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1, Ar3, Ar4및 Ar6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2및 Ar5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하기의 2가기의 군3 및 군4 중의 탄소환은 각각,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CF3, -OCF3, -OCHF2, -CH3및 -CO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n1, n2, n3, 및 n4는 각각, 0 또는 1을 표시하고, n은 2∼15의 어느 정수를 표시한다.
1가기의 군1
2가기의 군2
2가기의 군3
2가기의 군4
<2>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10질량%이상 98질량%이하인 <1>의 액정성 조성물이다.
<3> 키랄화합물의 함유량이 2질량%이상 20질량%이하인 <1>의 액정성 조성물이다.
<4> 키랄화합물이 중합성 화합물인 <1> 내지 <3>중의 어느 하나의 액정성 조성물이다.
<5>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의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에, 조사량이 서로 다른 활성광선을 조사하고, 선택반사가 서로 다른 유색영역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이다.
<6> 하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서로 다른 나선피치로 배향하여고정시킨 적색층, 녹색층, 및 청색층을 보유하고, 각 층이 상기 나선피치에 기인하는 원편광반사에 의해서 발색하여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이다.
식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하기의 1가기의 군1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1가기를 표시하고, L1및 L2는 각각, 단결합 또는 하기의 2가기의 군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1, Ar3, Ar4및 Ar6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2및 Ar5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하기의 2가기의 군3 및 군4 중의 탄소환은 각각,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CF3, -OCF3, -OCHF2, -CH3및 -CO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도 좋다. n1, n2, n3, 및 n4는 각각, 0 또는 1을 표시하고, n은 2∼15의 어느 정수를 표시한다.
1가기의 군1
2가기의 군2
2가기의 군3
2가기의 군4
<7> 녹색층의 반사스펙트럼의 반값폭이 70nm이상 130nm이하인 <6>의 컬러필터이다.
<8>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의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에, 활성광선을 조사하고, 적어도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중합시켜, 고정화하여 이루어지는 광학필름이다.
[액정성 조성물]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 이상과, 광반응에 의해서 제조변화를 일으키는 키랄화합물의 1종류이상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은, 광조사시켰을 때에, 그 광강도의 강약에 따라서 나선피치가 크게 변화하는 동시에, 복굴절 Δn이 크다는 특징을 보유한다. 그결과, 컬러필터의 제작에 이용한 경우에는, 선택반사의 반사율이 높고, 밝은 표시가 가능한 컬러필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광학필름의 제작에 이용한 경우는, 막두께를 얇게 유지하면서, 소망의 광학특성을 보유하는 광학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액정성 화합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은, 중합성기를 보유하는 네마틱액정성의 화합물이다. 상기 화합물은, 예컨대 용융시의 액정상태에서, 광반응성 키랄화합물과 공존시켜, 광조사에 의해 키랄화합물에 광반응을 일으켜서 제조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나선피치를 보유하는 배향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일반식(1) 및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더욱이, 상기 일반식(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중,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식중의 기의 1개 이상이 바람직한 범위에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범위에 있는 기가 많을수록 보다 바람직하고, 모든 기가 바람직한 범위에 있는 화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 및 (2) 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하기의 1가기의 군1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1가기를 표시한다.
1가기의 군1
상기 일반식(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에서도, R1, R2, R3, 및 R4가, 각각, 상기 1가기의 군1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1가기 중, 아크릴로일옥시기이면, 액정성 조성물을 고정화할 때에, 중합속도가 빠라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군1중, n은 2∼15의 어느 정수를 표시한다. n은 3∼12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4∼8의 어느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 및 (2) 중, L1및 L2는 각각, 단결합 또는 하기의 2가기의 군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한다.
2가기의 군2
L1및 L2는 각각, 단결합 또는,
이면, 액정성 조성물의 Δn이 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고, 도포량을 경감할 수 있기때문에 바람직하다. 더욱이, L1이 단결합의 경우, Ar2와 Ar3는 직접결합하고, L2가 단결합의 경우, Ar4와 Ar5는 직접결합한다.
