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394Y1 -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394Y1
KR200199394Y1 KR2020000014881U KR20000014881U KR200199394Y1 KR 200199394 Y1 KR200199394 Y1 KR 200199394Y1 KR 2020000014881 U KR2020000014881 U KR 2020000014881U KR 20000014881 U KR20000014881 U KR 20000014881U KR 200199394 Y1 KR200199394 Y1 KR 200199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upport
nut
threa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2020000014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면에 마찰계수를 크게하는 직교방향의 압력을 갖는 구조를 갖추어 외부 진동 등에도 볼트와 너트의 체결 상태의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목적으로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머리부(11)와 나사산(13)을 형성한 다리부(12) 및 이 다리부(12)의 선단에 다리부(12)의 직경에 대해 작은 직경의 지지구(14)가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이루어진 볼트(10)와, 이 볼트(10)에 체결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볼트(10) 머리부(11)의 나사산에 진입하기 위한 나사산을 내경에 형성한 너트(20)를 갖추고, 상기 너트(20)의 내경에는 지지구(14)의 직경에 대해 같거나 적어도 크지 않은 지지턱(23)을 형성하여, 지지턱(23)이 지지구(14)의 외측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체결장치{.}
본 고안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부품을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들의 결합을 이룬 볼트와 너트의 체결 상태가 부품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등에도 풀림이 방지된 상태로 견고히 유지되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우 관계에 있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장치는 어떤 부품을 다른 부품에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한 체결장치는 외부 영향에 의해 풀리게 되어 체결장치의 고유목적을 실현하는데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즉, 부품과 부품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 중 볼트는 머리와 나사산을 형성한 다리로 이루어지고, 이 볼트에 체결력을 부여하기 위한 너트는 내경에 나사산을 형성한 구성으로서, 나사산들을 따라 진입하는 너트의 나사산과 볼트의 나사산 간에 마찰계수가 동일하여 외부 진동 등에 쉽게 풀리었다.
특히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되는 부품들의 분야가 내연기관 같은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데 사용되면, 쉽게 볼트와 너트의 체결상태가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잇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면에 마찰계수를 크게하는 직교방향의 압력을 갖는 구조를 갖추어 외부 진동 등에도 볼트와 너트의 체결 상태의 풀림이 방지되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머리부와 나사산을 형성한 다리부 및 이 다리부의 선단에 다리부의 직경에 대해 작은 직경의 지지구가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이루어진 볼트와, 이 볼트에 체결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볼트 머리부의 나사산에 진입하기 위한 나사산을 내경에 형성한 너트를 갖추고, 상기 너트의 내경에는 지지구의 직경에 대해 같거나 적어도 크지 않은 지지턱을 형성하여, 지지턱이 지지구의 외측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체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체결장치에 적용한 볼트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체결장치에 적용한 볼트와 너트의 분해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장치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볼트 11 : 머리부 12 : 다리부
13,22 : 나사산 14 : 지지구 15,24 : 요철
20 : 너트 23 : 지지턱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본 고안은 머리부(11)와 나사산(13)을 형성한 다리부(12) 및 이 다리부(12)의 선단에 다리부(12)의 직경에 대해 작은 직경의 지지구(14)가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이루어진 볼트(10)와, 이 볼트(10)에 체결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볼트(10) 머리부(11)의 나사산(13)에 진입하기 위한 나사산(22)을 내경에 형성한 너트(2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너트(20)는 도3에서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구(14)의 직경에 대해 같거나 적어도 크지 않은 지지턱(23)을 형성하여, 지지턱(23)이 지지구(14)의 외측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14)의 외측면과 이 지지구(14)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턱(23)에 각각 밀착계수를 크게하도록 복수개의 요철(15)(24)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2개의 부품(5)을 볼트(10)의 다리부(12)가 관통한 상태로 너트(20)의 내경에 형성한 나사산(22)이 볼트(10)의 다리부(12)에 형성한 나사산(13)을 따라 회전하면서 체결된다.
이때 너트(20)는 내경에 구비된 지지턱(23)이 지지구(14)의 외측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밀착된 상태로 나사산(13)(22)들의 회전력에 대해 직교방향의 압력을 이루어 볼트(10)와 너트(20)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지지구(14)의 외측면과 지지턱(23)의 내경에에 복수개의 요철(15)(24)이 형성됨으로서, 지지구(14)와 지지턱(23)의 밀착계수가 증대되어 외부의 진동에 대해 풀림이 방지된 상태로 견고한 결속이 보장된다.
본 고안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면에 마찰계수를 크게하는 직교방향의 압력을 갖는 구조를 갖춤으로서, 내연기관 같은 진동구조에 적용되어도 볼트와 너트의 견고한 체결력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머리부(11)와 나사산(13)을 형성한 다리부(12) 및 이 다리부(12)의 선단에 다리부(12)의 직경에 대해 작은 직경의 지지구(14)가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이루어진 볼트(10)와, 이 볼트(10)에 체결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볼트(10) 머리부(11)의 나사산(13)에 진입하기 위한 나사산(22)을 내경에 형성한 너트(20)를 갖추고,
    상기 너트(20)의 지지구(14)의 직경에 대해 같거나 적어도 크지 않은 지지턱(23)을 형성하여, 지지턱(23)이 지지구(14)의 외측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밀착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구(14)의 외측면과 이 지지구(14)의 외측면에 말착되는 지지턱(23)에 각각 밀착계수를 크게하도록 복수개의 요철(15)(24)들이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KR2020000014881U 2000-05-25 2000-05-25 체결장치 KR200199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881U KR200199394Y1 (ko) 2000-05-25 2000-05-25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881U KR200199394Y1 (ko) 2000-05-25 2000-05-25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394Y1 true KR200199394Y1 (ko) 2000-10-02

Family

ID=1965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881U KR200199394Y1 (ko) 2000-05-25 2000-05-25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3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2117B2 (ja) ナット合わせ手段付きロックナット
JP4276775B2 (ja) ねじ部材
US6158936A (en) Self retaining nut
KR200199394Y1 (ko) 체결장치
KR200199393Y1 (ko) 체결장치
KR200199395Y1 (ko) 체결장치
KR20150005285A (ko) 체결부재
KR20060023331A (ko) 풀림방지체결볼트의 구조와 풀림방지체결볼트너트의체결구조
JPH09144738A (ja) 締結具
RU2002132951A (ru) Легкосъемное крепеж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 радиальным натягом
KR200303222Y1 (ko) 볼트ㆍ너트의 풀림방지구
JP2001330020A (ja) ねじ用取外し防止材
JPH064419U (ja) 溶接スタッドボルト
JP3081174U (ja) 緩み防止ねじ
JPH08247129A (ja) 緩み止めナット構造
JPH0240106U (ko)
JP3042076U (ja) パイプ固定構造
JP2004324718A (ja) 無騒音型支圧接合用高力ボルト
KR200346252Y1 (ko) 풀림 방지용 너트
KR19980010817U (ko) 풀림방지용 너트
JPS5847352Y2 (ja) ホ−ス取付装置
JPH0353045Y2 (ko)
JP2005249084A5 (ko)
KR200372949Y1 (ko) 풀림방지체결볼트의 구조
JPH05164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