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603Y1 -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 - Google Patents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603Y1
KR200199603Y1 KR2020000015132U KR20000015132U KR200199603Y1 KR 200199603 Y1 KR200199603 Y1 KR 200199603Y1 KR 2020000015132 U KR2020000015132 U KR 2020000015132U KR 20000015132 U KR20000015132 U KR 20000015132U KR 200199603 Y1 KR200199603 Y1 KR 200199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arking brake
cable
rotatably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모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5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8Disposition of hand control with mechanisms to take up slack in the linkage to the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L 자 형상을 가지고, 그 중간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단부가 케이블에 연결된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의 타 단부에 그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자형을 가지는 제 2 링크; 상기 제 2 링크의 타 단부에 그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 단부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 3 링크; 상기 제 3 링크 양단에 연결된 케이블의 타 단부에 그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그 타단부는 회전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4 링크 및, 제 5 링크;를 구비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Rotating linkage of parking brake}
본 고안은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에 걸리는 하중의 평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투용 차량과 같은 특수 차량은 조향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가 변속 기어와 조합되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된 변속기를 장착하고 있으며, 좌우측의 기동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변속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중 주차 브레이크는 출력축을 제동하여야 하므로 변속기의 좌, 우측에 긴 거리를 두고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작동시키면 링케이지(linkage)를 통해서 좌측 및, 우측의 주차 제동축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양측에 대한 주차력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주차 제동축이 동시에 회전하여야 하며, 도한 힘의 평형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주차 브레이크의 링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링크(11)는 L 자의 형상을 가지고, 회전축(11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링크(11)의 일 단부에는 케이블(16)이 연결되고, 제 1 링크(11)의 다른 단부에는 제 2 링크(12)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링크(12)의 다른 단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제 3 링크(13)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3 링크(13)의 양 단부에는 케이블(17,18)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17,18)은 제 4 링크(14)와 제 5 링크(15)의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제 4 링크(14)는 회전축(14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5 링크(15)는 회전축(15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4 링크(14) 및, 제 5 링크(15)의 회전은 주차 브레이크(미도시)의 회전을 야기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링케이지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차량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 레버 또는 페달(미도시)을 작동시켜서 케이블(16)을 당기면 제 1 링크(1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서 제 2 링크(12)및, 그에 연결된 제 3 링크(13)가 도면에서 상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된다. 제 3 링크(13)의 병진 운동은 케이블(17,18)을 통해서 제 4 링크(14) 및, 제 5 링크(15)에 전달되어 이들을 화살표 D 및, E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양측의 주차력이 동일하지 않다면 제 4 링크(14)와 제 5 링크(15)의 회전량이 서로 달라지므로, 그 차이에 해당하는 만큼 제 3 링크(13)가 화살표 B 방향 또는 C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링케이지는 두개의 브레이크 축 사이의 거리가 짧고, 그 사이에 장애물이 없을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투 차량과 같은 특수 차량에서는 두개의 브레이크축 사이의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고, 또한 장애물이 있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적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된 링케이지가 적용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 1 링크(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제 1 링크(21)의 일 단부에는 케이블(28)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28)은 도시되지 아니한 주차 브레이크 또는 페달에 연결된다. 제 1 링크(21)의 타 단부에는 일자형의 제 2 링크(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링크(22)의 양 단부에 케이블(29,30)이 각각 연결된다. 케이블(29,30)은 각각 제 3 링크(23) 및, 제 4 링크(24)에 연결되며, 제 3 링크(23)는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4 링크(24)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 에 도시된 링케이지의 작동에 있어서, 차량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 레버 또는 페달을 작용시키면 케이블(28)이 당겨지고, 그에 따라서 제 1 링크(21)가 화살표 F 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 링크(22)는 화살표 I 의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고, 그에 따라서 케이블(29,30)도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29,30)이 당겨지게 되면 제 3 링크(23)와 제 4 링크(24)는 화살표 G 및, 화살표 H 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3 에 도시된 것은 도 2 에 도시된 링케이지에서 제 1 링크와 제 2 링크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케이블(28)이 당겨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실선으로 도시된 것은 케이블(28)이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X,X',Y,Y'로 표시된 것은 링케이지의 상기 두가지 상태에서 제 2 링크(22)의 양 단부의 축방향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도 3 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로서, 양측 브레이크에 동일한 주차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즉, 도 2 에 도시된 케이블((29,30)을 동일한 거리로 당기기 위해서는 제 2 링크(22)가 도 2 의 I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뿐만 아니라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회전 운동을 하여야만 한다. 즉, X 와 X' 의 거리가 같아져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X 와 X' 가 같아지게 되면 힌지에서 양쪽 팔길이(Y 및, Y')가 달라지게 되며, 따라서 하중의 평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더욱이 하중이 많이 작용된 쪽의 팔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부재 C 는 계속 회전하려고 하므로 안정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링케이지가 안정되려면 최초 위치와 최종 위치에서 제 2 링크(22)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정밀한 조정이 필요하고, 또한 자주 조정을 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중의 평형 작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의 일 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의 다른 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링케이지의 일부를 발췌 도시한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의 일 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회전 링케이지의 일부를 발췌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1. 제 1 링크 12. 제 2 링크