상기 일반식(1) 및 (2) 중, Ar1, Ar3, Ar4및 Ar6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한다. 그 중에서도, Ar1및 Ar4는 각각, 페닐렌기 또는 비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페닐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중에서도, Ar3및 Ar6은 각각, 페닐렌기 또는 비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페닐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가기의 군3
하기의 2가기의 군3에 있어서, 탄소환은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CF3, -OCF3, -OCHF2, -CH3및 -CO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환이 상기 치환기의 어느 1개로 치환되어 있으면, 유기용매로에서의 용해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을 도포액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는, 취급성이 양호하기 때문에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Ar1및 Ar4로 각각 표시되는 2가기의 탄소환은,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및 -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Ar3및 Ar6로 각각 표시되는 2가기의 탄소환은,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및 -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 또는 (2) 중, Ar2및 Ar5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한다. 그 중에서도, Ar2및 Ar5는 각각, 페닐렌기, 비페닐렌기 또는 페닐피리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2가기의 군4
상기 2가기의 군4중의 탄소환은, 불소기, 염소기, 브롬기, -CF3, -OCF3, -OCHF2, -CH3및 -CO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Ar2및 Ar5로 각각 표시되는 2가기의 탄소환은, 상기 치환기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및 -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 및 (2) 중, n1, n2, n3, 및 n4는 각각, 0 또는 1을 표시한다. n2는 0인 것이 바람직하고, n1은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n1이 0인 경우는, R1과 에틴일기의 탄소는 직접결합하고, n2가 0인 경우는 에틴일기의 탄소와 L1이 직접결합하고, n3가 0인 경우는 R3와 L2가 직접결합하고, n4가 0인 경우는 에틴일기의 탄소와 L2가 직접결합한다.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복굴절 Δn이 0.2∼0.5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0.3∼0.4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예시화합물 a-1 ∼ a-15)를 표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구체예에 하등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예시화합물 a-1∼15의 구조식 중, n 및 m은, 각각 2∼15의 정수를 표시한다.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컨대, N. Leroux and L.-C. Chien, Liquid Crystals, 21(2), 189(1996) 및 J.Malthete et al., Mol. Cryst. liq. Cryst., 23, 233(1973) 등에 기재된 합성방법에 따른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키랄화합물)
상기 키랄화합물은 광반응에 의해 구조변화하는 화합물(「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은, 광(자외선∼가시광선∼적외선)을 조사시킴으로써 구조변화하는 동시에, 그 광강도에 따라서 상기 액정성 화합물의 나선피치 등의 배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이외에, 비틀림성의 온도의존성이 큰 키랄화합물 등, 광반응하지 않는 키랄화합물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은, 키랄부위와 광의 조사에 의해서 구조변화를 일으키는 부위를 보유한다. 이것들의 부위는, 반드시 1분자중에 함유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2종이상의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상기 광반응성 화합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지만, 광반응성 키랄화합물로서는, 상기의 부위가 1분자중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은, 액정성 조성물의 나선구조를 유도하는 힘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키랄부위를 분자의 중심에 위치시켜, 그 주위가 리지드한 구조인 분자가 바람직하고, 그 분자량은 300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랄부위와 광조사에 의한 구조변화를 일으키는 부위가 근접한 구조의 키랄화합물은, 광조사에 의한 구조변화의 정도가 크고, 상기 액정성 조성물의 광조사에 의한 나선구조의 유도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성 화합물에서의 용해성이 높은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그 용해도 파라미터 SP값이, 액정성 화합물에 근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은 중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이 중합성이면, 형성된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막(예컨대, 컬러필터의 RGB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합성을 보유하는 광반응성 키랄화합물로는, 구조중에,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또는 에폭시기 등의 중합성기를 1이상 보유하는 화합물이 열거된다.
광조사에 의해, 구조변화하는 광반응부분의 구조예로는, 포토크로믹화합물(우치다 킴고, 이리에 마사히로 저, 카가쿠코교, vol. 64, p. 640, 1999, 우치다 킴고, 이리에 마사히고 저, 화인케미컬, vol. 28(9), p.15, 1999) 등에 기재된 것이 열거된다.
이하에,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의 구체예(예시화합물 b-1 ∼ b-9)를 표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구체예에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하기의 예시화합물 b-1 ∼ b-9의 구조식중, n은 1∼12의 정수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10∼9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8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의 함유량은 2∼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1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액정성 화합물로서 2종류이상의 화합물을 병용하는 경우, 및광반응성 키랄화합물로서 2종류이상의 화합물을 병용하는 경우는, 총 함유량이 각각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고, 상기 액정성 화합물의 중합성기의 중합반응, 및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이 중합성 화합물인 경우는 그 화합물의 중합을 증진시킨다. 그 결과, 액정성 화합물은 소정의 선택반사를 나타내는 나선피치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화되는 동시에, 액정성 조성물로부터 이루어지는 층의 막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공지의 것중에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고, 예컨대, p-메톡시페닐-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부톡시스티릴)-5-트리클로로메틸1,3,4-옥사디아졸, 9-페닐아크리딘, 9,10-디메틸벤즈페나진, 벤조페논/미히러케톤, 헥사아릴비이미다졸/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벤질디메틸케탈, 티옥산톤/아민 등이 열거된다.
상기 액정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은, 0.1∼20질량%가 바람직하고, 0.5∼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광조사시의 경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영역에서 가시광영역으로의 광투과율의 저하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은, 소망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그외의 성분으로는, 바인더수지, 중합금지제가 열거된다.
