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784Y1 -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784Y1
KR200251784Y1 KR2020010022056U KR20010022056U KR200251784Y1 KR 200251784 Y1 KR200251784 Y1 KR 200251784Y1 KR 2020010022056 U KR2020010022056 U KR 2020010022056U KR 20010022056 U KR20010022056 U KR 20010022056U KR 200251784 Y1 KR200251784 Y1 KR 200251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hot water
fall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갑
Original Assignee
김수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갑 filed Critical 김수갑
Priority to KR2020010022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784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공급장치의 취수부(10)를 구성하는 요입공간(20)을 내측으로 깊숙히 요입되도록 형성하여 냉온수밸브(30)를 내측 깊숙히 설치하고, 요입공간(20)의 하측단 전방에는 물넘침방지턱(40)을 형성하며, 상기 물넘침방지턱(40) 내측으로는 케이스몸체(50) 외부와 관통되는 드레인공(60)을 형성하여서, 냉온수밸브(30)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가 물넘침방지턱(40) 내측공간으로 떨어짐과 동시에 드레인공(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서 낙수되는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취수부(10)를 구성하는 요입공간(20) 내측에 형성된 냉온수밸브(30) 후방에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부(70)를 형성하여, 냉온수밸브(30)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가 가이드부(70)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구성하여, 냉온정수기나 상측에 생수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냉온기를 대용량으로 사용하는 학교나 공공의 식당등에서 냉온수밸브를 사용하여 물을 마실 때 낙수되는 물이 물넘침방지턱 내측인 요입공간으로 떨어져 사용자쪽 및 정수기 앞쪽으로 물이 튀지 않아 주위환경이 더욱 청결하며, 또한, 낙수가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떨어지면서 미끄러져 다시 튀는 경우가 없으며, 낙수된 물이 취수부에 떨어지면 드레인공을 통해 신속하게 정수기 케이스몸체 외부로 배출하여 취수부 내부에 지저분한 오물이나 각종 세균들이 서식하지 않아 더욱 위생적인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Multiple does easy water supply Device}
본 고안은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부를 구성하는 요입공간을 내측으로 깊숙히 요입되도록 형성하여 냉온수밸브를 내측 깊숙히 설치하고, 요입공간의 하측단에는 물넘침방지턱을 형성하며, 상기 물넘침방지턱 내측으로는 케이스몸체 외부와 관통되는 드레인공을 형성하여서, 냉온수밸브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가 물넘침방지턱 내측공간으로 떨어짐과 동시에 드레인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냉온정수기를 대용량으로 사용하는 학교나 공공의 식당등에서 냉온수밸브를 사용하여 물을 마실 때 낙수되는 물이 물넘침방지턱 내측인 요입공간으로 떨어져 떨어져 사용자쪽 및 정수기 앞쪽으로 물이 튀지 않아 주위환경이 더욱 청결하며, 낙수된 물이 취수부에 떨어지면 드레인공을 통해 신속하게 정수기 케이스몸체 외부로 배출되어 낙수된 물이 외부로 넘치는 일이 없으며, 취수부 내부에 각종 세균들이 서식하지 않아 더욱 위생적인 것이다.
