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790Y1 - 압박 양말 - Google Patents

압박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790Y1
KR200199790Y1 KR2020000010870U KR20000010870U KR200199790Y1 KR 200199790 Y1 KR200199790 Y1 KR 200199790Y1 KR 2020000010870 U KR2020000010870 U KR 2020000010870U KR 20000010870 U KR20000010870 U KR 20000010870U KR 200199790 Y1 KR200199790 Y1 KR 200199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ocks
elastic
elastic compression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정
Original Assignee
김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정 filed Critical 김순정
Priority to KR2020000010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박양말에 관한 것으로, 발목부위가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발목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구기종목 운동선수, 특히 오랜기간 발목깁스를 했던 사람의 저하된 발목근력을 강압시켜, 이에 따른 발목의 근력향상과 함께, 보행 또는 운동시 부상당했던 발목부위의 부상재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말편직시 뒷굼치부분을 제외한 발등 및 발바닥의 중간부터 발목 상단 일정높이까지 탄성압박부를 편직형성시키므로서, 착용의 번거로움이 없고, 발등부터 발목상단까지 넓은 범위의 압박보강에 따른 보행 및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부상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압박부가 면사 및 스판덱스사, 피복고무사 등이 혼합편직되어 있어, 피부가 민감한 사람이 신어도 땀에 의한 발목주위가 헐지 않고, 상기 탄성압박부의 신축성 및 보온에 의해 압박고정되기 때문에 빠른 시일내에 발목관절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사용, 숙녀용, 어린이용, 패션양말등에도 상기 탄성압박부를 편직하여 사용하므로서 발목관절 보호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커다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박 양말{TIGHT SOCKS}
본 고안은 압박양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말편직시 발등 및 발바닥의 중간부터 발목 상단 일정높이까지 탄성압박부를 형성시키므로서, 발목부위가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발목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구기종목 운동선수, 특히 오랜기간 발목깁스를 했던 사람의 저하된 발목근력을 강압시켜, 이에 따른 발목의 근력향상과 함께, 보행 또는 운동시 부상당했던 발목부위의 부상재발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압박양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목을 삐거나 접질였을 때 또는 발목이 부러졌을 경우, 병원에서 다친 발목에 깁스를 한 상태로 한 달에서 한 달 보름 동안 착용한 다음 깁스를 분리시켰을 경우, 발목의 근육이 굳게되어 이에 발목에 근력을 갖도록 물리치료를 받지만, 처음에는 발목의 근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걷기가 매우 힘들게 되고, 또한 물리치료 후에도 다친 발목에 근력이 완전하게 향상되지 않고 저하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행 및 간단한 운동에도 다친 발목에 통증이 발생되게 되어, 장거리 및 장시간 보행하기가 매우 불편하여 다친 발목부위에 탄성보호대(일명 아대라고 불림, 도 3 참조)를 대고 보행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양말을 신은 다음 다친 발목부위의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기 위해 양말을 신은 다음 종래의 탄성보호대를 따로 착용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매우 크고, 다친곳을 포함하여 넓게 감싸 압박하지 못하고 다친 일부분만을 압박해주므로 인해, 보행시 발등부위에서부터 발목상부의 종아리부위까지의 넓은 범위로 통증이 확산됨에 따른 보행 및 간단한 운동을 하는데 매우 불편함이 발생되는 단점과 함께, 상기와 같이 탄성보호대가 압박해주고 있는 발목등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지 못하고 양말이 항상 젖어 있기 때문에, 피부가 민감한 사람인 경우 발목주위가 헐게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4(실용신안 공개번호 86-4234) 및 도 5(실용신안 공개번호 94-113)는 공지된 양말에 대한 것으로, 도 4는 밀착성이 양호한 양말로서, 협지력이 우수한 신축탄력대의 고무사를 발목(2) 및 발등둘레(3)에 편직한 것이고, 도 5는 양말(S)의 목부위(2)에 발목을 조여주는 탄성밴드(3a)(3b)를 편직 또는 봉착한 것 으로, 상기 도 4와 도 5의 양말에 구성된 신축탄력대의 고무사 및 탄성밴드의 역할은, 단지 격심한 보행활동중에도 양말이 흘러내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발뒷굼치의 겹침을 방지한다는 것일 뿐, 상기 종래의 탄성보호대를 대신으로 발목부위를 압박할 수 없으며, 아울러 상기 탄성보호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지된 양말들을 신은 다음 상기 양말들 외부로 탄성보호대를 착용하지만, 이 역시 탄성보호대의 착용에 따른 번거로움이 매우 크고, 또한 종래의 탄성보호대의 착용에 의해 발생되던 단점들이 그대로 발생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발목부위가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발목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구기종목 운동선수, 특히 오랜기간 발목깁스를 했던 사람의 저하된 발목근력을 강압시켜, 이에 따른 발목의 근력향상과 함께, 보행 또는 운동시 부상당했던 발목부위의 부상재발등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의하여, 양말편직시 뒷굼치부분을 제외한 발등 및 발바닥의 중간부터 발목 상단 일정높이까지 탄성압박부를 편직형성시켜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압박양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압박양말의 실시예도.