상기 바인더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등의 폴리스티렌화합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수지, 측쇄에 카르복실기를 보유하는 산성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아세탈수지, 특허공개 소59-44615호, 특허공고 소54-34327호, 특허공고 소58-12577호, 특허공고 소54-25957호, 특허공개 소59-53836호, 특허공개 소59-71048호의 각 공보에 기재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이타콘산 공중합체, 크로톤산 공중합체, 말레인산 공중합체, 부분 에스테르화 말레인산 공중합체 등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 바인더수지로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호모폴리머 및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호모폴리머도 열거되고, 이것들에 대해서는, 알킬기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iso-부틸기, n-헥실기, 시클로헥실기, 2-에틸헥실기 등의 것을 열거할 수 있다. 그외에, 수산기를 보유하는 폴리머에 산무수물을 첨가시킨 것,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의 호모폴리머)아크릴산 공중합체나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그 밖의 모노머의 다원공중합체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바인더수지의 함유량으로는, 0∼50질량%가 바람직하고, 0∼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50질량%를 초과하면, 액정성 화합물의 배향이 불충분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중합금지제는 보존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액정성 조성물에 첨가된다. 상기 중합금지제로는, 예컨대,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페노티아진, 벤조퀴논, 및 이것들의 유도체 등이 열거되고, 이것들은, 액정성 화합물에 대하여, 0∼10%질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은, 소정의 용매로 용해한 용액상태, 또는 융해상태의 도포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도포액을 기판에 도포하고, 형성한 도포막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소망의 광학특성을 나타내는 컬러필터, 광학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 및 광학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컬러필터]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에, 조사량이 서로 다른 활성광선을 조사하고, 선택반사가 서로 다른 유색영역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이다. 광조사에 의해 유색영역을 형성한 후, 다시 광조사하고, 소정의 배향으로 된 상기 액정성 화합물을 중합시켜, 액정성 화합물을 고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RGB 각 층이,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액정성 화합물의 나선피치에 기인하는 원편광반사에 의해서 발색하고 있다.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액정성 화합물은, 그 복굴절 Δn이 크기 때문에, 나서피치에 기인하는 RGB 각 층의 반사스펙트럼의 반사율은 향상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컬러필터를 사용하면, 표시의 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RGB 각 층의 반사스펙트럼의 반값폭은, 넓을수록 밝은표시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한편으로 반값폭이 너무 넓으면, 색순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각 층의 반값폭은 50nm이상 15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G층의 반사스펙트럼의 반값폭은 70nm이상 13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nm이상 110nm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의 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시트형태의 것이어도 좋고, 소망의 지지체상에, 상기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이 형성된 형태의 것이어도 좋고, 또 배향막이나 보호막 등의 다른 층(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은 2층이상 적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에 조사량이 서로 다른 활성광선을 조사하는 공정(이하, 「노광공정」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의해서 형성시킨, 선택반사가 서로 다른 유색영역(일반적으로는, RGB화소영역)을 보유한다. 상기 노광공정에 있어서, 소망의 화소패턴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하여 광조사함으로써, 소망의 패턴으로 구성된 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광공정으로는,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이 고감도로 감응할 수 있는 파장(λ1)에 의해 화상형태로 노광하여 패턴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에 광이 조사되면, 그 조도에 따라서,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이 감응하여 액정화합물의 나선구조가 변화하고, 그 구조변화에 의해 광조사영역은 다른 선택반사색을 나타재고 화상형태의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소망의 영역마다 조사강도를 변경하여 광조사하면, 조사강도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색을 나타내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화상형태로 광투과율이 다른 노광용 마스크를 통해서 노광함으로써, 1회의 광조사에 의해서 화상을, 즉 다른 선택반사를 하는 유색영역을 동시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노광공정 후, 액정성 화합물이 중합가능한 파장(λ2)의 광(액정성 조성물이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우는 중합개시제가 라디칼 등을 발생하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액정성 화합물을 경화(고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이 공정을 「경화공정」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경화공정에 의해, 컬러필터의 강도, 내구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파장 λ1으로는,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의 광감응파장영역, 특히 광감응피크파장에 근접하는 파장에 설정하는 것이, 충분한 패턴닝감도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장 λ2으로는, 중합개시제의 광감응파장영역, 특히 광반응피크파장에 근접하는 파장에 설정하는 것이, 충분한 광중합감도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노광공정 및 경화공정에 있어서의 광조사의 조도(조사강도)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패턴닝시 및 중합경화시의 광감도가 충분히 얻어지도록,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노광공정 및 경화공정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에너지가 높고, 액정성 화합물의 구조변화 및 중합반응이 신속하게 행하는 점에서, 자외선을 발생하는 광원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고압수은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 Hg-Xe램프 등이 열거된다. 