종래의 냉온정수기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정수장치 및 냉,온장치가 구비된 케이스몸체 전방면에 요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공간내의 상측면에 정수장치 및 냉,온수장치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냉,온수밸브를 구비하고, 그 하측으로 냉,온수밸브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를 받아 버릴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물받이통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취수부가 형성된 공지의 정수기 및 냉,온수기와 같은 각종 물공급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통는 정수기의 내부에서 정수된 후 있을 수 있는 잔수가 흘러내리는 것을 수용하거나 오동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잉여수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냉,온수밸브와 물받이통과의 거리는 상당한 거리를 가지기 때문에 냉,온수밸브로부터 물이 흘러내릴 때 물이 튈 뿐만 아니라 컵을 든 상태로 물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주변환경이 더러워지는 원인이 된다. 특히 뜨거운 온수가 사용자에게 튈 경우에는 손에 화상을 입을 우려도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컵을 놓고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물받이 상단부에는 그릴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그릴은 통상적으로 물받이통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물밭이통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격자를 이룸으로써 테를 보강하는 가로리브들 및 세로리브들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그릴에 있어서는 냉온수밸브로부터 물받이통로 물이 흘러내릴 때 가로리브들 및 세로리브들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물이 흘러 내림으로써 물이 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되지만, 가로리브들의 폭을 이루는 면이 수직방향으로 놓이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리브들의 상단으로부터 일부 물이 튀어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는 상황을 완전히 막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냉온정수기나 상측에 생수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냉온기를 대용량으로 사용하는 학교나 공공의 식당등에서 냉온수밸브를 사용하여 물을 마실 때 낙수되는 물이 물넘침방지턱 내측인 요입공간으로 떨어져 사용자쪽 및 정수기 앞쪽으로 물이 튀지 않아 주위환경이 더욱 청결하며, 또한, 낙수가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떨어지면서 미끄러져 다시 튀는 경우가 없으며, 낙수된 물이 취수부에 떨어지면 드레인공을 통해 신속하게 정수기 케이스몸체 외부로 배출되어 취수부 내부에 지저분한 오물이나 각종 세균들이 서식하지 않아 더욱 위생적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취수부 20 : 요입공간
30 : 냉온수밸브 40 : 물넘침방지턱
50 : 케이스몸체 60 : 드레인공
70 : 가이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정수장치 및 냉온장치가 구비된 케이스몸체 전방면에 요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공간내의 상측면에 정수장치 및 냉온수장치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냉온수밸브를 구비하고, 그 하측으로 냉,온수밸브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를 받아 버릴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물받이통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취수부가 형성된 공지의 정수기 및 냉,온수기와 같은 각종 물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장치의 취수부(10)를 구성하는 요입공간(20)을 내측으로 깊숙히 요입되도록 형성하여 냉온수밸브(30)를 내측 깊숙히 설치하고, 요입공간(20)의 하측단 전방에는 물넘침방지턱(40)을 형성하며, 상기 물넘침방지턱(40) 내측으로는 케이스몸체(50) 외부와 관통되는 드레인공(60)을 형성하여서, 냉온수밸브(30)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가 물넘침방지턱(40) 내측공간으로 떨어짐과 동시에 드레인공(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서 낙수되는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지 않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취수부(10)를 구성하는 요입공간(20) 내측에 형성된 냉온수밸브(30) 후방에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부(70)를 형성하여, 냉온수밸브(30)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가 가이드부(70)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에 정수장치 및 냉온장치가 구비된 케이스몸체 전방면에 요입공간(20)을 내측으로 깊숙히 요입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요입공간(20) 상측으로 냉온수밸브(30)를 깊숙히 설치한다.