도 3은 종래의 탄성보호대 사시도.
도 4는 종래 양말의 고무사 편직 위치도.
도 5는 종래의 또 다른 양말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압박양말 101. 입구부 102. 탄성압박부 103. 탄성밴드
도 1은 본 고안인 압박양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압박양말의 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발 삽입구(101)에 탄성밴드(103)가 편직된 양말에 있어서, 양말편직시 뒷굼치부분을 제외한 발등 및 발바닥의 중간부터 발목 상단 일정높이까지 탄성압박부(102)를 편직형성시킨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압박부는(102) 면사 및 스판덱스사, 피복고무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압박양말의 작용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인 압박양말(100)을 편직할 때, 상기 양말(100)의 발 삽입구(101)에 탄성밴드(103)를 편직되면서 발목상단의 일정높이 및 뒷굽치부분까지는 일반편직을 하고, 상기 발목상단의 일정높이부터 발등 및 발바닥 중간부위까지는 면사, 스판덱스사, 피복고무사등을 이용하여 탄성압박부(102)를 편직하며, 상기 발등 및 발바닥중간부위부터 발가락부위까지는 다시 일반편직을 하므로서, 본 고안인 압박양말(100)이 제작되는데,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고안의 압박양말(100)을 발목부위가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및 발목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구기종목 운동선수, 그리고 특히 오랜기간 발목깁스를 했던 사람이 신을 경우 종래의 탄성보호대가 필요없이 자연적으로 양말을 신으므로서, 다친곳인 발목부분을 포함하여 뒷굼치부분을 제외한 상기 발목주위 즉 발등 및 발바닥의 중간부터 발목 상단 일정높이까지 편직된 탄성압박부(102)에 의해 넓게 감싸 압박하므로서, 저하된 발목근력을 보강 및 향상시켜주므로 인해, 보행 및 운동시 발등부위에서부터 발목상부 종아리부위까지의 넓은 범위로 확산되는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서 보행이나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탄성압박부(102)는 면사 및 스판덱스사, 피복고무사 등이 혼합편직되었기 때문에, 상기 스판덱스 및 피복고무에 의한 신축성과 면에 의한 보온성에 의해, 다친 발목부분을 비롯하여 발등중간부분서부터 발목상단부위의 넓은 발목주위를 따뜻하게 보호해주면서, 보행 및 가벼운 운동을 할 때에도 다친 발목부위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압박고정시켜주기 때문에, 보다 빠른 시일내에 발목관절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발목부위의 부상재발등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압박부(102)를 신사용, 숙녀용, 어린이용, 패션양말등에 편직하여 사용하므로 인해 이에 따른 발목관절을 부상에서 보호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압박양말을 발목부위가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및 발목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구기종목 운동선수, 그리고 특히 오랜기간 발목깁스를 했던 사람이 신을 경우 탄성보호대가 필요없이 양말을 신으므로서, 자연적으로 다친 발목부분을 비롯하여 뒷굼치부분을 제외한 발등중간부분서부터 발목상단부위의 넓은 발목주위를 감싸 압박고정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종래의 탄성보호대를 착용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과 함께, 저하된 발목근력을 압박보강시켜주므로 인해 발등부위나 종아리부위까지의 넓은 범위로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서 보행이나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보행 및 간단한 운동시 부상당했던 발목부위의 부상재발을 방지하는데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보호대는 면사 및 스판덱스사, 피복고무사 등이 혼합편직되어 있어, 탄성보호대에 의해 발목부위에 땀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탄성보호대의 면 이 상기 땀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피부가 민감한 사람이 착용하여도 땀에 의한 발목주위가 헐게되지 않는 탁월한 효과와 함께, 상기 탄성보호대의 스판덱스 및 피복고무에 의한 신축성과 면에 의한 보온에 의해, 다친 발목부분을 비롯하여 발등중간부분서부터 