또한, 광원은, 조사량이 다른 광선을 조사하기 위해서, 광량가변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λ1과 파장 λ2은, 조사파장 및 조도의 균일화 및 장치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동일파장(λ1= λ2)의 광(단일 광원)이어도 좋다. λ1= λ2의 경우는, 액정성 화합물이 중합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도(조사강도)로 상기 노광공정에서의 광조사를 행하고, 팬턴닝된 각 화소의 선택반사파장띠의 반값폭의 증대를 10%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조도로, 상기 경화공정의 광조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상기 노광공정은 산소의 존재하에서 행해지고, 그 산소에 의한 라디칼담금질의 영향을 받아서 중합반응속도가 저하하고, 미세감지의 저하나 색변위를 일으키기 쉽지만, 신속하게 경하시키는 것으로 산소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고, 색변위가 없이 소정의 선택반사색을 보유하는 컬러필터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액정성 화합물이 중합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도란, 패턴닝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중합반응이 진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조사강도를 말한다. 또한, 각 화소의 선택반사파장띠의 반값폭의 증대를 10%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조도란, 소정의 선택반사파장(소망의 색상)으로부터의 파장의 변위(색변위;노광공정에서의 광조사에 의해 얻은 선택반사파장띠의 반값폭으로부터의 변위)를 10%이하로 유지하면서 고정화하는 조사강도를 말한다. 즉, 상기 노광공정에 있어서, 광이 액정성 조성물에 조사되면, 화상형태로 선택반사색을 나타내는 화소패턴이 형성되고, 또한, 경화공정에서 광을 조사하고, 신속하게 중합반응을 진행시켜, 경화공정에서의 광조사로 키랄화합물이 감응하여 액정성 화합물의 나선구조가 변화하기 전에 경화(고정화)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λ1= λ2의 경우란, 광의 스펙트럼프로파일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말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장영역을 보유하고 있으면 좋고, 양광의 스펙트럼프로파일이 완전히 일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λ1= λ2인 경우, 노광공정에 있어서의 광조도로는, 구체적으로는, 100mWㆍcm-2이하가 바람직하고, 키랄화합물의 광감도를 고려하면, 2mWㆍcm-2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공정에 있어서의 광조도로는, 구체적으로는, 150mWㆍcm-2이상이 바람직하고,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의 광감도를 고려하면, 200∼500mWㆍcm-2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상기 노광공정을 1공정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의 제조방법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적당한 다른 공정과 조합시킨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광공정을 복수회 실시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광공정 후, 상기 경화공정을 실시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 외에, 선택하는 구체적인 제조형태에 따라서, 적당하게 액정성 조성물을 기판상에 형성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 액정조성물과의 접촉면에 배향처리를 실시하는 공정, 밀착ㆍ박리에 의해 액정조성물(액정층)을 전사등을 하는 공정 등을 표함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예컨대, 이하에 표시하는 제1, 제2의 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제1의 형태]
(1) 가지지체상에, 적어도 도포액상의 상기 액정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액정층을 보우하는 전사재료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콜레스테릭액정층과 가지지체의 사이에는, 배향막이나, 피전사체상에 이물 등이 있는 경우 등, 전사시에 있어서의 밀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열가소성수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쿠션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 쿠션층 등의 표면에는, 러빙처리 등의 배향처리(배향처리공정)를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2) 상기 전사재료를 광투과성의 기판상에 적층하는 공정.
상기 광투과성의 기판외에, 기판상에 수상층을 보유하는 수상재료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전사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기판상에 액정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액정층을 형성해도 좋다(도포공정). 도포는, 공지의 도포방법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하여 행한다. 단, 재료손실 및 비용의 점에서 전사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3) 광투과성의 기판으로부터 전사재료를 박리하고, 상기 가판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전사공정).
이 액정층은, 하기(4)를 거친 후, 다시 적층하여 복수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4) 액정층에 노광마스크를 통하여 화상형태로 파장 λ1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선택반사색을 나타내는 화소패턴을 형성하고, 이것에 다시 파장 λ2의 자외선을조사하여 층을 경화시켜, 풀컬러의 컬러필터로 하는 공정(노광공정).
[제2의 형태]
(1) 컬러필터를 구성하는 지지체상에, 직접,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
여기에서, 액정층은, 도포액상에 조제한 액정성 조성물을 스핀코트법 등의 공지의 도포방법에 의해 도포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층과 지지체의 사이에는, 상기와 동일한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배향막 등의 표면에는, 러빙처리 등의 배향처리(배향처리공정)를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2) 상기 제1의 형태의 공정(4)와 동일한 노광공정
컬러필터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시트상의 액정조성물)의 두께로는, 1.5∼4㎛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를 제조사는 방법의 일례를, 도1에서 도3에 의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을 적당한 용매로 용해하고, 도포액상의 액정성 조성물을 조제한다. 여기에서, 상기 용매로는, 예컨대, 2-부탄온, 시클로헥산온, 클로로포름, 테트라시드로푸란 등이 열거된다.
