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011Y1 -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011Y1
KR200198011Y1 KR2019980015089U KR19980015089U KR200198011Y1 KR 200198011 Y1 KR200198011 Y1 KR 200198011Y1 KR 2019980015089 U KR2019980015089 U KR 2019980015089U KR 19980015089 U KR19980015089 U KR 19980015089U KR 200198011 Y1 KR200198011 Y1 KR 200198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horizontal ribs
drip tray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583U (ko
Inventor
정휘동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2019980015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01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0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의 물받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그릴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기 취수부의 배수꼭지로부터 물이 흘러 물받이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물이 튈 때 안쪽으로 튀어 물받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쪽 및 정수기 앞쪽으로 물이 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정수기 취수부(1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물받이(3)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테(51)와, 상기 테의 내부에 설치되어 격자를 이룸으로써 테를 보강하는 가로리브(52)들 및 세로리브(53)들을 가지는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에 있어서, 상기 가로리브(52)들의 폭을 이루는 면이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가로리브(52)들의 상단의 두께는 하단의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로리브(52)들의 폭을 이루는 면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여 물받이(3)쪽으로 물이 떨어질 때 가로리브(52)들의 경사면에 의하여 물을 후방으로 경사지게 튀도록 안내할 수 있으므로 물이 앞쪽으로 튀지 않아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수기(1)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1)의 주변환경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본 고안은 정수기의 전측에 설치되는 취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취수부의 배수밸브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수나 오동작으로 인하여 흘러내리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받이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컵받침의 역할을 함으로써 물을 편리하게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받이 내부로 물이 흘러내릴 때 물이 앞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정수기의 주변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의 앞쪽에는 취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요입공간에 의한 취수부가 설치되고, 취수부의 상단부에는 배수를 행하는 배수꼭지(냉온수용 정수기의 경우에는 통상 2개의 배수꼭지)가 설치되며, 취수부의 하단부에는 물받이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물받이는 정수기의 내부에서 정수된 후 있을 수 있는 잔수가 흘러내리는 것을 수용하거나 오동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잉여수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배수꼭지와 물받이와의 거리는 상당한 거리를 가지기 때문에 배수꼭지로부터 물이 흘러내릴 때 물이 튈 뿐만 아니라 컵을 든 상태로 물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주변환경이 더러워지는 원인이 된다. 특히 뜨거운 온수가 사용자에게 튈 경우에는 손에 화상을 입을 우려도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컵을 놓고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물받이의 상단부에는 그릴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그릴은 통상적으로 물받이 상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물받이의 상단부의 형태를 가진 테와, 상기 테의 내부에 설치되어 격자를 이룸으로써 테를 보강하는 가로리브들 및 세로리브들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 그릴에 있어서는 배수꼭지로부터 물받이로 물이 흘러내릴 때 가로리브들 및 세로리브들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물이 흘러내림으로써 물이 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되지만, 가로리브들의 폭을 이루는 면이 수직방향으로 놓이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리브들의 상단으로부터 일부 물이 튀어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는 상황을 완전히 막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취수부의 배수꼭지로부터 물이 흘러 물받이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물이 튈 때 안쪽으로 튀어 물받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쪽 및 정수기 앞쪽으로 물이 튀지 않도록 이루어진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이 설치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3 : 물받이 5 : 그릴
11 : 취수부 12 : 배수꼭지 51 : 테
52 : 가로리브 53 : 세로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수기의 취수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물받이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와, 상기 테의 내부에 설치되어 격자를 이룸으로써 테를 보강하는 가로리브들 및 세로리브들을 가지는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에 있어서, 상기 가로리브들의 폭을 이루는 면이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가로리브들의 상단의 두께는 하단의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그릴에 의하면, 취수부의 배수꼭지로부터 물받이로 물이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물이 가로리브들에 의하여 튈 때 후방으로 경사진 면에 의하여 안내되어 후방으로 경사지게 튀어 물받이에 수용됨으로써 사용자쪽 또는 정수기의 앞쪽으로 물이 튀지 않는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정수기로서, 정수기(1)의 앞쪽에는 요입공간에 의하여 취수부(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취수부(11)의 상단부에는 배수꼭지(12)가 설치된다. 