발목상단부위의 넓은 발목주위를 따뜻하게 보호해주면서 보행 및 간단한 운동을 할 때에도 다친 발목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압박고정해주기 때문에 보다 빠른 시일내에 발목관절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사용, 숙녀용, 어린이용, 패션양말등에도 상기 탄성압박부를 편직하여 사용하므로서 발목관절 보호예방하는데에도 커다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발 삽입구(101)에 탄성밴드(103)가 편직된 양말에 있어서, 양말편직시 뒷굼치부분을 제외한 발등 및 발바닥의 중간부터 발목 상단 일정높이까지 탄성압박부(102)를 편직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양말.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압박부(102)는 면사 및 스판덱스사, 피복고무사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양말.
KR2020000010870U 2000-04-17 2000-04-17 압박 양말 KR200199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870U KR200199790Y1 (ko) 2000-04-17 2000-04-17 압박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870U KR200199790Y1 (ko) 2000-04-17 2000-04-17 압박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790Y1 true KR200199790Y1 (ko) 2000-10-16

Family

ID=1965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870U KR200199790Y1 (ko) 2000-04-17 2000-04-17 압박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7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042B1 (ko) 2007-11-19 2008-08-19 조동현 양말
KR20150105033A (ko) * 2014-03-07 2015-09-16 (주)에스엔테크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KR20220101263A (ko) 2021-01-11 2022-07-19 이지수 압박 테이핑 양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042B1 (ko) 2007-11-19 2008-08-19 조동현 양말
KR20150105033A (ko) * 2014-03-07 2015-09-16 (주)에스엔테크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KR101581305B1 (ko) 2014-03-07 2015-12-30 (주)에스엔테크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KR20220101263A (ko) 2021-01-11 2022-07-19 이지수 압박 테이핑 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332469A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KR101581305B1 (ko)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JP3119255U (ja) 靴下
US20210128338A1 (en) Joint stabilization garments
JP3877845B2 (ja) ソックス
KR200199790Y1 (ko) 압박 양말
JP4294520B2 (ja) 脚部サポート用衣類
KR200271214Y1 (ko) 기능성 압박 양말
KR20180040789A (ko)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즈
JP3239574U (ja) ソックス
JP3165090U (ja)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JP3145106U (ja) スポーツ用弾性ストッキング
KR200297768Y1 (ko) 발목 보호기능을 갖는 양말
CN210630660U (zh) 袜子
KR20170090068A (ko) 양말
TWM520263U (zh) 機能襪
JP3119498U (ja) つまずき防止靴下
KR200481570Y1 (ko) 태피스트리 자카드 직조법을 이용한 기능성 양말
JP3084399U (ja) 足用サポーター
CN219270188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保温中筒袜
JP2013076175A (ja) 足趾トレーニング用靴下
KR102589288B1 (ko) 발목 스트랩
CN215736969U (zh) 高耐磨涤棉复合中统袜
KR20230002368U (ko) 발목 부상 방지 스포츠 양말
CN219719777U (zh) 一次成型人体工学篮球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