13. 제 3 링크 14. 제 4 링크
15. 제 4 링크 16.17.18. 케이블
41. 제 1 링크 42. 제 2 링크
43. 제 3 링크 45. 제 4 링크
46. 제 5 링크 48.49.50. 케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L 자 형상을 가지고, 그 중간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단부가 케이블에 연결된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의 타 단부에 그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자형을 가지는 제 2 링크; 상기 제 2 링크의 타 단부에 그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 단부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 3 링크; 상기 제 3 링크 양단에 연결된 케이블의 타 단부에 그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그 타단부는 회전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4 링크 및, 제 5 링크;를 구비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링크에 연결된 케이블은 주차 브레이크의 레버 또는 페달에 의해서 당겨진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회전 링케이지는 L 자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링크(41)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링크(41)의 일 단부에는 케이블(48)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48)은 주차 브레이크 레버 또는 페달(미도시)에 연결된다. 제 1 링크(41)의 타 단부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제 2 링크(42)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링크(42)의 타단부는 L 자형으로 형성된 제 3 링크(43)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3 링크(43)의 양 단부에는 케이블(49,50)이 각각 연결된다. 케이블(49,50)의 타 단부에는 제 4 링크(45)와 제 5 링크(46)의 일 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제 4 링크(45)와 제 5 링크(46)의 타 단부는 회전축(51,52)으로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링케이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레버 또는 페달을 작동시켜서 케이블(48)을 당기면, 제 1 링크(41)는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화살표 O 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1 링크(41)의 회전은 제 2 링크(42)를 화살표 P 의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제 2 링크(42)가 병진 운동하게 되면 그에 따라서 제 3 링크(43)도 함께 화살표 P 의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며, 케이블(49,50)을 당기게 된다. 케이블(49,50)이 당겨지게 되면 제 4 링크(45) 및, 제 5 링크(46)가 회전축(51,52)을 중심으로 화살표 Q 및, S 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4 링크(45) 및, 제 5 링크(46)의 회전은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5 에 도시된 것은 도 4 에 도시된 링케이지에서 제 1 내지 제 3 링크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이전 상태이고, 실선으로 도시된 것은 케이블(48)을 당겨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41)가 회전하더라도 제 2 링크(42)는 병진 운동 이외에 실질적으로 매우 미미한 량의 회전만을 하므로 제 3 링크(43)가 거의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주차력이 케이블(49,50)을 통해서 제 4 링크(45)와 제 5 링크(46)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의 하중이 상이하여 제 4 링크(45)와 제 5 링크(46)의 회전량이 상이하다면 도 4 에 도시된 화살표 R 의 방향으로 제 3 링크(43)가 회전하게 되지만,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하중은 평형을 이루게 된다.
도 4 에 도시된 링케이지는 제 2 링크(42)와 제 3 링크(43)가 어떠한 각도로 조립되더라도 회전시에 제 4 링크(45) 및 제 5 링크(46)에 대한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정밀한 조정이 필요없이 동일한 하중이 유지된다. 또한 조립 후에 링케이지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각 링크들이 서로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로 회전하여 평형으로 유지하므로 조정이 필요하지 않다.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는 양측 브레이크에 대하여 동일한 주차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정밀한 조정이 불필요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L 자 형상을 가지고, 그 중간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단부가 케이블에 연결된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의 타 단부에 그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자형을 가지는 제 2 링크;
    상기 제 2 링크의 타 단부에 그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 단부에 각각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 3 링크;
    상기 제 3 링크 양단에 연결된 케이블의 타 단부에 그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그 타단부는 회전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4 링크 및, 제 5 링크;를 구비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에 연결된 케이블은 주차 브레이크의 레버 또는 페달에 의해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
KR2020000015132U 2000-05-29 2000-05-29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 KR200199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132U KR200199603Y1 (ko) 2000-05-29 2000-05-29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132U KR200199603Y1 (ko) 2000-05-29 2000-05-29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603Y1 true KR200199603Y1 (ko) 2000-10-02

Family

ID=1965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132U KR200199603Y1 (ko) 2000-05-29 2000-05-29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6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6692B1 (en) &#34;steer by wire&#34; road vehicle steering system provided with a telescopic support element for the steering wheel
US20020063012A1 (en) Vehicle steering system
JPH11263232A (ja) 車両かじ取り装置
KR200199603Y1 (ko)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 링케이지
KR20090071999A (ko) 6×6 차륜형 차량의 전차륜 조향 장치
KR20020019585A (ko) 종동 차축의 조향 능력 향상 장치
JPH05501531A (ja) 液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の制御弁を作動させる装置
KR100320522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케이블
JP2006527822A (ja) 回転運動の伝達装置
US20080132382A1 (en) Actuating Device
US11820421B2 (en) Steering angle limiting device and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0558564U (ja) 後輪操舵装置
KR0134909Y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H0214971A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0356841B1 (ko) 자동차용 조향링키지의 구조
KR100369670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용 유니버설 조인트
JP2551981Y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S61234414A (ja) 変速機の遠隔操作機構
JP2004224096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147713B2 (ja) 車両用操舵装置
JPH0419260Y2 (ko)
JPH1061656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3092489B2 (ja) 車両用舵角比可変操舵装置
KR100443968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SU1283142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трансмиссие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