냉온수용 정수기의 경우에는 2개의 배수꼭지(12,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취수부(11)의 하단부에는 정수 후 있을 수 있는 잔수나 오동작으로 인하여 발생한 잉여수를 받아 정수기(1) 밖으로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물받이(3)가 설치된다. 수용된 물을 버리고 또한 물받이(3)를 세척하기 위하여 물받이(3)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참조부호 5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릴으로서, 배수꼭지(12)로부터 물받이(3)쪽으로 물이 흘러내릴 때 물이 물받이(3) 앞쪽으로 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컵을 놓은 상태로 배수꼭지(12)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편리하게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그릴(5)은, 물받이(3)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테(51)와, 상기 테(51)의 내부에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로리브(52)들 및 세로리브(53)들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물받이(3) 앞쪽으로 튀는 현상은 세로리브(53)들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로리브(52)들의 폭을 이루는 면이 후방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배수꼭지(12)로부터 물이 물받이(3) 쪽으로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물이 그릴(5)의 가로리브(52)들에 부딪힐 때 물이 가로리브(52)의 후방으로 경사진 면에 부딪혀 후방으로 경사지게 안내되어 물받이(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꼭지(12)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가로리브(52)들의 상단에 부딪힐 경우 극소량 앞쪽으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으므로 물이 앞쪽으로 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리브(52)들의 상단의 두께는 하단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로리브(52)들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경사지게 점증테이퍼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그릴(5)에 따르면, 배수꼭지(12)로부터 물이 그릴(5)을 통과하여 물받이(3)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물이 그릴(5)의 가로리브(52)들에 부딪힐 때 가로리브(52)들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튀기 때문에 사용자쪽이나 물받이(3) 앞쪽으로 물이 튈 우려가 없고, 또한 가로리브(52)들의 상단의 두께가 하단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면 물이 앞쪽으로 튀는 것이 거의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그릴에 있어서는, 가로리브(52)들의 폭을 이루는 면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여 물받이(3)쪽으로 물이 떨어질 때 가로리브(52)들의 경사면에 의하여 물을 후방으로 경사지게 튀도록 안내할 수 있으므로 물이 앞쪽으로 튀지 않아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수기(1)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1)의 주변환경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정수기 취수부(1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물받이(3)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테(51)와, 상기 테의 내부에 설치되어 격자를 이룸으로써 테를 보강하는 가로리브(52)들 및 세로리브(53)들을 가지는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에 있어서,
    상기 가로리브(52)들의 폭을 이루는 면이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리브(52)들의 상단의 두께는 하단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KR2019980015089U 1998-08-11 1998-08-11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KR200198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89U KR200198011Y1 (ko) 1998-08-11 1998-08-11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89U KR200198011Y1 (ko) 1998-08-11 1998-08-11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583U KR20000004583U (ko) 2000-03-06
KR200198011Y1 true KR200198011Y1 (ko) 2000-10-02

Family

ID=1953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089U KR200198011Y1 (ko) 1998-08-11 1998-08-11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0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7089A (zh) * 2011-03-30 2012-10-17 郑辉东 接水槽改进的饮料供给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99B1 (ko) * 2007-07-19 2008-03-20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정수기의 낙수 방지용 물받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7089A (zh) * 2011-03-30 2012-10-17 郑辉东 接水槽改进的饮料供给器
KR101239328B1 (ko) * 2011-03-30 2013-03-05 정휘동 물받이 구조가 개선된 음료 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583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569B1 (ko) 정수기
JP2010024780A (ja) トイレ装置
JP4654759B2 (ja)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4411660B2 (ja) 洗面化粧台ユニット
KR20120077557A (ko) 전기밥솥의 물받이 구조체
JP2007198019A (ja) ボウルの構造
JP2006283400A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0198011Y1 (ko)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FR2609482A1 (fr) Appareil de robinetterie pour le remplissage d&#39;une baignoire
KR102111593B1 (ko) 정수기
KR102232820B1 (ko) 정수기
JP2003313921A (ja) 局部洗浄装置
KR200251784Y1 (ko)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JP4835559B2 (ja) 洗面化粧台
KR100714471B1 (ko) 비데기능을 갖는 남성의 소변기
JP3721465B2 (ja) ロータンク
KR101607985B1 (ko) 온수 세정기의 온수 공급 장치
KR200446208Y1 (ko) 급수대 커버가 장착된 정수기
JP4305942B2 (ja) 浄水器付水栓
JP3103073U (ja) オイルタンク
JP5796820B2 (ja) 洗面器
KR20220027107A (ko) 정수기
KR200221096Y1 (ko) 급수장치
JPH0960083A (ja) 温水洗浄装置
KR200463619Y1 (ko) 물 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용 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