도1-(A)와 같이, 지지체(10)(이하, 「가지지체」라 함)를 준비하고, 지지체 (10)상에, 예컨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염비닐 등을 도포형성하여 쿠션층(열가소성수지층)(12)을 형성하고, 또 폴리비닐알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향막 (14)을 적층한다. 이 배향막은, 도1-(B)에 표시하듯이하여 러빙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이 러빙처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러빙처리한 편이 보다 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도1-(C)에 표시하듯이, 상기 배향막(14)상에, 도포액상의 액정성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고, 액정층(16)을 형성한 후, 이 액정층(16)상에 커버필름(18)을 형성하고, 전사재료를 제작한다. 이하, 이 전사재료를 전사시트 (20)라 칭한다.
한편, 도1-(D)에 표시하듯이, 별도의 지지체(22)를 준비하고, 이 지지체상에 상기와 동일하게하여 배향막(24)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시한다. 이하, 이것을 컬러필터용 기판(26)이라 칭한다.
계속하여, 도2-(E)에 표시하듯이, 전사시트(20)의 커버필름(18)을 박리한 후, 그 전사시트(20)의 액정층(16)의 표면과, 컬러필터용 기판(26)의 배향막(24)의 표면이 접촉하도록 중합시켜, 도중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는 롤을 통하여 적층된다. 그 후, 도2-(F)에 표시하듯이, 전사시트(20)의 배향막(14)과 쿠션층(12)의 사이에서 박리되고, 컬러필터용 기판상에, 액정층이 배향막(14)과 함께 전사된다. 이 경우, 쿠션층(12)은, 반드기 가지지체(10)와 함께 박리되지 않아도 좋다.
전사 후, 도3-(G)에 표시하듯이, 배향막(14)의 상방으로, 광의 투과율이 다른 영역을 복수보유하는 노광마스크(28)가 배치되고, 이 마스크(28)를 통하여 파장λ1의 광을 액정층(16)에 패턴형상으로 조사된다. 액정층(16)에는, 광조사량에 따라서 나선피치가 다르도록 액정성 화합물, 광반응성 키랄화합물 등이 함유되어 있고, 나선피치가 다른 구조가 각 패턴마다, 예컨대, 녹색(G)을 반사하고, 청색(B) 및 적색(R)을 투과시키는 영역, 청색(B)을 반사하고, 녹색(G) 및 적색(R)을 투과시키는 영역, 적색(R)을 반사하고, 녹색(G) 및 청색(B)을 투과시키는 영역이 형성된다.
그 다음에, 도3-(H)에 표시하듯이, 액정층(16)에 대해서, 또 파장 λ21≠λ2또는 λ1= λ2)을 조사하고, 패턴을 고정화한다. 그 후, 시클로헥산온 등의 용매세정에 의해, 액정층(16)상의 불필요부분(예컨대, 쿠션층, 중간층 등의 잔존부, 미노광부)을 제거함으로써, 도3-(I)에 표시하듯이, BGR의 반사영역을 보유하는 콜레스테릭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1∼3에 표시하는 방법은, 적층방식에 의한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의 한 형태이지만, 컬러필터용 기판상에 직접 액정층을 도포형성하는 도포방식에 의한 제조방법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형태를 적용시키면, 도1-(D)에 표시하는 컬러필터용 기판(26)의 배향막(24)상에 콜레스테릭액정층을 도포, 건조한 후, 상기와 동일한 도3-(G)∼(I)에 표시하는 공정이 순차 실시된다.
이들 공정 및 사용하는 지지체 등의 재료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들이 먼저 제출한 특원평 11-342896호 및 특허공개 평11-343665호의 각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광학필름]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에, 활성광선을 조사하고, 적어도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중합시켜, 고정화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성 조성물은, 광조시켰을 때에, 나선피치가 크게 변화하는 동시에, 복굴절 Δn이 크다는 특징을 보유한다. 따라서, 상기 액정성 조성물을 이용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막두께를 얇게 유지한채로, 소망의 광학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본 발명의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에, 활성광선을 조사하고, 적어도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중합시켜, 고정화하는 공정(이하, 「고정화 공정」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고정화 공정에서 행해지는 광조사에 의해서, 층중의 상기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이 감응하고, 구조변화하는 동시에, 이것에 유발되어 상기 액정성 화합물이 소정의 나선피치로 배향한다. 배향한 액정성 화합물은, 연속조사되는 광에 의해서 중합경화하고, 그 배향으로 고정화된다.