이때, 상기 요입공간(20)의 하측단에는 물넘침방지턱(40)을 형성하며 냉온수밸브(30)에서 떨어지는 물이 물넘침방지턱(40) 내측으로 낙수되어 요입공간 (20)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부(10)를 구성하는 요입공간(20) 내측에 형성된 냉온수밸브(30) 후방에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부(70)를 형성하여, 냉온수밸브(30)에서 떨어지는 물이 가이드부(70)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하여 낙수되는 외부로 물이 튀지 않고, 가이드부(70)의 경사면을 따라 신속하게 요입공간(20) 하측으로 고이게 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넘침방지턱(40) 내측으로는 케이스몸체(50) 외부와 관통되는 드레인공(60)이 형성되어 있어 요입공간(20)하측에 낙수되어 고이는 물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낙수된 물이 외부로 넘치는 일이 전혀 없어 정수기 주변이 더욱 청결하고 깨끗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물공급장치의 취수부를 구성하는 요입공간을 내측으로 깊숙히 요입되도록 형성하여 냉온수밸브를 내측 깊숙히 설치하고, 요입공간의 하측단 전방에는 물넘침방지턱을 형성하며, 상기 물넘침방지턱 내측으로는 케이스몸체 외부와 관통되는 드레인공을 형성하여서, 냉온수밸브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가 물넘침방지턱 내측공간으로 떨어짐과 동시에 드레인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서 낙수되는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지 않도록 구성하여, 냉온정수기나 상측에 생수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냉온기를 대용량으로 사용하는 학교나 공공의 식당등에서 냉온수밸브를 사용하여 물을 마실 때 낙수되는 물이 물넘침방지턱 내측인 요입공간으로 떨어져 사용자쪽 및 정수기 앞쪽으로 물이 튀지 않아 주위환경이 더욱 청결하며, 또한, 낙수가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떨어지면서 미끄러져 다시 튀는 경우가 없으며, 낙수된 물이 취수부에 떨어지면 드레인공을 통해 신속하게 정수기 케이스몸체 외부로 배출하여 취수부 내부에 지저분한 오물이나 세균들이 서식하지 않아 더욱 위생적이도록 하는 등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정수장치 및 냉온장치가 구비된 케이스몸체 전방면에 요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공간내의 상측면에 정수장치 및 냉온수장치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냉온수밸브를 구비하고, 그 하측으로 냉온수밸브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를 받아 버릴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물받이통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취수부가 형성된 공지의 정수기 및 냉온수기와 같은 각종 물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장치의 취수부(10)를 구성하는 요입공간(20)을 내측으로 깊숙히 요입되도록 형성하여 냉온수밸브(30)를 내측 깊숙히 설치하고,
    요입공간(20)의 하측단에는 물넘침방지턱(40)을 형성하며,
    상기 물넘침방지턱(40) 내측으로는 케이스몸체(50) 외부와 관통되는 드레인공(60)을 형성하여서,
    냉온수밸브(30)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가 물넘침방지턱(40) 내측공간으로 떨어짐과 동시에 드레인공(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서 낙수되는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튀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10)를 구성하는 요입공간(20) 내측에 형성된 냉온수밸브(30) 후방에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부(70)를 형성하여, 냉온수밸브(30)의 작동시 실수로 낙하하는 낙수가 가이드부(70)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KR2020010022056U 2001-07-20 2001-07-20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KR200251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56U KR200251784Y1 (ko) 2001-07-20 2001-07-20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56U KR200251784Y1 (ko) 2001-07-20 2001-07-20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784Y1 true KR200251784Y1 (ko) 2001-11-17

Family

ID=7308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056U KR200251784Y1 (ko) 2001-07-20 2001-07-20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7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199B1 (ko) 세정 기능을 갖는 냉온 정수기
US7802327B1 (en) Portable training sink and vanity for children
RU2011129072A (ru) Детский горшок
US6145670A (en) Bathtub spout with removable filter
US20120031278A1 (en) Liquid overflow platform and container for small appliances
CA1240166A (en) Drainless water cooler
KR200251784Y1 (ko) 배수가 용이한 물공급장치
CA2520599C (en) Portable shampoo apparatus
JP2006265953A (ja) 洗濯機用防水パン
CA2998851C (en) Sponge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KR200198011Y1 (ko)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US9820618B1 (en) Articl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nd encouraging proper disposal of cooking oils
JP3774109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2288480B1 (ko) 음료용 디스펜서
KR20050060046A (ko) 다 기능성 정수기
JP3721465B2 (ja) ロータンク
EP4098108A1 (en) Pet drinking fountain
KR200439882Y1 (ko) 화분 음수대
KR200381098Y1 (ko) 냉온수기용 기능성 물병마개
KR200327658Y1 (ko) 정수기의 물받이 구조
KR200239756Y1 (ko) 정수기
KR102070170B1 (ko) 오버플로우홀이 숨겨진 세면대
JP2784321B2 (ja) 浴槽用湯水浄化器および湯水浄化方法
JP2016191242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20070000909U (ko) 퇴수기가 삽입된 찻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