상기 고정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의 제작방법과 동일하게 공조사를 2단계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우선, 광반응성 키랄화합물의 광반응파장영역, 특히 광감응피크파장에 근접하는 파장 λ1의 광을 조사하고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키고, 그 다음에, 중합개시제의 광감응파장영역, 특히 광감응피크파장에 근접하는 파장 λ2의 광을 조사하고, 중합경화시킬 수 있다. 2단계의 광조사를 행하는 경우, λ1≠λ2이어도, λ1= λ2이어도 좋다. λ1= λ2의 경우는, 제1단계째와 제2단계째의조사량을 변화시킨다.
광조사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액정성 화합물의 배향을 제어할 수 있고, 소망의 광학특성을 나타내는 광학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성 화합물의 비틀린 방향이 대칭성을 보유하는 STN표시소자와 조합시킴으로써, 광학보상필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편광판 등의 용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상기 고정화 공정을 1공정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의 제조방법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적당한 다른 공정과 조합시킨 제조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그 외에, 선택하는 구체적인 제조형태에 따라서, 적당하게, 액정성 조성물을 기판상에 형성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 액정조성물과의 접촉면에 배향처리를 실시하는 공정, 밀착ㆍ박리에 의해 액정조성물(액정층)을 전사 등을 하는 공정 등을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것들의 그 밖의 공정에 대해서는, 상기 컬러필터의 제작방법에서 설명한 각 공정과 각각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그 두께가 1㎛이상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이상 3㎛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유리기판상에 폴리이미드배향막용도 도포액(일입화성 듀퐁사 제, LX-400)를스틴코터로 도포하고, 100℃의 오븐에서 5분간 건조한 후, 250℃의 오븐에서 1시간 소성하여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배향막의 표면을 러빙처리하여 배향막부착 유리기판을 제작하였다.
하기의 조성의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액정성 화합물(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1)) ---------- 89질량부
광반응성 키랄화합물 ----------------------------------- 11질량부
(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2))
중합개시제(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3)) ------------- 3질량부
클로로포름 -------------------------------------------- 600질량부
조제한 도포액을 상기 유리기판상(배향막상)에 스핀코터로 도포하고, 100℃의 오븐에서 2분간 건조하고, 액정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유리기판을 핫플레이트상에서 110℃의 온도로 3분간 유지하고, 상기 액정층을 발색시켰다. 그 다음에, 영역마다 광투과율이 서로 다르고(광투과 0%, 46%, 92%), 각 영역이 청색화소용, 녹색화소용, 및 적색화소용에 각각 대응하여 배열된 포토마스크와, 365nm에 중심을 보유하는 밴드패스필터를 통해서, 초고압수은등으로 노광을 행하였다. 조사에너지는 적색화소용의 영역에 대해서는 100mJ/㎠였다.
그 다음에, 포토마스크와 밴드패스필터를 제거하고, 동일한 초고압수은등으로, 질소가스를 가하면서 전면노광(500mJ/㎠)을 행하고, 액정성 화합물을 중합경화시켜서 고정화하였다. 더욱이, 필터부의 경화를 진행하기 위해서, 220℃의 오븐에서 10분간 소성하고, 적색화소, 녹색화소, 청색화소 패턴이 형성된 컬러필터를 얻었다.
얻어진 컬러필터의 녹색화소의 반사스펙트럼의 피크의 반값폭은 110nm으로, 컬러필터로서 충분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화합물(1) 89질량부를, 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액정성의 화합물(4) 93질량부에 대신하여, 또한 화합물(2) 11질량부를 7질량부로 대신하여 도포액의 조제를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하여, 컬러필터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컬러필터의 녹색화소의 반사스펙트럼의 피크의 반값폭은 50nm이고,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반값폭이 좁았다. 따라서, 표시소자에 사용된 경우는, 실시예1의 컬러필터쪽이 밝은 표시로 되는 것이 추찰된다.
(실시예 2)
두께 80㎛의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상에, 비누화도 99.5%의 폴리비닐알콜 (PVA)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바코트법으로 도포하고, 110℃에서 3분간 가열하여 PVA막을 형성하였다. 이 PVA막을 러빙처리하고, 하기처방으로 조제한 액정성 막도포액을 바코터로 가온도포하고, 120℃의 오븐에서 3분간 건조하여, 액정성 막을 형성하였다.
액정성 막용 도포액의 조성
액정성 화합물(상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 (1)) --------- 50질량부
액정성 화합물(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5)) --------- 50질량부
광반응성 키랄화합물 ----------------------------------- 0.7질량부
(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6))
개시제(상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3)) ----------------- 3질량부
클로로포름 -------------------------------------------- 400질량부
액정성 막이 형성된 TAC를, 100℃에서 고압수은램프를 사용하여 UV조사하고, 액정성 막중의 액정성 화합물을 중합시켜, 막을 경화시키고, 광학필름을 얻었다. 막의 두께는 3.4㎛였다. 형성된 막의 평광투과스펙트럼 프로파일로부터, 액정성 화합물의 배향이 막의 두께방향으로 240도 비틀려 있는 것이 있었다.
얻어진 광학필름을, 광학필름의 막과 역으로 비틀린 배향을 보유하는 STN셀과, 분자방향을 직교시켜서 재차, 2매의 흡수축이 직교한 편광판의 사이에 투입하였다. 목시로 관찰했을 때, 양호한 검정표시를 표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얻어진 광학필름은, STN용 광학보상필름으로서 작용하는 것이 있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조사에 의해 광학특성이 크게 변화하는 동시에, Δn이 큰 액정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율일 높고, 밝은 표시가 가능한 반사형 컬러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발명에 의하면, 박형화가 가능한 광학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하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이상과, 광반응에 의해서 제조변화가 일어나는 키랄화합물의 1종류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성 조성물.
    (식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하기의 1가기의 군1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1가기를 표시하고, L1및 L2는 각각, 단결합 또는 하기의 2가기의 군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1, Ar3, Ar4및 Ar6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2및 Ar5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하기의 2가기의 군3 및 군4 중의 탄소환은 각각,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CF3, -OCF3, -OCHF2, -CH3및 -CO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도 좋다. n1, n2, n3, 및 n4는 각각, 0 또는 1을 표시하고, n은 2∼15의 어느 정수를 표시한다.)
    1가기의 군1
    2가기의 군2
    2가기의 군3
    2가기의 군4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10질량%이상 98질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키랄화합물의 함유량이 2질량%이상 20질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성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랄화합물이 중합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성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에, 조사량이 서로 다른 활성광선을 조사하고, 선택반사가 서로 다른 유색영역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6. 하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서로 다른 나선피치로 배향하여 고정된 적색층, 녹색층, 및 청색층을 보유하고, 각 층이 상기 나선피치에 기인하는 원편광반사에 의해서 발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식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하기의 1가기의 군1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1가기를 표시하고, L1및 L2는 각각, 단결합 또는 하기의 2가기의 군2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1, Ar3, Ar4및 Ar6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Ar2및 Ar5는 각각, 하기의 2가기의 군4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2가기를 표시하고, 하기의 2가기의 군3 및군4 중의 탄소환은 각각,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CF3, -OCF3, -OCHF2, -CH3및 -COCH3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n1, n2, n3, 및 n4는 각각, 0 또는 1을 표시하고, n은 2∼15의 어느 정수를 표시한다.)
    1가기의 군1
    2가기의 군2
    2가기의 군3
    2가기의 군4
  7. 제6항에 있어서, 녹색층의 반사스펙트럼의 반값폭이 70nm이상 13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에, 활성광선을 조사하고, 적어도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중합시켜, 고정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KR1020010036354A 2000-06-26 2001-06-25 액정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광학필름 KR100739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1114A JP2002003845A (ja) 2000-06-26 2000-06-26 液晶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00-191114 2000-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725A true KR20020000725A (ko) 2002-01-05
KR100739420B1 KR100739420B1 (ko) 2007-07-13

Family

ID=1869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354A KR100739420B1 (ko) 2000-06-26 2001-06-25 액정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광학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45397B2 (ko)
JP (1) JP2002003845A (ko)
KR (1) KR1007394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78B1 (ko) * 2007-02-23 2008-09-04 양재우 시야각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월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KR100941402B1 (ko) * 2005-06-02 2010-02-10 (주)엔디스 풀 컬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1078480A2 (ko) * 2009-12-21 2011-06-30 주식회사 엔디스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7676B2 (ja) * 1999-12-24 2012-06-06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ェニルアセチレン化合物、液晶組成物及び液晶又は光学用素子
EP1332494A4 (en) * 2000-09-21 2005-04-20 Gsi Lumonics Corp DIGITAL CONTROL SERVO SYSTEM
KR100393389B1 (ko) * 2001-02-07 2003-07-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콜레스테릭 액정 컬러필터를 이용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US7128953B2 (en) * 2001-02-19 2006-10-31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film comprising support and polarizing layer
JP2002338963A (ja) * 2001-05-15 2002-11-27 Fuji Photo Film Co Ltd 液晶組成物、選択反射膜、及び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
JP2003082352A (ja) * 2001-09-17 2003-03-19 Fuji Photo Film Co Ltd 液晶組成物、選択反射膜、及びその製造方法
ATE328050T1 (de) * 2002-04-24 2006-06-15 Merck Patent Gmbh Reaktive mesogene benzodithiophene
GB2395201B (en) * 2002-09-24 2006-10-04 Merck Patent Gmbh Broadband reflective film
US7070838B2 (en) 2003-06-23 2006-07-04 Chisso Petrochemical Corporation Liquid crystalline compound,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their polymers
JP2005255578A (ja) * 2004-03-10 2005-09-22 Fuji Photo Film Co Ltd 化合物、液晶組成物および光学材料
CN101693722A (zh) * 2004-06-09 2010-04-14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可聚合的噻吩并[3,2-b]噻吩
JP4297436B2 (ja) * 2004-08-19 2009-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性ジ(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位相差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並びに液晶表示装置
DE602005002989T2 (de) 2004-08-19 2008-08-07 Nitto Denko Corp., Ibaraki Flüssigkristalline Di(meth)acrylatverbindung, Phasendifferenzfilm, optischer Film, polarisierende Platte, Flüssigkristallschirm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US7470376B2 (en) * 2004-10-29 2008-12-3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hotochemically active chiral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7452482B2 (en) * 2004-12-15 2008-11-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hotochemically active chiral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TWI292069B (en) * 2005-05-27 2008-01-0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281063B (en) * 2005-08-16 2007-05-1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4708287B2 (ja) * 2006-08-25 2011-06-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転写材料、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紫外線露光装置
CN109031797B (zh) * 2018-09-04 2021-04-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反射式液晶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10669444A (zh) * 2019-09-11 2020-01-10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柔性聚酰亚胺薄膜高精度快速固定的方法
CN116083090A (zh) * 2022-10-18 2023-05-09 上海先幻高科新材料有限公司 自分层液晶组合物、消色差四分之一波片膜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7558C2 (sv) * 1995-01-23 1998-06-22 Bofors Ab Granat med multiladdningar
JP2001527570A (ja) * 1997-05-22 2001-12-25 ロリク アーゲー 新規重合性液晶化合物
JP4517416B2 (ja) * 1999-03-30 2010-08-04 Dic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該化合物の合成中間体、該重合性化合物を含有する重合性液晶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光学異方体及び該光学異方体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02B1 (ko) * 2005-06-02 2010-02-10 (주)엔디스 풀 컬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55378B1 (ko) * 2007-02-23 2008-09-04 양재우 시야각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월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WO2011078480A2 (ko) * 2009-12-21 2011-06-30 주식회사 엔디스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78480A3 (ko) * 2009-12-21 2011-11-03 주식회사 엔디스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019446B2 (en) 2009-12-21 2015-04-28 Ndi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18863A1 (en) 2002-02-14
JP2002003845A (ja) 2002-01-09
US6645397B2 (en) 2003-11-11
KR100739420B1 (ko) 200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420B1 (ko) 액정성 조성물, 컬러필터, 및 광학필름
JP4287599B2 (ja) 光反応型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カイ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記録媒体、及び液晶の捻れ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
KR100806766B1 (ko) 콜레스테릭 액정 칼라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127326A1 (en) Liquid crystal composition, selectively reflect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800220B2 (en) Optically active polyester, photoreactive chiral agent, liquid crystal composition, liquid crystal color filter, optical film, recording medium, method of changing the helical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and method of fixing the helical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JP4137436B2 (ja) 光学活性化合物、液晶組成物用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光学フィルムおよび記録媒体
JP4287598B2 (ja) 光反応型カイ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記録媒体、及び液晶の捻れ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
US20010030720A1 (en) Cholesteric liquid crystal color filter,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device for using the same
JP2002179668A (ja) 光学活性化合物、液晶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光学フイルム及び記録媒体
JP2002179669A (ja) 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の捻れ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
US6788369B2 (en) Cholesteric liquid crystal color fil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313292A (ja) 光学活性ポリエステル/アミド、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2338575A (ja) 光学活性イソソルビド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3313189A (ja) 光学活性イソソルビド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2179670A (ja) 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179682A (ja) 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2179681A (ja) 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
JP2007199237A (ja) 転写材料、液晶セル用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6909478B2 (en) Method for producing cholesteric liquid crystal color filters
JP4132779B2 (ja) 選択反射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4322418B2 (ja) 光学活性化合物、光反応型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の螺旋構造を変化させる方法、液晶の螺旋構造を固定化する方法、液晶カラーフィルタ、光学フィルム、及び記録媒体
US6800219B2 (en) Liquid crystal composition, selectively refl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color filter
JP2002180051A (ja) 液晶キラル剤、液晶組成物、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光学フイルム及び記録媒体
JP2002341126A (ja) 選択反射膜及び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
JP2002328229A (ja) 光学膜形成方法及び選択反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